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승택 작품 연구: ‘비조각’ 개념을 중심으로

        이인범 미술사학연구회 2017 美術史學報 Vol.- No.49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Seung-taek Lee’s art works. Lee’s early works had their roots in sculpture, but he would later explore various genres under the name of non-sculpture—ranging from drawing, modern painting, objet, performance, installation, and photo-picture. Lee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figure for Korean experimental art, as evidenced by the numerous exhibitions and research under his name. One of the most notable exhibitions was the Seung-taek Lee Invitiational Exhibition in 1997, which attempted to highlight the 50 year history of Korean experimental art. Despite his importance in Korean experimental art, most exhibitions and research papers fail to consider the full picture and chronological importance of Lee’s artwork. Instead, they would only focus on the experimental aspect of Lee’s art by looking at each piece separately. Furthermore, these exhibitions and research papers would often rely on non-credible records, casting even more doubt on credibility. This article will first thoroughly analyze the existing literature on Lee’s art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I identify four phases of Lee’s art as follows: 1) while embracing the western practice of sculpture, Lee would experiment with traditional Korean objects such as totem poles and pottery, or with ordinary industrial objects such as wood, glass, vinyl, and steel. Lee would also experiment with anti-sculpture installation art with non-material elements such as smoke, fire, and wind to reflect on the memories of cultural anthropology (1955-1971). 2) Lee also combined natural objects and artificial objects—such as sculptures, white porcelain, books, currency—by using a “rope” to contemplate on their existence via methodical and conceptual thoughts (1972-1983). 3) Under the name of non-sculpture, Lee intervened in various aspects of reality such as shamanism, self-burning, environment, division of the country, and sexuality via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art (1984-Early 1990s). 4) Finally, Lee shifted his focus from 3-dimensional experimental art with objet and sculpture to a photo-picture experiment with collage, montage, painting, and drawing (1990s and after). As a result, the existing literature that focuses on the experimental aspect of non-sculpture is ironically very limited in identifying the experimental nature of Lee’s non-sculpture art. In addition, by treating photo activity as just a byproduct of installation art, the previous literature fails to account for the importance of photo-picture, which was the main focus of Lee starting from the 1990s. Lee’s art is created in the context of the national division and Korean War, industrialization, and post-industrialization, and the rapidly changing objects within this time period. There is much more to his art than the experimental aspect, which warrants a more fundamental approac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life. 이 글은 이승택(1932-)의 작품세계 연구다. ‘조각’에서 출발한 그는 ‘비조각’을 내걸며 드로잉·회화·오브제·퍼포먼스·설치·‘포토픽쳐’ 등 여러 장르를 넘나들며 실험적인 활동을 펼쳤다. 그는 한국 실험미술 50년을 조명하고자 한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이승택 초대전》(1997)을 비롯한 여러 전시와 연구들을 통해 한국 미술계를 대표하는 실험미술의 아이콘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시나 연구들이 십중팔구 그의 작품 전모나 시기별 전개를 간과한 채, 단편적 형식적으로 그 실험성에만 주목하고, 그마저 엄정하지 못한 1차적인 기록들에 의존하고 있어 매우 제한적으로 설득력을 지닌다. 이 글은 우선 그의 작품에 관한 선행 기록들이나 연구들을 엄밀히 검토하여 다음과 같이 그 전개를 4시기로 나누고 각 시기별 특징을 정리하고 있다. 1) 서구 ‘조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장승·옹기 같은 민속 오브제나 각목·유리·비닐·양철 같은 산업화 시대의 일상 재료로 형태실험을 하고, 연기·불·바람 같은 비물질적인 재료로 반조각적인 설치 퍼포먼스로 문화인류학적 삶의 기억을 불러내는 시기: 1955-1971, 2) 조각·백자·책·화폐나 돌·나뭇가지 같은 인공물과 자연사물들을 ‘줄’로 묶어 그 존재를 방법적·개념적으로 묻는 시기: 1972-1983, 3) ‘비조각’ 개념을 내걸며 설치·퍼포먼스로 무속·분신·환경·남북분단현실·섹슈얼리티 같은 삶의 현실에 개입해 들어간 시기: 1984-1990년대 초, 4) 지금까지의 3차원적인 오브제·조각 매체 실험에서 무게 중심을 사진콜라주·몽타주·페인팅·드로잉 등 이미지 실험으로 옮긴 ‘포토픽쳐’작업을 한1 990년대 이후 등. 그 결과 ‘조각’을 향한 ‘비-조각’적 실험에 주목했던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정작 그 실험성의 성격을 드러내는 데서도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게다가 사진작업은 단지 설치·행위의 기록으로 부수적으로 취급함으로써 이승택이 일찍부터 추구했고 특히 1990년대 이후엔 몰입하다시피 했던 ‘포토픽쳐’에 관한 평가가 간과되었다는 점이 확인된다. 더불어 남북분단과 전쟁, 산업화, 후기산업시대 등으로 전개되며 급변하던 사물들의 체계를 배경으로 펼쳐진 이승택의 작품은 실험성만이 아니라, 인위성과 자연성, 오브제와 삶 사이에서 살아있는 새로운 사물의 질서 모색이라는 보다 근본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요청된다.

      • KCI등재후보

        독일 민속학의 연구대상과 연구시각

        강정원 ( Jeong Won Kang ) 남도민속학회 2008 남도민속연구 Vol.17 No.-

        본 논문은 독일 민속학사의 연구대상과 연구시각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으로, 제도화를 중요한 학문 발전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독일 민속학이 1960년대 이후에 시도한 미국 문화인류학의 수용 정도도 민속학사 서술의 주요 테마로 삼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파악한 독일 민속학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일 민속학은 인간과 문화를 연구하는 범 인류학계의 학문으로 파악된다. 둘째, 독일 민속학은 정치권력과의 지나친 결탁을 통해서 학문적 자율성을 한동안 상실하였다. 셋째, 독일 민속학이 현재처럼 활성화된 것은 비판적 학문으로 자리매김함과 동시에 현재의 문화에 관심을 기울이기 때문이다. 넷째, 사회과학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자료의 수집이나 정리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독일 민속학은 문화 연구를 중점에 둔 문화학의 하나이며, 경험적이고 실증적인 방법론에 기반 한 학문으로 독일 문화뿐만 아니라 문화 일반에 대한 새로운 연구 성과를 보여 주고 있다. In this article I have aimed to explain the changing process of german volkskunde. In the analysis the sociocultural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the science, were seen very important, because the german folkloristics had depended on the political power, the Nazi regime. The german folkloristics has the next characteristics: firstly, the german folklorists have collected the traditional folkloristc materials and have systematic archives. secondly, the german folkloristics is a science, which belongs to the general anthropological sciences studying the human and cultures. thirdly, the german folklorists in part were depended to the Nazi regime. fourthly, the german folkloristics is now accepted as an important culturological science through the reflection of its past.

      • KCI등재

        Korean Buddhist Ritual Dance: Yin, Yang and Harmony

        황혜원 한국무용기록학회 2004 무용역사기록학 Vol.7 No.-

        이 연구의 동기는 본인의 무용인류학적 관심(Anthropological perspectives)에서 비롯되었다. 인간의 행위예술은 그 문화나 사회를 반영하기에, 의사소통의 매체가 되는 신체 움직임 또한 그 것을 통해 함축되어 있는 문화적 측면을 파악할 수 있음에서 착안하였다. 특히 민속무용이나 의식무용은 그 문화의 기원이나 삶의 원리, 철학 등을 찾을 수 있는 가장 기본이 되는 뿌리라고 생각한다. 이에 한국불교 의식 중의 하나인 영산제에서 행해지는 작법(나비춤, 바라춤, 법고춤)을 이 연구의 자료로 선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나비춤, 바라춤, 법고춤에 나타난 움직임의 요소들(신체, 동작, 역학적 힘, 공간, 상호관계)을 비교분석하여, 영산제의 작법에 나타난 한국의 문화적 측면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함축되어 있는 문화적 요소들이 움직임의 어떤 요소들을 통해 드러났으며, 전체적 맥락에서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 지를 살펴보는 데에 그 의의를 두었다. 또한 이 연구를 위한 방법론으로서 사용된 라반의 움직임 분석론(Laban Movement Analysis) 이 한국춤에 얼마만큼 적용될 수 있으며 그것이 어떻게 분석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스스로의 가치를 실험하는데도 그 의의를 둘 수 있겠다. 하지만 아무리 라반 움직임 분석이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한다고 하여도 이미 본인의 관점에서 걸러져 해석된 의미이기에 '완전한 객관성'이 아니라 '상대적 객관 성'이라는 것, 그리고 실제 공연이 아니라 무대에 상연된 것을 비디오를 통해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현장성에 대한 한계가 있었음을 미리 밝히고 싶다. 일반적으로 작법에 나타난 움직임의 특성으로는 상체위주의 춤사위와 몸의 대칭적 구도, 땅을 디딛는 듯한 발사위와 둥글게 굴린 팔동작이 주를 이루었으며, 절제됨과 동시에 유동적이면서 끊어지지 않는 춤사위, 반복적이고 일치된 움직임 패턴을 보여준다. 또한 라반의 움직임 분석을 통해 불교 의식무에 나타난 '음양의 조화', '정중동', 또는 '풀림과 맺힘'과 같은 한국의 문화적 그리고 철학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던 데에서 움직임 문화연구에 가치가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udy is centered on the movement component of the Korean Buddhist ritual dance and aims to explore how cultural implications occur within the work. For an investigation, Korean Buddhist ritual dance in Youngsanjae, one of Korean Buddhist ritual performance, has been selected. The performance is made up of four kinds of dance: Nabimu [Butterfly dance], Baramu [Cymbal dance], Beopgomu [Drum dance], and Tajumu [similar dance to Nabimu]. Excerpts of Nabimu, Baramu, and Beopgomu will be analyzed using LMA/BF concepts attached Motif and Labanotation. However, it limits my ability to generaliz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elements of Korean Buddhist ritual dance in an absolutely objective way. Yet, compared to interpretation, which makes more use of my subjective cultural background, observation is less subjective. The analysis of work is limited to the excerpts from the chosen dances that were mounted for a broadcast not for a real performance in the temple. Through LMA, some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of movement of Jakbeop in Youngsanjae can be found: predominant use of upper body, symmetric Body Attitude, a grounded weight with bent knee, rounded arms and the Hollowed torso in terms of Body level; Arc-like Directional and Gathering/Scattering of Shaping supported by Shape Flow; a fluid, continuous, soft but controlled quality of movement as if Stability and Mobility are coexisting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place; a 2-Dimensional spatial orientation, Peripheral Pathway with Central Tension; unison and a repetitive structure. By associating my cultural background with LMA's four Major Themes, I have found the meaning of the harmonious nature or cyclical universe through movement. A structure of unison, repetitive Phrasing, symmetrical Body Attitude and Arc-like Directional into Shaping are other examples to reflect a harmonious and endless relationship. To me, endless cycling of two opposite extremes ultimately seems to pursue the harmonious nature and this reveals how Korean people confront each other: they tend to find a way to reconcile rather than fight each other. Yin-yang and its harmony can be found not only in the motions of each dance but also in the entire structure of Jakbeop in Youngsanjae as if Nabimu has a yin quality, Baramu a yang quality and Beopgomu has a combination of both yin and yang. My interpretation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Jakbeop acts as the symbol of helping the salvation of suffering lives, and Beopgomu is performed at the end of Nabimu and Baramu, which shows the mixture of calmness with dynamics in terms of movement, as if both a yin quality of Nabimu and a yang quality of Baramu are harmonized by a combination quality of Beopgom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