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축제와 문화브랜딩 전략 연구

        백승국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0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A study on the strategy for the regional festival and cultural branding Baik, seung kuk In recently, many government in cities and counties holds over 900 area festivals. but in these festivals, we just can see few strategic approaches. and because programs in festivals are similar and formal, these festivals degrade as annual events hold by governments. Hence, In this research, we researched plan methodology of area festivals as a cultural contents, by using cultural semiotics that expends concept of cultural contents at area cultural brand level. With consideration for area studies that spotlights as new paradigm of globalization epoch, Area culture branding that helps to raise area brand identity and image by develop area-city enlargement model, and area cultural contents, we presented five value elements(ecology, taste, heritage, meditation, spirit) and symbolical and empirical images in area, as core concept of area cultural branding. And, for revitalize area festivals, we needs development of new contents, what can create Infortainment and edutainment values, by analyze signification of contents in targeting participant of area festivals. And because of lifestyles, value types, and trend about area festivals are changing, in this research, we established hypothesis about plan process model in festival contents, and presented models : generative model of meaning in festival, and storytelling scheme in festival. By using Methodology that using ecology-history-culture resource in area and plan process model in festival contents, we expect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on development of festival contents plan, and development of science and scientific discourse by further researches, over simple methodologic tool level. 최근 각종 지자체에서 900개가 넘는 지역축제를 개최하고 있으나, 이들 축제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부족하고, 프로그램도 유사하거나 정형화된 상태로서, 결국 지자체의 연례행사 수준으로 전락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최근 문화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문화콘텐츠 개념을 확장시키고 있는 문화기호학을 사용하여, 하나의 문화콘텐츠로서의 지역축제를, 지역문화브랜딩 차원에서 문화원형을 통해 지역축제의 기획방법론을 연구하였다. 우선, 세계화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지역학과, 지역의 생태역사문화자원을 바탕으로 한 지역도시 발전 모델과 지역문화콘텐츠개발을 통해, 지역 브랜드 정체성과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도움을 주는 지역문화브랜딩, 그리고 도시 공간 평가 요소들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역문화브랜딩의 핵심 콘셉트로 다섯 가지 평가 요소(생태환경, 맛, 문화유산, 종교문화, 공동체 의식)와 지역의 상징적, 경험적 이미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지역축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축제의 콘텐츠를 향유하는 참가자를 중심으로 콘텐츠의 의미작용을 분석, 인포테인먼트 및 에듀테인먼트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 지역 축제에 대한 라이프스타일과 가치 유형 및 트렌드가 변화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본 연구에서는 축제콘텐츠 기획 프로세스 모델의 가설을 설정하고, 축제 설계를 도울 수 있는 모델로서 축제의 의미생성모델과 축제 콘텐츠 스토리텔링 도식을 제시하였다. 지역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방법론과 문화기호학 분석도구들을 활용한 축제콘텐츠 기획 방법론 및 축제콘텐츠 기획 프로세스 모델을 통해 문화기호학이 단순한 방법론적 도구 차원을 넘어서 축제콘텐츠 기획의 발전에 공헌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앞으로 후속연구를 통한 학문의 발전 및 학문적 담론 형성이 기대된다.

      • KCI등재

        세종지역 독립운동 역사문화콘텐츠 연구

        박경목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3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1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Sejong area was actively carried out, including the struggle for righteous army, self-determination, youth social movement, the torch Alliance movement, and the protest against shrine worship but the number of independence fighters who received an ordination was only 54. It is much smaller than other regions in Chungcheongnam-do. Through this study, 72’s activitie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were confirmed by using research results and data. In addition, 12 people were found imprisoned in Seodaemun Prison on charges of casualties. In order to make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Sejong area into content, it is necessary to first restore cultural archetyp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Sejong-si. As part of this, It was selected as As macro-content that contents are “the Confucian scholar’s struggle against each other,” “the social movement of young people,” “the torch coalition movement,” “overseas armed struggle,” and “collective anti-Japanese struggle”. It was suggested As the micro-content based on macro-content that contents are the struggle for righteous army/self-determination/family register and single-shot rejection, the Yeongi Youth Association/Hoseo Journalist Alliance, the Torch Manse Movement, the Korean Patriotic Revolutionary Party and the Hwabuk Korean National League, the struggle to refuse shrine worship and the suppression of the Japanese Keumgangdaedo. There are couple of micro-contents that allow us to structure narrative. First, discovering data by using the Torch Independence Movement, recording historical evidence, secure sites, and develop related programs. Second, emphasizing the image of a youth city under the theme of the anti-Japanese struggle. Third, making history telling of overseas fighters and reinterpretation. Fourth, Geumgang University’s refusal to visit the shrine. It is possible to structure narrative by using these micro-contents. The contents can be expanded and reproduced with an OSMU strategy that utilizes multiple sources. It can be developed into various contents such as exhibitions, performances, festivals, broadcasting, characters, publishing, applications, education, and experiences. The above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will help remember and commemorate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independence activists in the Sejong area of Japanese colonial era through interaction with citizens. Furthermore, it will serve as the basis for the formation of an emotional community in the Sejong area. 세종지역의 독립운동은 의병 투쟁, 자결 순국, 청년 사회운동, 횃불 연합 만세운동, 신사참배 거부 투쟁 등이 전개되었다. 독립유공자는 54명으로 충남 타 지역에 비해 숫자면에서 적은 편이지만 기존 연구성과와 자료를 조사를 통해 72명의 독립운동 행적과 사상범으로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12명을 확인하였다. 독립운동을 콘텐츠화하기 위해서는 이 지역 독립운동의 문화원형을 복원해야 한다. 그 일환으로 거시콘텐츠로 ‘유학자의 항일투쟁’, ‘청년들의 사회운동’, ‘횃불 연합 만세운동’, ‘해외 무장투쟁’, ‘집단적 항일투쟁’을 선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 미시콘텐츠로 의병투쟁·자결 순국·호적 및 단발 단발거부, 연기청년회·호서기자동맹, 횃불 만세운동·면단위 연합, 광복군·한인애국단·조선민족혁명당과 화북조선민족동맹, 신사참배 거부투쟁·일제의 금강대도 탄압을 제시하였다. 이 미시콘텐츠는 첫째 횃불 연합 만세운동에 대한 자료 발굴, 고증 채록, 현장 확보, 관련 프로그램 개발, 둘째 청년들의 항일투쟁을 테마로 한 청년 도시 이미지 강조, 셋째 해외 투쟁 인사들에 대한 히스토리텔링, 넷째 금강대도 신사참배 거부투쟁의 재해석 등을 통해 서사 구조화 할 수 있다. 그 콘텐츠들은 OSMU전략을 통해 역사문화콘텐츠로 확대 재생산 될 수 있다. 전시, 공연, 축제, 방송, 캐릭터, 출판, 어플리케이션, 교육, 체험 등 다양한 콘텐츠로 개발될 수 있다. 이상 독립운동 역사문화콘텐츠는 시민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일제강점기 세종지역의 독립운동과 독립운동가를 기억하고 기념하는데 일조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농업 이해」과목의 평가목표 이원분류에 의한 문항 유형 분석

        김진구,이종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tem types by the two-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evaluative objectives on th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nd to identify question trend and mai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ach item type. To achieve the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ntent and behavioral areas of the 360 items taken 18 times(6 in the CSAT, 12 in the preliminary CSAT) from the 「Understanding of Agriculture」since year 2005, vocational education test was first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the CSAT, to 2010, and conducted SME group surveys and experts committee to ensure validity of the standards classifying content and behavioral areas of each item developed by researcher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SME group validity surveys, the items ensured validity were 330 in the content areas and 280 in the behavioral areas with 80% of positive ratio and more than 0.56 of CVR. The main factors of low validity were the intervention by subjective viewpoints according to overlapping learning contents between chapters in contents areas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viewpoints in behavioral areas. Second, after analyzing the item types by the two-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evaluative objectives, integrated lesson unit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content areas with the content system characteristics. 14 types were embodied in behavioral areas, 3 types of Knowledg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were accounted for 60%. Third, after embodying the item types based on the sub-factors of evaluation in each behavioral area, various types mixed with more than 2 kinds of evaluation factors were found. For example, among the types of measuring a single behavioral area, Knowledge type was embodied into 17 types. The majority of them was the type which measuring the ability of memorizing realistic contents, most taken from the unit of Foreign Farming. Among the types of measuring mixed with more than 2 kinds of behavioral area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ype was embodied into 31 types. The most of them was the type which measuring the ability of summarizing data at a new point of view by memorizing the contents on the terms and conceptions, most taken from the unit of Task Activities and the unit of Agriculture and Career. As the result, there was identified some different from the item types of behavioral area which measuring each contents area(Units, Chapters). 이 연구는 평가목표 이원분류를 기준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직업탐구 영역 「농업 이해」에서 출제되었던 문항들의 문항 유형을 분석하고, 각 문항 유형별 출제 경향 및 주요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직업탐구 영역이 처음 수능에 도입․시행된 2005학년도부터 2010학년도까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의 18회 시험(수능 6회, 모의평가 12회)에서 출제되었던 「농업 이해」의 360문항에 대한 내용영역 및 행동영역을 분석하였고, 연구진에 의해 구안된 개별 문항의 내용영역 및 행동영역 분류 안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전문가협의회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타당성 설문조사에서 긍정률 80%, CVR값 0.56이상으로 타당성이 확보되었던 문항은 내용영역 분류 안 330문항, 행동영역 분류 안 280문항이었다. 둘째, 평가목표 이원분류에 의하면, 내용영역은 입문(入門)적 성격 및 학습내용 중복과 같은 내용체계 특성으로 대단원 간 통합형이 가장 많았다. 행동영역은 14가지 유형으로 구체화되었는데, 이 중 지식, 지식+이해, 이해 등의 3가지 문항 유형이 전체 분석대상의 60%정도를 차지하였다. 셋째, 각 행동영역에서 측정하고자하는 하위 평가요소를 기준으로 문항 유형을 구체화한 결과, 14가지의 행동영역 유형별로 2개 이상 평가요소가 혼합된 다양한 형태의 문항 유형들이 발견되었다. 이 중 단일 행동영역만을 측정하는 유형 중, 17가지 유형으로 세분된 지식형은 사실적 내용을 기억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유형이 가장 많았고, 6가지 유형으로 세분된 이해형은 자료를 새로운 관점에서 요약하고 자료에 내포된 함축적 의미 등을 파악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이 유형의 50%정도는 과제활동의 뜻 중단원 및 대단원 간 통합으로 출제되었다. 2개 이상 행동영역이 혼합된 형태의 유형 중 31가지 유형으로 세분된 지식+이해형은 용어와 개념에 관한 내용을 기억하여 자료를 새로운 관점에서 요약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유형이 가장 많았다. 결과적으로 내용영역(대단원, 중단원)별로 측정하고자하는 행동영역의 유형에는 차이가 있었다.

      • KCI등재

        내생적 요인의 도시문화콘텐츠화에 관한 적용가능성 연구

        박민하(Park, Min Ha)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2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

        본 논문은 외생적 발전의 대안으로 1980년대 등장한 내생적 발전론의 내부지향적인 특성이 다양한 변화를 수용하는데 있어서 한계점을 드러낸다는 것에 주목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문화적 다양성 및 개방성이 투영된 도시문화콘텐츠를 통해 재해석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내생적 요인의 도시문화콘텐츠화의 구성요소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콘텐츠웨어, 네트워크를 제시하고, 이에 따른 각각의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사례분석의 대상지인 홍대 지역에 대입하여 이곳의 문화와 직결되는 주체들을 인터뷰함으로써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홍대 지역의 내생적 요인은 유통?산업?문화의 중심지(역사적 맥락), 홍익대학교(자원), 미술관련 문화생산 활동(활동), 전문 예술가(주체)에 해당하며, 유기적인 상호관련성이 높은 편이다. 이러한 내생적 요인들은 획일화를 거부하고, 개성을 지향하는 젊은이들의 특성과 부합되면서 생명력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점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콘텐츠웨어, 네트워크의 형태로 확장되었으며, 이 때 전통적 중심인자에 해당하는 전문 예술가의 자발적인 활동에서 ‘다양한 주체의 창의적인 역량’으로 중심인자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과정이 신촌?이대 지역과 다른 홍대 지역의 차별성이다. 내생적 요인의 지속적인 도시문화콘텐츠화를 통해 문화적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는 점은 홍대 지역의 가장 큰 가능성이지만 급격한 상업화의 진행은 분명한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홍대 지역의 핵심은 콘텐츠웨어이며, 특히 ‘다양한 주체의 창의적인 역량’이 중심인자라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전통적 중심인자이자 문화창조자에 가까운 예술가들이 빠져나가는 상황은 가장 현실적인 문제이다. 콘텐츠웨어의 해체는 소프트웨어의 해체와 동시에 하드웨어의 해체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생적 요인의 도시문화콘텐츠화에서 나타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콘텐츠웨어, 네트워크를 각각의 요소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네 가지 요소가 결합된 후에도 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제도적인 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내생적 요인의 도시문화콘텐츠화가 확산되기 위해서는 이를 지역 발전에 새로운 가치로 존중하는 인식의 전환이 요구되는 바이다.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exogenous development, the alternative method, endogenous development started appearing in the 1980’s. However, endogenous development, labeled as the ideal regional development, has been discussed usually in the rural development, and its inner-directed characteristics showed the limitation to accept a variety of change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it should be reinterpreted through urban culture contents with cultural diversity and openness. Therefore, the study suggested hardware, software, contentware and network as the components of urban culture contents, drew each factor from them, and attempted to analyze the factors applied to the place of the case study, Hongik university area. The endogenous factors of Hongik university area include the center of distribution, industry and culture (historical context), Hongik university (resource) and activities of culture production related to arts (activity), and those are highly interrelated. These endogenous factors rejected the uniformity, and has been emerged by meeting young people’s characteristic to pursue their individuality. Those were to expanded to the form of hardware, software, contentware and network during this time. Self-activities of professional artists, the traditional center, were expanded to creative competences of a diversity of people, the new center. This is the difference of Hongik university area from the Shinchon and Ewah-Woman’s University areas. Although leading the cultural trend through the urban culture content, the endogenous factor is a strong potential, but a rapid commercialization is the limitation. The center of Hongik university area is contentware, especially when considering creative competences of a diversity of people, the situation in which the artists, cultural creators or the traditional center, get out the place is the most practical problem. This is because dissolution of contentware means dissolution of hardware as well as software. Therefore, in order for them to remain stable, after combining the four factors, an institutional system should be developed, not only considering hardware, software, contentware, network as each endogenous factor in urban culture contents. Especially, in order to spread urban culture contents, the endogenous factor, changed perception to acknowledge it as new worth for regional development is needed.

      • KCI등재

        콘텐츠 소외지역의 만화 아웃리치 프로그램 모델링 연구

        이승진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7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9

        Content is the complex of art and technology of trend, so it is important to experience different technologies for content education. Today, many non-profit organizations plan and operate numbers of programs for disabilities, low-income, and minority familie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nd the realization of social integration. These programs are limited to museums and galleries, not so pro-actively in progressing. Various contend education is necessary to the expansion of cultural exchange for the culturally alienated area. Naver is running an outreach program named <Comic Outreach Bus to School>. It is an experience-based outreach program where current cartoon / webtoon writers come directly to the school to inform students about the basic story of comics and comic techniques. However, the fact that the <Comic Bus to School> is not centered on the marginalized area but is centered on the Seoul Gyeonggi area, has the limitation that they can not benefit from a wide range of programs because they have a space limit of 'school', and, has a spatial limitation that the experience of the work is excluded. ‘Outreach programs in marginalized areas’ must be reorganized into a fluid dimension, not a fixed, single-system program. You should be able to experience and experience your work by directly using various professional equipment of comics based on your capacity and experience, local culture, religion, and society. These program participants will gain the effect of attractive and effective learning with empathy with their comic experience. Meanings of Comics content outreach program are following: First, the rich cultural archive can be used efficiently by providing various contents to existing outreach programs with the educational limitation of museums and galleries. Second, Comics contents can be enjoyed as a part of our life by understanding diversity and technology of contents. Third, because it is the program of expertise’ participation, it can remodel, and restructure the severed experience in remote areas for the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and furthermore, it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society. 콘텐츠는 예술과 트렌드기술의 복합체이다. 콘텐츠 교육은 예술적 감상만이 아닌 트렌드 기술을 체험해 보는 것 또한 몹시 중요한 일이다. 오늘날 많은 기관에서는 대중을 위한 사회교육기관으로서 문화예술를 통한 개인의 삶의 질 향상, 사회통합 실현에 기여하고자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특수교육, 다문화 가정과 외국인, 저소득층 등의 문화소외계층 대상 프로그램 등을 기획/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박물관, 미술관에 국한되어 진행 되고 있으며, 콘텐츠 문화영역은 아직 그 시행이 미비한 상태이다. 소외지역을 위한 문화교류 확대를 위하여 좀 더 다양한 콘텐츠 교육 시행이 필요한 시점이다. 네이버는 이현세 만화가와 <학교로 찾아가는 만화 버스>라는 이름의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만화를 좋아하는 중,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직 만화/웹툰작가들이 학교로 직접 찾아가 학생들에게 만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야기와 만화테크닉을 알려주는 체험 아웃리치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학교로 찾아가는 만화 버스>는 소외지역 중심이 아닌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점과, ‘학교’라는 공간적 한계를 지니기 때문에 폭넓게 프로그램의 혜택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점, 작품을 이해하고 공감하기 위한 공간으로서의 체험이 배제 되어 있다는 한계성을 지닌다. ‘만화 소외지역 아웃리치 프로그램’은 지극히 고정된 단일 체계의 프로그램이 아닌 유동적인 차원으로 새롭게 재구성 되어야 한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역량과 경험, 지역문화, 종교, 사회 등을 기반으로 만화의 여러 가지 전문적 기자재를 직접 이용하여 작품을 제작 체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 참여자는 자신의 만화적 경험의 공감과 함께 매력적이고 효과적인 학습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 문화콘텐츠학과 기존 학문분류체계의 충돌과 공존 가능성

        이종훈 ( Lee Jong-hun ) 콘텐츠문화학회 2020 콘텐츠문화연구 Vol.2 No.-

        1990년대에 ‘문화콘텐츠’라는 용어가 등장하고 빠르게 확산, 성장해왔지만 아직 학문적으로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기존의 다른 분과학문들과의 관계에서 여전히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있다. 지금까지 고려되어 온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연구대상은 ‘문화’라는 말이 담아내는 의미만큼이나 광활하다. 연구자들이 제시하는 연구 목적과 학문배경을 종합해보면 실로 거의 모든 학문분야를 총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것은 문화콘텐츠학이 학문적으로 자리잡는 과정에서 기존의 분과학문들과 충돌하는 또 다른 지점을 형성한다. ‘상호 학문적 연구’나 ‘복합학’이 문화콘텐츠학의 정체성으로 제시되었지만, 이 또한 충분한 해결방법으로 보이지 않는다. 문화콘텐츠학이 학문적 정체성의 차원에서 기존의 학문체계와 충돌하는 지점을 정리하면, (1) 문화콘텐츠학의 연구대상과 방법을 공유하는 기존의 여러 분과학문들은 학문적으로 이미 매우 공고하다. (2) 현재의 문화콘텐츠학은 차이에 따른 분류를 목적으로 하는 기존의 학문체계에 안정적으로 들어갈 자리를 찾기 힘들다. (3) 현재의 문화콘텐츠학은 기존의 학문체계 대부분과 연관되기에 일정한 영역으로 협소화하여 분과학문으로 진입하기 어렵다. 종합하면, 문화콘텐츠의 성격은 현재의 분류와 일정한 방식의 체계화를 역사적으로 쌓고 반영해온 현 학문체계와는 부합하기 어렵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충돌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충돌을 극복한 실마리로 세 가지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첫째 근대적인 위계중심의 선형적 학문분류체계를 입체적으로 재구성한다. 둘째, 새로운 연구 영역과 방향의 설정으로 문화콘텐츠학의 돌파구를 찾을 수도 있다. 셋째, 현재의 학문체계와 독자적인 분과학문으로 요구되는 조건들을 현실적인 제한이나 문제로 받아들여 연구 문제와 방향을 인위적으로 협소화하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In the 1990s, the term “cultural contents” has appeared and rapidly spread and grew, but it still suffers from academic difficulties. In particular, there are a number of problems in relation to other existing acdemic disciplines. The academic research subject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that has been considered so far is as broad as the meaning of the word 'culture'.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if you put together the research purpose and the academic background suggested by the researchers, you are in charge of almost all academic fields. This forms another point where cultural contents studies collide with existing disciplines in the process of academic establishment. Alth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composite studies” have been suggested as the identity of cultural contents, this also does not appear to be a sufficient solution. In the aspect of academic identity, the point where cultural contents studies collide with the existing academic system is as follows: (1) Several existing divisions that share the subjects and methods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are already academically very strong. (2) Current cultural contents studies find it difficult to look out for a place to stably enter an existing academic system aimed at classifying according to differences. (3) Since the current cultural contents studies is related to most of the existing academic systems, it is difficult to narrow it down to a certain area and enter the academic discipline. In sum, the nature of cultural contents is difficult to match with the current academic system that has historically accumulated and reflected the current classification and systematization in a certain way. And there is no choice but to continue to collide. As a clue to overcoming this conflict, three methods can be considered. First, the modern hierarchical linear academic classification system is reconstructed in three dimensions. Second, it is possible to find a breakthrough in cultural contents studies by setting new research areas and directions. Third, it is possible to consider ways to artificially narrow research problems and directions by accepting the conditions required by the current academic system and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s as realistic limitations or problems.

      • KCI등재

        백제 복식의 체험 콘텐츠 현황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라선정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40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백제역사유적지구는 지역사회에 점진적인 파급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관광객의 유입에 긍정적 영향을 하는 체험 콘텐츠 영역은 4차산업 혁명시대에 맞는 기술적 측면과 역사문화가 지닌 고유성을 전달하는 복합적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관광객의 니즈를 만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콘텐츠 개발을 위한 출발점으로 현재 운영되는 복식체험콘텐츠를 점검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복식문화콘텐츠가 지니는 가치와 필요성에 대하여 기본적 연구를 수행하고, 복식체험콘텐츠 사용자의 경험을 이해하고 발전방향을 찾기 위해 인뎁스 인터뷰 방법론을 적용하여 체험자에 대한 리서치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KJ법을 활용하여 체험자의 복합적인 의견을 분석하였다. 체험콘텐츠 사용자의 니즈를 바탕으로 나타난 결과를 기능성·심미성·특수성의 3가지 영역으로 분류·유형화 하였으며, 이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백제역사유적지구를 방문하는 관람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복식체험콘텐츠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World Heritage-listed Baekje Historic Area has a gradual ripple effect on the community. The field of experience contents, which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flux of tourists, serves as a complex medium that conveys the technical aspects and the uniqueness of historical cultur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contents of clothing experiences and to suggest ways to develop them, as a starting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contents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tourists an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This study conducted user research by applying the in-depth interview method to carry out basic study on values and necessity of costume culture contents, understand costume experience and find the appropriat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d complex opinions of experience participants by applying KJ Method. Based on the needs of users of experience contents, we made classification of patterns of three areas of functionality, aesthetic values and particularity, and reached drawbacks and improvement plan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basic material to develop costume experience contents with satisfying needs of tourists on Baekje Historic Areas.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현행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의 분석 및 평가 -고등학교 1학년 과학과정의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나재준 ( Jae Joon Na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科學敎育硏究誌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1학년 과학과정의 사이버 가정학습 콘텐츠 중 지구과학영역에 대한 콘텐츠분석 및 평가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8)의 `초·중등교육 e-러닝 품질관리 가이드라인(Ver.2.0)`에서 제시한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 품질관리도구`를 적용하였다.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 분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안내는 학생들이 한 차시에 학습하게 될 내용들을 간략히 소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수학습에서는 진단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본 학습에서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콘텐츠를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었고, 본 학습시간은 10분 내외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에서는 학습자가 오답에 대한 피드백은 이루어지지 않고, 틀린 문항 수만 제시되어 있었다. 그리고 학습정리는 그 차시에 배운 중요한 내용에 대해서는 다시 요약·정리하여 제시하고 있다.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 평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설계 평가영역에서는 학습자가 읽기에 불편한 많은 텍스트자료를 제시하여 내용들을 설명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경험, 학습내용, 학습 환경을 고려한 체계적인 구성들이 미흡하였다. 그리고 학습내용 평가영역에서는 콘텐츠 에러로 학습내용이 나타나지 않았고, 각 차시마다 학습 분량이 너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습전략 평가영역에서 자기주도적 학습전략은 학습자의 자유로운 정보 탐색 및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았다. 그리고 상호작용 평가영역에서는 단순 클릭으로 학습이 진행되었다. 셋째, 평가에 대한 평가영역에서 학습목표, 학습내용 및 평가내용에 대해 일관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콘텐츠는 수준별 콘텐츠로 구성이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Cyber Home Learning contents of Earth science area in the basic course of the 10th grade. For this purpose, we applied the `Cyber Home Study Content Quality Control Tool` presented in Elementary·Secondary Education e-Learning Quality Management Guidelines (Ver.2.0)` of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2008). The results of Cyber home learning contents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it was presented that the study guide introduced the contents which should be studied for one class, properly. And it was not analyzed that the diagnosis assesment was not completed in the initiative study; Second, it was possible to study choosing the contents fitting the learner`s level of learning in the main study, it was comprised of about 10 minutes. Third, it was performed without feedback for incorrect answers in the learning assessment, just the number of wrong questions. And the learning arrangement present the important contents learned in that class, summarizing and arranging again.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contents in Cyber Home Learning are as follows: First, in evaluation section of instructional design, many text materials which were so difficult for learners to read were explained, being provided. Besides, the systematic structures leaves much to be desired, in view of learners` learning experience, contents, and environment. And in evaluation section of learning contents, the error of contents caused the learning contents not to appear, the amount of learning in each section was found too much. Second, in evaluation section of the strategy for Teaching and Learning, when we mention the strategy of Self Directed Learning, the environment to make learners search for information free and self-study possible was not possessed well. And in evaluation section of interaction, it was found that a simple click caused the learning to go on. Third, in evaluation section of evaluating, it was evaluated that there was wanting in consistency in learning aims, contents, evaluation contents.

      • KCI등재

        융복합을 기반으로한 근미래의 문화콘텐츠 전략분야의 도출과 방법론 연구

        변민주 ( Min Ju Byun ) (사)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5 No.-

        It has been given recently to investigate future trends to predict future product, and the purpose is to develop a product design and prototype.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keywords and mega trend in the near future, based on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is, I will forecast the core technology in the Content strategic areas. And I will propose methodology to forecast for Content strategic areas. in the near future society. As a first step, I was investigated mega trend and content product idea based on the STEEP (technical,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e, environmental). The next step, through the Advisory Council of a group of consulting and public debate, I will give Content strategic areas, and I will suggest methodology for content product forecast. Through the present study of methodology for outlook of Content strategic areas, I was to predict content strategy in the near future. Content strategic areas is a NI 3.0 screen, entertainment multiscreen, artificial intelligence i-book, fun interaction contents. And Through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technology of the future and were able to predict the trend of the market`s CT (Culture Technology). Through this study, I hope will be of help to plan a content strategy products and content for the prototype. I will be used as evidence in the CT industry through the cooperation of industry, academia and government.

      • KCI등재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브랜드 활성화 방안 - 정동 지역문화자원과 시민의견을 중심으로 -

        이진경,곽미정,최성윤 한국자치행정학회 2023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7 No.3

        본 연구에서는 정동 지역의 보편적 이미지와 인식을 살펴보고 지역 활성화를 위한 정동 지역 브랜드 전략수립의 발전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 함의를 도출하였다. 연구조사결과 일반 시민들은 정동 지역에 대해 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 개방적이고 입체적이며 녹색의 이미지를 연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역사가 머무르는 곳이라는 인식이 강하고 지역발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그 외에도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이 도출되었다. 이를 수렴하여 정동 지역의 발전을 위한 전략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일반시민은 정동 지역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편이며 지역의 이미지를 한정된 특수한 장소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정동 지역의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하도록 정동 고유의 브랜드 발굴이 필요하다. 즉, 정동의 핵심가치와 상징을 발굴하여 정동 지역이 고유성과 지속성, 발전 가능성을 토대로 성장해갈 수 있는 브랜드 구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정동 지역 마케팅 추진을 위해 전문 지원 조직을 구축하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여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단기 뿐 아니라 중장기적인 전문적 의견도 수렴되어 사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정동 지역의 마케팅을 위해서 많은 사람들이 함께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지속적인 이미지 노출을 통해 브랜드로서 인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매체들을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방법들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정동지역은 정동만의 장소성을 기반으로 하는 고유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브랜드 개발을 위한 문화콘텐츠 개발 전략이 필요하다. 즉 중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문화콘텐츠 프로그램을 지역 특성에 맞게 개발해가는 것이 정동 지역 브랜드가 지속하여 고유성을 가지고 발전해나가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awareness of the general public's universal image of the Jeong-dong area and prepare development pla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brand strategy for the Jeong-dong area to revitalize the area. Through a survey of general citizens, the following universal image was calculated. The Jeong-dong area is static and green, open and three-dimensional. In addition, there was a strong awareness of the place where history stays and the majority of the views were that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was necessary. Based on these survey results, the following strategy was deriv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Jeong-dong area. First, the awareness of the Jeong-dong area is low and the image of the area is recognized only as a limited special pl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over a unique brand that is sustainable before promoting the Jeong-dong area. By discovering the core values and symbols of Jeong-dong, it is necessary to continue building a new brand uniqueness with connectivity to the Jeong-dong area. Second, sustainability must be secured and implemented by establishing a specialized support organization for marketing promotion in the Jeongdong area. It should be conducted mid- to long-term and professionally in connection with the upper organization. Third, for marketing in the Jeongdong area, it is necessary to prepare spaces where people can be together and imprint as a brand through continuous image exposure. To this end, strategic methods that can utilize various media must be presented. The Jeongdong area needs to prepare strategies for continuous brand development through uniqueness based on the placeness of Jeongdong. In addition to these strategies, if various cultural content programs are developed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we can expect continued development of the local brand of Jeong-dong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