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ildren of A Lesser God에 나타난 청각장애인의 정체성

        박미령 한국영미어문학회 2012 영미어문학 Vol.- No.104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disability and deafness, analyzes deaf problems, and examines Sarah’s effort in reestablishing deaf identity in Mark Medoff’s Children of A Lesser God, which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successful plays to deal with deafness. The play portrays deaf life in the late 1970s. The playwright showcases deaf identities to shine a light on the reality of the deaf who have been neglected by society. Thus, Medoff suggests a deaf disability discourse to overcome the existing stereotype through the story of a deaf heroine. Sarah, who is deaf, refuses to make sacrifices and conform to the existing society, and demonstrates a strong will to establish a deaf identity. In the play, Medoff exemplifies a deaf’s will to lead demonstrations against a hearing world and defend their right through an apprentice teacher, Orin. Medoff also lets society know about the existence of the Deaf community as a minority group. Although Sarah is deaf, she has an intense sense of sovereignty and independence, for her culture, namely for the Deaf community. James tries to teach her his language, but she refuses to learn it. However, in the long run Sarah and James agree to work together in order to help each other dismiss stereotypes from their minds and reside in another place; not in silence or in sound but somewhere else. Therefore, Medoff’s play is significant in revealing the hidden reality of the deaf to the world.

      • KCI등재

        일본 시청각장애학생 현황 및 교육실태 분석

        박경란 ( Park Kyungra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4

        [목적] 이 연구는 일본 시청각장애학생 현황과 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시청각장애학생 교육지원 방향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일본 문부과학성 시청각장애 관련 정책 자료, 특별지원교육 관련 법령, 특별지원학교 학습지도요령 등을 분석하고, 전국맹농인협회와 국립특별지원 교육종합연구소에서 실시한 맹농인 실태 조사 결과를 검토ㆍ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일본에서는 ‘시청각장애’에 대한 법적인 정의가 확립되지 않았으며, 시청각장애는 ‘맹농(盲聾)’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14,000명의 맹농인 중 학령기 학생은 555명으로 추정되며, ‘맹농’보다는 ‘약시난청’이나 ‘전맹난청’ 학생의 비율이 높고, 시청각장애 외 다른 장애를 동반한 학생 비율이 높았다. 둘째, 일본은 「영유아 건강검진」과 「취학 시 건강검진」을 통해 장애를 발견하고 의료, 보건, 복지, 교육 등 관련 분야의 협력을 통한 연계 지원 체계를 강조한다. 검진을 통해 발견된 장애학생에 대한 상담ㆍ지원을 위해 ‘개별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학령기 동안은 ‘개별교육지원계획’으로 전환되어 장애 영역별 특별지원학교가 중심이 되어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청각장애학생의 배치에 있어서는 해당 학생의 당면 과제의 우선 순위를 파악하고 가장 시급한 당면 과제에 대응할 수 있는 특별지원학교에 배치가 이루어진다. 셋째, 일본에서 맹농학생에 대한 교육과정은 기본적으로 일반교육과정에 준하는 교육과 함께 ‘자립활동’을 추가적으로 편성하도록 하고 있으며, 발달장애가 심한 맹농학생의 경우 ‘자립활동’을 중심으로 지도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자립활동’의 ‘의사소통‘ 영역에서 의사소통 수단의 선택ㆍ활용에 대한 고려사항이 명시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맹농교육 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해‘국립특별지원교육종합연구소’에서 매년 연수회를 실시하고 ‘전국맹농교육연구회’가 조성되어 맹농교육 현장 실천 사례를 공유하고 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청각장애 진단ㆍ평가, 교육배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그리고 교사 전문성 함양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find implications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support for deaf-blind students in Korea by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and educational status of deaf-blind students in Japan. [Method] To this end, policy data on the deaf-blind from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were analyzed. Laws related to special support education and learning guidelines for special support schools were also analyzed. [Results] First, in Japan, no legal definition of ‘deaf-blind’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term ‘deaf-blind (Mourou)’was being used. Among the 14,000 deaf-blind people in Japan, 555 are estimated to be school-aged. The percentages of ‘low vision and hard of hearing impaired’ or ‘blind and hard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percentage of ‘deaf-blind' students, and a high percentage of students had other disabilities apart from deaf-blindness. Second, Japan finds disabilities through ‘infant and child health screening’and ‘school enrollment health screening'. Moreover, Japan emphasizes a connected support system through cooperation in related fields, such as health, welfare, and education. When a disability is found through screening, an ‘individual support plan’ is established to counsel and support the disabled person. If the person is of school age, this plan is converted to an ‘individual education support plan’ and support services are provided by special support schools. Third, in Japan, the curriculum for deaf-blind students requires additional ‘self-reliance activities’ along with an education equivalent to the general curriculum. In particular, considerations for the selection and use of communicative means are specified in the ‘communication’ part of the‘self-reliance activities'. To foster the expertise of the teachers of deaf-blind students, the Japanese‘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Needs Education’ offers and annual workshop, and the ‘National Research Society for Deaf-blind Education’ has been established to share cases of deaf-blind education practic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were found regarding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deaf-blind students, educational placement,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teacher expertise.

      • KCI등재

        농문화와 농학: 그 현상과 과제

        김병하 ( Byung Ha Kim ),박경란 ( Kyung Ran Park ),이정옥 ( Jung Ok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4

        이 연구는 장애학(disability studies)의 입장에서 농문화와 농학(Deaf studies)의 현상과 과제를 밝히기 위해 다음 세 측면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첫째는 장애학에 대해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왜 ‘농학’이 별개로 존재하는가? 둘째는 공학과 의료기술의 개가(凱歌)라 할 수 있는 인공와우이식수술(cochlearimplatation)의 발전과 보급이 왜 농의 정체성 위기를 야기하는가? 셋째는 우리나라에서 농문화와 농학의 현상과 그 정립과제는 무엇인가? 농학의 입장에 의하면 농(deafness)은 결코 장애가 아니다. 농문화의 정체성정립과 더불어 농학에서는 특히 다음 세 측면을 강조한다. 즉, 첫째는 농 프라이드를 앞세워 농(deafness)을 결함으로 보지 않고 또 다른 이상세계로서 소위 Deaf-topia를 지향한다. 둘째로 농인의 고유한 언어권으로서 수어(sign language)를 언어학 내지는 언어사회학적인 측면에서 독자적인 자질과 세력을 지니는 언어로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농인 스스로의 능동적이고 품위 있는 참여에 의한 정치적 세력화로서‘Empowerment’를 강조한다. 최근 기술공학적·의료적 혁신에 힘입어 청각장애영유아에 대한 인공와우이식수술의 급속한 파급은 농문화와 농세계를 향해 심각한 정체성 위기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농학의 입장에서 볼 때 인공와우이식수술은 이 지구상에서 농의 존재를 제거하려는 일종의 신식민주의(neocolonialism)로 인식되고 있다. 이 신식민주의적 파고는 메인스트리밍, 인공와우이식수술, 유전인자의 인위적 수정 등 세 갈래로 엉켜 몰아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농학’은 농과 농신분(deafhood)에 대한 정당한 인식론과 존재론을 정립하기 위해 청세계(hearing-world)를 향한 탈식민주의(decolonialism)운동으로서 농 집산주의(collectivism)를 제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농문화와 농학의 정립은 아직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품위 있는 농문화의 정립을 위해 무엇보다 농인계 내부로부터 소위 ‘Deaf Pride’를 당당히 제기하는 각종 문화 활동이 다양하게 축적되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특수교육으로서 농교육은 그 일차적 책임을 절감해야 한다. 농세계(Deaf-World)스스로의 긍정적 자기표현과 더불어 청세계(Hearing-World)의 농인에 대한 공감적이해와 똘레랑스 역시 중요하다. 나아가 정부 차원에서 농문화 정립을 위한 적극적지원과 대학에서 농학에 대한 학제적(學際的)관심이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ree points regarding the issues: (1) Why deaf studies should exist as a special meaningful part of disability studies? (2) Why cochlear implants threaten the identity of deaf people? (3) What is the issues and challenges to construct the deaf culture and deaf studies in South Korea? The deaf culture has formed its own discourses under the Deaf studies before the discourses of disability studies were established. Deaf studies emphasizes the empowerment of the deaf people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a new social movement. Currently, the cochlear impantation threatens the identity of Deaf pride. In this viewpoints, the future of Deaf studies depends on how the ontology of the deafness and the status of the deafhood will be embodied in our society in order to create the collectivism of deaf culture in a positive meaning. This year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education for the deaf in our country, however the identity of the deaf education is not yet clear, and the same goes for the deaf culture and Deaf studies. The reality of the Korean deaf culture is very poor and the level of supports and interests from hearing people are also very low. The primarily effort to build the identity of the deaf culture should be made by the deaf themselves, while the understanding and supports from the hearing people are also very important.

      • KCI등재

        대학생들의 농인(Deaf) 이해 관점에 따른 농문화에 대한 이해도 차이

        김주희,김은하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3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4 No.2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198 people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Deaf culture’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Deaf’ among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of the question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previous studies as new exploratory factors, 24 questions on understanding Deaf culture, excluding 3 questions with a low reliability coefficient, revealed differences in language and culture, group identity and Factors derived from Deaf society, audiophilia, and social integration. In addition, understanding of the word of Deaf was grouped as a research participant factor and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sociocultural, mixed, and pathological perspectiv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Deaf cultur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such as major field of study, gender, perspective on understanding the Deaf, degree of education about the Deaf, and frequency of interactions with the Deaf—it was found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he Deaf, the sociocultural aspect indicated a positive correlation. Specifically, a higher level of understanding of Deaf culture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education about the Deaf, as well as an increased frequency of interactions with the Deaf.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the sub-factors of the understanding of Deaf culture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the Deaf, it was found that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group had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in all 4 sub-factors.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농인(Deaf)을 이해하는 관점에 따른 농문화에 대한 이해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1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문항의 요인을 새롭게 탐색적 요인으로 분석한 결과, 신뢰도 계수가 낮은 문항 3개를 제외하고 농문화 이해에 관한 문항 24개를 통해 언어․문화적 차이, 집단정체성 및 농사회, 청능주의, 사회통합으로 요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 요인으로 농인(Deaf) 이해를 그룹화하여 사회문화적 관점, 혼합적 관점, 병리적 관점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개인 특성인 소속 계열, 성별, 농인(Deaf) 이해 관점, 농인에 대한 교육 정도, 농인과의 만남 정도에 따라서 농문화 이해도 차이를 본 결과, 소속 계열은 교육계열이 농문화 이해가 높고, 농인(Deaf) 이해 관점은 사회문화적 관점이 농문화 이해가 높았으며, 농인에 대한 교육 정도가 높고, 만남 정도가 많을수록 농문화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인(Deaf) 이해 관점에 따라서 농문화 이해도의 하위 요인의 이해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사회문화적 관점 그룹이 4가지 하위 요인 모두에서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농인의 관점에서 본 농교육의 전환 : The Deaf Centered Approach

        곽정란,정운기,김경진 국립특수교육원 2004 특수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농아동을 특수교육의 대상으로 국한시키는 것에서 벗어나 농교육의 중요한 주체의 하나로서 인식하여, 그들의 요구(needs)를 이해하고 지원하기 위해 농인의 관점에서 농교육의 전환 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농인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은 어떤 내용을 내포하고 있으며, 농인 스스로는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 둘째, 농인의 관점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제도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최근 농사회의 자기권리 주장은 무엇인가, 셋째 농인의 관점에서 농교육의 전환 방향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고찰 한 결과 농(deaf)의 개념은 청각장애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다른 의미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농인의 언어인 수화에 대한 사회적 수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농인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에 기반할 때 농인은 청각장애인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수화라는 언어를 사용하는 언어적·문화적 소수집단을 의미하였다. 이에 따라 오늘날의 사회는 수화통역제도 수화통역센타를 통해 농인의 언어적·문화적 입장을 존중하기 위해 변화하고 있으며, 농인 역시 언어적·문화적 권리를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인의 관점에 입각한 농교육의 전환 방향은 첫째 농아동의 언어적·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지원해 줄 수 있는 농인 교사가 필요하며, 둘째 농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고려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재구성이 요구될 뿐 만 아니라, 셋째 농학교는 본연의 교육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함과 아울러 농인의 언어와 문화를 지지하는 문화적·언어적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nd ways (1) to accept people with deaf as a main or core for the education for the deaf, themselves, being over the invisible limitation that they were positioned as subjects - being educated - only on the field, and (2) to reform education for the deaf, according to the stand of view of Deaf people, which was reflected the real needs of Deaf people should be understood and supported. To establish these, the writer investigated following issues; (1) the contents of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Deaf people, (2) the transition of social approach or system to support needs of Deaf people, which were issued currently on their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for the more, (3) reformation of education for the deaf that was reflect opinions from or by the deaf. The concept 'deaf' doesn't mean only hearing impairments but being positioned another additional status for the cultural and social environment. The obvious factors to produce the causes of the differences are whether social acceptance and recognition their sign language as their daily communication methods, as people use speaking language. Which means considering their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we can say people with deaf rather minority who are using sign language in social than handicapped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 Thus, sign language translating serves, for instance, are providing to support socal and cultural stand of the deaf and ensure appropriate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who are not use sign language and use it. And people with deaf put stress on the right of using their own (sign) language nowadays. The findings of reform education ways reflected view of the culture of the deaf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ho are deaf by hisself or herself in be hired in every school for the deaf to fully-understand and support student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Second, curriculum of deaf education should be restructured to adapt and increase identification as a deaf, Third, schools for the deaf perform to educate deaf more substantially and should be the resource center of sign language and deaf culture.

      • 한국농인들의 평생교육 실태 연구

        강창욱,노은진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1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ndi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eaf people in Korea. Two hundred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by from workers in a deaf-related organizations. The present study assessed multiple response analysis and cross-tabulations through SPSS version 19.0. 64% of the deaf subjects knew about lifelong education, but they did not fully understand it until it was further explained to them in sign language. Firstly, they were not aware of other lifelong education assistance centers except for the Deaf Association program. They answered that they primarily got information about lifelong education from other participants and people around them, and to a lesser degree through posters in the deaf association centers and the internet.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Deaf community's preferences, they saw the necessity of lifelong education. They wanted to be offered education by the Deaf Association 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for the deaf. They also prefer expert instructors who can communicate in sign language. The rates of Deaf participants in the education programs were low compared with the awarenes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at offer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ere the Deaf Association 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for the deaf. They joined in diverse programs when given their choice of options. Participants are generally divided evenly into those who took part in one month, three months, or one year duration. The method of communication was mainly sign language or used a sign language interpreter. A program is needed to revitalize the deaf's lifelong learning educational options. Special services are needed to resolve the problems of communication. Current facilities should be improved for proper educational services. So research methods of lifelong education and institutes that support challenges of the deaf are needed. Communication services need to be offered to prevent future problems with communication. Legal help is needed for developing improved lifelong educa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평생교육이 발달하고, 또한 그에 따른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농인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지 실태, 선호도 실태, 수용 실태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농인들의 평생교육 실태를 밝히기 위해 농인 관련 기관 및 단체에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200부를 SPSS 19.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응답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농인들은 평생교육에 대해서 64%가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지만 대부분 평생교육을 농아인협회에서만 교육을 한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농인 스스로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또한 농아인협회/농아인복지관에서 제공받기를 원했고, 스스로의 선택을 통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원하였다. 평생교육에 대해 인지하는 것에 비해 평생교육 참여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참여한 기관은 농아인협회/농아인복지관의 비율이 높았다.

      • KCI등재

        청각장애학교로 전학한 농․난청학생의 경험과 요구

        오인혜,최상배,김운이,고은지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2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3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chool experiences of deaf or hard of hearing students who transferred to a deaf school after attending a general school and to find out what the ideal school they want to attend i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deaf or hard of hearing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af of hard of hearing students who transferred to schools for the deaf need learning support and social-emoti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eaf or hard-of-hearing students. In the learning support experience, it was recognized that the teacher's educati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eaf or hard of hearing and class participation regardless of hearing loss were necessary. In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it was recognized that the importance of identity formation and the need for fun and diverse activities were important. Second, the school that deaf or hard of hearing students want to attend were a school with many friends who understand them, a school with teachers who can teach them appropriately, a school that provides the support they need, and a school where they can share their concerns about career.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in that it was conducted on deaf or hard of hearing students who experienced both the different educational environments of general school and deaf school. And also,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 new role of a school for the deaf. 이 연구는 일반학교에 다니다가 청각장애학교로 전학한 농․난청학생을 대상으로 일반학교와 청각장애학교에서의 학교생활 경험을 알아보고, 이들이 다니고 싶은 학교의 이상적인 모습은 어떠한지를 밝히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농․난청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교로 전학한 청각장애학생은 농․난청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학습지원과 사회․정서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학습지원 경험에서는 청각장애 특성에 따른 교사의 교육적 지원과 청력 손실로 인한 최소 제한적인 수업 참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사회․정서적 지원에서는 정체성 형성의 중요성과 즐겁고 다양한 활동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청각장애학생이 다니고 싶은 학교의 모습은 자기를 이해해 주는 친구가 많은 학교, 나에게 맞는 수업을 할 수 있는 교사가 있는 학교, 나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학교,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함께 할 수 있는 학교라고 인식하였다. 이 연구는 통합교육과 분리교육이라는 서로 다른 교육적 환경을 모두 경험한 농․난청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으며, 이들의 경험과 요구에서 드러난 학습지원과 사회․정서적 지원, 이상적인 학교의 모습을 제안하여 청각장애학교의 새로운 역할과 모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농아동을 둔 농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언어 선택을 중심으로

        곽정란 ( Jeong Ran Kwak ),서영란 ( Yeong Ran Seo ),이정옥 ( Jeong Ok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농아동을 둔 농부모의 언어선택을 둘러싼 양육경험에 대해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농아동을 둔 농부모 5명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농부모들은 자신의 자녀가 청각장애라는 것을 알았을 때 충격을 받았으며, 이와 같은 심리적인 충격은 자녀가 수화를 사용하게 되면서 점차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농부모들 대부분은 인공와우 수술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자신의 농자녀들이 농인으로 성장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부모들은 자녀 양육을 할 때 수화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농아동들은 자연스럽게 수화를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자녀의 정서적 안정과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에 참여한 농부모들은 수화로 동화책을 읽어주면서 자녀의 문해지도를 하고 있었으며, 자녀가 잘 모르는 내용은 농식 수화를 사용하여 쉽게 설명해 주어 이해를 돕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에 참여한 농부모들 모두는 자신의 자녀를 농학교에 보내기를 희망하고 있었으며, 농학교 교사의 수화사용능력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af parents’ language choice in experiences of rearing their deaf children.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and an in-depth interview with five deaf parents who have deaf childre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deaf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shocked when they noticed their children were deaf and such psychological shock gradually disappeared as their children started to use sign language. Second, most of the deaf parents had negative perception of cochlear implant surgery and rather hoped their deaf children to grow up deaf. Third, the deaf parents used sign language rearing their children and as a result their deaf children naturally obtained sign language skills. In this way the children were positively influenced in their emotional stability and language development. Fourth, the deaf parents taught their children how to interpret writings by reading the children fairy tales using sign language and helped their understanding by explaining what their children did not comprehend in an easy way using sign language for the deaf. Fifth, all of the deaf parents wanted to send their children to a school for the deaf but were concerned about school teachers’ abilities to use sign language.

      • KCI등재

        조선총독부 제생원 맹아부 아본과(盲啞部 啞本科)의 농교육사적 고찰

        이재연(Lee, Jae Yeon),강창욱(Kang, Chang Wook)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1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2 No.2

        이 연구는 제생원 맹아부 아본과가 오늘날 우리나라 농교육에 미친 영향을 농교육사적 관점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육적 의의로는 첫째, 제생원의 설립은 우리나라 농맹인의 교육 가능성의 탐색과 동시에 사회적 인식개선에 이바지하였다. 둘째, 제생원은 조선총독부 산하 관립으로 설립되어 농맹인의 교육이 공교육으로 자리를 잡게 하였다. 셋째, 제생원의 조직화된 교육과정은 초기의 특수학교 모습을 갖추는 구실점이 되었다. 농교육적 의의로는 첫째, 수어와 한국 농사회의 발생지로 오늘날 수어와 문자를 바탕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였다. 둘째, 아본과의 교육과정은 우리나라 농교육과정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셋째, 수어반과 구화반의 이원화된 학급을 편성·운영하여 농인의 언어 선택권을 부여하였다. 결론적으로 제생원 맹아부 아본과는 한국의 농인들에게 실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적인 직업교육을 제공한 우리나라 최초의 관립 농교육 기관이었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effect of the curriculum for the Deaf in the blind department of Jesaengwon on Korean Deaf education today from the perspective of Deaf education history. In terms of special education, the significances are as follows. First, the establishment of Jesaengwon served as a momentum to look into the educative potential for the Korean Deaf-blind and mad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in social awareness at the same time. Second, Jasaengwon, built as a government institution affiliated to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made education for the blind-deaf establish as public education. Third, the organized curriculum of Jasaengwon became a pivot for the form of early special-education school. In terms of deaf education, the significance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birthplace of Sign Language and Korean Deaf society, it facilitated smooth communication based on Sign Language and letters. Second, the curriculum for the Deaf laid the foundation for Korean Deaf curriculums. Third, the division of class into a Sign Language class and an oralism class provided the Deaf with the right to choose language. In conclusion, the curriculum for the Deaf in the blind department of Jesaengwon was Korea’s first government Deaf education institution, where provided necessary knowledge in daily life and functional vocational training for the Deaf in Korea.

      • KCI등재

        독일의 농맹 교육 정책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 의사소통은 삶이며, 삶은 의사소통이다

        고은(Ko, Eun)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1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독일의 농맹 교육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농맹 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 데에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농맹에 대한 법적 정의조차 마련되어 있지 않을 만큼, 농맹 교육에 대한 연구기반과 지원 체계는 매우 미비하다. 그런 맥락에서, 서론에서는 연구의 중심 키워드라 할 수 있는 ‘농맹’의 법적·교육적 정의를 살펴보았다. 제 Ⅱ장에서는 농맹 의사소통 방법 중 하나인 촉각수화와 Lorm 알파벳을 다루었다. 제 Ⅲ장에서는 농맹 지원정책으로서, 독일 농맹 특수교사 양성과정과 교사 직무 연수 교육 그리고 농맹 보조원 제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농맹의 법적 정의와 더불어 독립된 장애유형으로의 인정 여부가 논의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농맹 의사소통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둘째, 감각장애나 중복장애 특수교사 자격증 발급에 대한 논의와 교사 직무연수 등이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차단된 세계에서 혼자 머무르거나 고립된 삶을 살지 않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를 지원해 주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전문 보조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domestic deaf-blind education by examining Germany’s deaf-blind policy. In Korea, the research base and support system for deaf-blind education are quite insufficient to the extent that even the legal definition of the deaf-blind has not been prepared yet. In that context, in the introduction, the legal and educational definitions of the ‘deaf-blind’,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entral keyword of the study, were examined. In Chapter II, the tactile sign language and Lorm alphabet, which are one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of the deaf-blind, were addressed. In Chapter III, the deaf-blind support policy was divided into the German deaf-blind special teacher training course, training education, and the deaf-blind assistant system and each of the divided parts was examined separately from the other parts. Through the foregoing,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along with the legal definition of deaf-blind, whether the deaf-blind should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type of disability or not should be discussed. Second, the issuance of certificates of special teachers for sensory impairment or multiple disabilities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iscussed from various perspectives. Third, in order to prevent the deaf-blind from staying alone in a blocked world or leading an isolated life, various programs and professional assistants that support the prevention ar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