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작용 공정성과 과업성과

        손승연(Seung Yeon Son),박희태(Heetae Park),윤석화(Seokhwa Yu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3 인사조직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구성원이 사회적 맥락 속에서 대인관계, 특히 상사의 태도 및 행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분배 및 절차 공정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관심이 제한적이었던 상호작용 공정성에 초점을 두고 조직 효과성의 핵심인 구성원의 과업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선행연구들의 공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는 상호작용 공정성과 구성원의 과업성과 간에 내재된 메커니즘의 일부를 밝히고자 하였다. 총 255쌍의 상사-구성원 자료를 토대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분배 및 절차 공정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구성원이 측정한 상사의 상호작용 공정성은 상사가 측정한 구성원의 과업성과와 유의한 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상사의 상호작용 공정성은 리더인정 및 심리적 계약 이행을 통해 구성원의 과업성과를 증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연구관심이 저조하였던 상호작용 공정성에 초점을 두고 과업성과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는 것과, 상호작용 공정성이 리더다운 리더로 인식되는 효과적인 방법이자, 상사 개인의 문제뿐 아니라 조직에 대한 평가 및 인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시사점이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Researchers studying the concept of justice in the workplace have linked fair treatment to a number of beneficial employee attitudes and behaviors. Some of those studies have focused on distributive justice, which reflects the perceived fairness of decision outcomes. Other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procedural justice which is the perceived fairness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Still other researchers have focused on interactional justice, which means the quality of the interpersonal treatment people receive when procedures are implemented. When compared to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has “day-in day-out” significance that the other justice dimensions may not possess. That is, whereas the concepts of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re somewhat bounded as relatively infrequent types of exchanges, interactional justice can be judged in virtually any encounter between supervisors and subordinates. Therefore, employee’s reactions, such as task performance, are expected to be more directly influenced by interactional justice. Despite the theoretical implication and practical importance of interactional justice in organizational settings, scholars have devot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the interactional justice-task performance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existing organizational research on interactional justice and task performance, mostly conducted in the West, has showed relatively mixed results, with some studies demonstrating a significant relationship and others failing to support the linkage. One possible interpretation of the unclear relationship is that from a cultural standpoint, westerners concentrate more on the rules and procedures of the organization (Cohen-Charash & Spector, 2001), and so are less sensitive to supervisor-related justice. In contrast, Asians emphasiz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spect for authority, and dependence on superiors (Tripathi, 1990), and are, therefore, more sensitive to interactional justice. In other word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task performance in an Asian context could yield informative results to both add to and explain the body of existing literature. In particular, researchers still do not adequately understand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interactional justice affects an employee’s task performance due to the mixed results found in the existing literature. According to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contract literature, leader endorsement and psychological contract fulfillmen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task performance. Based on that premise, for this study we developed and empirically tested the following hypotheses: H1: Interactional justice is positively related to task performance. H2: Leader endorse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task performance. H3: Psychological contract fulfill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task performance. Separate employee and supervisor surveys were conducted on 360 employee-supervisor dyads from several Korean organizations in Seoul and the Chungcheong area. Employee surveys assessed organizational justice, leader endorsement, and psychological contract fulfillment, while supervisor surveys evaluated task performance. In the employee sample, 74% were men and the average age was 34.7 years (SD = 5.9). Around 51% of the respondents had at least a bachelor’s degree and their average tenure was 6.5 years (SD = 5.3). In the supervisor sample, 93% were men and the average age was 44.3 years (SD = 5.5). Approximately 53% of the respondents had at least a bachelor’s degree and their average tenure was 12.4 years (SD = 7.3). In the data analysis, several demographic variables were controlled for in order to rule out alternative explanations for the findings, and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were used as contro

      • KCI등재

        조직공정성과 회사의 심리적 계약위반의 인식이 조직몰입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안모델의 탐색

        홍계훈(Hong, Gye-Hoon),윤정구(Yoon, Jeongkoo) 한국인사관리학회 2013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7 No.1

        본 연구에서는 조직공정성(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정보공정성)과 회사의 심리적 계약 위반 간의 관계 및 이들이 조직몰입 및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밝히고자 한다. 조직공정성은 조직이 자신을 공정하게 대우하고 있는 지에 대한 구성원들의 주관적인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회사의 심리적 계약위반은 조직이 지켜야할 의무를 얼마나 잘 이행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지에 바탕을 두고 있다. 만약 조직이 자신을 공정하게 대우하고 않는다는 인식은 회사가 지켜야할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는 인식을 키우게 되며, 회사가 심리적 계약을 위반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회사가 심리적 계약을 위반했다는 인식은 조직 및 직무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 및 태도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들을 밝히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매년 이루어지는 한국종합사회조사 데이터에서 2000년도와 2005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2000년도에는 분배공정성 및 절차공정성, 정보공정성 등에 대한 인식들이 높아질 수록 회사의 심리적 계약위반에 대한 인식이 감소되었으며, 심리적 계약위반에 대한 인식이 감소될수록 조직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05년에서는 분배공정성과 정보공정성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회사의 심리적 계약위반에 대한 인식이 감소되었으며, 심리적 계약위반의 인식이 감소될수록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절차공정성은 회사의 심리적 계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절차가 공정하지 못하다고 인식할수록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clarify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of organization, and the influence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tress. First of all, we hypothesize that the antecedents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would be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formational justice. When employees create the psychological contract with their organization, they gather the various social cues or contextual informations in the organization and interpret what the obligations of organization are.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of organization may induce employees negative attitudes or emotions toward the organization or the job itsel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implies unmet expectations and induces low trust toward organization. These unmet expectations and distrust may invoke negative attitudes or emotions toward the organization or the job. Additionally, we test a mediating role of the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utcomes. The hypothesized model is tested by the data of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year 2000, 2005). To distinguish between concept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of the firm was supported through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there was the mediating role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e two outcomes (i.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tress) through the results of linea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 KCI등재

        정의(Justice)에 대한 목적론적 접근-리쾨르(P. Ricoeur)의 롤즈(J. Rawls)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과해석을 중심으로-

        김기복 한국하이데거학회 2013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33

        This paper aims at showing how P. Ricoeur J. Rawls’s deontological theory of justice accepts dialectically while he criticises it. By doing this, this paper tries to suggest which significance in dispute over justice in modern political philosophy P. Ricoeur’s theory of justice has. First, this paper suggests that P. Ricoeur’s teleological theory of justice has its own important charateristic unlike some communitarians in that it regards ‘distributive justice’as its central concept. While communitarians regard ‘loyalty to the contry’ or patriotism as their central concepts instead of justice, he tries to reconstruct the concept of justice itself. Second, on one hand, P. Ricoeur shows that J. Rawls’s deontological theory of justice is based on teleological theory of justice, on the other hand, he argues that sense of justice on which teleological theory of justice depends ultimately must pass through the test of norm, which is the key concept of deontological theory of justice. In that sense, he accepts J. Rawls’s ‘reflective equilibrium’ and regards it as a excellent theory which explains the dialect of norm and sense of justice. Finally, on one hand, P. Ricoeur shows that universalism of deontological theory of justice always gives rise to many conflicts when it applies its principle to concrete situations, on the other hand, he argues that teleological theory of justice needs to accept the stimulus of universalism since teleological theory of justice is always inclined toward relativism and contextualism. In that sense, he tries to reconciles univeralism with contextualism in modern political philosophy. In conclusion, P. Ricoeur tries to accept the test of norm and universalism of J. Rawls’s deontological theory of justice as a stimulus needed to the modern development of teleological theory of justice. 본 글은 리쾨르가 어떻게 롤즈의 의무론적 정의론을 비판하면서도 그것을 그의 목적론적 정의론 안으로 변증법적으로 포섭하는지를 보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리쾨르의 정의론이 현대의 ‘정의’를 둘러싼 논쟁에서어떤 의의를 가지는지를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첫째, 리쾨르는 롤즈와 마찬가지로 정의의 문제, 그 가운데 특히 분배적 정의의 문제를 자신의 정치 철학의 중심 문제로 설정하고 있다는 사실에 그의목적론적 정의론의 일차적인 특징이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리쾨르는 정의개념을 회피하되 대신 애국심이나 공동체에 대한 충직성을 제시하는 샌델이나 매킨타이어와 같은 공동체주의자들과 달리 정의 개념 자체를 목적론적으로 재설정하고자한다. 둘째, 리쾨르는 한편으로는 롤즈의 의무론적 정의론이 목적론적 정의론에 정초하고 있다는 것을 보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목적론적 정의론이 최종적으로 호소하는 것인 바, 역사적이고 문화적으로 침전되어 있는 정의감은 의무론적 정의론의 핵심 개념인 규범의 테스트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는 점을보인다. 그러한 의미에서 리쾨르는 롤즈의 ‘반성적 평형’이라는 개념을 수용하고 그것을 의무의 규범성과 공동체의 관습적인 정의감 사이의 변증법적관계를 설명하는 탁월한 이론으로 간주한다. 마지막으로 리쾨르는 한편으로는 의무론적 정의론의 보편주의는 항상 자신이 설정한 원칙의 현실적 적용에서 갈등을 양산하는 것이 사실이라 할지라도, 그리하여 항상 그러한 갈등의 최종적인 해결을 위해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맥락을 고려하는 ‘실천적인 지혜’에 호소할 수밖에 없다할지라도, 다른한편으로 롤즈와 같이 정의의 원칙을 설정하고자 하는 보편주의적 태도를취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목적론적 정의론이 경도될수 있는 맥락주의는 논의와 토론을 무용하게 만드는 바, 소위 ‘차이를 위한차이’에 대한 변명으로 끝나버릴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리쾨르는 현대 정치 철학에서 강요되고 있는 보편주의와 맥락주의의 생산성없는 대립과 적대를 벗어나, 그 둘을 생산성 있는 불화로서의 변증법적 관계로 파악하고자 한다는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리쾨르는 한편으로는 롤즈의 의무론적 정의론이 목적론적 정의론에 정초하고 있다는 것을 보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롤즈의 의무론적 정의론의 규범성에 대한 강조와 보편주의적 태도를 목적론적 정의론의 현대적인 전개에 반드시 필요한 자극제로 받아들이고자 한다.

      • 정의(Justice)에 대한 목적론적 접근-리쾨르(P. Ricoeur)의 롤즈(J. Rawls)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과 해석을 중심으로-

        김기복 ( Kim Ki-bog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3 존재론 연구 Vol.33 No.-

        본 글은 리쾨르가 어떻게 롤즈의 의무론적 정의론을 비판하면서도 그것을 그의 목적론적 정의론 안으로 변증법적으로 포섭하는지를 보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리쾨르의 정의론이 현대의 ‘정의’를 둘러싼 논쟁에서 어떤 의의를 가지는지를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첫째, 리쾨르는 롤즈와 마찬가지로 정의의 문제, 그 가운데 특히 분배적 정의의 문제를 자신의 정치 철학의 중심 문제로 설정하고 있다는 사실에 그의 목적론적 정의론의 일차적인 특징이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리쾨르는 정의개념을 회피하되 대신 애국심이나 공동체에 대한 충직성을 제시하는 샌델이나 매킨타이어와 같은 공동체주의자들과 달리 정의 개념 자체를 목적론적으로 재설정하고자한다. 둘째, 리쾨르는 한편으로는 롤즈의 의무론적 정의론이 목적론적 정의론에 정초하고 있다는 것을 보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목적론적 정의론이 최종적으로 호소하는 것인 바, 역사적이고 문화적으로 침전되어 있는 정의감은 의무론적 정의론의 핵심 개념인 규범의 테스트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는 점을 보인다. 그러한 의미에서 리쾨르는 롤즈의 ‘반성적 평형’이라는 개념을 수용하고 그것을 의무의 규범성과 공동체의 관습적인 정의감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를 설명하는 탁월한 이론으로 간주한다. This paper aims at showing how P. Ricoeur J. Rawls’s deontological theory of justice accepts dialectically while he criticises it. By doing this, this paper tries to suggest which significance in dispute over justice in modern political philosophy P. Ricoeur’s theory of justice has. First, this paper suggests that P. Ricoeur’s teleological theory of justice has its own important charateristic unlike some communitarians in that it regards ‘distributive justice’ as its central concept. While communitarians regard ‘loyalty to the contry’ or patriotism as their central concepts instead of justice, he tries to reconstruct the concept of justice itself. Second, on one hand, P. Ricoeur shows that J. Rawls’s deontological theory of justice is based on teleological theory of justice, on the other hand, he argues that sense of justice on which teleological theory of justice depends ultimately must pass through the test of norm, which is the key concept of deontological theory of justice. In that sense, he accepts J. Rawls’s ‘reflective equilibrium’ and regards it as a excellent theory which explains the dialect of norm and sense of justice. Finally, on one hand, P. Ricoeur shows that universalism of deontological theory of justice always gives rise to many conflicts when it applies its principle to concrete situations, on the other hand, he argues that teleological theory of justice needs to accept the stimulus of universalism since teleological theory of justice is always inclined toward relativism and contextualism. In that sense, he tries to reconciles univeralism with contextualism in modern political philosophy. In conclusion, P. Ricoeur tries to accept the test of norm and universalism of J. Rawls’s deontological theory of justice as a stimulus needed to the modern development of teleological theory of justice.

      • KCI등재

        헌정질서 상의 정의와 사회계약론

        이호선(Hosun LEE)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30 No.3

        17세기 이후 전개된 사회계약론은 사회와 정치권력의 형성을 합리적으로 설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로부터 권력의 정통성에 대한 규범적 기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합리적이며 건전한 의지를 지닌 개인들이 정치적 공동체에서 서로 다른 신념과 가치를 갖고 충돌할 때 사회계약론은 원시상태의 서사성과 무관하게 지금 우리가 처해 있는 현실을 규율 하는 권리와 의무를 재조명하기 위해 여전히 유용한 도구이다. 사회계약의 당사자인 인간은 개인으로 정의된다. 이 원시적 개인은 자유를 넘어 방종에 이르기 까지 무한한 갈증을 갖고 있지만 스스로 통제하지 않으면 이런 자유는 더 이상 존속할 수 없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이런 자각 위에 형성된 사회는 원시적 자유를 구속하는 규칙들과 한계들을 그 본질로 한다. 따라서 사회계약에서의 개인주의는 합의된 공통의 권위 하의 제한된 개인주의로 읽혀야만 한다. 한편 공동체는 인간이 원시적 자유와 평등을 양도하면서 잃을 것을 감수하면서 얻기로 했던 실질적인 자유와 안전을 지켜줄 책무를 지닌다. 이 점에서 사회계약이란 도덕적 유대의 성격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헌정질서 상의 정의는 사회계약의 본래 정신을 돌아보는데서 시작되어야 한다. The Social Contract Theory which had been developed since the 17th century has its goal in the reasonable explanation to the society and the formation of political power. The advocates had tried to derive the normative standards on the legitimacy of power from the social contract theory. When the individuals who are reasonable and sound will collide with each other in the political community due to different beliefs and values, the social contract theory is still a useful tool to reconsider the rights and duty which rule the reality we are in. Man, parties to social contracts are defined as individual. Although these original individuals have infinite thirst to indulgence beyond freedom, they know that such freedom cannot survive anymore if they do not control themselves. Thus the society formed upon this awareness has its essence in the rules and limitations restricting the natural freedom. So the individualism in the social contracts should be read as limited individualism under the common agreed authority. On the other hand, the community has an obligation to keep the substantial freedom and safety they wanted to secure, which could be obtained by abandoning their original freedom and equality in nature state. In light of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social contract is the moral tie. Therefore, to exploring the justice in the constitutional politics needs to start in assessing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social contracts.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Insurance Contract Laws in Europe and Korea

        김은경 한국유럽학회 2011 유럽연구 Vol.29 No.3

        The foundational efforts for harmonization of European contract law created the CFR, thereby establishing the PECL and the PEICL. One of the unique features in the PEICL is to avoid choosing professional languages that can be problematic in interpretation. In particular, it adopted the words in the PECL not to give any impression that the PEICL systemizes the English common law concepts; thus, it accepts the expressions that are internationally recognized, such as those of the international transport convention. The PEICL includes the general principles with regards to insurance contract, which can be applicable in the Member State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its implementation in legislative perspective since it is not an enforceable regulation but merely a principl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ne can suggest a system that can give an opportunity for the contracting parties to decide whether they choose the PEICL as the governing law in the contract. The aim of this argument is to help the parties choose the European law as the governing law rather than domestic law, thereby solving the problem in the legal disputes between the parties, which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completion of the internal market. Accordingly, when the contracting parties agree to decide the PEICL as the governing law, it shall be legally binding although there is a limitationon selecting a certain law under international private law. Furthermore, the PEICL stipulates the disclosure duty of the insured. The insurer has the right to obtain information from the precise and accurate a questionnaires-form in order to measure the reasonable insurance premium and to decide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In particular, the information,which the policyholder needs to provide, should include everything important he knew or should have known. The fulfilment of this duty is the passive notification duty of the insurance contracting party. Moreover the insurer has a duty to deliver the materials and documents and to explain the terms of the contract to the policyholder. The European scholars’ research and efforts for harmonization of European insurance contract law and the prominent scholars’ academic ability in the EU will be the great models to the Korean scholars when they discuss the amendment to the Korean insurance act. Furthermore, it can be an important guidepost for designing a harmonized form of insurance law of two Koreas in the future. Therefore, it will be worthy learning from the comments by the leading European scholars.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Insurance Contract Laws in Europe and Korea

        Eun Kyung Kim 한국유럽학회 2011 유럽연구 Vol.29 No.3

        유럽보험계약법을 통일하기 위한 기초적인 작업으로서 우선 계약법에 관한 공통 기준틀(CFR)의 완성되었다. 유럽보험계약법 통일화 과정에서 사법적 기초가 된 것은 유럽계약법의 원칙(PECL)이고 계약법적 원리가 일정한 부분 영향을 미쳐 유럽보험계약법의 원칙(PEICL)이 만들어지고 있다. EU회원국의 대부분의 국가가 대륙법체계를 견지하고 있지만, PEICL을 형성하는 과정에서는 유럽형 보험계약 법을 도출하고 법체계의 통합하는 차원에서 영국의 법체계나 법률용어를 상당부분 차용한 바 있다. 그러나 이 명칭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법률이 아닌 원칙으로서 만들어짐으로써 입법적 한계가 있다. 이 입법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계약당사자로 하여금 그 법규의 적용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선택적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강하게 추진하고 있다. 선택적 제도라 함은 그 법규의 적용이 계약 당사자들에게 달려있는 제도로서, 국내계약법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당사자들에게 적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보험계약당사자가 국내법이 아닌 유럽법을 계약의 근거법으로 선택하게 하여 다수 당사자간의 계약에서 생기는 법적용의 문제를 해결하고 EU가 추구하는 단일시장의 완성하자는 취지의 것이다. 또한 유럽보험계약법 원칙에 담고 있는 가장 특징적인 것은 보험소비자를 보호하려는 법규범을 정비한 것이다. 그 중의한 예가 정보제공의무나 고지의무의 수동화 등이다. 지금까지의 유럽보험계약법 통일을 위한 유럽경제사회위원회의 조력 하에서 EU 차원의 조직적인 노력과 더불어 이를 구체화시키기 위한 EU 회원국의 저명학자들의 학문적 교류는 가까이는 보험법 개정과정에서의 한국학자들에게 모범례가 될 것이며, 통일에 따라 향후 남북한이 함께 쓸 통일 보험계약법을 완성하는 데에 있어서도 특정한 방법을 엿볼 수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유럽보험계약법 통일화 작업을 통하여 유럽의 지도적인 위치에 있는 보험학자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얻고 그에 대하여 진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The foundational efforts for harmonization of European contract law created the CFR, thereby establishing the PECL and the PEICL. One of the unique features in the PEICL is to avoid choosing professional languages that can be problematic in interpretation. In particular, it adopted the words in the PECL not to give any impression that the PEICL systemizes the English common law concepts; thus, it accepts the expressions that are internationally recognized, such as those of the international transport convention. The PEICL includes the general principles with regards to insurance contract, which can be applicable in the Member State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its implementation in legislative perspective since it is not an enforceable regulation but merely a principl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ne can suggest a system that can give an opportunity for the contracting parties to decide whether they choose the PEICL as the governing law in the contract. The aim of this argument is to help the parties choose the European law as the governing law rather than domestic law, thereby solving the problem in the legal disputes between the parties, which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completion of the internal market. Accordingly, when the contracting parties agree to decide the PEICL as the governing law, it shall be legally binding although there is a limitation on selecting a certain law under international private law. Furthermore, the PEICL stipulates the disclosure duty of the insured. The insurer has the right to obtain information from the precise and accurate a questionnaires-form in order to measure the reasonable insurance premium and to decide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In particular, the information, which the policyholder needs to provide, should include everything important he knew or should have known. The fulfilment of this duty is the passive notification duty of the insurance contracting party. Moreover the insurer has a duty to deliver the materials and documents and to explain the terms of the contract to the policyholder. The European scholars` research and efforts for harmonization of European insurance contract law and the prominent scholars` academic ability in the EU will be the great models to the Korean scholars when they discuss the amendment to the Korean insurance act. Furthermore, it can be an important guidepost for designing a harmonized form of insurance law of two Koreas in the future. Therefore, it will be worthy learning from the comments by the leading European scholars.

      • KCI등재

        약관설명의무의 대상과 이륜자동차운전 - 대법원 2010. 3. 25. 선고 2009다91316, 91323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최병규 한국경제법학회 2017 경제법연구 Vol.16 No.2

        In regard of the regulation of the standard contract terms, the explanation is very important. The Korean Standard Contract Terms Act was enacted in the year of 1986. Its model was the German Standard Contract Terms Act(AGB-Gesetz). But the German Standard Contract Terms Act was moved to Civil Law(BGB) in the year of 2002. According to Korean law, the businessman should explain the important contents of standard contract terms. But it is not clear what is the important contents of standard contract terms. Generally the Korean court says that common contents, legal regulation repeating clause, well acknowledged contents do not deed to be explained. Nevertheless, it is not easy to decide which contents belong to the category that needs not explaining. The Korean court said that the extend of a house after making fire insurance does not need explaining. And alteration of a car after making automobile insurance also does not need explaining. It can be sanctioned according to § 652 Korean Commercial Law. But the businessman(insurer) should have explained the contents in the case of change of occupation. In this case(2013Da217108, Korean supreme court case) the insured has changes his occupation from student to broadcasting equipment handler after making insurance contract. What if the drive of two-wheeled motor vehicles after making insurance contract. The former court decision has decided that indemnification in such a drive should be explained. But the new court decision said otherwise. The trend of the Korean supreme court deviated from consistent direction with the excuse of justice in individual case. But it is against the legal stability. Therefore the court should find out and show consistent direction in the future. Then we can find out the willness of the court and can foresee the future cases. It is very helpful for the legal stability. The scholars should study the right directions and give critical notes to the court cases. The standard contract terms has very useful functions. The rational treatment of the international trade, standardization and quickness of a trade belong to the merits of standard contract terms. But for the consumer protection the explanation of the important standard contract terms is also very important. Therefore we should find out the rational solutions between quickness of trade and giving enough informations to the consumer. It depends on our ability and efforts for the problem solution. 약관이 계약에 편입되기 위하여서는 약관의 명시와 약관에 대한 인지가능성의 부여가 필요하다. 그중 중요한 것이 약관설명의무이다. 사업자는 약관에 정하여져 있는 중요한 내용을 고객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여야 한다. 설명의 방법은 고객에게 직접 구두로 함을 원칙으로 하나 부득이한 경우 약관 이외의 별도의 설명문에 의하여 성실하게 고객에게 설명한 경우에는 설명의무를 다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성질상 설명이 현저히 곤란한 경우에는 설명의무를 면제시키고 있다(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이하 약관규제법이라 한다) 제3조 제3항). 약관의 경우에 약관설명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를 계약의 내용으로 주장할 수 없다(약관규제법 제3조 제4항). 약관규제법과 상법 보험편의 제638조의3과의 관계가 문제된다. 판례는 약관 설명의무위반이 있었고 보험계약자가 3월내에 취소하지 않은 경우 상법 제638조의3의 해석과 관련하여 상법과 약관규제법의 중첩적용을 인정한다. 즉 보험약관의 경우에도 제대로 설명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것을 계약의 내용으로 주장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약관과 달리 설명한 경우에는 그 설명하여준 내용이 계약의 내용이 된다고 보고 있다. 그런데 법원은 보험약관에 정하여진 사항이라고 하더라도 거래상 일반적이고 공통된 것이어서 보험계약자가 별도의 설명 없이도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던 사항이거나 이미 법령에 의하여 정하여진 것을 되풀이하거나 부연하는 정도에 불과한 사항에 대하여서는 보험자에게 명시․설명의무가 인정된다고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또 보험계약자나 그 대리인이 이미 약관의 내용을 충분히 잘 알고 있는 경우에는 보험자로서는 보험계약자 또는 그 대리인에게 약관의 내용을 따로 설명할 필요가 없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에 의하더라도 구체적인 사건에서는 약관설명의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법령에 정하여진 내용이라 하더라도 국민들이 인지를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 주지성, 인지도, 입법취지 등을 고려하여 차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계약체결 이후 위험변경증가 통지의무와 관련하여 최근에 대법원은 가입시 피보험자가 대학생이었으나 사고시에는 방송장비대여업을 하는 회사에 취직하여 방송장비 운송 중 사고가 난 경우, 계약자나 피보험자가 직업변경 통지의무의 약관조항의 내용을 충분히 잘 알고 있었다거나, 해당 보험계약은 피보험자의 직업이 대학생임을 전제로 하여 체결되었기 때문에 피보험자의 직업이 방송장비대여 등 업종으로 변경된 경우에는 사고발생의 위험이 현저하게 증가된 경우에 해당하여 이를 보험자에게 지체 없이 통지하여야 한다는 점을 예상할 수 있었다고 볼 만한 자료를 찾을 수 없고, 따라서 보험자는 보험계약 체결시 문제의 약관조항을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명시․설명할 의무가 있다고 보았다. 한편 보험가입후 이륜자동차를 운전하게 된 경우에는 보험자에게 알려야 한다는 약관의 내용에 대하여 보험자에게 설명할 의무가 있는가에 대하여 과거의 판례는 설명의무가 있다고 본 적이 있으나 최근에는 구체적 사실관계에 따라서는 별도의 설명의무가 없다고 보고 있다. 그런데 법원이 구체적 타당성 구현이라는 이유로 방향이 지엽적으로 진행하여지는 경향 하에 있다. 이는 법적 안정성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관성 있는 ...

      • KCI등재

        상법보험편개정안 (2007.08.31.법무부안) '손해보험'에 관한 검토

        한창희(Han Chang hi) 한국보험법학회 2007 보험법연구 Vol.1 No.2

        이 글은 1991년 처음으로 상법 보험편을 개정한 이래 두 번째에 해당하는 법무부의 상법 보험편의 개정안 중 손해보험과 관련하여 다수보험계약의 통지의무, 보험목적의 양도, 손해방지의무, 위험의 변경증가의 통지의무 등에 관한 사항을 검토하여 합리적인 수정안을 제시하는 것을 내용을 하고 있다. 먼저, 다수보험계약의 통지의무에 관한 상법개정안 제672조의2에 대하여 통지의무를 위반한 경우의 효과에 대하여 고지의무위반에 관한 상법 제651조의 효과에 준하여 처리하고 있는데 대하여 보험계약자 측의 도덕적 위험의 방지를 위하여 상법개정안의 내용에 찬성한다. 둘째, 이 개정안 679조에 대하여 보험목적의 양도에 관한 법률관계를 명확히 하고 당사자의 이익을 조정하는 점에서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다만 동조 제4항의 해지의 효력발생시점에 10일의 예고기간을 두는 것은 지나치다고 판단되고, 즉시 효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하며 구체적인 효력발생시점은 약관의 정함에 따르면 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보험료에 대한 지급채무자를 프랑스보험법의 예에 따라 명확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손해방지의 문제는 보험사고 발생후 보험계약자 측이 추가손해를 방지하기나 경감할 의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의무가 있다면 이를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보상액과 그 비용의 합계액이 보험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어느 정도까지 보상하여야 하는가 등이 문제된다. 이 쟁점은 또한 고의 또는 중과실로 인하여 생긴 보험사고에 대하여 보험자의 보상을 제외하고 있는 현행 보험계약법의 체계와 연계되어 있고, 어느 범위까지 손해방지의무와 그 위반의 효과를 인정하고 손해방지비용의 보상의 범위를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가는 입법례마다 다르다. 손해방지의 의무와 그 비용의 보상에 관한 이 개정안 제 조는 학계에서 논의된 쟁점을 680 독일보험계약법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제시되고 있지만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보다 종합적인 검토를 통하여 합리적인 개정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넷째, 위험의 변경증가의 통지의무에 관한 우리 상법 652조와 653조의 규정에 대하여서는 유럽의 논의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Recently Korean department of justice published the proposal of Korean Insurance Contract Act. This paper reviews major issues about property insurance, such as duty to notify many insurance contracts, the transfer of the property insured, the duty to mitigate the loss, aggravation of risk during the insurance period. First, the writer agrees with the proposal §672-2 concerning duty to notify many insurance contracts, for it will prevent the insured' from getting unlawful proceeds by concluding many insurance contracts on the same property. Second,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revocation of the insurance contract owing to the transfer of the property insured would become immediately effective. Third, revised commercial act proposal §680 ③ provides that the insures indemnify the costs to mitigate the loss over the insured amount only in case of insures' instructions. But the author proposes that the insureds be paid the money over the amount insured under emergencies. Fourth, Europe Union has reviewed major issues concerning the insurance contract, and according to professor Malcolm Clark in Cambridge University it will publish model proposals about European insurance contract. Among them there is the issue about the aggravation of the risks during insured period. The author asserts that Korean commercial act §652, 653 should be overhauled in view of the global standards.

      • KCI등재

        계약구속력의 근거에 관한 법이론적 고찰

        김서기(Kim, Seo-Gi)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圓光法學 Vol.27 No.1

        A human is assumed as rational by Chales Fried's Promissory Theory based on the classical contract theory and Law and Economics grounded on the classical economics alike. However, if, in reality, humans suffer from the bounded rationality which is serous, a state interference may be necessary. Patrick Atiyah argues on this recognition that the ground for the binding force of contract is the action of detrimental reliance, etc rather than the contract party's intent. By the way, it is promise principle which supplies a ground of commitment that justifies such a reliance. In other words, the ground for such a reliance also is a contract party's intent(in this case, a promisor's intent). For this reason, Atiyah's argument seems to be unacceptable. To solve the problem of bounded rationality, contract parties frequently organize relational contracts or implicit contracts. Also, according to the recent behavioral economics, libertarian paternalism by choice architect induces contract parties to rational choices and thus improves economic efficiency. If so, relational contracts, implicit contracts, and libertarian paternalism by choice architect are helpful in some way or oth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phenomenon of bounded rationality, including the lack of intent and the precedence of state's efficiency calculation over a party's. As a result, we can keep arguing that the ground for the binding force of contract is the contract party's intent. For like Chales Fried's Promissory Theory, the Law and Economics focuses on a party's i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