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된 억제력의 형성과 효과

        기광도(Ki, Kwang-Do) 한국형사정책학회 2010 刑事政策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n perceived deterrence of punishment on drunk-driving in Korean society. Deterrence theory assume a rational offender, and emphasizes the threat of punishment to deter the criminal behavior. According to deterrence theory,the deterrent effect of punishment relies on the three aspects of punishment, such as the severity, certainty, and celerity of the punishment. Numerous empirical studies on deterrence doctrine try to investigate the deterrent effect of objective/perceptual punishment, but have come to different results by data, methods of research, and criminal types. This study is focus on determinant element and process of perceived deterrence of punishment, including the experiential and emboldening effect of prior criminal behavior and punishment.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drawn from a self-reported survey conducted in Seoul in 2004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al Justice. The sample consists of a total of 1.007 drivers, ages 20-66 years old, but in this study we analyse only the male drivers who reported at least some drinking during the last year(n=642). We try to identify perceived deterrence such as internal, informal(social) deterrence of social sanction social, formal deterrence of criminal justice system, and respectively measure by 3-4 items. Drinking-driving is measured for perceived likelihood drinking and driving in future.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factors and cognitive factors on perceived deterrence of punishment, we used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Major findings of our analyses are as follows. The our data have found that perceived risk of internal, formal and informal punishment is related negatively to law offenses. It seems that the effects is not deterrent effects, but the experiential effects. Consequently, this results supported experiential hypotheses.

      • KCI등재후보

        대인(對人) 강도 · 절도범의 재범 억제력에 관한 연구 : 처벌의 엄격성과 자기수치심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박미랑(Park MiRang) 대검찰청 2013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38

        형벌의 억제효과에 관한 다양한 경험적 연구를 실행하고 이를 실질 정책에 반영하려는 외국의 형벌정책과 달리, 그동안 우리나라의 형벌의 억제력에 관한 경험적 연구는 거의 문헌연구에 주로 의존해왔다. 고전적인 범죄 억제이론에 따르면 처벌의 엄격성, 확실성, 신속성이 범죄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이다. 이후 사회학자와 범죄학자들은 비공식적 통제 역시 범죄억제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혀왔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인절도 . 강도범들을 대상으로 범죄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전통적 억제이론과 비공식적 사회통제기능을 중심으로 경험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4개 교도소에 절도죄로 복역 중인 127명의 대인 강 . 절도범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처벌의 억제력, 범죄경력요소, 비공식 낙인요소, 그리고 사회인구학적 요인요소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통계분석 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이며 표본수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모집단의 추정치를 늘리는 붓스트랩 방식을 추가하여 비교 .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인 강도 . 절도범죄자들 중 향후 재범 억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처벌의 엄격성과 비공식적 낙인 중 스스로가 부여하는 수치심이다. 구체적인 통계분석 결과와 정책적 함의는 본문에서 논의하도록 한다. Unlike western societies which actively conducted the deterrence effect of criminal sanction using empirical data, there are few studies to examine the deterrence effect of punishment using empirical research methodology in Korea. Most of studies on deterrence effect of punishment were done by legal scholars. classical deterrence theory states that three main factors such as severity, certainty and celerity of punishment play an important role to decease recidivism on crime.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earches of the deterrence theory conducted in other countries, many scholars empathized on the significant role of certainty of the punishmen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examine significant factors which could deter the criminal behavior of thieves and robbers. The current research was analyzed using the interview and survey data from 127 robbers and thieves in four prisons in 2008. In addition to the factors of deterrence on punishment, informal labeling (family, friend and shame), criminal career(age on the first offense, criminal history), and demographic factors were examined to explore the deterrence effect. The result shows that the severity of punishment, shame, and criminal history are significant factors to deter future crime of thieves and robbers. Detailed result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 KCI등재

        ‘위축효과’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임영덕(Lim, Young Deok),김형성(Kim, Hyung Sung)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성균관법학 Vol.21 No.2

        In America, The Supreme Court first referred to the "chilling effect" in a constitutional context in Wieman v. Updegraff. Since then the phrase has been extensively employed in opinions dealing with free speech and with other individual right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In Walker v. City of Birmingham, Justice Brennan wrote about the Court's use of the chilling effect. The chilling effect doctrine give these freedoms the necessary "breathing space to survive," the Court has modified traditional rules of standing and prematurity. We have molded both substantive rights and procedural remedies in the face of varied conflicting interests to conform to our overriding duty to insulate all individuals from the "chilling effect" upon exercise of First Amendment freedoms generated by vagueness, overbreadth and unbridled discretion to limit their exercise. The chilling effect doctrine has been most frequently employed and refined in first amendment cases. It reveals that the invocation of the chilling effect has one of three consequences. Chilling may justify the relaxation of rules which inhibit the litigation of constitutional claims in the federal courts; be proof of irreparable injury and a basis for injunctive relief; or demonstrate the need to create a substantive immunity from governmental control. Ultimately, in America,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doctrine has particular relevance when the statute suffers from vagueness or overbreadth in case of freedom of expression. so, the Supreme Court has used unconstitutional reason. In Germany,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Das Bundesverfassungsgericht) has considered "chilling effect(Einschüchterungseffekt)" in constitutional judicial procedure about freedom of expression(GG Art. 5 Recht der freien Meinungsäußerung, Medienfreiheit, Kunst- und Wissenschaftsfreiheit). In korea, The Constitutional Court refered to the "chilling effect" in a lot of constitutional context. and The chilling effect doctrine has been used unconstitutional reason, too. Frankly speaking, but, The Constitutional Court Korea misused this doctrine in some case. Specially, in case of National Security Act art. 9 (2) and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art. 3 (1), art. 14 (1),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at vague articles are not unconstitutional clauses. because of considering the subjective requisite when police officer, prosecutor and judge interpretate National Security Act and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But this judicial decis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increased the chilling effect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in freedom of assemblyin korea. In this essay, we compare with a judicial decision about the chilling effect doctrine among The Supreme Court of America, The FederalConstitutional Court of Germany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 광고의 음주운전 억제심리 유발효과에 관한 연구

        정철우 이실학회(구 한국경찰이론과실무학회) 2012 경찰연구논집 Vol.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음주운전 억제를 위한 광고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이용된 자료는 도로교통공단 경기도지부에서 교습생들 4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것이다. 세 가지 종류의 광고안-①음주운전을 할 경우 운전자가 불구가 된다는 안, ②음주운전자는 다른 운전자나 보행자를 해칠 수 있다는 안, ③ 음주운전자의 가족이 슬퍼한다는 안-을 제시하여, 음주광고가 얼마나 음주운전 억제심리를 유발시키는 지를 효과척도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안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족의 슬픔이 담긴 내용의 안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회귀분석결과 광고효과에도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광고안을 술집지역에서 홍보한다면 음주운전 억제심리가 클 것으로 예상되었다. 향후, 음주운전자에 대한 보다 많은 변수를 고려하여 광고의 효과를 연구하여야 할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of Effectiveness of Public Advertisement for DWI(Driving While Intoxicated) deterrenc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drawn from a self-reported survey -based learners-(seven scores Likert scales were used: 1 is the lowest, and 7 is the highest in DWI deterrence effectiveness ) conducted in Road Traffic Authority Gyeongi Do branch, and the sample cases were 466. Three types of Advertisement alternatives-1) one who offended DWI was supposed to be crippled, 2) one who offend DWI could do harm to other drivers or pedestrian, 3) if one offend DWI whoes family might felt sadness-were suggested. MOE(Measurement Of Effectiveness) was that how much the advertisements aroused their deterrence psychology effectiveness not to offend DW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sig. .000) in arousing their deterrence psychology effectiveness between three advertisement alternatives, and the third advertisement alternative which shows DWI offender`s family might felt the sadness it the highest in the MOE. Second,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established to measure the impacts of each advertisement alternatives, the result shows that the regression model is significant and the impact of the third alternative to MOE is the highest and the nexts are the second, the first ones. Consequently, when the third advertisement alternative is displayed at the pub, the deterrence psychology effectiveness not to offend DWI is the highest. Future study should consider more variables, for example driver`s education, income, drunk driving records etc and other types of advertisement alternatives.

      • KCI등재후보

        미국의 소년범 형사이송제도의 범죄 억제력에 관한 고찰

        박미랑(Park, Mirang) 대검찰청 2014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45

        학교 폭력 문제와 소년에 의한 잔혹한 범죄들의 보도를 접한 우리사회는 소년의 처벌의 강화의 목소리에 무게를 싣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학계에서는 소년사법의 형사 사법화의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소년사건은 소년보호사건을 통해 주로 처리하게 되어 있지만 이와 반대로 소년범의 형사처벌을 강화하는 제도로서 보호처분이 아닌 형사처벌을 가능하게 하는 소년 형사이송제도 동시에 존재한다. 이러한 소년범의 형사 이송을 설명하는 이론으로는 초점적 관심과 억제이론을 들 수 있다. 초점적 관심이론에 따르면 판사가 판단하는 죄상, 지역사회 보호, 양형결정의 실질적 함의라는 판사의 관심에 따라 형의 경중이 달라지고, 엄격화된 소년범의 형사이송 역시도 이 과정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고전적 억제이론은 인간이 더 높은 처벌로 범죄이익을 상쇄할 수 있으므로 자유의지는 범죄를 선택하지 않게 할 것이라 기대한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이 앞서 경험한 소년범의 형사사법화를 소개한다. 1899년 첫 소년 법정이 마련된 이후 100년이 지난 시점에서 미국은 소년범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형사이송제도를 보편화 시켰다. 이를 통해 수많은 소년범들이 형사법원을 거쳐 중범죄자가 되었고, 성인교도소에 수감되는 소년범들의 수도 증가하였다. 미국의 형사이송제도는 크게 소년법원의 심리면제, 법률적 배제, 그리고 검사의 기소재량이라는 세가지 방식으로 나눠지는데, 그 방식과 재량권의 주체는 다르지만 결과적으로 모두 형사이송을 허용한다. 그러나 이를 통해 기대하였던 소년범의 범죄감소 및 재범억제효과에 대한 평가 결과는 매우 회의적이다. 많은 미국의 경험적 연구들은 추적 평가연구 결과를 통해 형사이송된 청소년들의 재범률이 높음은 물론 재범을 범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도 짧았으며 결국 범죄 억제효과의 실패를 보고하였다. 이와 동시에 많은 주들이 이들을 추적 · 관찰하는 시스템을 마련하지 않아 장기적 효과분석의 어려움이 있었음을 지적하였다. 미국의 상황은 한국의 상황과 상이한 모습들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한국의 소년범의 처벌강화의 목소리에 대한 제도 정비의 차원에서 참고하고 함께 논의 하는데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구체적 내용들은 본문을 통하여 논의해 보기로 한다. As confronting the serious news for juvenile delinquency on the media, the opinion insisting severe punishment for juveniles are getting louder in our society. However, concerns for being criminalization of juveniles are arising at the same time by scholars. The focal concern theory and classical deterrence theory of punishment are proper to provide the reasonabl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henomena of juvenile transfer. According to the focal concern theory, the interest on blameworthiness, community protec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 of the sentencing of judges determines the weights and the severity on punishment. The juvenile transfer is also part of the decision. In other hand, the classical deterrence theory of punishment is unignorable theory for recidivism and crime prevention in terms of the severity of the punish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share the previous experience on juvenile criminalization throughout juvenile transfer(or waiver) in the US. Since the first juvenile court has been introduced in Illinois in 1899, the diverse juvenile transfer laws were legislated in the US. As the result, more juveniles became felonies than before, and the number of juveniles in adults prison increased consequently. The general forms of juvenile transfer are categorized into juvenile waiver by juvenile court, judiciary exclusion, and prosecution discretion. Although the detailed procedures vary, all forms allow the juvenile transfer into the criminal court ultimately. However, the empirical researches proved very skeptical results for the transfer system in terms of the deterrence effect. Many researches reported that the transferred juveniles had higher rate of recidivism and committed the crime quicker than other counterpart. Moreover, the researches pointed out that the juvenile justice system failed to follow the transferred juvenile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in a long term perspective. Although the Korean juvenile transfer system is different on some points, the previous experience of the U.S. juvenile transfer policy questions us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get-tough approach for delinquent juveniles in Korea. Detailed policy implication will be discussed in the context.

      • KCI등재

        하이퍼리얼 “저지기계”로서의 스캔들 그리고 아이러니-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질서를 중심으로

        최효찬 ( Hyo Chan Choi ) 한국비교문학회 2014 比較文學 Vol.0 No.63

        This essay will apply Jean Baudrillard`s analytical frame for the ``Scandal`` as deterrence machine of the hyperreal to conceal the absurdity of world and the ``Irony`` on the whole led to from it. According to Jean Baudrillard, "Irony is the universal and spiritual form about the disillusion of world". Thus, I`m supposed to make an analysis how pornography and sex scandal work as deterrence machine of the hyperreal concealing the distorted sex culture in the real world. What Baudrillard calls deterrence machine or strategy is mechanism that the all world is full of simulacre, and that fake reality affect genuine reality, replacing the real, and that made to deter to become hyperreal. Prison, Disneyland, and scandal are said to be just like that it means prison has particularly been designed in other to hide that the world is so repressive as prison. Though the real has already been riculous and childish enough, having Disneyland distinguished from the real , we can`t find any similarity between both. Immoral and indecent scandal is presented to reveal the world is neither unvirtuous nor obscene. This is why the world itself would be a terrible nightmare indeed provided that it were repressive , ridiculous and childish, or immoral and indecent like prison. Therefore, Baudrillard insists deterrence machine of the hyperreal is the strategy to deter the reality in a conventional meaning, a unprogrammed and accidental situation, not simulacre, from occurring after the reality replaced by simulacre. However, according to Baudrillard who is a huge skeptic to the postmodern, the world we live in is already a prison, simulacre and nightmare itself. So many childish and regressive stories as the instances of Disneyland get around all over the world we live in. Troublous issues such as diploma fabrication and sex scandal of celebrities are not just scandals we can steal a glance, but the reality or existence we face. They are the stories we sometimes hear or witness from our friends and neighbors. In addition, we may even hear much worse scandals than the ones that shake the world from those around usAll of us are accomplices of social contradiction or scandalBut, Baudrillard insists ``anatamo-politics`` or ``bio-power`` which regulates and controls the body of nation needs scandals as deterrence machine to disclose that our society is not obscene or distorted but moral and sound. Lastly, this essay makes the differentiation from the previous ones in that this did not only study scandal as deterrence machine of the hyperreal, but also analyze how scandal is caused and ``scandal effect`` plays a role to increase irony in reality.

      • KCI등재

        사이버 억지의 요건과 고려사항: 누구로부터, 무엇을, 어떻게 억지할 것인가?

        손한별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4 한국군사학논집 Vol.80 No.1

        본 논문은 사이버 억지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시론적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사이버 공간은 이미 공격과 방어가 이루어지는 전장공간이지만 사이버 억지를 위한 이론적 논의는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 핵억지를 중심으로 발전해온 물리공간에서의 억지개념을 그대로 적용가능한 것인지, 사이버 공간만의 특수한 개념이 필요할 것인지에 대한 논쟁 수준을 벗어나 사이버 위협을 억지하기 위한 요건과 고려사항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이버 공간의 전략적 특성, 공격과 방어의 수행방식, 사이버 억지의 개념과 발전과정, 사이버 억지의 대상, 내용, 방법 등에 대한 국내외의 다양한 논의를 다룬다. 누구로부터, 무엇을, 어떻게 억지할 것인가의 세 가지 질문을 제시하고, 각각으로부터 위협의 목적과 주체에 대한 “귀속성”, 레드라인과 시그날링의 “비례성”, 거부, 응징, 복원의 “효과성”을 사이버 억지의 요건과 고려사항으로 제시한다.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theoretical discuss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cyber deterrence strategy. There is a debate about whether the concept of deterrence developed in the physical domain, with a focus on nuclear strategy, can be directly applied to cyberspace, or if a unique concept specific to cyberspace is needed. Beyond this debate, there is a need to specify the requirements and considerations for deterring cyber threats. To achieve this, this study explores various discussions on the strategic characteristics of cyberspace, methods of conducting offense and defense, the concept and evolution of cyber deterrence, its targets, content, and methods. It presents three questions: "From whom, what, and how to deter?" and uses each of these questions to establish the requirements and considerations for cyber deterrence, which include "attribution" to the purpose and actor of the threat, "proportionality" with red lines and signaling, and the "effectiveness" of resistance, retribution, and resilience.

      • KCI등재

        GPS 위치추적 전자감시의 범죄억제 효과에 대한 연구

        조윤오(Cho Youn Oh) 한국공안행정학회 2009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8 No.4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9월부터 성폭력 범죄자에 대한 강화된 지역사회 교정정책으로 GPS 위치추적 전자감시를 새롭게 도입하였다. 본 연구는 새롭게 시행된 한국형 전자감시프로그램이 실제 범죄자의 재범 의도를 포기하게 만드는지 그 범죄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연구 목표를 세분하면 첫째, 성폭력 범죄자들에게 전자감시 프로그램이 얼마나 고통스러운 경험이었는지 물어보고 이로 인해 본인들의 범죄행동이 사회에서 얼마나 억제되었다고 인식하는지 조사한다. 처벌인식 수준에 따라 성폭력 범죄자의 행동변화 점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추가적으로 분석한다. 둘째, 성폭력 범죄자가 전자감시로 인해 그들의 가족 및 교우관계가 일상생활 패턴 측면에서 얼마나 바뀌었는지 살펴본다. 마지막 세 번째 목표는 일상생활의 불편함 정도를 전자발찌 피부착자가 얼마나 인식했고 발찌 착용으로 인한 주관적 수치심 정도가 어떠했는지 검토하는 것이다. 각 변수에 대한 응답 내용을 살펴보고 부가적으로 위치추적 전자감시에 대한 처벌 인식 정도가 긍정적 행동·태도변화 점수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차이를 보였는지 독립표본 t 검증을 통해 확인해 본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 4월 20일부터 7월 18일까지 약 3개월 동안 전국 27개(지소 포함) 보호관찰소에서 전자감시를 종료한 모든 성폭력 범죄자 63명을 대상으로 익명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 전체의 61.9%는 7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줘 프로그램 종료자 대다수가 전자발찌 착용을 매우 고통스런 힘든 처벌로 인식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전자발찌 착용보다 교도소에서 잔형기를 마치는 것이 더 낫다”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36.5%에 해당하였다. 그리고 t-test 결과, 교도소보다는 전자발찌 부착을 더 선호하며 자신의 처벌에 대해 어느 정도 긍정적 태도를 보였던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더 높은 범죄억제력 점수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발찌 착용에 대한 극단적인 반대와 불만감정을 보호관찰 초기 개시 단계에서 어떻게 적절하게 변화시키고 동기부여 시키느냐가 관건이라고 하겠다. 이하 관련 위치추적 전자감시 프로그램 성과와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Electronic monitoring (EM) by usin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technology has been initiated in Korea since september 1, 2008. It was originally developed as a means of intensive supervision for sex offenders who were released from prison. However,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ow the sex offenders perceive the experience of GPS electronic monitoring in terms of its crime deterrent effect. In this sense,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GPS electronic monitoring by measuring the crime deterrent effect of the EM on sexual offenders. The 24-hours tracing system by identifying a signal from the ankle unit encourages sex offenders to have better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members and friends in community. Therefore, this study assesses the extent of change in the life style pattern of sex offenders who carry a GPS cell phone unit for certain period of time. In an effort to merge multiple goals of the research, the current study conducts survey toward all sex offenders who experienced GPS electronic monitoring between April 20 and July 18 in Korea. The number of sex offenders who were assigned to GPS EM for that period of time was 63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27 probation offices by using anonymous questionnaires. The result of statistic analysis indicates that more than 60% of participants in GPS EM speculated the EM is overwhelmingly retributive and painful to stand. Furthermore, the outcome of the study shows relatively high level of crime deterrent effect of EM on sex offenders. I assestingly, the sex offenders who have felt that the experience of EM was harsher and more severe than that of incarceration tinted out less extent of crime deterrent effect than the sex offenders who said that prison experience was more retributive than EM. It is anticipated thaM wassociated with the data analysis,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evaluation highlight some of the apparent advantages and limitatio findithe EM b appaon GPS erience gy in Korea.

      • KCI등재

        억지력을 중심으로 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 집단소송제도 비교

        김차동 사법발전재단 2020 사법 Vol.1 No.53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lass action scheme in 「The Securities-related Class Action Act」 in January 1. 2005, no further class action has been put in place. But since the enactment of a provision for treble punitive damages under 「The Fair Transactions in Subcontracting Act」 in June 30, 2011, the same types of more punitive damages are continually accommodated in about 20 Korean laws. Furthermore the current Korean punitive damages step up quintuple damages from treble damages in the 2 out of 20 law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ultimate goal of law enforcement should be the attainment of optimal deterrence, this paper analyzes the comparative advantages of class actions and punitive damages over other enforcement scheme including administrative and criminal enforcement mechanism and injunctive reliefs in terms of deterrence effect. More specifically, class action and punitive damages, which can be classified as private law enforcement methods, can be cost-effective and achieve higher deterrence by mainly stepping up the degree of sanction. Class action shows its strength in cases where there are a large number of victims whereas punitive damages derive increased deterrence by ratcheting up the level of sanction severity in cases where the possibility of detention lowers for the reason of impossibility or economical inefficiency. From the point of view, the current class action adopted in Korea must be revised to get rid of the deferral of litigation and expanded to cover more wrongdoing, and the current punitive damages scheme needs to increase the amount of damages up to ten times. 2005. 1. 1.부터 「증권관련 집단소송법」상의 집단소송제도가 도입되어 시행 중에 있고, 2011. 6. 30.부터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상의 3배 재량증액 방식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가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 후로도 「개인정보보호법」이나 「소비자기본법」에 집단소송의 유사형태인 집단분쟁조정제도나 단체소송제도는 도입되었을 뿐 더 이상의 추가적인 집단소송제도는 도입되지 않았으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갑을관계법, 독점규제법, 정보보호관련법, 지식재산권법, 안전관련법 등 20개 개별법률에서 32여 개 법위반행위를 특정하여 3배 재량증액 방식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가 도입되었고, 특히 최근에는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및 「자동차관리법」상의 법위반행위에 대해서는 5배 재량증액 방식으로 기대제재수준을 대폭 상향하여 억지력을 강화하는 내용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가 도입되었다. 이러한 상태에서 법집행의 궁극적 목적이 최적 억지력의 확보라는 입장에 서서 집단소송제도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다른 법집행수단인 금지청구권이나, 행정적·형사적 법집행수단에 대한 비교우위 및 집단소송제도와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억지력 비교우위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다. 즉 금지청구는 물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가능해야 하고, 또 그 집행과정에서 인권침해의 소지가 없어야 한다는 점에서 필요한 경우 적정한 형태로 인용될 뿐이어서 매우 제한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법집행수단에 불과할 뿐이나 억지력 확보수단들은 인간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합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란 믿음하에 기대제재수준을 편익보다 높게 설정함으로써 법위반행위가 억지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같은 억지수단이라도 민사적 손해배상청구권을 강화한 집단소송제도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공적법집행수단인 과징금·과태료 부과처분, 형사처벌 등이 법집행유인 부족, 이해집단에 의한 포획으로 인한 과소법집행의 폐단을 보완하기 위해 공적법집행수단이 존재함에도 추가적으로 도입되고 강화되는 법집행수단이 되고 있다. 특히 집단소송제도는 다수 피해가 발생하는 분야에서는 특히 강점이 있고,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적발가능성이 물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낮은 분야에서 제재의 강도를 증가시켜 기대제재수준을 상승시킴으로써 최적의 법집행수단이 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현재 도입되어 시행 중인 집단소송제도는 소송허가결정에 대한 즉시항고를 허용하고도 그 집행정지 효과를 배제하지 않음으로 인해 소송허가결정이 확정되는 데 장기간 소요되는 등 소송지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수 피해가 발생하는 사안에 대해 추가적으로 집단소송제도가 도입되지도 않고 있어 제도개선할 필요가 강하고,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또한 적발가능성이 낮은 사안에서 추가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3배(또는 5배) 재량증액 방식으로 규정되어 있어 지나치게 할증상한액이 낮을 뿐만 아니라 법원의 소극적 태도로 말미암아 이마저도 10%, 50%의 증액에 그치고 있어 모처럼 마련한 제도도입의 취지를 못 살리고 있다.

      • KCI등재

        사인(私人)이 적법절차에 따르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의 증거능력

        박흥식(Heung-Sik Park)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26 No.1

        형사소송법 제308조의 2는 “적법절차에 따르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는 증거로 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동 규정을 사인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하여는 많은 논란이 있다. 위법수집증거에 대하여 증거능력을 배제하는 것은 적법절차에 따르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는 타인의 인권을 침해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에 대하여 증거능력을 배제함으로써 증거를 수집한 자가 의도한, 사실에 대한 증명을 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수집자에 대한 징벌적 효과를 얻고, 또 장래에 그러한 행위를 하고자 하는 사람들에 대하여도 그러한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일반예방적 효과를 거두어 증거수집의 대상이 되는 사람의 인권을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위법수집의 주체가 수사기관이 아니라 사인이라 하더라도 고소인이나 피고인과 같이 사건과 직접 관련이 있는 “관련자”라면, 그들에 대하여도 이러한 징벌적 효과와 일반예방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므로, 그들이 적법절차를 지키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에 대하여는 증거능력을 배제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그러한 “관련자”의 행위라 하더라도 증거로 인정되지 않는 경우는 적법절차에 따르지 아니한 경우만을 의미하기 때문에, 헌법이나 형사소송법에 절차규정 자체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단지 형법이나 기타 실체법을 위반하여 증거를 수집하였다고 하여 적법절차에 따르지 아니하고 수집한 증거라고 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증거에 대하여 적법절차에 따르지 아니한 증거로 보아 증거능력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한편, 피고인이 고문이나 폭행, 협박 등에 의하여 자백한 경우에는 형사소송법 제309조가 증거능력을 배제하고 있고, 그 고문이나 폭행, 협박행위를 한 주체에 대하여 제한을 두고 있지 아니하므로 사인에 대하여도 동 규정을 적용하여 사인이 피고인을 상대로 고문이나 폭행 협박행위에 의하여 자백을 받은 경우 증거능력이 없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주장을 주요 쟁점으로 하여 그 논거에 대하여 설명한다. Article 308-2 of the Criminal Procedure Law states that “Any evidence obtained in violation of the due process shall not be admissible,” but there are arguments disputing if this regulation can take the same effect under the case of a private person. Admissibility of illegally acquired evidences are excluded because such evidences have possibility of infringing human rights of other people. Therefore, by excluding admissibility of illegally acquired evidence, collector of the evidence undergoes punitive effect through not being able to legitimately present a fact in a manner that the collector has originally intended, and the exclusion can also protect human rights of subjects who may be targeted by an act illegal evidence collecting act in the future, which leads to achieving general deterrence effect. Same effect will be achieved for plaintiff, defendant or anyone who is considered related to them, so their collected evidence obtained violating the due process shell be excluded from trial. However, because the exclusion are limited when the related private person’s evidence under their violation of the due process, if Constitution Law or Criminal Procedure Law do not explicitly state a due process, evidence cannot be excluded for its violation of the due process mainly because collecting act of the evidence violates Criminal Law or other substantive law. Therefore, (collector of the evidence) will claim that the evidence cannot be excluded for the collector’s violating the due process. On the other hand, when defendant was forcefully confessed because the person had experienced torture, violence, or a threat, Article 309 of Criminal Procedure Law excludes admissibility of a confession, but without limiting the subject who committed the torture, violence or a threat. So if the same rule should be applied, and thus the confession collected by a private person through torture, violence or a threat must also be treated not admissible. This paper will explain about the argument that grounds to such dispu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