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년기 가족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이 주말가족활동과 가족건강성 간에 미치는 매개효과

        최배영 한국차학회 2019 한국차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eekend activity and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on family health as middle-aged family leisure,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between weekend family activity and family health.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married men and women aged 40-64 years from April 20 to April 30, 2018. A three-step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339 data. The main stud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ekend family activity (independent variab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parameter), and the first stage criterion was satisfied. Second, weekend family activity (independent variable)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family health (dependent variable), meeting the criterion of the second stage. Third, as a result of injecting weekend family activity (independent variable) and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parameter) at the same time, the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health, and the effect of weekend family activity was partially reduced. Thus, the third stage of the criterion for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was met. In conclusion, middle-aged family’s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health with weekend family activity. In addition, the family’s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can play the role of a mediator between weekend family activity and family health. In the future, it will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healthy family life of the middle-aged generation if the daily tea and coffee drinking as family leisure is more active and complementary with various weekend family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의 가족여가로서 주말활동과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주말가족활동과 가족건강성 사이에서 발휘되는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2018년 4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40-64세의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339명의 자료를 활용해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말가족활동은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이로써 1단계 준거가 충족되었다. 둘째, 주말가족활동은 가족건강성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2단계 준거 역시 충족하였다. 셋째, 주말가족활동과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을 동시에 투입한 결과,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은 가족건강성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주말가족활동의 영향은 일부 감소하여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이 부분 매개효과를 발휘하는 3단계 준거가 충족되었다. 결론적으로 가족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은 주말가족활동과 더불어 가족건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자 주말가족활동과 가족건강성을 중개하는 매개변인으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앞으로 가족여가로서 일상의 차와 커피 음용을 보다 활성화하여 다양한 주말가족활동의 이행과 상호보완을 이루도록 한다면 중년 세대들의 건강한 가족의 삶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