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ooking for the Evidence of “Self-Evident Truth”

        Junoh Jang(장준오)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3 No.2

        창조과학에 대한 주된 비판 중 하나는 창조과학이 하나의 지식 생산 체계가 아니라 성경에 근간을 두고 있는 수사와 담론의 집합에 불과하다는 주장이다. 즉 창조과학자는 새로운 증거나 데이터를 생산하지 않고 다만 다른 과학자들의 증거와 데이터를 성경에 끼워 맞춰서 재해석하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스스로를 ‘창조과학자’라고 인식하는 이들 중 일부는 정통 과학이 요구하는 방법론을 통해서 학위를 받았으며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대학, 정부기관 등 세속적인 집단에서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창조과학자들은 개인의 신앙과 연구활동이 분리되어야 한다는 통념을 거부한다. 이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고려대학교 이은일 교수의 주도 하에 2000년대 초반부터 10여 년간 진행되었던 ‘므두셀라 프로젝트’를 분석했다. 성경 기술이 타협할 수 없는 과학적 · 역사적 사실이라는 연구팀의 믿음과는 별개로 ‘므두셀라 프로젝트’의 검증 대상이었던 ‘물층 이론’은 성경으로부터 도출되는 하나의 가설이었기 때문에 절대불변하는 진리인 성경 기술과 가변적인 과학지식 사이에서 중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창조과학자의 연구 활동을 이런 관점에서 봄으로써 창조과학자가 어떻게 ‘결론이 정해져 있는’ 연구 활동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이 가능해진다. 또한 창조과학자들이 개인의 신앙과 과학자로서의 정체성 사이의 갈등을 어떻게 해소하는지 볼 수 있다. One of the major criticisms of creation science is the assertion that creation science is not a knowledge production system but rather a collection of rhetoric and discourses based on the Bible. This means that creation scientists are not producing new evidence or data but are only reinterpreting the evidence and data produced by other scientists to make them fit in with the Bible. However, some creation scientists have received academic degrees through methodologies required by traditional science and are conducting research in secular organizations, including universities and government institutions. Creation scientists reject the common notion that personal faith and research need to be separated. How should we understand these creation scientis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decadelong Methuselah Project, led by Professor Lee Eun-il (Yi Ŭnil) of Korea University in the early 2000s. Regardless of the research team‘s belief that the Bible is an uncompromisable record of scientific and historical fact, the water canopy theory, one of the theories that the Methuselah Project aimed to verify through research, was a hypothesis derived from the Bible. Therefore it was able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immutable truth of the Bible and dynamic science. By examining the research activities of creation scientists from this perspective, it is possible to explain how creation scientists can conduct research for an already fixed conclusion. Moreover, this study shows us how creation scientists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ir personal faith and their identity as scientists.

      • KCI등재

        한국창조과학회의 창조과학교육 분석

        박광현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2 갱신과 부흥 Vol.3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reation science education of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KACR). KACR was founded in 1981 with the help of Henry M. Morris who established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ICR) in the USA. During the last 40 years, KACR has done a lot of things for Korean churches, Christians, and the society. KACR has about 1,300 members and most of them are scientists and professors. This is the reason why KACR focuses on creation science education for next generation and church members to formulate faith for the Creator, God. KACR has tried to form creation faith, to defense creation against evolution, to teach creation in public education, to make science educational books and materials, to develop scientific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on, to suggest the Good News through science with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of creation scienc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ACR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Christian education. First of all, we will survey the background and history of KACR. After then, we will analyze the meaning of ‘creation’ and ‘science’ from the creation science education of KACR.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we can find the educational aims, purposes, contents and methods of KACR. Lastly, we will discuss the meanings of creation science education of KACR. This study focuses on the educational meanings and values of creation science education of KACR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Christian education. 이 글의 연구 목적은 한국창조과학회(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KACR)의 창조과학교육을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창조과학회는 1970년 미국에서 창조과학연구소(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ICR)를 세운 헨리 모리스(Henry M. Morris)의 도움으로 1981년에 설립되었다. 한국창조과학회는 지난 40년 동안 한국교회와 성도들 뿐 아니라 사회를 위해 많은 활동을 하였다. 한국창조과학회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약 1,300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 중 상당수가 교육자이기에 설립 초기부터 다음 세대와 성도들의 창조신앙 형성을 위한 창조과학교육에 집중해 왔다. 한국창조과학회는 창조신앙의 형성, 창조의 변증을 통한 진화론 반대, 공교육에서의 창조론 교육의 시도, 창조에 근거한 과학교육 책자와 자료 제작, 창조에 근거한 과학 학술연구, 과학을 통한 복음의 제시 등 다양한 창조과학교육을 진행해오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개혁주의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창조과학회의 교육 활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한국창조과학회의 배경과 역사를 살펴본 후, 한국창조과학회의 창조과학교육에서 ‘창조’와 ‘과학’의 의미를 분석할 것이다. 이런 분석을 기반으로 한국창조과학회의 창조과학교육의 교육목적,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어서 창조과학교육의 의의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이 글은 개혁주의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한국창조과학회의 창조과학교육의 교육적 의의와 가치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 KCI등재

        이데올로기로서 과학과 방법론으로서 과학 - 이상 시 창작방법론에 깃든 "과학"의 문제

        함돈균 ( Don Kyoon Hah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6 No.-

        이 논문은 을사보호조약 체결 이후부터 식민지 시기 한국문학사를 관통하는 지배적 흐름으로 과학이데올로기에 주목한다. 당시 ‘과학’은 근대문명의 대표적이며 압도적인 표상으로서 나타나며, 이로 인해 과학은 비판적 거리를 상실한 이데 올로기적 차원으로 승격된다. 이는 개화·진보·진화 등의 문명 표상과 과학이 가치론적으로 얽히면서 과학이데올로기와 친일이데올로기의 친연성 문제를 제기하게도 한다. 이에 비해 이상에게 과학의 문제는 기술시대의 ‘근본기분’이라는 차원에서 도시인의 감각 차원으로 깊이 스며 있다. 당대 대부분의 문인들과는 달리 이상은 건축학도였기에 근대 과학의 방법론을 그들보다 더 ‘전문적으로’ 공부하고 그것으로 훈련받은 사람이었다는 사실이 그 시 전반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다. 이상에게 과학은 막연한 관념으로 습득된 문명표상이 아니라, ‘과학적 방법론’이었다. 기하학은 개별 세계를 포괄하는 추상개념을 담은 원리라는 점에서 이상에게 과학의 언어는 보편언어의 가능성으로 암시되었다. 수식과 숫자 등을 이용한 이상의 타이포그래피적 방법론은 세계를 수학적 또는 과학적 언어로 환원하려는 강박을 드러낸다. 한편 이상의 시에는 상대성원리 등 당대 근대과학의 발견을 차용한 내용들이 발견되는데, 실제 이러한 지식으로서의 과학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의 시 전반에 걸쳐 강박적이라고 할 만큼 많이 발견되는 언어의 동어반복이다. 이 동어반복은 말(기표)과 그 말이 지시하는 실제 내용이나 세계현실을 정교하게 대질시키는 ‘언어 검열’의 성격을 지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당대 지식인들 대부분이 과학표상을 문명의 발전된 미래와 등치시켰던 것과는 달리 이상의 동어반복적 진술은 말과 말이 지시하는 현실의 일치 여부를 따져 묻는 물음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전혀 다른 문학적 의미를 보여준다. 전자가 과학을 이데올로기의 차원으로 승격시킨다면, 후자의 경우 과학은 질문하고 엄격하게 검열하는 언어로서, 데카르트적 회의주의와 비슷한 효과를 수행한다고 해석된다. 이 논문은 이를 ‘이데올로기로서 과학’과 대비되는 ‘방법론으로서 과학’이라고 해석하며, 이것이 그 시에 스민 매우 중요한 창작방법론으로서의 과학주의라고 이해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cience as a method of Yi-sang‘s poem. Since Eulsa Treat(1905) most of the intellectual in the Japanese Rulling Era were captivated by the charms and the power of the science. They understood that Western science is a symbol of the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Their uncritical acceptance of Western science make it science of the ideology; ‘Western science is progressive’ Yi-sang is in contrast to other intellectual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He was professionally educated about Western science; geometry, mathematics, physics and architecture. He consider it as universal language which embrace all the cases in a formula and a principle. In his case, Western science is often used a method of poetic creation. he regard the mathematics as a clearly examination. It is a review activity. Yi’s poem show the reader repeatedly a repetition of same word. A repetition of same word in his poem is compulsive. this compulsive repetition implies that he regard his poetic creation as a method of the science. His repetiton of same word interrogates words in his life. His poetic creation checks on whether word matches reality of the word in life. In this way, his poetic creation becoming a method of the science. his comprehension about Western science quiet differ from other intellectual in his age. I think that his comprehension about Western science and his poetic creation is unique and special. They are not the science as a ideology but as a method.

      • KCI등재

        The Creation Science Movement in Korea: A Perspective from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송상용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3 No.2

        In the seventeenth century, science and religion clashed over cosm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was at extreme odds at the Galileo trials but softened in the twentieth century when the Catholic Church accepted the new science. Meanwhile, the evolutionary theory proposed in the nineteenth century lowered the status of humans to animals and damaged faith in biblical inspiration. The Scopes Trial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in the 1920s was the result of the defiance of the Protestants, who insisted on a liter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Creation science,‖ which began to thrive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in the 1960s, insisted on equal time in schools alongside evolutionary theory. After re-peated defeat in court, creation science is desperately trying to get its footing in science with a new name: intelligent design. The creation science movement that came Korea in the 1980s joined hands with Christian obscurantism and is running amok. When creationism pretends to be science, it is an unfair interference of religion in science. Creation science is a pseudoscience that cannot be accepted as science.

      • KCI등재

        The Creation Science Movement in Korea

        Sang-yong Song(송상용)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3 No.2

        과학과 종교는 17세기에 우주론을 둘러싸고 충돌했다. 갈릴레오 재판에서 최악이었던 과학과 종교의 관계는 가톨릭 교회가 20세기에 들어와 새 과학을 수용함에 따라 원만히 해결되었다. 그러나 19세기에 나온 진화론은 인간을 동물로 떨어뜨리고 성서에 나오는 영감의 믿음을 손상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1920년대 미국남부에서 있었던 원숭이재판은 성서 축자해석을 고집한 개신교의 반항이었다. 1960년대 미국 서부에서 나온 ‘창조과학’은 창조론을 진화론과 같은 시간 가르치라는 무리수를 두었고 법정에서 연패를 겪으면서 ‘지적 설계’라는 새 이름으로 발악을 하고 있다. 1980년대에 한국에 들어온 창조과학운동은 보수적인 그리스도교의 몽매주의와 손잡고 갖은 횡포를 다하고 있다. 창조론이 교회 밖으로 나와 과학을 사칭하는 것은 과학에 대한 부당한 간섭이다. 창조과학은 용납할 수 없는 사이비과학이다. In the seventeenth century, science and religion clashed over cosm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was at extreme odds at the Galileo trials but softened in the twentieth century when the Catholic Church accepted the new science. Meanwhile, the evolutionary theory proposed in the nineteenth century lowered the status of humans to animals and damaged faith in biblical inspiration. The Scopes Trial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in the 1920s was the result of the defiance of the Protestants, who insisted on a liter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Creation science,” which began to thrive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in the 1960s, insisted on equal time in schools alongside evolutionary theory. After repeated defeat in court, creation science is desperately trying to get its footing in science with a new name: intelligent design. The creation science movement that came Korea in the 1980s joined hands with Christian obscurantism and is running amok. When creationism pretends to be science, it is an unfair interference of religion in science. Creation science is a pseudoscience that cannot be accepted as science.

      • KCI등재

        Looking for the Evidence of “Self-Evident Truth”: Creation Scientists’ Research and Identity Examined through the Methuselah Project

        장준오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3 No.2

        One of the major criticisms of creation science is the assertion that creation sci-ence is not a knowledge production system but rather a collection of rhetoric and discourses based on the Bible. This means that creation scientists are not produc-ing new evidence or data but are only reinterpreting the evidence and data pro-duced by other scientists to make them fit in with the Bible. However, some crea-tion scientists have received academic degrees through methodologies required by traditional science and are conducting research in secular organizations, including universities and government institutions. Creation scientists reject the common notion that personal faith and research need to be separated. How should we un-derstand these creation scientis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decade-long Methuselah Project, led by Professor Lee Eun-il (Yi Ŭnil) of Korea Universi-ty in the early 2000s. Regardless of the research team‘s belief that the Bible is an uncompromisable record of scientific and historical fact, the water canopy theory, one of the theories that the Methuselah Project aimed to verify through research, was a hypothesis derived from the Bible. Therefore it was able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immutable truth of the Bible and dynamic science. By examining the research activities of creation scientists from this perspective, it is possible to explain how creation scientists can conduct research for an already fixed conclu-sion. Moreover, this study shows us how creation scientists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ir personal faith and their identity as scientists.

      • 과학을 테마로 한 3D 타입의 표현에 관한 연구

        김성운(주저자) ( Sung Woon Kim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5 정보디자인학연구 Vol.24 No.-

        과학과 예술의 태동은 ‘창조’라는 한울타리에서 기인하였다. 과학의 수혈을 받은 첨단 시각예술인 3D 타입은 기발한 상상력과 창의력으로 계발되고 있다. 특히 눈부신 컴퓨터 과학기술에 의해서 창작되는 3D 타입은 획기적 진보를 가져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학·화학·물리학·공학·수학 등 과학을 주제로 한 3D타입의 표현을 분석하여 디자이너들에게는 과학 마인드와 창발력을 유발시키고, 감상자에게는 고도의 첨단적인 미(美)를접하게 하는 데 있다. 과학을 주제로 한 3D 타입의 표현 특징을 5부문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첫째, 의학을 테마로 한3D 타입은 주로 인체를 모티브로 한다. 둘째, 화학을 테마로 한 3D 타입은 주로 화학 소재를 사용한다. 셋째, 물리학을 테마로 한 3D 타입은 주로 물리학 이론을 토대로 제작한다. 넷째, 공학을 테마로 한 3D 타입은 주로 첨단 IT· 재료 공학을 적용한다. 다섯째, 수학을 테마로 한 3D 타입은 주로 수학 공식·기호·숫자를 리메이크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한 작품은 42점으로 빈도수에서 의학·화학·물리학·공학·수학 순으로 나타났다. 과학을 테마로 한 3D 타입은 과학과 예술의 협업이 일상화되고 과학이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며 발전하기 때문에 미래가 기대된다. The beginning of science and art in the past results from a fence of ``Creation.`` 3D type up-to-date visual art, which received a science injection, is being enriched through novel imagination and creativity. Particularly, the 3D type which is created by the brilliant computer science &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epoch-making progres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novate scientific mind and creativity for designers, and to get an appreciator to be in contact with a higher level of up-to-date beauty through the analysis of science-themed 3D type expression, such as medical science, chemistry, physics, and mathematics, etc.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cience-themed 3D type expression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that first, medicine-themed 3D type uses a motive of mostly the human body; second, that chemistry-themed 3D type uses mostly the chemical materials; third, that physics-themed 3D type applies mostly the high-tech IT material engineering; Fourth, engineering-themed 3D type mostly applies high-tech IT material engineering. and fifth, that mathematics-themed 3D type remakes mathematical formula, sign, and numbers. The analysed work was found to be 42 points, and appeared in the order of medicine, chemistry, physics, engineering and mathematics in its frequency. The future of science-themed 3D type is expected as its cooperation between science and art is becoming a daily routine, and science is developing through daily transformation.

      • KCI등재

        칼빈의 자연과학 이해

        이신열 ( Samuel Y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57 No.-

        이 글은 칼빈의 자연과학 이해를 적응이론, 하나님의 피조물로서의 자연, 구체적 자연과학에 대한 이해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서 살펴보는 글이다. 먼저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그의 적응이론을 살펴보았는데 이 이론을 통해서 칼빈이 이해한 하나님의 절대적 능력이 어떻게 그의 창조론에 영향력을 행사했는가를 파악할 수 있었다. 태초에 6일 동안에 창조가 이루어졌다는 사실 자체가 하나님께서 인간의 이해 능력에 맞추어서 이를 행하셨음에 대한 증거에 해당된다. 또한 하나님의 피조물로서의 자연 이해에 있어서 피조세계는 하나님께 전적으로 의존적이며 그의 능력에 의해서 유지된다는 사실이 먼저 지적된다. 이와 더불어 칼빈은 자연에 불확정성과 불안정성이 내재해 있다는 사실을 천체의 움직임, 물, 그리고 지구의 위치 등을 통해서 설명했다. 이런 설명들을 통해서 칼빈이 당대의 과학, 즉 자연철학에 대한 문외한이 아니라 상당한 자연과학적 지식을 소유했다는 사실이 확인될 수 있었다. 칼빈은 한 걸음 더 나아가 당대의 자연을 탐구하는 원리나 법칙들로서 설명될 수 없는 자연적 현상 이면에 숨겨져 있는 하나님의 능력을 드러내면서 이를 높이고 찬양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특히 칼빈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의 원리를 수용하면서도 이 원리에 위배되는 다양한 자연 현상들 (예, 물이 지구표면 위를 완전히 뒤덮지 못하고 지면이 물위로 솟아난 경우)이 하나님의 직접적인 능력과 섭리의 결과에 의해 가능하게 되었다고 간주했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체적 자연과학으로서 천문학 또는 점성술에 대한 이해는 사실상 참된 점성술과 거짓 점성술에 대한 분별로 귀결되어 나타났다. 칼빈은 다른 학문들과 마찬가지로 천문학을 긍정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천문학과 점성술은 그 자체로서 인간에게 유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로 이해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소위 ‘재판적 점성술’에 대한 비판에 있어서 칼빈은 우주와 자연에 나타난 하나님의 질서를 왜곡하여 만물의 미래를 판단하려는 이들의 어리석음과 이로 인한 폐해들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신랄하게 비판했다. 자연과학에 대한 칼빈의 기본적 입장은 과학적 지식을 추구하는 자들이 그들의 연구 결과를 사리사욕을 위해 악용하거나 왜곡하지 아니하고 우주와 자연에 나타난 하나님의 질서를 올바르게 탐구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유익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나타나야 한다는 주장에 의해 잘 드러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view Calvin's understanding of natural science in following three points: theory of accommodation, nature as God's creation, and understanding of specific natural science. First, in our explanation of his theory of accommodation, we have been able to grasp how Calvin's understanding of God's absolute power influenced his doctrine of creation. The fact that God created all things in six days is an evidence that God did it in accordance with human ability to understand. Calvin, dealing with nature as God's creation, pointed out the creation is totally dependent on God and sustained by His power. Calvin did not forget to mention that there is uncertainty as well insecurity inherent in nature. Evidences for these are seen in motions of stars, water, and position of earth. By explaining these phenomena Calvin proved himself to have a considerable knowledge in the matters of natural philosophy at that time. Furthermore, Calvin revealed and praised the power of God hidden in explicable natural phenomena. Calvin, accepting the principle of natural philosophy advocated by Aristotle, showed that there are many phenomena violating this principle (e g. water not completely covering the earth). It was his argument these phenomena are made possible by immediate power of God and his providence. Finally, in his assessment of astronomy or astrology as specific natural science, Calvin focused his attention on distinguishing between true and false astrology. Astronomy or astrology was basically considered a discipline of natural science bringing benefit to human life. However, in his critic on 'judiciary' astrology, Calvin was keenly aware of the danger of distorting God's order established in the universe and estimating the future of all things according to this discipline. Calvin's basic attitude toward natural science can be seen in his argument all who are pursuing scientific knowledge should not be distorting its truth for the sake of his or her private benefit. Calvin believed that by properly searching the order found in the universe, natural science can be useful for all people.

      • 과학시대의 목회적 돌봄

        장재호(Jae-Ho Ja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22 신학과세계 Vol.- No.102

        현대 과학의 발전과 함께 목회 현장에는 새로운 질문들이 제기되고 있다. 무신론적 과학주의자들은 과학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성서의 창조, 기적, 종교 경험 등을 인정하지 않는다. 뇌 과학의 발전으로 인간의 모든 행동이 뇌의 작용으로 설명 가능하기에 인간에게 자유의지란 없다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진화 생물학, 빅뱅 우주론 등이 제기하는 우주와 생명에 대한 이해는 기독교적 가치관과 쉽게 조화되지 않아 보인다. 목회적 돌봄은 가치관의 혼란으로 인해 실존적 고민 중에 있는 사람들을 포함해야 한다. 특히 학교에서 진화론을 포함한 자연과학을 배우며 혼란을 느끼고 있는 청소년들, 과학을 전공하며 자신의 전공 분야와 교회의 가르침 속에서 갈등을 느끼는 신앙인들, 무신론적 과학주의자들의 공격으로 인해 기독교 신앙에 본질적 회의를 느끼는 기독교인들 모두가 돌봄의 대상이다. 따라서 필자는 본 논문에서 현대과학이 제기하는 여러 신앙적 난제들에 대해 어떻게 목회적 돌봄을 제공할 수 있을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먼저 창조과학과 지적 설계에 매료되어 과학과의 대화를 거부하는 기독교인들에게 어떻게 과학신학의 입장에서 목회적 돌봄을 제공할 수 있을지를 탐구할 것이다. 이어서 진화 생물학, 빅뱅 우주론, 양자역학 등이 기독교 신앙과 어떻게 조화될 수 있을지를 고민하며, 과학 이론과 기독교 신앙의 건전한 대화가 과학시대를 살아가는 기독교인들에게 상당한 유익을 제공할 수 있음을 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복음을 각 시대의 언어로 해석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논하고, 결국 이것이 목회적 돌봄에서 꼭 필요한 것임을 강조할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new questions are being raised in the field of ministry. Atheistic scientists do not accept biblical creation, miracles, and religious experiences that are not scientifically explained. With the development of brain science, there are scholars who argue that human beings do not have free will because all human behavior can be explained by the operation of the brain. It seems that it does not easily harmonize with the Christian value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 and life suggested by evolutionary biology and the big bang cosmology. Pastoral care should include those who are in existential distress because of the confusion of values. In particular, youth who are confused while learning natural sciences including evolution at school, believers who major in science and feel conflict between their field of study and the teachings of the church, and those who feel fundamental skepticism about the Christian faith due to attacks by atheistic scientists are subject to pastoral care. Therefore,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consider how pastoral care can be provided for the various religious challenges posed by modern science. First, we will explore how to provide pastoral care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tific theology for church members who are fascinated by creation science and intelligent design and refuse to communicate with science. Next, we will consider how evolutionary biology, big bang cosmology, quantum mechanics, etc. can be reconciled with the Christian faith, and discuss that a healthy dialogue between scientific theory and Christian faith can provide significant benefits to Christians living in the scientific age. Finally, we will discuss the importance of interpreting the gospel in the language of each age, emphasizing that it is essential in pastoral care.

      • 과학신학 연구방법론: 과학과 신학의 대화의 방향성

        장재호(Jaeho Jang) 감리교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세계 Vol.- No.99

        복음이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토양이 상당히 중요하다. 현대는 과학이 중요하게 부각되는 시대이기에 현대의 신학은 반드시 과학과 대화를 해야 한다. 특히 다윈의 『종의 기원』의 등장은 신학계에 여러 가지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본 글은 지금까지의 과학과 신학의 대화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고, 앞으로의 대화가 어떻게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 글이다. Ⅱ장에서는 과학과 신학 간에 바람직하지 못한 대화를 추구한 “창조과학” 운동과 “지적 설계” 논쟁을 다룰 것이고, Ⅲ장에서는 과학과 신학의 경계 논쟁을 짚어볼 것이다. “상대주의적 과학관”의 등장은 과학의 정의에 새로운 논의를 불러 일으켰는데, 이로 인해 과학과 신학의 경계에 대한 논쟁이 등장했다. Ⅳ장에서는 과학신학 연구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과학적 무신론에 대한 대응 방향과 앞으로의 과학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고찰해 볼 것이다. 결론에서는 글을 마무리하며, 과학신학의 가능성과 한계점을 간략히 논할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과학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하나님의 창조 사역이 현대 과학과 모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과학의 도움으로 더욱 생생하게 드러나게 됨을 논증하는데 있다. 또한 과학신학이 어디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필자의 생각을 나누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methodology of a scientific theology, focusing on the dialogue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I analyze the past and present dialogue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to give direction to the future study of “scientific theology.” The main discussion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I expound “creation science” and “intelligent design” as undesirable conversations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The second part focuses on the boundary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Relativism and the demarcation problem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deserve the fullest consideration to improve research. The third part of the main discussion relates to the recent research trend of scientific theology and my suggestion for its future study as a challenge against the New Atheists. After providing a short summary of the key points raised, I conclude with suggestions regarding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scientific theology. I hope that these reflections will add scholars in the comparative study of science and theology and help Christians who live in a scientific age to gain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th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