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의 문화자산으로서 문화콘텐츠와 문화콘텐츠관광 연구

        정수희(Chung, Su-Hee),이병민(Lee, Byung-Min)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6 觀光硏究論叢 Vol.28 No.4

        본 연구는 문화를 통한 도시와 지역의 활성화가 강조되며, 지역경쟁력 구축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는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의 새로운 접근방안에 대한 논의이다. 지역콘텐츠 개발의 주요한 목표 중 하나는 지역이 가진 자원을 통해 경제적 이윤을 창출하는 ‘성공적인 문화콘텐츠’개발이다. 이를 위해 다수의 지역들은 지역이 가진 자원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매력적인 지역의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역문화콘텐츠의 자원으로서 지역의 ‘문화자산(cultural asset)’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정리하고, 이 중 새로운 자원으로서 ‘문화콘텐츠(culture contents)’에 주목한다. 일반적으로 문화콘텐츠는 활용의 결과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를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의 매개물로서 인식하고, 파생콘텐츠로서 문화콘텐츠관광의 가능성을 고민하고자 한다. 이를 뒷받침 할 구체적인 사례로서 일본의 ‘콘텐츠 투어리즘’의 개념과 현황을 소개하고, 애니메이션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 투어리즘의 일종인 ‘아니메 성지순례’의 지역콘텐츠 형성의 과정과 의의를 살펴봤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보다 차별화되고 매력적인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the activation of cities and regions through culture is emphasized and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e contents becomes an important means to build regional competitiveness.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new approaches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e contents. One of the important objectives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ontents is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which enables it to create economic profits utilizing regional resources. In fact, in many regions, efforts are made to develop attractive regional contents by examining the existing resources and utilizing them. This study seeks to organize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the regional cultural assets as the resources for regional culture contents, focused on the culture contents as new resource. In general, the culture contents is regarded as the results of the utilization of cultural asset. However, this study seeks the potential of the culture contents tourism as derivative content by regarding the cultural asset as the medium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e content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and status of the contents tourism in Japan as the specific case supporting the potential of cultural contents tourism and addresses the process and meaning of the formation of the regional contents, especially ‘Anime Pilgrimage, a kind of the contents tour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uggest new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ore differentiated and attractive regional culture contents.

      • KCI등재

        The Korean Wave, Culture Content, and Cultural Informatics

        Kim Hyeon 인문콘텐츠학회 2007 인문콘텐츠 Vol.0 No.10

        이 연구는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한국 인문학자들의 대응 자세와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 인문학적 지식이 문화콘텐츠 산업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안된 새로운 학문 방법 - 인문정보학(Cultural Informatics)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의 인문학자들, 그 중에서도 한국의 전통 문화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연구 성과가 ‘문화콘텐츠’(Culture Content)의 생산에 기여하고, 이를 통해 ‘한류’(韓流, Korean Wave)라고 하는 문화 현상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그들의 이와 같은 생각은 한국의 대학에서 문화콘텐츠 관련 학과의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많은 수의 인문계 연구자들이 문화콘텐츠 생산을 위한 연구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전통 문화 그 자체 또는 그것에 대한 인문학자들의 연구가 경쟁력 있는 문화콘텐츠의 생산에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 문화 상품 시장에서 성공한 문화콘텐츠는 대중 문화의 트랜드를 정확하게 읽어내는 미디어 제작자의 창작물이며, ‘인문학적 지식’은 그러한 창작물을 만들어 내기 위한 소재의 일부일 뿐이다. 인문학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그들의 역할은 문화콘텐츠의 창작에 있다기보다 문화콘텐츠의 제작자가 인문학적 지식에 쉽게 접근하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인문정보학은 인문학적 지식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인문학자의 도움 없이 그 지식에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보 기술은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한 필수적인 도구이다. 인문학과 정보 기술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함으로써 인문지식의 사회적 공유체계를 구축하고 그것의 활발한 응용을 촉진함으로써, 인문학이 경제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실용적인 학문이 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려 하는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d the relationship of the Korean scholarship to the country’s culture content industry and issues that may exist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nd finally cultural informatics, a new approach that may help knowledge in art and humanities fields contribute more effectively to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Many Korean scholars, especially in traditional culture-related fields, believe that their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culture content and help broaden and step up the Korean wave phenomenon. This conviction is partly responsible for the rapid increase observed in recent years in the number of culture content-related programs in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It should not, however, be assumed that traditional culture or research in traditional culture alone can have a direct effect of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culture content production. Culture contents are, after all, creative products, whose success in the cultural market depends mainly on media developers’ ability to correctly grasp changing trends in popular culture. The role of the human scientists in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should be to make content developers’ access to knowledge in art and humanities fields easier so that they may make a more meaningful use of it. The goal of cultural informatics is to make knowledge from humanities fields accessible for all, without needing the help of specialized scholars. Information technology is an indispensable enabler in achieving this goal. The role of cultural informatics is to support the practical use of humanities knowledge, by creating a knowledge-sharing system capable of accelerating its creative and industrial application.

      • KCI등재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 : 문학에서 문화콘텐츠로

        류은영(Ryu Eun-Young)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4

        현재 문학은 “문화적 소여로부터 새로운 것이 쟁취되는 포스트모더니티”를 향해 가고 있다. 21세기에 들어 문학은 ‘내러티브’ 중심의 자족적 논리의 틀을 벗어나, 대중소비문화의 산물인 문화콘텐츠의 형식 기반을 이루고 있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관여적으로 ‘문학적’ 담론들을 실험하고 있다. 변화하는 문화적 소여 속에 내재하는 패러다임을 문학원리화하면서 고유의 문학성 한편으로 대안적 가치를 지향해가고 있는 것이다. 이는 곧 예술 문화의 흐름이 문학 중심에서 문화콘텐츠로 이행하고 있다는 사실의 문학적 자인이기도 하다. 하지만 위와 같은 문학에서 문화콘텐츠로의 흐름이, 다시 말해 내러티브에서 스토리텔링으로의 흐름이 곧 문화적 향상 내지 이야기(하기) 예술의 진보를 의미하는 것일까? 자기 완결적인 내러티브와 달리, 수용자의 참여적 창조가 가능한 스토리텔링을 형식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의 양산은 대중의 능동적 향유를 수평적으로 확장시키기는 하겠지만, 그만큼 문화콘텐츠의 질적 혹은 미적 하향평준화를 낳게 된다. 따라서 완성도 높은 문화콘텐츠 창출 체계가 구조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당위적 과제는 생산과 수용의 층위에서 동시에 고려되어야 할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생산의 층위에서는 보편성을 담보하는 원천소스의 지속적인 개발 및 이를 카타르시스의 지반을 갖춘 완성도 높은 스토리텔링으로 연계시킬 수 있는 능력, 그리고 수용의 층위에서는 그러한 완성도 높은 문화콘텐츠를 향유하고 나아가 요구할 수 있는 대중들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리터러시의 향상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아직 고유의 논리가 불분명한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그리고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리터러시의 문제를 체계적으로 담론화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고대 이래 문학의 혹은 이야기(하기) 예술의 전형으로서 스토리텔링과 상보적으로 연계될 수밖에 없는 내러티브 이론을 논의의 기반으로 하여, 향후의 보다 밀도 높은 스토리텔링 그리고 스토리텔링 리터러시의 담론적 토대가 될 기본 개념 및 내용과 형식상의 문제, 이울러 원리적인 틀의 모델화에 이르는 기본적이고도 다각적인 논의를 지향하였다. Contemporary literature is proceeding towards "the post-modernity in which something new is achieved from a cultural datum." In the 21st century, ‘literature’ attempts to break out of the frame of narrative-oriented self-satisfactory logic and tries out ‘literary’ discourses through storytelling which provides a formal basis of culture contents, a product of mass consumption culture. This is to seek alternative values in addition to its own literariness, by creating literary principles with the paradigm inherent in the changing cultural datum. This is virtually a literary confession of the fact that the flow of artistic culture is switching from literature itself to culture contents. However, does the flow from literature to culture contents, or the flow from narrative to storytelling, mean a cultural improvement or a progress in the art of storytelling? Unlike self-fulfilling narrative mass-producing culture contents based on the art of storytelling which allows the audience to participate in creative processes may result in a qualitative or aesthetic degradation of culture contents, though it horizontally extends the opportunity for the public to enjoy them actively. Therefore, there should be a structural support for a system of creating high-quality culture contents, and it can be said that such an inevitable challenge has to be considered in both the dimension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terms of production, one should be able to develop primary sources on a continued basis to ensure universality and link them to high-quality storytelling which provides a safe place of catharsis. In terms of consumption, people need to improve their literacy in culture contents storytelling so that they can enjoy and further request higher-quality culture contents. As a basic study for presenting a systematic discourse on the issues of 'culture contents storytelling' and 'culture contents storytelling literacy' whose logics are not still clear, this paper provides a multilateral discussion based on the narrative theory that has been inevitably in a complimentary relationship with storytelling as the archetype of literature or story(-telling) art since ancient times. The discussion covers basic concepts to serve as a discourse basis of more in-depth storytelling and storytelling literacy in the future and their problems with substance and form, as well as the model ing of a fundamental frame.

      • KCI등재후보

        디지털 시대, 지역문화콘텐츠 개발의 의미와 방향

        강연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2 No.2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meaning and function of local culture contents development in digital age. Nowadays we take much interest in ‘culture contents’ and ‘storytelling’, these have very important status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Culture Technology is a requisite for improvement the structure of our culture and raise our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This study tries to explain the meaning of ‘cultural contents’, ‘storytelling’, and the direction of ‘local culture contents development’ in digital age.‘Culture contents’ and ‘storytelling’ are remarkable aspect to the fields of culture and art. The diversification of media and contents is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e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in digital era,The culture industries includes commercia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but it is also the tool to preserve a nation’s or region’s culture and self identity. In these days ‘culture contents’, especially ‘local culture contents’ must act as a role of mental antibody against the negative characteristics of digital era, the presence of lightness which includes individual anxiety, communication interruptions. Therefore local culture contents development is an important part in the growth of cultural identity and spiritual values.

      • KCI등재후보

        문화 버라이어티 KBS ‘1박2일’ 성격 분석

        김관섭(Kim, Kwan Seob)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8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이 연구는 방송콘텐츠와 인문학의 관계에 대한 논의, 방송미디어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됐다. 이 연구는 방송콘텐츠, 문화소재, 문화 버라이어티 개념의 논리적 확립과 방송콘텐츠 예능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방송소재로써의 문화소재 적용 방법론 제시를 목적으로 했다. KBS 해피선데이 ‘1박2일’은 대한민국 방방곡곡을 출연자들이 여행하면서 겪는 에피소드로 구성된다. 이 연구의 시각에서 ‘대한민국 방방곡곡’은 문화유산이 소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된다. 실제로 ‘1박2일’은 10년 동안 문화소재의 수용에 있어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이 연구에서의 항목별 분석을 통해 ‘문화 버라이어티’ 개념 설정의 근거가 된다. 그리고 ‘문화 버라이어티’ 제작 표준 설정에 기준으로 작동한다. ‘1박2일’ 10년이 이 연구의 주된 대상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연구의 목표는 ‘KBS 1박2일의 10년’의 양상과 특성을 분석해, 방송콘텐츠 예능장르에서의 ‘문화 버라이어티’의 개념 설정과 방향성을 탐구하고, ‘문화 버라이어티’의 가능성을 통한 의미와 가치를 제시해 ‘문화 버라이어티’의 표준을 정립하는 것이다. 인문학의 구체적 결과물로써, 방송콘텐츠의 내용물로써 문화소재는 적극 수용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방송미디어를 창구로 인문학은 대중과 소통해야 한다. 방송콘텐츠 홍수 속에 인문학의 역할이 대두되고 있는 시대에 어떠한 문화소재를 어떻게 방송콘텐츠에 수용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하다. 방송콘텐츠 제작방법론 정립과 더불어 인문학에서의 방송소재에 대한 연구와 비평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그 해답을 구해가는 과정이다. 맥락의 중심에 문화소재가 있고, 문화콘텐츠가 있고, 방송콘텐츠가 있다. 세 가지 개념을 통해 KBS ‘1박2일’ 10년의 양상과 특성을 분석․비평하고 ‘문화 버라이어티’로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것은 방송콘텐츠의 공공재로서의 가치실현과 소재개발의 다양성을 담보하는 것이기도 하다. 문화소재 수용 ‘문화 버라이어티’ 개념 정립과 ‘문화 버라이어티’ 제작표준 설정은 문화콘텐츠학과 방송콘텐츠 현장이 상호작용하며 양립하는 소통의 방안이다. The study began with a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casting content and humanities, and on the social function of broadcasting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broadcasting contents, culture materials, and culture variety logically and to present the method of applying cultural materials as broadcasting material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broadcasting contents entertainment program. KBS Happy Sunday ‘One night two days(1박2일)’ consists of episodes that performers experience travelling through all over the coun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is study, ‘every corner of Korea’ means that cultural heritage can work as a material. Actually, ‘One night two days’ showed the possibility of acceptance of cultural material for 10 years, and became the basis of setting up the concept of ‘culture variety’ through analysis by items. It also works as the criteria in setting up the standard of ‘culture variety’ production. This is why 10 years of ‘One night two days’ are the main target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ualization and direction of ‘culture variety’ in broadcasting contents entertainment genre by analyzing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10 years of KBS One night two days’, and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culture variety" by presenting the meaning and value through the possibility of ‘culture variety’. Cultural materials should be actively accepted as broadcasting contents and as a concrete result of humanities. In conclusion, humanities shoul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rough the window of broadcast media. It is very important how to accept what kind of cultural material in broadcasting contents in the era where the role of humanities is emerging in the flood of broadcasting contents.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research and criticize the broadcasting materials in humanities, together with establishing the method of producing broadcasting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process of seeking the answer. At the center of context, there are cultural materials, cultural contents, and broadcasting content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10 years of KBS ‘One night two days’ were analyzed and criticized through the three concepts, attempting to present the direction as ‘cultural variety’. It is also to realize the value of broadcasting contents as public goods, and to guarantee the diversity of material development.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culture variety’ that accepts cultural materials, and setting up the criteria of producing ‘culture variety’ are a measure of communication in which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broadcasting contents field are interacted and compatible.

      • KCI등재

        문화콘텐츠 연구의 현황과 극예술 연구의 접점

        양근애 한국극예술학회 2017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8

        The Concept of ‘Culture Contents’ was made in mid-1990s, so-called ‘the period of culture’ when the culture was regarded as the important subject of national policy project, and have used widely in various fields. This study tries to address the current status of culture contents research that appeared in 21th century in Korea, and aims to consider the application aspect generated in the field of drama. Culture Contents Research so far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Activation of culture industry, education of culture contents, and criticism of artistic value about culture contents are the types of th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ose groups have the matter that they are separated discretely and don't pursue the integrated research. Especially though the field of drama has activated the concept of ‘Storytelling’ that indicates the core creative skill and strategy of culture contents, there are few attempts to seek the interface with culture contents because of the accumulation of inherent research. But drama after digital technology identifies and extends its meaning by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or ‘Trans-’. So the approach through Culture Contents is needed for interpretation of the new drama that consists of new format. This study recognizes the inevitable transition of trend from ‘Culture’ to ‘Culture Contents’ in Korea, but also suggests the critical attitude about the industrial and commercial aspect of Culture Contents. Even if past twenty years were dedicated to verifying the power of culture that generates the high value of our society, next step should be dedicated to critical introspection that leads the age to achieve the new value and meaning. ‘문화콘텐츠’는 문화를 중요한 국가 정책 사업으로 인식하는, 이른바 ‘문화의 시대’라 불린 1990년대 중반에 만들어진 용어로 현재까지 여러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2001년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의 설립 이후 본격적으로 사용된 이 용어는 20여 년이 지난 지금 만화·애니메이션, 음악, 영화, 방송, 모바일, 에듀테인먼트, 게임, 캐릭터와 문화산업으로서의 관광(테마파크)과 축제 개발 등 다방면에서 전유되고 있다. 본 연구는 21세기 한국에서 등장하여 여러 분야에서 활성화 되고 있는 문화콘텐츠 연구의 현황을 짚어보고 이와 같은 관점이 극예술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현재까지 시도된 문화콘텐츠 연구는 크게 문화산업 활성화 측면과 문화콘텐츠 교육 측면, 그리고 문화콘텐츠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비평적 측면으로 대별해 볼 수 있다. 분석 결과 해당 연구들은 일정한 경향성이나 통합적 연구를 지향하지 않고 원자화 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극예술 분야는 문화콘텐츠의 핵심적 창작 기술이자 전략을 지칭하는 ‘스토리텔링’이라는 개념이 활성화 되어 있지만 이미 학제적 연구가 축적되어 문화콘텐츠학과의 접점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드문 편이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 이후의 극예술은 ‘컨버전스’, ‘트랜스-’ 등의 개념을 통해 그 의미가 확인되고 또 확장되는 만큼, 새로운 형태의 극예술을 설명할 수 있는 관점으로 문화콘텐츠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고는 문화에서 문화콘텐츠로의 이행을 불가피한 흐름으로 보고 있지만 문화콘텐츠학이 점유하고 있는 산업적, 상업적 측면에 대해서는 경계해야한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지난 20년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의 힘을 확인하는데 바쳐졌다면, 앞으로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시대를 견인하는 새로운 가치와 의미를 획득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 마케팅 교과과정 특성화 방안

        김영재(Kim, Young-Jae)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2

        상품의 유통 및 판매 활성화를 통한 매출수익 증대를 지향하는 마케팅 영역을 문화콘텐츠 교육과정에 어떻게 접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가에 관한 논의는 문화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함께 지향하는 문화콘텐츠 교육과정의 정립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고에서는 문화콘텐츠 산업이 필요로 하는 창작ㆍ기획 역량을 갖춘 융합형 핵심 전문 인력 양성이라는 문화콘텐츠 교육과정의 역할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마케팅 교과과정의 특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문화콘텐츠 마케팅은 광의의 문화마케팅이나 기업목적 달성을 위해 문화를 활용하는 마케팅 활동과는 변별되는 개념이며, 문화콘텐츠 생산 이후 유통관리, 광고, 판촉 및 소비 활성화에만 관심영역이 국한되지도 않는다. 문화콘텐츠 마케팅의 개념은 가치의 창조 및 제안이라는 마케팅 본래의 핵심 개념에 기반을 두고 문화콘텐츠 분야에 적용되어야 하며, 이는 문화콘텐츠 마케팅 교과과정이 소비자의 니즈(needs)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통해 소비자 가치를 제안하는 문화콘텐츠 창작기획 핵심 인력의 콘텐츠 컨셉 기획ㆍ개발 역량 배양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s the concept of culture content holds both cultural value and financial value orientation, the discussion on desirable marketing course specialized for the culture content curriculum is critical in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system for culture content major. The maximization of sales revenue by culture content is important for survival and growth of industry, but too much emphasis on financial value can sometimes can hamper the cultural value of culture content, which ironically results in the failure of financial value creation. For the discuss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marketing course which can contribute to the accomplishment of goal of culture content curriculum, which is to train the key industry specialist with the convergent competence of content development and creation. This study distinguishes the concept of culture content marketing from the broad understanding of culture marketing and marketing program using cultural theme for improving the company image or increasing product’s sales revenue. Also, the scope of culture content marketing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istribution, advertising, promotion and boosting consumption or sales of culture content. Instead, the main focus of culture content marketing should be placed on the concep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 by creating and delivering the customer value of the content as the marketing is defined by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Therefore, the marketing education course for culture content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to enhance the students’ capability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onsumer needs in content market for development the marketing concept as the producer for culture content creation and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문화콘텐츠학, 어떻게 연구하고 가르칠 것인가

        정창권(Jung Chang Kwa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4 No.-

          이 글은 최근 급속히 부각되고 있는 콘텐츠, 문화콘텐츠에 대해 과연 어떻게 연구하고 가르칠 것인지 체계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콘텐츠의 개념과 범주, 각 분야별 문화콘텐츠의 동향을 파악한 뒤, 실제로 콘텐츠가 어떻게 개발되어 널리 활성화되는지 살펴보았다. 나아가 문화콘텐츠학의 정립 방안에 대해서도 아울러 검토하였다.<BR>  근래 디지털 기술이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면서 인터넷이나 휴대폰, CD, DVD, DMB 등 새로운 매체가 계속 출현하였다. 그에 따라 콘텐츠나 문화콘텐츠가 전세계적으로 부각되었다. 우선 콘텐츠(contents)란 각종 대중매체에 담긴 내용물인데, 디지털 시대의 도래로 그것이 더욱 다양하게 사용되고 하나의 산업화가 진전됨에 따라 새롭게 붙여진 용어이다. 그와 함께 문화콘텐츠(culture content)란 용어가 자주 쓰이는데, 문화콘텐츠는 콘텐츠를 담는 그릇이자 널리 활성화하는 도구들, 곧 각종 콘텐츠 산업을 말한다.<BR>  문화콘텐츠의 분야는 대단히 많다. 출판이나 만화, 방송, 영화, 애니, 게임, 캐릭터 등 최소한 15가지 이상의 분야가 있다. 그러므로 이젠 하나의 콘텐츠를 개발하더라도 각 분야별 문화콘텐츠에 대해 통합적 안목을 갖고 접근해야 한다.<BR>  한편, 최근 들어 콘텐츠, 특히 원소스(원작)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매체가 다양해짐에 따라, 그 속을 채워줄 내용물이 문제가 되기 시작한 것이다. 대개 콘텐츠의 개발과정은, 테마를 선정해서 자료를 수집한 후 시놉시스와 기획서를 작성하는 [기획단계], 캐릭터를 설정하고 이야기를 짜는 등 본격적으로 원소스를 개발하는 [개발단계], 그 원소스를 하나의 완전한 콘텐츠로 제작하는 [제작단계], 다양한 산업으로 연계하며 콘텐츠를 널리 활성화하는 [완성단계]로 이루어진다.<BR>  끝으로 문화콘텐츠학은 기본적으로 문화를 가공해서 널리 활용하는 연구방법론, 곧 활용론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훌륭한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선 우선 문화적 요소, 특히 인문학적 지식을 탄탄히 쌓을 필요가 있다. 문화콘텐츠란 신조어에서도 ‘문화’라는 말을 먼저 쓰고 있다는 사실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In this article I examine that how we research and teach content, and the Culture Content which has emerged recently. I grasp the concept and category of content, and the trend of the various fields of the Culture Content. And then I examine that how content has developed and vitalized. Furthermore, I examine the plans to formulate Culture Content as a science.<BR>  As the new digital technologies have developed at breakneck speed, new media, such as cell-phone, CD, DVD, DMB, and so on, have merged. Therefore, content and the Culture Content have been embossed all over the world. First of all, content is contents in various media. According to the coming of the Information Age, content which newly named is used variously, and then industrialized. The Culture Contents which means the various content industries is used frequently. It is not only a container but a mean which is vitalizing content.<BR>  The Culture Content has various sectors which are publication, broadcast, movie, animation, game, a product featuring a popular character, and so on. Therefore, is it necessary to have a synthetic judgment when it comes to development of one field of Culture Content.<BR>  At the same time, the importance of One Source is brought to the fore.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technologies, form of media has become more diverse. And content which fills the diverse forms of media has come into  question. In general, the procedure of developing content goes through these steps.<BR>  1. Planning stage: find theme and collect relative materials, and draw a project<BR>  2. Developing stage: create characters and make it One Source<BR>  3. Processing stage: turn the One Source into a completed content<BR>  4. Completing stage: apply the content to the various content industries.<BR>  In conclusion, Culture Content as a science fundamentally is a rule of general application to process culture. Therefore, for developing a solid content,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the humanities. It is why in the coined word, Culture Content, Culture is in front of the word, Content.

      • KCI등재후보

        기독교문화콘텐츠 교육의 방향과 방법

        신광철(Shin Kwangcheol)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3 종교문화연구 Vol.- No.20

        한국교회는 선교 초기부터 문화를 선도해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한국교회의 문화적 영향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교회의 문화적 역량을 재기획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 기독교문화콘텐츠학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기독교문화콘텐츠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맥락을 고찰하는 한편, 기독교문화콘텐츠학의 프로그램과 커리큘럼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교육 체계와 관련해서는 전통적 신학(순수기독교학)과 기독교문화콘텐츠학(응용기독교학)의 복수 전공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커리큘럼과 관련해서는 기독교문화학, 기독교문화콘텐츠 장르, 기독교문화콘텐츠 기획 및 제작, 기독교문화콘텐츠 경영 등 4개의 영역을 제시하였으며, 4년간의 커리큘럼 모델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기독교문화콘텐츠학 프로그램 및 커리큘럼의 실행은 다양한 분야의 문화콘텐츠 전문가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교회내적 필요에 부응하는 전문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시도는 ‘교회와 문화’, 그리고 ‘기독교문화와 문화콘텐츠’의 쌍방향적 소통에 기여할 것이다. Korean Church has guided culture part of Korea from Missions early. However, a criticism is recently raised that the cultural influence of Korean Church is getting weakened. Consequently, a voice that Korean Church has to recover the cultural influence gets power, and Christian culture contents studies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plan. In this essay, I considered why Christian culture contents is necessary and carried out a research on program and curriculum of Christian culture contents studies. I suggested a double major system of traditional theology and Christian culture contents studies in the part of education system. I proposed four fields of study composed of Christian culture studies, Christian culture contents genre, Christian culture contents planning & production, and Christian culture contents management, and besides, a concrete curriculum model of four years in the part of curriculum. To practice the program and curriculum of Christian culture contents studies is expected to satisfy the need for training efficient specialists in various fields of Christian culture contents. This attempt seems to contribute to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church and culture’, and ‘Christian culture and culture contents’.

      • 문화콘텐츠 2.0,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 문화콘텐츠에서 인터콘텐츠로

        태지호 ( Jiho Tae ) 콘텐츠문화학회 2019 콘텐츠문화연구 Vol.1 No.-

        문화콘텐츠익 탄생이 10년이 넘었다. 문화콘텐츠는 특정 집단에게만 통용되거나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일반 명사가 되었다. 그럼에도 ‘문화콘텐츠가 무엇인지’에 대한 문세는 여전히 남아 있는 숙제이다. 문화콘텐츠는 개별 연구자와 관련 집단에 따라 다양한 정의를 가지고 있다. 문화콘텐츠에 대한 접근은 세 가지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문화적 요소, 매체, 문화적 소재가 매체와 결합되어 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보는 관점으로 정리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지난 시간들을 문화콘텐츠 1.0의 시기라 규정하고, 지금 이후를 문화콘텐츠 2.0의 시기로 설명하겠다. 1.0과 2.0은전환이라는점에서 의미가 부여된다. 이 작업을 통해 문화콘텐츠의 그간 담론이 어떠한 관점에서 제기되었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와함께 문화콘텐츠 1.0의 유산을 통해 문화콘텐츠 2.0은 어떠한 방향성을 가지고 모색할 수 있는지 살 펴보고자 한다, 학문의 지속과 발전을 위해서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이에 필요한 것이 인터콘텐츠이다. 인터콘텐츠(inter-contents)는 문화콘텐츠를 문화적 실천으로 인식하고 그것들 간의 일상성과 국면적 의미에 주목하는 개념이다. 인터콘텐츠의 관점에서, 문화콘텐츠를 문화적 실천으로 인식한다는 것은 문화콘텐츠에 대한 재화적 가치에 대한 입장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문화콘텐츠가 ‘평범한’ 대중의 일상 영역에서 생산되고 소비되는 일련의 문화적 실천들과 연관됨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인터콘텐츠가 국면적 의미에 주목한다는 것은 우리 사회의 다양한 담론들이 구성되며, 그것이 변환되는 양상으로서 문화콘텐츠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The birth of cultural contents has been over 10 years. Cultural content has become a common noun, not just a particular group of people. Nevertheless, the question of 'what is cultural content' is still a remaining question. Culture contents have various definitions according to individual researchers and related groups. The approach to culture contents started from three perspectives. Cultural elements,media,and cultural material are combined with media to create value. In this article, we will describe the past times as the period of Culture Contents 1.0, and I will explain the time after that as the period of Culture Contents 2.0. Those 1.0 and 2.0 are meaningful in terms of transition. Through this work, we try to understand from what point the discourse of culture contents is raised. In addition, through the legacy of Culture Contents 1.0, we will examine the direction of Culture Contents 2.0. In order to maintain and develop the disciplin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culture contents. What is needed is inter-contents. Inter-contents are a concept that recognizes culture contents as cultural practices and focuses on the meaning of everyday life and nationality amo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inter - contents, the recognition of culture contents as cultural practice means that the culture contents should be deviated from the value of cultural value. It also emphasizes that culture content is associated with a series of cultural practices that are produced and consumed in the everyday realm of the 'ordinary* public. Finally, the fact that the inter-contents attract attention to the meaning of the national dimension means that various discourses of our society are constituted an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culture contents as the aspect of trans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