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주대도시권의 중추기능 강화방안 연구

        양철수 ( Chul Su Yang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4 지역개발연구 Vol.46 No.1

        본 연구는 광주대도시권의 발전전략으로써 지역발전의 중추기능을 일자리·업무, 교육, 문화·관광 및 쇼핑으로 세분하고 이를 토대로 각 분야별 중추기능 강화 방안을 도출한다. 일자리·업무 중추기능 강화방안으로 산업단지를 창조경제의 거점으로 육성하고, 또한 지식기반 산업을 확충해야 한다. 그리고 교육 중추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특화된 연구 및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산학협력을 집중 지원하여 지역 내 선순환적 인력 수급체계를 형성해야 한다. 특히, 실무형 인재양성을 위해 현장적합성이 높은 대학 교육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문화·관광 및 쇼핑 중추기능 강화방안으로 지역특성을 살린 도시환경 조성 및 아시아문화전당과 연계할 수 있는 관광인프라 및 컨텐츠 개발로 국가의 문화·관광 중추기능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derives the reinforcement plan of core managerial function of Gwangju metropolis dividing the area development`s main functions into work, education, culture and tourism and shopping. As the ideas of strengthening the main function of the job, job creating industrial parks as a base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expansion of knowledge-based industries should be expanded. And we need specialized training in order to reinforce the main function with the university research and technology cooperation to focus mainly on the local support system to form a recruit virtuous system. Especially,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suitability of the site should be formed. Enhanced cultural, tourist and shopping hub measures utilizing characteristics of urban areas and the environment that can be associated with ACC tourism infrastructure and content development, culture and tourism of the country should be in charge of the central features.

      • KCI등재

        (기획논문) 1980~90년대 부산 기업의 역외이전

        김대래 ( Dae Rae Kim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6 항도부산 Vol.32 No.-

        본 논문은 1970년대 말 이후 부산에 입지하였던 기업들의 역외이전에 관한 것이다. 부산기업의 역외이전은 1980년대 이후 부산경제 침체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지만, 정작 이전의 실태에 관해서는 거의 분석이 없었다. 그러한 연구상의 공백을 메움과 동시에 기업이전의 영향과 의미에 관해 파악해 보려고 하였다. 부산의 기업이 역외로 이전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후반부터였다. 부산기업의 역외이전은 과잉성장의 결과였는데, 부산이 감당할 수없는 속도로 팽창하면서 과잉성장 도시의 한계가 드러났기 때문이었다. 인구의 증가는 주택수요의 증가와 함께 지가상승을 가져왔고, 공업용지의 고갈은 기업의 투자를 저해하였다. 더욱이 부산은 서울과 함께 성장억제도시로 지정되면서 부산 역내에서의 공장 신·증축에는 높은 지방세가 부과되었다. 이러한 상황의 복합적인 결과로 1970년대말부터 부산의 기업들은 역외로 떠나기 시작하였다. 부산에서 상대적으로 비싸진 토지를 팔고 대신 부산 외곽지역에서 싸고 넓은 용지를 찾아 떠나는 것이 역외이전의 핵심이었다. 부산의 지가를 인근지역보다 낮추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에서 이윤극대화를 위해 입지를 결정하는 기업의 행동을 규제하기는 어려웠다. 용지의 확보가 이전의 가장 핵심적인 원인이었다는 것은 실태조사에서도 밝혀졌다. 부산을 떠난 기업들은 주로 대부분 양산과 김해에 자리 잡았다. 부산의 주력업종인 기계금속과 화학고무업종 등 주력업종 업체들이 역시 많이 이전하였다. 그리고 기업규모가 클수록 먼저 이전하였다. 1980년대까지 이전기업 숫자 자체는 많지 않았지만 정작 큰 기업들은 이 때 많이 이전하였다. 이전업체수가 급속히 증가한 것은 1990년대 이후였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체도 이전하기 시작하였다. 그와 함께 수도권으로의 이전도 늘어났다. 정보통신산업의 발전과 함께 더 넓은 시장을 찾아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새로운 흐름이 나타난 것이다. 부산기업의 역외이전은 부산경제 특히 제조업의 침체를 가져오는 원인이 되었다. 대기업이 떠나면서 제조업의 구조조정은 지연되었고, 새로운 산업을 받아들일 투자도 지체되었다. 대기업이 가지고 있는 혁신역량을 충분히 누릴 수 없었던 부산경제가 성장의 활력을 유지하는 것은 어려웠다. 기업이전이 시작되었던 시기부터 제조업의 상대적 침체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부산제조업은 비중하락을 겪었다. 그 결과 전국에서 점하는 부산경제의 비중이 동반 하락하면서 일자리의 부족과 인구유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런 한편 부산기업의 역외이전은 부산경제의 광역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부산경제의 광역화는 반쪽 광역화였다. 중추관리기능의 집적이 상대적으로 약한 부산은 서울과는 달랐다. 대도시 성장억제정책의 주된 목표였던 서울의 집중현상은 해소되지 않고 오히려 부산의 성장만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하였다. 서울은 제조업을 인근지역으로 보내고 중추관리기능을 중심으로 한 산업을 발전시켰지만 부산은 그러지 못했다. 부산기업의 역외이전과 함께 온 경제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은 결국 산업용지의 확보를 통한 기업의 유치와 중추관리기능의 확충이될 수밖에 없다. 새로운 기업을 부산으로 유치하고 떠나간 기업까지부산경제의 순환권내로 끌어들여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부산으로의 기업이전이 많아지고 광역교통망이 확충되는 것은 부산기업의 이탈이 가져왔던 침체를 극복하는 새로운 경향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bout Busan companies migration since the late 1970s. This phenomenon has been attributable to downturn of Busan``s economy after 1980s, bu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done on the period prior to 1980s. This paper fills the gap in the current discourse on this issue. It also tries to analyze impacts and implications of migration of these companies. It was late 1970s that companies in Busan started moving out of the city. This movement was a result of overgrowth of Busan; an overly expanded city, Busan, exposed its own limitations of exaggerative growth. Growing population brought increasing price of lands with increasing demand on housing, thereby absorbing lands available for industrial sites. This hindered further investment on companies. During that time, as Busan was advised to control overgrowth, the government levied high council tax on newly built factories. Under such circumstances, firms started to leave Busan since the late 1970s. The main point of firms`` migration is to find cheap and spacious land while selling comparatively expensive Busan``s land. It was hard to prevent firms from leaving Busan for seeking higher profits under the circumstance that it was impossible to decrease land prices of Busan. A fact-finding committee also found that securing spacious land was a key point of moving out from Busan. Firms that had left Busan mainly relocated in Yangsan and Gimhae. Busan``s core businesses--machine metal, and rubber chemicals-- also transferred. The larger a firm was, the earlier it made its move. The absolute number of firms moving out of Busan was small until 1980s, but all the more most of big firms swiftly made their move first during this time. It was after 1990s that the number of firms moving out increased dramatically. From 2000s, not only manufacturing industry, but also service industry started to move out from Busan. At the same time, transferring into the capital area also increased; that means, as IT industry developed, related industry began to move to the capital area, seeking out new markets. The migration brought downturn in Busan``s economy, especially manufacturing one. As big firms left, manufacturing industry``s restructuring was delayed, and investment on new industries was also deferred. Busan, incapable of enjoying big firm``s innovative capabilities, was difficult to maintain vitality in economic growth. As a result, Busan``s economy that once partakes larger part of national economy started forming smaller part of it, thereby bringing a jobs crunch and population outflow. On the other hand, Busan firms`` transfer widened the range of economic activities of Busan. However, this expansion was not completely successful in that, for example, Gimhae and Yangsan, main areas that firm transferred, did not operate primarily based on Busan network but on other cities. This means that Busan``s role as a core managerial function was much weaker than Seoul. Busan``s weakness could not resolve the over-dependency on Seoul-centered economic bloc, but also failed to stir Busan``s economic growth. Seoul successfully transferred firms to outskirts and continued to play its role as a core managerial function, but Busan failed to follow the same path as Seoul did. The way to resolve Busan``s economic depression following the migration of firms should lie in acquiring a core managerial function through alluring firms within Busan city by securing industrial sites. This is because it is important to allure rising, new companies into Busan, and, moreover, to make companies that had left before come back to Busan``s sphere of influence. The recent trends including firms`` transfer into Busan and expansion of metropolitan transportation network are to overcome economic downturn that was resulted from previous migration of firms.

      • KCI등재

        한국의 중앙 집중화의 동인에 관한 검토

        안영진 국토지리학회 2006 국토지리학회지 Vol.40 No.1

        This study analyzes the main causes of central concentration in and around the national capital of Korea, Seoul. The causes have been recently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the new administrative capital and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Especially, my analysis focuses on structural mechanisms and dynamics of the central concentration rather than the indicators and partial factors of it. Therefore, the paper firstly undertakes the theoretical discussion for the analysis of the problematic spatial phenomenon, and secondly examines the historical,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dimensions of the problem. This article finds out that the central concentration has been driven by not only the unitary state system which was dominant in Korea but also by the accumulative agglomeration of the headquarters and related core managerial functions of major business conglomerates in Seoul and its surrounding areas. A spatial bias, a deep-rooted cultual-psychological orientation toward the Capital Region of Korea, also has aggravated the central concentration in the region. 이 글은 최근 신행정수도와 행정복합중심도시의 건설을 둘러싸고 제기된 우리나라의 중앙 집중화의 발생 동인과 배경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수도권의 과대과밀에 대한 현상적인 설명과 그 실태에 대한 지표적 분석보다 수도권 집중의 구조적 역학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이 글은 먼저 중앙 집중화를 설명할 수 있는 지리학 안팎의 이론을 검토하고, 뒤이어 그 동인과 관련된 다양한 배경과 구조, 동학을 설명한다. 우리나라의 중앙 집중화는 기본적으로 관료주의적 중앙집권체제의 발달에 기인하며, 또한 1960년대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등장한 대기업 본사의 입지 등에 따른 서울로의 경제력 집중과 연계되면서 가속화되어 왔다. 더군다나 중앙 지향적 공간편향과 서울이 제공하는 각종 자원과 가치를 공유하려는 사회문화적 심리구조가 중앙 집중화를 강화시키는 상승작용을 불러왔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