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미 심층생태학의 전개와 특성: 생태학과 종교/영성의 결합을 중심으로

        유기쁨 종교문화비평학회 2019 종교문화비평 Vol.36 No.36

        1970년대 초반에 북유럽 철학자인 네스는 생태문제에 대해 심층적인 접근을 주장하면서 심층생태학(Deep Ecology)이란 용어를 처음 고안해냈다. 네스의 심층생태학이도입되기 전, 북미에서는 한편으로는 문제의 심층적인 원인을 찾아 심층적인 해결을 도모하려는 분위기가 일각에서 조성되어 있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서구 근대의 한계를 경험한 사람들 사이에서 대안 영성을 모색하는 흐름이 확산되고 있었다. 그러한 북미의 사회문화적 토양에서 심층생태학은 생태학과 종교/영성을 결합하는 독특한 방향으로 성장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아느 네스가 제안한 심층생태학과 북미의 상황에서 전개된 심층생태학을 구별해서 살피되, 특히 심층생태학에서 종교/영성이 중요하게 결합되게 된 맥락을 되짚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네스의 생태학에서 중요한 개념을 살피고, 심층적인 변화를 위해 네스가 제안한 생태지혜의 특징과 내용을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는네스의 심층생태학이 도입되기 전 북미의 사회문화적 토양을 살피고, 북미 심층생태학의 전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드볼(Bill Devall)과 세션스(George Sessions)의심층생태학의 특징과 주요 전략을 분석할 것이다. 심층생태학이란 용어를 처음 제안한 네스는 생태위기에 직면해서 종교나 영성을통하지 않고서 심층적인 물음을 묻고 심층적 해결을 모색하고자 했다. 그러나 북미 심층생태학에서는 이를 위해 생태적인 영성의 발견 및 계발을 중요시하였고, 네스의 복잡한생태철학적 논의보다는 종교/영성과 결합된 북미의 심층생태학이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던 것이다. In the early 1970s, Arne Naess, the Nordic philosopher, invented the term, “Deep Ecology”, which claims on the deep approaches to the ecological problems. Before introducing Naess’s “the deep ecology” to North America, there was an atmosphere of searching to deep-rooted causes of the ecological problems and solving them deeply. On the other side there was also a trend of seeking the alternative spirituality rather than the traditional religious practices. In such North American socio-cultural milieux, the deep ecology has grown into an unique direction that is tended to interactively combine and reconcile the ecology and the religion/spirituality. In this paper, I try to look at the deep ecology initially proposed by Arne Naess and try to differentiate the tenets of the deep ecology, particularly developed in the context of North America from the perspective of reconciliation of religion/ spirituality and the ecology. To do this, I first delineate the critical concepts in Naess's ecology, and look at the features of Naess's ecosophy. Next, I examine the socio-cultural soil of North America before the introduction of Ness's deep ecology and analyze how Bill Devall and Session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tradition of North American deep ecology on Naess’s behalf. Naess, created the new terminology of “deep ecology”, seriously faced with the ecological crisis and wanted to ask “deep” questions and explore “deep” solutions but didn’t go through the perspectives of the religion or the spirituality. However, North American deep ecologists emphasized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ecological spirituality for this purpose. The tendency of the deep ecology of North America is typically combined with the religion/spirituality which is more widely known worldwide than the complex ecological philosophical discussions claimed by Arne Naess himself.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왜 심층생태주의인가: 생태비평의 세 가지 근본주의 생태론 고찰

        정선영 ( Seon Young Je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3

        생태계의 조화와 균형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가장 열린 비평으로 인식되는 생태비평은 심층생태주의를 중심으로 한 근본주의 생태론 사이의 논쟁 속에서 그 대안을 찾지 못해 왔다. 인간, 자연, 인류의 운명에 대한 통합적인 성찰과 적극적인 실천의 움직임이 필요한 상황에서, 근본주의 생태론의 각 유형들 사이의 한계를 살펴보고 조화와 공생을 향한 비전을 모색할 수 있다면, 환경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인문학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생태적 회복과 조화를 위해 무엇이 중요한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심층생태주의자들의 대답은 ‘변화와 실천’일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였다. 근본주의 생태론의 제 논의들은 앞으로도 변화하고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나갈 것이라는 점에서 환경적 인지와 의식의 변화를 위한 인문학적 방법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has appeared essential eco-theories in an effort to deal with the ecological problems. Of them are Deep Ecology, Social Ecology, and Ecofeminism.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basic theory of these three, and compare their main ideas to find a way to recover present ecological crisis in the eco-critical view. Deep ecology makes an attempt to overcome environmental crisis we have faced. Unlike Deep Ecology, Social Ecology put emphasis on the role of human reason can help restore the destroyed ecosystem. Ecofeminist argues that man-centered history and the human``s dominance over nature and animal go together, also, the long lasted sexual discrimination caused this ecological problems. Additionally, pragmatism has emerged a new way of solution with post-structure. Yet there is no perfect solution. They have differences in specific, though, basically the main ideas forward finding ecological ways are almost same. In Deep Ecology, we can realize their purposes: Self-realization and biocentric equality have possibilities for harmony and ecological habitat between human and nature.

      • KCI등재후보

        생명과 생태, 그리고 인간중심주의: 아르네 네스의 심층생태론에 대한 머레이 북친의 비판 재고찰

        송태현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8 탈경계인문학 Vol.11 No.1

        According to Arne Naess, the "shallow ecology movement" fights against pollution and resource depletion. Its central objective is, for the Norwegian philosopher. the health and affluence of people in the developed countries. Criticizing the anthropocentricism which is inherent in the traditional ecology, he advocates the "deep ecology". This new ecology calls for a shift from an anthropocentricism world view to an ecocentricism. As deep ecology grows, so do the counter attacks. The academic arena who is most critical of deep ecology is Murray Bookchin's social ecology. In this paper, I will review the main concept of deep ecology, ‘biospherical egalitarianism’, and the criticism of the social ecology community on it. In particular, I introduce the view of social ecology, which defines deep ecology as anti-humanism, and examine whether that argument should be persuasive or not. I followed Warwick Fox, defining the Bookchin's view as "the fallacy of misplaced misanthrophy" and I want to prove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criticise the view of Arne Naess, a leading scholar of deep ecology, as misanthrophy. However, while modern multinational companies are destroying the lives of the peoples of the Third World, I want to respect the Bookchin's view of social ecology which insists that the ecological crisis is caused more by sociopolitical factors than the world view as 'anthropocentricism'. At the same time, I emphasize that the ecologists should not focus more on the difference between ecologies and the criticism of one another ; instead, the ecologists should focus more on mutual similarities. By doing so, we can concentrate on caring for both human and animals & plants oppressed in the natural world.

      • KCI등재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

        이재영(Jae-young L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1

        본 연구는 시각문화미술교육에 대한 논의를 시각 생태학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시각이미지에 대한 생태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시각 생태론 (visual ecology) 을 개념화하고 적절한 미술교육적 방안을 이론적 차원에서 논의한다. 시각 이미지는 삶의 중요한 생태환경으로 전제하고 이에 대한 시각문화미술교육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특히 시각 이미지가 제공하는 생태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사회/이미지간의 역동적 상관성에 초점을 둔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을 이끌어 낸다 이는 삶의 공간에서 시각 이미지가 인간의 인지와 의식에 작용하는 영향력에 대한 심층적 이해의 필요성을 근거로 한다. 제시된 논의를 위해 본 연구는 시각식 생태학, 문화적 생태학, 가상적(환영적) 생태학, 심층적(의식적) 생태학으로 구체화시켜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에 근거한 새로운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을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이끌어 낸다. 기존 시각문화미술교육의 범주를 보다 일상적인 삶의 장연과 관계된 생태 인식과 공간에서 검토한 본 연구는 기존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의 범주를 확장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aims to address how to expand the scope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from ecological perspectives. How we respond to visual images impacts our consciousness. The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visual images and ourselves crates an ecosystem within which visual culture evolves as well as our knowledge. beliefs, values. interests. and consciousness are constructed. Based on this ecological approach. this paper explores the notion of ecological aspects of visual images. It primarily conceptualizes the needs for our investigation into visual ecology. The goal of VCAE does not need to be limited way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empower students to be active participants. More attempts to explore both the value and meaning of visual images and the visual environment as a habitat-where our understanding of the self. community. and society is constructed-is necessary. as this research proposes. Visual images construct a visual environment, fertilizing our evolution and adaptation of self-understanding. It makes sense of the visual ecology. The impact of the dynamic interconnection among humans, society, and images is well established. Meanings and values of this impact require our deliberation from socio-cultural. semiotic, phenomenological. epistemological. and even ontological points of view. In order to highlight this deliberation, more ecological analyses of visual culture, such as visual ecology, cultural ecology. digital ecology, virtual(illusory) ecology, and deep ecology, are established. The result of this theoretical discussion opens humanistic approaches to VCAE that are expected to expand our current landscape of VCAE toward visual ecology within our living context, interplayed with visual images.

      • KCI등재

        자연미술의 탈/다중심적 생태미술운동 : 야투아이와 글로벌노마딕아트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김성호 ( Sung-ho K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8 美學·藝術學硏究 Vol.55 No.-

        본 논문은, 1981년 창설된 자연미술 그룹인 야투(Yatoo)가 시작한 ≪야투아이프로젝트≫(2011- )와 ≪글로벌노마딕아트프로젝트≫(2014- )를 중심으로, 동시대 자연미술의 탈중심적이고 다중심적인 생태미술운동을 연구한다. 2011년 야투아이프로젝트를 시작으로 야투의 생태미술운동은 ‘탈중심, 다중심, 통섭의 방향성’을 지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야투아이프로젝트≫는 생태미술운동을 탈중심의 온라인 네트워킹(혹은 유목형 온라인)으로 실행한다. 한편 ≪글로벌노마딕아트프로젝트≫는 생태미술운동을 다중심의 오프라인 네트워킹(혹은 유목형 오프라인)으로 실행한다. 본고는 야투의 이러한 최근의 생태미술운동을 캐롤린 머천트(Carolyn Merchant)가 ‘근본생태학’의 세 유형으로 고찰한 ‘심층생태학, 정신생태학, 사회생태학’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다. 즉 ‘심층생태학(사계절연구회를 통한 자연미술) → 정신생태학(탈중심의 글로벌노마딕아트프로젝트) → 사회생태학(다중심의 야투아이프로젝트)’처럼 생태학과 연계하여 생태미술을 살펴본다. 아울러 사회생태학자인 머레이 북친(Murray Bookchin)을 비롯한 여러 생태학자들의 심층생태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검토하면서, 오늘날 ‘심층생태학으로부터 전환된 사회생태학’과 ‘통섭의 생태미술운동’이 당면한 과제가 무엇인지를 검토한다. 결론적으로, 오늘날 생태미술운동은 다른 장르와의 학제간 연구(Interdisciplinarity)와 교차 학문성(transdisciplinarity)에 대한 연구를 요청한다. 오늘날 생태미술운동은, ‘통섭’과 ‘탈중심/다중심’을 통해서, 자연 안에 거주하기보다 자연 밖으로 나와 상호간에 만남으로써 보다 더 풍성한 담론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This research studies a decentralized and multi-centered ecological art movement focusing on Yatoo's “Yatoo-I Project”(2011-) and “Global Nomadic Art Project”(2014-) of Yatoo, which were born in 1981, In 2011, the ecological art movement, starting with the Yatoo-I Project, is aiming for “decentralization, multi-centering, and the direction of consilience” Specifically, the “Yatoo-I Project” implements the ecological art movement as an decentralized online networking (or nomadic online). Meanwhile, the “Global Nomadic Art Project” runs the eco-art movement as a multi-centered offline networking (or nomadic offline).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se recent ecological art movements of Yatoo focusing on ‘deep ecology, spiritual ecology, social ecology’ which Carolyn Merchant considers as three types of ‘radical ecology’. In other words, we will look at ecological art movement in connection with ‘deep ecology’ ('Nature Art' of Four Seasons Research Society) → ‘spiritual-ecology’ (decentralized Global Nomadic Art Project) → social ecology (multi-centered Yatoo-I Project). We will also focus on challenges that ‘social ecology transformed from deep ecology’ and ‘ecological art of consilience’ must address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deep ecology’, that has been studied by social ecologist Murray Bookchin and other social ecologists. In conclusion, the ecological art movement today calls for research on ‘interdisciplinarity’ and ‘transdisciplinarity’ with other genres. Today, the ecological art movement forms a richer discourse by meeting people out of nature rather than living in nature through ‘consilience’ and ‘decentralization/multi-centering’.

      • KCI등재

        현상학적 지각을 통한 심층생태주의의 복잡성 연구 - 오규원의 후기시를 중심으로 -

        김동명 ( Kim Dong-myeo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6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1

        이 논문에서는 오규원의 후기시를 대상으로 현상학적 지각을 통한 심층생태주의의 복잡성을 도출했다. 그의 시에서 관념의 해체와 지각의 지향성, 열린 구조와 지각의 사태성, 환유적 변형과 자기조직화의 항상성이 현상학적 지각을 통한 심층생태주의의 복잡성으로 추출된 것이다. 먼저, 오규원의 후기시에서 지각주체가 기존 관념의 해체를 통해 지각대상의 본질에 도달하고자 하는 사유가 관념의 해체와 지각의 지향성으로 논의되었다. 이러한 사유가 생명현상의 특성으로서 심층생태주의의 복잡성으로 논의된 것이다. 또한 열린 구조와 지각의 사태성이 심층생태주의의 복잡성으로 논의되었다. 지각작용의 모든 국면은 열린 구조로서 생명현상과 관련되는 가운데 사태성을 담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환유적 변형과 자기조직화의 항상성으로 이어졌다. 지각 주체가지닌 지각의 지향성은 새로운 변형을 노정함으로써 자기조직화의 항상적 특징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오규원의 후기시에 나타나는 현상학적 지각은 생성의 국면에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심층생태주의의 복잡성과 연동된다. 이 논문에서는 그의 시를 지배하는 지각작용으로서 ‘현상’이 자연현상의 한국면으로서 심층생태주의의 복잡성으로 포섭된다는 사실을 논의한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shed light on the complexity of deep ecology through phenomenological perception with the later poems of Oh Gyu-won. The complexity of deep ecology was extract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from the deconstruction of ideas, orientation of perception, open structure, situational nature of perception, metonymic transformation, and homeostasis of self-organization in his poetry. The study first discussed his thinking of trying to reach the essence of objects through the deconstruction of old ideas in his later works with the deconstruction of ideas and orientation of perception. His thinking was discussed as the complexity of deep ecology as a characteristic of life phenomena. An open structure and situational nature of perception were then discussed as the complexity of deep ecology. All the aspects of perceptive operations had an open structure and was linked to the life phenomena, thus containing situational nature. Those discussions led to metonymic transformation, and homeostasis of self-organization. The orientation of perception of the subject resulted in situational nature and had the homeostasis of self-organization.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henomenological perception in the later works of Oh Gyu-won was linked to the complexity of deep ecology in that it focused on the aspects of creation. The present study discussed "phenomena" as a perceptive operation that dominated his poetry as the complexity of deep ecology on the assumption that it was taken into an aspect of natural phenomena.

      • KCI등재

        유치환 시에 나타난 저항 의식 연구 - 생태아나키즘적 관점을 바탕으로 -

        양진영 ( Yang Jin-you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59

        유치환의 시는 생명의지, 허무, 아나키즘 등 여러 관점에서 해석되고 있는데 그중 아나키즘적 특성에 관한 기존의 논의에서 심층생태주의가 주장하는 자연의 내재적 가치(inherent worth)로 독해되는 경우가 있다. 아나키즘의 관심사는 권력 관계와 위계질서의 문제이므로, 심층생태주의가 표방하는 자연과 인간의 동일시를 신비주의, 인간혐오주의(antihumanism)라는 점에서 반대하는 입장이다. 다시 말해 아나키즘에서 자연이나 자연관은 심층생태주의가 주장하는, 회귀나 현실 치환의 대상이 아니라 현실을 극복하는, 하나의 방법론으로 간주된다. 그런데 일부 논자는 유치환의 아나키즘 시를 심층생태주의적 입장에서 해석하고 있는 바 이러한 기존의 연구사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유치환의 시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먼저 고드윈(William Godwin), 크로포트킨(Pyotr Kropotkin) 등 초기 아나키스트를 중심으로 아나키즘의 자연관에 대해 고찰했다. 그 결과 아나키즘의 일차적 관심사가 ‘자연’이 아니라 ‘탈정치’, 즉 억압적인 체제로부터의 자유로움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초기 무정부주의와 생태주의가 결합한 생태아나키즘적 사유와, 그것을 사회생태주의로 확장한 북친(Murray Bookchin)을 소개하고 사회생태주의와 심층생태주의의 자연관의 차이를 설명했다. 이를 바탕으로 3장에서는「旗빨」등 유치환의 시를 현실의 억압으로부터 해방이라는, 생태아나키즘적 관점에서 감상하고 이것이 자연과 원시의 동경이라는, 기존의 해석과 다른 점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 그동안 생명의식, 허무 등으로 이해돼 온 유치환의 일부 시에서 일본제국주의의 억압에 대한 저항 의식을 읽을 수 있었다는 것이 본고의 성과이다. Yoo Chi-hwan's poems are interpre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the will of life, vanity, and anarchism. Among them, in the existing discussion about anarchistic characteristics, they are read as the inherent worth of nature that Deep Ecology claims. Anarchism's concern is that it is a matter of power relations and hierarchies, and it opposes the identification of nature and humanity, which is expressed by Deep Ecology, in terms of mysticism and antihumanism. In other words, in anarchism, nature or view of nature is regarded as a methodology of overcoming reality, not the object of regression or substitution of reality, which Deep Ecology claims. However, some authors have interpreted Yoo Chi-hwan's poetry of anarchism from the perspective of Deep Ec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ritically the existing research history and discover new meanings. To this end, Chapter II first examined the natural view of anarchism, focusing on early anarchists such as William Godwin and Pyotr Kropotkin. As a result, this paper can confirm that the primary concern of anarchism is not 'nature' but 'de-politics', that is, freedom from oppressive system. Chapter Ⅲ introduces ecological anarchistic thought that combines early anarchism and ecologicalism, and Murray Bookchin who expanded it into Social Ecology and explai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natural view of Social Ecology and Deep Ecology. On the basis of this, in chapter IV, Yoo Chi-hwan's poems such as「旗빨」are appreciated from the Ecological Anarchism point of view of liberation from the oppression of reality and showed a different view from the previous interpretation that this is the yearning of nature and primitiveness. As a result, it is the result of this article that some poetry of Yoo Chi-hwan, who have been understood as life consciousness and vanity, have been able to read a sense of resistance to the oppression of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근본주의적 생태주의’에 대한 비판적 분석: 김종철을 중심으로

        김진석 철학연구회 2012 哲學硏究 Vol.0 No.99

        This article deals with ‘ecological fundamentalism’, or ‘fundamentalistic’ Ecology. It can be a kind of ‘Deep Ecology’, which considered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not satisfying and shallow, so rejected it. Of course, there are different and diverse types and dimensions of Deep Ecology. Deep Ecology focuses relatively on philosophical thoughts. In comparison to it, Fundamentalistc Ecology reaches political-economical terrains. The specific subject of this paper is a ecological fundamentalism which is represented by korean thinker Jong-Chul Kim. The radical characteristics of his ecological fundamentalism are these: First, it rejects every kind of development. Its assertion is therefore absolute incompatibility of development and ecology. Second, it tends to substantialize and mystify the natural order. And, the only lifestyle corresponding to this order seems to be agriculture, which, in its nature, would be cultivated by independent and mutually benefiting grassroots farmers. But this kind of farm romanticism is not only ideal, but can also be a part of eco-fascism(This doesn’t mean yet that Kim’s fundamentalism itself is politically fascism). Third, the ‘grassroots people’, which are the subjects of ecological fundamentalism, are lacking concrete and historical reality. But, despite some straight critics against ecological fundamentalism, this paper does not support conveniently the perspective of suitable development. Sure, this perspective cannot stand any more self-sufficiently. Rather, this article tries to pay attention to unavoidable violence accompanying the perspective of safe and appropriate development. I would deepen and widen this and other relevant subjects in another paper. 생태론 가운데에서 근본에 대해 천착하는 관점이 근본 생태론이라면, 이것 가운데 근본주의적 성격을 띠는 것이 있다. 본 논문은 특히 한국에서 나타나는 근본주의적 생태주의의 성격을 분석하고 서술하고자 한다. 그것의 특징은 첫째 성장에 대한 극단적인 거부이다. 어떤 방식의 성장도 거부하다보니 그것은 성장과 녹색의 공존 가능성에 대해서도 거부하게 되고, 성장을 허용하는 모든 민주주의까지 거부하게 된다. 둘째 그것은 자연적 질서에 대해 과도하게 집착하며, 오로지 자립적인 농업만을 삶의 기반으로 본다. 따라서 모든 방식의 근대화도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로 그것은 풀뿌리 민중을 우상화하는 경향이 크다. 성장과 근대화 그리고 도시화를 허용하는 사람들은 민중이 아니라고 여기는 까닭에, 그것이 설정하는 생태적 주체는 공허하거나 관념적이다. 그것은 또 생명 일반과 민중 사이에 놓인 간격에 대해서 제대로 성찰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이 글이 ‘적당한 성장’을 옹호하는 것은 아니다. 적당하면서도 안전한 성장은 현재와 같은 경제구조 속에서는 불가능할 정도이다. 오히려 ‘적당한 성장’조차도 폭력적인 성격을 띤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신종교의 심층생태학 연구 -통일교를 중심으로-

        양편승 한국신종교학회 2008 신종교연구 Vol.18 No.-

        Deep Ecology was started by the ecological movement of Norway's Philosopher A. Neass, as the only way to fundamentally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Deep Ecology holds that we must establish an environmentalistic ideology that changed to nature-centered values, on the viewpoint that assumed the cause of the outbreak of environmental problems has to do with human consciousness. In the Unification Church, which is one of Korea's new religions, its doctrinal book of the Divine Principle explains the fundamental problems relating to life, the universe, and history. Especially, the Divine Principle has a special reference regarding environmental preservation. In this thesis, we would like to research methods to solve th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as we search for common ground between the Divine Principle and Deep Ecology. The element of Deep Ecology that the Divine Principle asserts, explains the understanding of God's Shimjeong, the content aboutthe individual truth incarnation regarding human's and the creation's resemblance of God's attributes, the content regarding the dual purpose and both character and form of the existing creation, and the enactment of the Unification Church's holiday, the Day of All Things. 심층생태학은 노르웨이 철학자인 A. Neass에 의해서 출발된 생태운동으로서 환경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심층생태학은 환경문제 발생의 원인이 인간의 의식구조에 있다고 전제한 관점으로 자연중심적인 가치관으로 바꾸는 환경주의적 이데올로기를 수립해야 한다. 한국 신종교의 하나인 통일교는 그의 교리서인 원리강론에서 인생과 우주 그리고 역사에 관한 근본문제를 설명하고 있다. 특히 원리강론은 환경보존에 관한 특별한 언급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리강론과 심층생태학의 접점을 찾아서 지구적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원리강론이 주장하는 심층생태학적 요소는 하나님의 심정이해, 하나님의 속성을 닮은 인간과 만물에 대한 개성진리체에 대한 내용, 존재하는 피조물의 이중목적과 연체에 대한 내용 그리고 통일교의 축일로서 만물의 날 제정 등을 설명하고 있다.

      • KCI등재

        '근본주의적 생태주의'에 대한 비판적 분석

        김진석(Jin Sok Kim) 철학연구회 2012 哲學硏究 Vol.0 No.99

        This article deals with ``ecological fundamentalism``, or ``fundamentalistic``Ecology. It can be a kind of ``Deep Ecology``, which considered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not satisfying and shallow, so rejected it. Of course, there are different and diverse types and dimensions of Deep Ecology. Deep Ecology focuses relatively on philosophical thoughts. In comparison to it, Fundamentalistc Ecology reaches political-economical terrains. The specific subject of this paper is a ecological fundamentalism which is represented by korean thinker Jong-Chul Kim. The radical characteristics of his ecological fundamentalism are these: First, it rejects every kind of development. Its assertion is therefore absolute incompatibility of development and ecology. Second, it tends to substantialize and mystify the natural order. And, the only lifestyle corresponding to this order seems to be agriculture, which, in its nature, would be cultivated by independent and mutually benefiting grassroots farmers. But this kind of farm romanticism is not only ideal, but can also be a part of eco-fascism(This doesn`t mean yet that Kim`s fundamentalism itself is politically fascism). Third, the``grassroots people``, which are the subjects of ecological fundamentalism,are lacking concrete and historical reality. But, despite some straight critics against ecological fundamentalism, this paper does not support conveniently the perspective of suitable development. Sure, this perspective cannot stand any more self-suffici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