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cision to Leave’: From Traditional Competition Law to New Digital Regulation and Potential Problems

        최요섭 한국법제연구원 2023 KLRI journal of law and legislation Vol.13 No.1

        Given the priority of digital competition and innovation, competition policy for the platform economy has developed in a noteworthy way in the past decade. Among other things, public support for a policy against large platforms has influenced vigorous enforcement of competition rules as well as adoptions of or, at least, discussions on a new sector-specific regulation in some countries. One of the key arguments for this is the present difficulty in applying competition rules to platforms. The distinctive feature of a multisided market with free services has become a notable hurdle in the implementation of competition law in the digital sector. Moreover, the emergence of various business models used by platforms has brought a debate on novel types of abusive conduct, such as self-preferencing and exploitative abuse of data privacy. The new categorisation of abuses of digital dominance, which involves new theories of harm, has become one of the burdens on enforcement agencies. Considering the complexities in applying competition rules, policymakers across the globe have considered a digital-sector regulation that contains formalistic legal measures. This trend seems a decision to leave from the existing competition law tools to new sector-specific regulations.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recent developments in enforcement of competition law and the adoption of sector-specific regulations for the digital economy, especially for the EU and Korea.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an appropriate direction for future policy on digital competition, with a focus on innovation and dynamic efficiency through criticism of the provisions in the EU’s Digital Markets Act.

      • KCI등재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 박람회의 어제와 내일 - 오래된 역사, 만들어진 전통, 새로운 도전-

        육영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 장서각 Vol.0 No.44

        The Frankfurt International Book Fair, renowned for its long and rich history, is undoubtedly the mecca of the international book trade. Held annually every autumn in Frankfurt am Main, the Book Fair draws approximately 10,000 publishers, book dealers, and literary agents from more than one hundred countries worldwide. In spite of its important role and significant influence in this field, research has been rarely done on the event both in Korea and abroa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hus, is to reexamine and reevaluate the ‘communication circuit’ of the fair, which starts from authors and then includes publishers, printers, book dealers, and finally readers, by focusing on and looking into the ups and downs of the Frankfurt International Book Fair from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down to the present. In Chapter II the author keeps track of the Medieval origins of the Fair and explores its earlier developments made until the end of the 17th century. Chapter III covers the Frankfurt International Book Fair’s modern revival in 1949 and its internalization and progress accomplished by the end of the 20th century. Especially Peter Weidhass, who served as director of the Fair between 1975 and 2000, launched new traditions such as the system of Topical Themes/ Focus of Interest and System of Theme Country/Guest of Honour. Chapter III also outlines the Frankfurt Book Fair’s struggle to cope with the digital revolution that threatened the death of Gutenberg Galaxy. The result was the Fair’s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into an electronic and virtual realm in the new millennium. In conclusion, the author reappraises that the Frankfurt International Book Fair, with its five - hundred rocky history, has been in the process of constantly re - inventing its self identity: moving away from an event for printers and publishers to one for book dealers and from literary agents’ fair to contents creators’ one. The author wishfully predicts that the Fair will prevail in the age of the so - called New Media Age as long as it, instead of remaining as a mirror reflecting passively the times, is not afraid of challenging and leading the future trend in the knowledge industry. 주지하듯이,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 박람회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와 전통 을 자랑하는 현재진행형인 ‘서적 무역의 메카’이다. 우리나라도 2005년에 이 박람회 의 주빈국 자격으로 참가하여 독일의 구텐베르크에 앞서서 금속활자를 발명했던 ‘원 조국’임을 전 세계에 과시했다. 프랑크푸르트 북 - 페어가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과 영 향력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이 국제행사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는 대단히 빈약하 다. 독일어권·영어권에서도 이 도서 박람회를 소재(주인공)로 한 논문이나 전문서는 아직도 거의 황무지 상태이다. 국내 학계에는 단 한 편의 논문조차도 출간되지 않았 다. 위와 같은 배경에서 프랑크푸르트 도서 박람회의 역사적 기원, 형성과정, 성장과 쇠퇴의 시대적 환경, 관련된 주요 사건과 인물, 국제적인 영향력과 역사적 유산 등을 종합적으로 추적·서술함으로써 국내외 선행연구의 공백과 약점을 미력하게나마 수 정·보완하려는 것이 이 글의 핵심적인 의도이다. 본문은 다음과 같은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Ⅱ장에서는 15세기 중엽에서 17세기 말에 이르는 시기에 걸친 ‘원조’ 프랑크푸르트 박람회의 초창기 모습과 성격 및 근대 적 전환기의 특징 등을 추적한다. 제Ⅲ장에서는 1949년에 부활한 현대판 박람회가 상업주의, 냉전체제, ‘68혁명 등 시대적 장애물을 극복하면서 국제적인 박람회로 전성 시대를 구가하는 과정을 2000년까지 비평적으로 서술한다. 제Ⅳ장에서는 전자책과 멀티미디어로 대변되는 디지털혁명이 가속하는 ‘구텐베르크 圖書 문명의 몰락’이라는 위기를 프랑크푸르트 박람회가 발전의 뜀틀로 삼고자 어떻게 애쓰고 있는지를 스케 치하며 책의 미래와 국제도서전의 지속 가능성을 진단하고자 한다. 다시 말하자면, 질적·양적으로 빈곤한 선행연구를 나침판 삼아 불완전한 부분을 꿰매고 채워나감으 로써 프랑크푸르트 박람회의 윤곽을 좀 더 입체적으로 드러내려는 것이 이 논문을 관통하는 주제 의식이다. 연구결과가 출판인쇄업자·서적유통 도소매업자·서적에이전 트 등 잊히거나 과소평가된 책 세상 종사자에 관한 관심을 자극하여 후속 사례연구 를 초대하는 투박한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저작권 공정이용 제도의 개혁 논의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삭제통지 절차 및 저작권 침해 판단을 중심으로-

        손승우 국제거래법학회 2014 國際去來法硏究 Vol.23 No.2

        In Son Dambi’s “Are you Crazy” Case of 2009, a plaintiff posted on NAVER(Online Service Provider: OSP) a home video of his 5-year-old daughter dancing to Son Dambi’s song “Are you Crazy.” A defendant, Korea Music Copyright Association(KOMCA) who was the collective management entity of copyright, sent NAVER a takedown notice pursuant to the Copyright Act claiming that the video violated its copyright in the song. However, NAVER refused the claim raised by the plaintiff for resuming the reproduction and interactive transmission of the home video on the website. The Korea Copyright Act only allows the resumption of the reproduction and interactive transmission to a reproducer/ interactive transmitter who is a copyright holder or a licensee. Therefore, the plaintiff who was not a copyright holder nor a licensee, could not claim fair use of the copyrighted material to OSP. At the end, he sued KOMCA for knowingly misrepresenting his work as copyright infringement and argued the his use of the song was covered by the fair use doctrine. In a decision, the court held that the defendant must consider fair use when filing a take down notice. This article insists that the Decree of the Copyright Act should be revised in order to allow a reproducer/interactive transmitter to claim fair use in the resumption procedure just as the Digital Millennium Copyright Act (DMCA). Meanwhile, it also suggests that fair use elements especially commercial harm should be concerned by a court to determine infringement of the owner’s exclusive rights. The copyright users have recently faced with hardship regarding fair use claim because of the complexities and ambiguity of copyright rules. Since most of unlicensed users do not have knowledge on fair use doctrine, copyright owners often misuse the copyright suits and accusation. This article assets that fair use elements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termination of infringement not just as a affirmative defense in certain cases, so that the law strikes a better balance between copyright owner’s interests and public interests. 저작권침해 사건에서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공정이용에 대한 인식이 부재하여 원고의 침해 주장에 대하여 단순히 순응하고 손해배상금이나 형사 합의금을 지급하는 경우가많다. 또한 공정이용에 해당될 수 있는 패러디, UCC(User Created Contents) 등과 같이 변형적 이용을 포함한 콘텐츠의 온라인 게시에 있어서도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공정이용을 주장하지 않고 있다. 최근 공정이용에 해당될 수 있는 이용에 대해서도 침해판단이 내려진사례가 존재한다. 현재 공정이용은 저작권침해 판단에서 피고의 적극적 항변(affirmative defense) 수단으로서만 기능하고 있으므로 외관상 공정이용이 명백한 경우에도 피고가 항변을 주장하지 않으면 이에 대한 심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저작권 개혁 논의에서 저작권 침해 판단 시 공정이용의 요건을 적극적으로고려하도록 제안하고 있으며, 또한 호주, 영국, 독일 등에서 저작권 제한의 확대를 위한 입법적 시도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공정이용 법리의 적용 현실은 저작권 침해 판단에서, 그리고 OSP의 삭제조치절차에서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최근 미국, 유럽 등에서 전개되고 있는저작권 개혁 논의와 우리 저작권법상 OSP 규정의 모델이 된 미국의 DMCA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우리 저작권법을 개선하는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첫째, 인터넷 게시판에 복제⋅전송된 콘텐츠에 대하여 저작권자의 요청에 따라 삭제된콘텐츠를 복제⋅전송자가 공정이용 사유에 터 잡아 복제⋅전송을 재개해 줄 것을 OSP에게요구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권리주장자의 복제⋅전송 중단 요구에 따라 OSP가 해당 저작물의 복제⋅전송을중단한 경우 그 사실을 복제⋅전송자에게 통보하여야 하는데, 이 단계에서 공정이용에 따른 소명을 할 수 있음을 안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미국의 학계에서 제안했듯이 공정이용의 일부 요건을 저작권 침해 판단 단계에서고려하도록 하여 저작권자와 이용자 간의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공정이용을항변 단계가 아닌 침해 판단 단계에서 고려하도록 함으로써 공정이용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제고시키고 저작권자에 의한 남소를 방지하며 부당한 저작물 삭제조치와 손해배상 요구가 점차적으로 개선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저작물 대량 디지털화에 관한 소고

        신창환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성균관법학 Vol.31 No.1

        In copyright system, ex ante permission should be secured to exploit a copyrighted work. Any use of copyrighted work without prior permission shall constitute a copyright infringement, if there is no justification of that use such as a limitation and exception to copyright. When it comes to the mass digitization of works, it is extremely difficult or even impossible to get prior permission to use from copyright holder due to high transaction cost. Thus, as long as the current copyright regime persists, there will be a certain tension between copyright system and mass digitization. Here, this article studies the viable solutions considering court precedents and laws of some countries to solve this matter. This includes temporary copying, fair use doctrine and specific exceptions on Text/Data Mining (TDM). However, mass digitization cannot easily meet the requirements of temporary copying exception and fair use doctrine seems to be unpredictable in terms of applicat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introduce new copyright exception, i.e, Text/Data Mining (TDM). We need to address existing laws without hesitation, if we can enjoy the massive benefit of mass digitization of works. 저작권법 체계는 저작물의 이용에 있어서 사전 허락을 기본으로 한다. 저작권이 미치는 저작물을 이용하면서 미처 허락을 얻지 못한 저작물의 이용행위는 저작권이 제한되는 경우와 같이 그 이용을 적법하게 하는 요인이 없는 한, 저작권의 침해가 된다. 대량 디지털화에서는 이용 허락을 구하는 데 따른 시간과 비용의 문제 등 높은 거래 비용이나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저작물의 이용에 관한 사전 허락을 일일이 받는 것이 매우 어렵거나 심지어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사전 허락을 요체로 하는 현재의 법체계가 유지되는 한, 저작권법 체계와대량 디지털화 사이에는 일정한 긴장 관계가 형성된다고 하겠다. 따라서 국내외의 판례와 입법레 등을 참고하여 현행 법률의 적용과 향후 저작권 제도의 개선이나 변경을 통하여 가능한 대응방안을 모색하여 본다. 여기에는일시적 복제 규정 또는 공정이용 항변의 적용이라든지, 저작물의 대량 디지털화에 고유하게 대응되는 저작권 제한 규정으로서 이른바 텍스트/데이터 마이닝(Text Data Mining)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일시적 복제 규정은 적용의 한계가 있고, 공정이용 제도는 예측 가능성의 측면에서 문제가 없지 않아, 결국 텍스트/데이터 마이닝에 관한 별도의 면책 규정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본다. 저작물의 대량디지털화에 의하여 누릴 수 있는 다대한 편익을 우리 사회가 놓치지 않으려면 신속한 입법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우수등재

        디지털 시대에 헌법상 공정의 원칙과 그 구현에 관한 연구

        손형섭(Son, Hyeung-Seob) 한국공법학회 2023 공법연구 Vol.52 No.2

        In the digital society of the 21st century, rules for games, competition, and markets suitable for new changes have not been established on the online. Therefore, there are cases where fairness is not secured in the digital society and markets, and the public is responding to this unfairness and wants more fair competition and markets. This paper, grounded in legal philosophy and constitutional research, defines the concept of fairness as “Among the established constitutional values in social life, market competition, and elections, freedom of occupation, substantive freedom and equality, and norms based on the rule of law, are observed in accordance with substantive due process from beginning to end.” The U.S. Constitution also derives principles of constitutional fairness through the principles of due process, equal protection, Ex Post Facto, and Double Jeopardy. As these principles are imperative in market-like competition, it becomes essential to formulate reasonable rules in the digital market and ensure compliance for a fair outcome. Fairness has not been secured in the digital society, because digital companies monopolize the market without the establishment of reasonable rules in the new digital market. To rectify this, the creation and implementation of reasonable rules and operating orders that guarantee practical freedom and equality are vital in the digital realm. This necessitates considerations beyond existing antitrust laws, encompassing ethics, legal regul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ic regulation, and resolution of data bias. In the data era, fairness is anchored in constitutional principles, notably Article 11s pursuit of substantive equality and Article 119s respect for economic freedom and creativity. There is a pressing need to ensure transparency and fairness throughout societal processes, from inception to results. Addressing the unfair practices of data companies requires not only legal responses but also the enactment of new laws. Intelligence devoid of ethics, justice, and fairness is incomplete, emphasizing the perpetual requirement for systems and procedures that embody these valu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s Dworkin emphasizes, equality of resources is paramount even before commencement, necessitating constitutional efforts and legislative reviews to create equitable and fair conditions on digital platforms.

      • KCI등재

        사법분야 투고논문 : 디지털콘텐츠 거래실태 및 공정거래환경 조성방안

        이무선 ( Mu Seon Lee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2 No.3

        최근 디지털기술의 발달에 따라 온라인 유통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고 그 가운데 온라인 네트워크와 같은 설비를 구비한 기업의 시장지배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의 공정거래규율과는 다소 다른 원칙이 재고될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인위적이고 손쉬운 구조 규제, 즉 산업구조를 자의적으로 해체하거나 분할하는 규제방식보다는 공정거래환경을 조성하고 국가가법과 제도를 통해 적절한 기준을 제시하여 권유하는 방식이 나아 보인다. 일반적으로 공정거래법상 불공정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형사 처분규정을 두고 있는데 이것은 전 세계적인 추세이며, 현재 공정거래법 제14장 벌칙에 법제화되어있다. 그러나 디지털콘텐츠분야에서 불공정거래를 방지하기 위해서 어떠한 조치가 필요한지에 관하여 콘텐츠산업진흥법이 제정 시행되고 있으나 법과 제도의 문제점이 보이며, 공정거래 환경조성의 분위기도 부족해 보인다. 적어도 콘텐츠분야의 불공정거래에 대한 규제를 위해서는 적절한 기준제시와 공정거래의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콘텐츠산업 진흥법 제24조와 제25조의 개정을 통한 체제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즈음하여 본고는 공정거래 차원에서 현행 디지털콘텐츠보호법제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그들의 법적보호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디지털콘텐츠보호의 배경과 실태를 살펴보고, 현행 디지털콘텐츠 법제의 현황을 살펴보면서 그 문제점을 도출하고, 공정거래차원에서 디지털콘텐츠를 위한 법과 제도에 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따라서 논의과정에서 법적 문제점과 재정비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이 논문을 디지털콘텐츠의 불공정거래를 막고 공정거래 구축을 위해서 바람직한 방향은 무엇인지를 생각해보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Depending on the recent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online distribution, market power of the company, complete with facilities such as online network in which is larger. This not only requires that the previous fair trade disciplines slightly different principle to be improved, are artificial, simple structure regulation, that is not a regulated manner to split or arbitrarily released to the industrial structure , and to construct a fair trade environment, countries using the legal system, looks good method to solicitation by presenting an appropriate reference. In general, in order to regulate the inequitable conduct on the Fair Trade Act, but has placed a criminal punishment provisions, this is a global trend, currently, is legislation in Chapter 14 penalties Fair Trade Act to have. However, although the content industry Promotion Act of how such whether measures necessary to prevent the unfair trade in digital contents areas have been enacted enforcement, see the problem of law and institutions, fair trade environment creation also of atmosphere I appear to lack. In order to restrictions on unfair trading of at least content field is create an environment of appropriate criteria presented and fair trade is necessar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purpose,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a system through the revision of the content industry Promotion Act, Article 24 and Article 25. When this paper these needs is to consider the problems of protection legislation of the current digital content of the Fair Trade level, there is a purpose to seek their legal protection scheme. To achieve this, it first looks at the background and status of the digital content protection, derived by looking at the issue of the status of the current legal digital content, and want suggestions about drafting laws for the digital contents from fair trade dimension. Therefore, this paper plans to overhaul the legal issues and look at the consultation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unfair competition desirable for establishing fair trade of digital contents, think about what the party makes its look and opportunities.

      • KCI우수등재

        일본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사회갈등 현황과 대응방안에 대한 소고

        박용숙(Park, Yong-Sook) 한국공법학회 2021 공법연구 Vol.50 No.2

        전 세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인적·물적 교류가 과도하게 위축되면서 유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실시된 ‘거리두기’는 우리의 생활 방식의 근본적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이러한 경제·사회 분야의 구조적 변화로 비대면화 및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 구조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은 자연스레 사회 내외부적 갈등요인을 야기하게 된다. 특히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사회갈등은 전환의 속도를 지연시키거나 왜곡된 방향성을 가지도록 한다는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전환의 지연 및 왜곡 현상을 탈피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로서, 일본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사회갈등의 현황과 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살펴보았다. 우선 일본의 디지털 전환 정책 추진 체계 및 그 내용을 살펴보았고(Ⅱ), 다음으로 디지털 전환으로 야기된 사회갈등 및 그 해결방안(Ⅲ), 그리고 해결방안 가운데 주목할 만한 디지털 플랫폼 투명화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Ⅳ)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world is facing an unprecedented crisis as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are excessively reduced due to the novel coronavirus inf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rona 19”) pandemic. In addition, the ‘distancing’ implemented due to COVID-19 is causing a fundamental change in our way of life. Accordingly, experts in each field predict that non-face-to-face and digital transformation will accelerate due to structural changes in the economic and social fields. Microsoft CEO Satya Nadella said at a press conference after the release of the first quarter of 2020, “The equivalent of two years of digital transformation has occurred in just two months.” In addition, the World Economic Forum pointed out that “the digital transformation will accelerate”. In the post-corona era, which is difficult to predict, we can only survive when we clearly recognize that digital transformation is an irresistible trend and respond quickly. However, the paradigm shift in the social structure naturally causes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 factors in society. In particular, social conflict caused by digital transformation has a problem in that it delays the speed of transformation or causes it to have a distorted direction. Therefore, in this paper, as a theoretical study to find countermeasures to avoid such delays and distortions in digital transformation,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conflicts and countermeasures due to digital transformation in Japan were examined. First, we looked at Japan"s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promotion system and its contents. Next, implications were drawn by examining in detail the social conflicts caused by digital transformation, their solutions, and the notable The Act on Improving Transparency and Fairness of Digital Platforms (TFDPA) among the solutions.

      • KCI등재후보

        전자도서관에서의 저작권 보호와 공정이용

        박영희 한국정보법학회 2008 정보법학 Vol.12 No.2

        우리나라에서의 전자도서관구축과 전자도서관을 통한 정보의 이용과 유통을 위한 법적 장치에 대한 논의는 1997년 전자도서관구축계획과 함께 시작되었다. 특히 국회도서관을 비롯하여 전자도서관구축사업을 추진하던 몇몇 국가도서관들은 1998년부터 시작된 정보화공공근로사업으로 일시에 많은 양의 소장자료를 디지털화하는 과정에서 저작재산권 침해문제에 당면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전자도서관에서의 저작물이용의 한계와 범위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이다. 당시의 전자도서관과 관련한 논의에서의 애로사항은 다른 나라의 사례를 구할 수 없다는 점이었다. 당시 대부분의 국가의 전자도서관사업은 초기 단계이거나 디지털화의 대상 자료를 저작재산권이 소멸된 자유이용이 가능한 자료에 국한하였기 때문에 저작권과의 충돌이나 갈등의 소지가 없었으므로 저작권법의 개정이나 새로운 관련법의 제정에 관한 사례가 없었다. 저작권법에 의하여 전자도서관구축과 이용의 효율성을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 것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시도한 것이다. 전자도서관과 관련한 저작권법의 규정은 2000년에 처음으로 도입되어 2003년, 2005년, 2008년도에 주요 내용이 개정되었다. 우선 전자도서관을 위한 법적 장치는 2000년 1월12일에 개정 공표된 저작권법(법률 6134호) 제28조에 근거한다. 저작권법 제28조 제1항은 종전 내용과 동일하나 제2항을 신설하여 전자도서관 구축과 기능을 가능하도록 법적 장치를 마련한 것이다. 저작권법 제28조의 신설 조항인 제2항은 도서관이 전자도서관시스템으로 자료의 디지털화와 전송을 통한 이용자의 정보이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현행 저작권법의 전자도서관과 관련한 규정(법제31조)이 실질적 측면에서 전자도서관의 기능과 사회적 역할 수행에 있어 몇 가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법제31조(도서관등에서의 복제 등)에서는 전자도서관에서 발행된 지 5년 이상의 판매용 도서에 대해서도 디지털화(복제)와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하여 다른 도서관으로 전송하는 것을 허용(제3항)하는 한편, 이에 대한 보상금을 지급(제5항)하도록 하고 있다. 이점은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저작재산권자의 재산권을 실질적 보상하는 수준이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최신 자료를 전자도서관시스템을 통하여 제공할 수 없음으로 인하여 이용자에게 최신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전자도서관에게도 커다란 한계를 주고 있다. 따라서 전자도서관이라는 새로운 정보유통시스템을 이용하여 저저작물의 유통과 이용을 활성화하고 동시에 저작재산권자와 저작물 이용자(전자도서관 이용자)의 이익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저작권법의 개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Korea, legal provision for information use and distribution through digital library began to be discussed in 1997 with the plan for digital library. Especially, while digitalizing huge quantity of materials storaged by the library for the Information-Oriented Public Work Project which began in 1998, national libraries such as National Assembly Library which were promoting digital library project came to face intellectual property infringement issues. The discussion of limit and range of the copyrighted works' use in the digital library began while trying to solve this issue. The hold-up of the discussions related to digital library was that the precedents could not be found from other countries. Most of other nation's digital library projects were at the initiative stage or the digitalization for digital library was limited to the works in the public domain and hence, there was no grounds for conflicts related to the copyrights and no precedents of legislation of related laws could be found. Korea was the first to try and set up legal provisions for digital library and to secure efficiency of it's use through the Copyright Law. The Copyright Law related to the digital library was first introduced in 2000 and it's main contents were amended in 2003, 2005 and 2008. First of all, legal provision for the digital library is based on the Article 28 of Copyright Law (Law 6134) amended on January 12, 2000. The contents of Paragraph 1 Article 28 of Copyright Law are same as before but Paragraph 2 was added as a legal provision so that the digital library construction and functioning can be possible. Newly added Paragraph 2 of Article 28, Copyright Law provides for the patron's use of information through digitalization and transmission of materials by the digital library system. However, the current Copyright Law's regulations(legislation article 31) related to the digital library has a few problems in digital library's function and it's carrying out of social role from the practical aspects. The Article 31 of the legislation stipulates that digitalization (copying), conversion into database and transmission of commercial books which are published 5 years or more ago is allowed (Paragraph 3) but on the other hand, it also stipulates that compensation has to be paid(Paragraph 5). This, as pointed out earlier, does not compensate for actual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the copyright holder and furthermore does not enable provision of current information through the digital library system and hence it is a huge limitation of the digital library whose goal is to provide information to it's patrons without barrier of time and space. Accordingly, as a plan to revitalize the distribution and use of the copyrighted works through the new social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the digital library- and at the same time to ensure the profits of the copyright holder and the user (patron of the digital library) an amendment to the Copyright Law has to be made.

      • KCI등재

        디지털 저작물의 배포, 최초판매의 원칙, 공정이용에 관한 연구- 미국과 우리나라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

        이수미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2 No.1

        Both the Korean and the U.S. Copyright Act aims to promote advancement of the arts and culture industry by balancing and harmonizing the exclusive rights of copyright holders with the rights of users of copyrighted works. Thus, the Copyright Act is structured to give copyright holders certain exclusive rights with limitations such as the fair use and the first sale doctrine. Today’s digital society can be characterized by multimedia contents produced, processed, and compressed with digital technology, backed by the Internet and high-speed IT networks with capacity to copy and distribute the multimedia contents, in ultra high speed, and advanced software technology that carry out all necessary functions through commands. The circumstances of such digital society necessitates new approaches to the traditional analog-based copyright law regime. In digital society, copyrighted works can be distributed and sold instantly worldwide, but convenient distribution and market access mean convenient copyright infringement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in a cyber environment equipped with multimedia contents, software, Internet, and high-speed network, copy,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of copyrighted works in various forms with negligible cost. Digital technologies of the digital society must essentially reproduce copies, and without such reproduction multimedia contents cannot be used. Because infringement of the reproduction right is an inevitable problem in the digital society, exceptions to infringement such as the first sale doctrine and the fair use should step in. However, in the Records v. ReDigi case, the U.S. Court of Appeals for the Second Circuit made a clear decision that breaking a digital music file into packets, and moving them to another server to reassemble is an illegal practice of reproduction right and no exceptions apply. Another asp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Korean Copyright Act on transactions of digital works. Because the ‘Distribution’ in the Korean Copyright Act is premised on tangible works, digital works do not work with neither the distribution nor the first sale doctrine. In order for the first sale doctrine to work in digital environment, which is a doctrine that frees up use of copyrighted works in the public, the premise of tangible goods should be removed from the distribution and the scope of distribution should be expanded to encompass digital files. However, simply expanding the definition of distribution to the digital environment does not solve new problems raised by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y. Advancement in software technology allows copyright holders to maintain control their copyrighted works without the need for law, which ultimately makes the first sale doctrine and the fair use unnecessary. Such newly raised issues will require further research. 저작권법은 저작권자의 독점 권리와 저작물 이용자의 이용 권리간의 균형과 조화를 통해 예술, 문화 산업의 발전을 촉진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저작권법은 저작권자에게 특정한 배타적 권리를 부여하고, 그런 권리들에 대해 공정이용 및 최초판매 원칙과 같은 제한들을 두고 있으며, 위반자들에게는 손해배상의 책임과 형사적 처벌 등을 통해 법을 준수시키며 저작권법의 목적을 이루고자 하는데, 문제는 저작권법 제도의 본질이 아날로그 시대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 가공, 압축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이를 급속도로 무제한 전파시킬 수 있는 인터넷과 초고속정보통신망, 그리고 명령어를 통해 필요한 모든 과정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로 작동하는 사이버 환경에서는 저작권, 최소판매의 원칙, 공정이용, 형사적 제재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해석을 필요로 한다. 디지털 사회에서 저작물은 전 세계를 상대로 배포, 판매 가능하게 되었으나, 편리한 배포와 시장의 접근성은 동시에 편리한 저작권 침해를 뜻하기도 한다. 즉, 다양한 콘텐츠, 소프트웨어, 인터넷, 초고속망이 갖추어진 사이버 환경에서는 각종 저작물에 대해 비용을 거의 들이지 않고도 편리하게 온라인상으로 복제, 송신, 배포 할 수 있게 됨으로서 저작권의 침해 행위가 빈번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저작권법은 아날로그 시대의 복제물의 규제를 중심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디지털 공간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기본적 행위인 복제는 연속다발적인 복제권의 침해행위가 되어버린다. 디지털 기술과 관련된 모든 행위에서 복제권의 침해를 피할 수 없다면 저작권 침해에 대한 예외 규정인 공정이용과 최초판매원칙이 사이버 환경의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해석되어야 하는데 실제로 그렇지 않다는 현실을 보여준 판례가 본 연구에서 다룰 미국 제2 연방항소 법원의 Capitol Records v. ReDigi 판결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저작물의 거래 행위에 대한 우리나라 저작권법의 해석과 적용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 저작권법의 ‘배포’는 유형물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디지털 파일에 대한 배포 행위와 최초 판매의 원칙은 아예 허용되지 않는다. 저작물의 자유로운 거래와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인 최초 판매의 원칙을 디지털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활용하려면 배포에서 유형물의 전제가 없어져야 하고, 배포의 대상 범위를 디지털 파일 그 자체로 확대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단순히 복제와 배포의 정의를 디지털 환경에 맞도록 정비하는 것을 넘어 저작권과 관련된 새로운 이슈들을 발생시킨다. 특히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은 법의 필요 없이도 저작권자가 저작물을 통제 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이는 최초판매의 원칙, 그리고 더 나아가 공정이용을 무력화 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현재 저작권법에서 배포의 한계, 그리고 더 나아가 최초판매의 원칙과 공정이용의 불필요성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EU 디지털 시장법의 함의와 경쟁법의 역할

        최난설헌 법무부 2022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100

        Legislative bodies in the EU are rapidly enacting legislation on the Digital Markets Act (DMA). Regarding legislation of this Act, the will of the European authorities such as the European Commission, the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and the European Parliament is firm. Online platforms’ certain actions as digital ‘gatekeepers’ may have anti-competitive effects on the EU internal market. On December 15, 2020, the European Commission proposed a draft DMA to address these issues. Since then, several amendments to the Commission’s proposal have been made by the EU Ministerial Council and the EU Parliament. Eventually, the final agreement was reached on March 24, 2022. Given the comparison between the EU Commission’s draft DMA and the amendments proposed by the EU Ministerial Council and the EU Parliament, it is recognized that the Member States and the EU Parliament have approved many key approaches or key elements adopted in the draft. Meanwhile, looking at the amendments and additions made by the EU Council of Ministers and the EU Parliament, unlike other laws, regulations have been strengthened by taking a more stringent stance on gatekeepers than those initially proposed by the EU Commission. DMA is significant because it introduces a new norm for the digital market that limits the discretion of gatekeepers’ business strategy.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law is to promote market contestability and fairness by regulating large and dominant digital platforms that act as intermediaries for key digital services that control key gateways to digital markets. DMA is considered the most rapidly enacted law among the EU legislations that are likely to be introduced for other digital economies. The EU’s DMA is the first full-scale giant platform regulation, and all the details such as the design of the regulations, the contents of each regulation, and the law enforcement plan of the competition authorities are unprecedented. Therefore, DMA is expected to be a great reference for the operation of related legislation and systems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In the Korean context, DMA has an intermediate characteristic between competition law and the so-called win-win law. There are many expectations and prospects about DMA’s role in the future digital economy. Even if laws such as DMA are enacted, the role of competition law cannot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DMA and competition laws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the enforcement issues should be carefully coordinated so that the regulations of the two laws can be flexibly matched for the sound development of the digital market. 놀라운 속도로 EU의 입법기관들은 디지털 시장법(Digital Markets Act, DMA)의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EU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EU각료이사회(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및 EU의회(European Parliament)의 입법 의지는 매우 확고하다. 2020년 12월 15일, EU집행위원회가 디지털 ‘게이트키퍼(gatekeepers)’ 역할을 하는 온라인 플랫폼의 특정 행위로 인하여 EU 역내시장(EU internal market)에서 발생하는 반경쟁적 효과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DMA 초안은 이후 EU각료이사회와 EU의회가 집행위원회의 발의안에 대하여 몇 가지 수정안들을 내놓고 2022년 3월 24일 최종 합의에 이르렀으며, DMA 전문은 2022년 10월 12일, EU 관보에 게재되었으며, 2022년 11월 1일부터 발효된다. EU집행위원회의 DMA 초안과 EU각료이사회 및 EU의회가 제안한 수정사항과 비교하면 초안에 실린 주요 접근 방식이나 핵심요소가 회원국과 EU의회에 의해 상당 부분 승인되었으며, EU각료이사회와 특히 EU의회에 의하여 수정되고 추가된 내용들을 살펴보면 다른 법률과는 달리 EU집행위원회가 처음 제안한 것보다 게이트키퍼에 대한 더 엄격한 입장을 취하는 방향으로 규제가 강화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DMA는 게이트키퍼의 비즈니스 전략상의 재량을 제한하는 디지털 시장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규범을 도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디지털 시장의 주요 관문을 제어하는 핵심 디지털 서비스의 중개자 역할을 하는 크고 지배적인 디지털 플랫폼을 규제하여 시장의 경합성(contestability)과 공정성(fairness)을 높인다는데 법의 목적이 있다. DMA는 디지털 서비스법 등 여타의 디지털 경제를 대상으로 하여 도입이 유력시되는 EU 법제들 중 가장 빠르게 제정 작업이 완료되었다. EU의 DMA는 최초의 본격적인 거대 플랫폼 규제로서 규제의 설계와 각 규정의 내용, 경쟁당국의 법 집행 방안 등 모든 세부적인 사항들이 그 전례가 없는 내용으로서 앞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국가의 관련 입법이나 제도 운용에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보인다. 경쟁법과 상생법의 중간적인 성격을 지닌 DMA가 향후 디지털 경제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인가에 대하여 많은 기대와 전망이 상존한다. DMA 등이 제정된다고 해서 경쟁법의 역할이 축소된다고 볼 수 없으며, DMA와 경쟁법은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으므로 디지털 시장의 건전할 발전을 위하여 두 법 규정의 퍼즐이 유연하게 맞추어질 수 있도록 법 시행 이후의 집행의 방향성도 신중하게 조율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