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법소원제도에 대한 새로운 고찰 -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제도의헌법적 문제점을 중심으로

        정재헌 사법발전재단 2015 사법 Vol.1 No.34

        사법부와 헌법재판소가 법률해석권 등을 중심으로 이견을 보이고 있는데, 많은 학자들은 현행 헌법의 개정 없이는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본다. 과연 위와 같은 논란의 근본적인 원인이 현행 헌법의 불명확한 규정 때문인지를 현행 헌법 자체를 기초로 살펴보기로 하되, 특히 논란의 고리가 되고 있는 이른바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제도를 중심으로 논하기로 한다.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제도는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에 의하여 생성된 제도로서, 통계적으로 헌법재판소가 담당하고 있는 사건 중 이 유형의 신청사건 수가 급증하고 있고, 헌법재판소의 법률에 대한 위헌심사의 중심축도 위헌법률심판제청사건에서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신청사건으로 이동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제도는 우리 헌정사에서 종전에 거의 논의가 이루어진 바 없고, 전 세계적으로도 그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제도이다. 이 제도의 본질이 헌법소원제도인지 아니면 위헌심사제도인지에 대하여 논란이 있으나, 현행 헌법은 이러한 형태의 헌법소원제도 내지 위헌심사제도를 예정한 바가 없다. 결론적으로 이 제도는 헌법적 근거가 없을 뿐만 아니라, 현행 헌법이 규정하는 헌법재판에 대한 기본적인 원칙과 헌법재판제도의 근본적인 구조에 부합하지 못한다. 우리 헌법은 헌법 제111조 제1항 제1호에서 법률의 위헌심사권을 법원과 헌법재판소가 함께 행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법원의 제청 없이는 헌법재판소가 독자적으로 위헌심사를 하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이는 또한 위헌심판제청권을 일반 국민에게 부여하지 않고 법원에만 부여하기로 하는 헌법적 결단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헌법재판소법을 통하여 헌법적 근거 없이, 법원이 위헌심판제청을 하지 않아야 한다고 판단하더라도 당사자가 직접 위헌심판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국민에게 위헌제청권을 부여하였고, 법원이 위헌의 의심이 없다고 판단하여 위헌제청을 기각하더라도 헌법재판소가 독자적으로 위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현행 헌법의 위헌심사권 행사에 관한 기본 원칙에 반한다. 위 제도의 헌법적 근거로 헌법 제111조 제1항 제5호를 들 수도 있으나, 이 규정은 헌법적 근거 없이 법률을 통해 헌법소원제도의 본질적인 내용이 아닌 새로운 제도를 창설할 수 있다는 취지로 해석할 수 없다. 오히려 입법권자가 입법재량으로 헌법소원의 대상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헌법적 결단이다. 만약 위 제5호가 헌법적인 근거조항이 된다고 하면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은 헌법 제113조 제1항에서 정한 결정형태에 관한 규정을 위반한 것이 된다. 헌법소원제도의 본질상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제도가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면 헌법적 근거가 없더라도 법률을 통해 이러한 제도를 창설할 여지가 있겠지만, 연혁적·비교법적으로 살펴볼 때 문명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헌법소원제도의 본질적 내용에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제도가 포함된다고 볼 근거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점이 있더라도 이 제도가 국민의 기본권 보장 등 긍정적으로만 운영될 수 있다면 다행이겠으나, 종래와 달리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사건의 신청 건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위헌취지결정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어 소송과정에서 남용의 폐단을 걱정할 단계에 이르렀다.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을 청구하는 당사 ... Examination of the Constitutional Petition System – Focusing on the Constitutional Issues of the Petition for an Adjudication on Constitutional Complaint Jung, Jai-hun As the Judiciary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ave diverged in their views on their respective authorities of statutory construction, the majority of legal scholars have opined that their divergence is not likely to be reconciled without an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 Grounded in a review of the current Constitutional text,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the root cause of the many controversies lies in the vague statutory provisions of the current Constitution, with a focus on the so-called “petition for an adjudication on constitutional complaint,” the particular bone of contention in this discourse. The system of petition for an adjudication on constitutional complaint was established under Article 68(2)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Statistics have seen a surge in the number of this particular type of constitutional appeal, and the focus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caseload shifting from the request for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laws to the petition for adjudication on constitutional complaint. Nevertheless, the complaint system has hardly ever been the subject of discussion throughout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Korea. It is indeed a peculiar system with rarely any precedent in the world. Although debate persists over whether the inherent nature of the complaint system lies in the constitutional petition regime or the request for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laws, the current Constitution did not anticipate this type of constitutional petition or constitutional adjudication request. In short,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system is not only constitutionally groundless, but also inconsistent with the basic principles and structure of constitutional adjudication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 Article 111(1)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provides that the court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share jurisdiction over the constitutional review of laws. In other words, the Constitutional Court may not conduct a constitutional review without the request of the court. The provision also demonstrates a constitutional decision to authorize only the court, rather than ordinary citizens, to request for constitutional review of laws. Nevertheless,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a) allows a party to directly file a petition for constitutional review, notwithstanding the court’s decision to the contrary, which is constitutionally groundless; and (b) allows the Constitutional Court to adjudicate on the constitutionality of a law, notwithstanding the court’s dismissal of a party’s motion on grounds of a lack of any constitutional doubts about the law in question. In short, the current complaint system is contrary to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al review authority as laid out in the Constitution. Some cite Article 111(1)5 of the Constitution as the constitutional grounds for the said system. However, the provision may not be interpreted to allow for the establishment of a new system grounded in laws but not in the Constitution, deviating from the inherent content of the constitutional petition regime. The legislative intent of the provision rather lies in the constitutional decision to empower the legislature with legislative discretion to restrict the scope of constitutional petition. Were we to consider Article 111(1)5 as the constitutional grounds for a constitutional complaint system, Article 68(2)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would be in violation of the provision on the mode of decision-making under Article 113(1) of the Constitution. Were constitutional complaint to be subsumed in the inherent nature of the constitutional petition system, then there might have been room to establish the system based on laws, albeit not on the Constitution. However, one would be h...

      • KCI등재

        재판소원의 범위와 그 한계

        홍종현 ( Jong Hyun Hong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고려법학 Vol.0 No.56

        This article is on the reasonable scope of control of constitutional court over the judgement of the general court. First, the examination of constitutional petition should not be identified as the control of norm. It makes the separation of powers to be considered as the main theme of the power-distribution between legislatives and constitutional court, which has the substantial and different function of state, however, the constitutional petition upon the general court is the problem of the division of work among the same function of jurisdiction. It is the problem of functional law, not the substantial one, as being composed of the denial of acting as a court of appeal and the division of work The practic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n the constitutional petition over the general court is affected by the functional law as well as the substantial constitution, The effects of fundamental rights on the detailed parts of law make the distinction between special constitution and the statute meaningless or fluid. So the discussion on the scope of examination during constitutional petition is hard to be limited. The substantial constitution still remains as the important guidelines or the leading component of this argument. The constitutional court focuses on the binding force of constitution which can be restated especially as the principal of proportionment and the effects of fundamental rights. This procedure can be called as the direct control of fundamental rights, however, the control of legitimacy is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statute is established by legislator. The former is performed as the thorough examination by the german constitution article 93 Ⅰ, whereas the latter should be restricted by constitution. So, the scope of examination by constitutional petition on the judgement can be changed(reinforced or restricted) by the necessity of protecting the fundamental rights, the change of its understanding, the character of legal scope on the issue or matter, the special statu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other authorities etc. For these many elements importantly-considered, the necessity of protecting the fundamental rights of people is the most basic issu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constitutional petition makes it understood as the important tools for the state powers to be performed as constitutional. So, the separation of powers or the allocation and division of state function cannot be autotelic but should be managed as contributory to the protraction or enlargement of people`s fundamental rights.

      • KCI등재

        헌법소원에 있어서 가처분절차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한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

        김상겸 한독사회과학회 2008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8 No.1

        1987년 헌법이 개정되면서 헌법재판소가 도입되었다. 1988년부터 헌법재판소는 활동을 시작하여 지금까지 약 20년이 되었다. 그동안 헌법재판소는 국민의 기본권 보장과 국가작용의 정당성을 위하여 많은 판결을 하였다. 그 중에서도 헌법재판소에 의한 헌법소원심판은 기본권 보장을 위하여 많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제 우리나라 헌법재판에서 헌법소원제도는 국민의 기본권보장을 위한 중요한 제도로 자리 잡고 발전하고 있다. 국민의 흠이 없는 권리보호를 위하여 헌법은 재판청구권도 규정하고 있지만, 예외적인 수단으로 헌법소원제도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헌법소원제도는 그 본래의 취지와 달리 헌법소원의 대상에서 사법부의 판결을 제외하여 기형적이다. 그렇지만 헌법소원제도는 국민의 기본권 보장을 위하여 중요한 수단이다. 우리나라 헌법소원제도의 또 다른 문제는 가처분절차의 규정이 없다는 것이다. 본안 소송이전에 선취효를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인 가처분절차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그 의미를 반감시키고 있다. 그렇지만 헌법재판소는 규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헌법소원제도에서 가처분절차를 허용하여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가처분절차는 소송법에서 본안소송의 의미를 상실시키는 것을 막고, 흠이 없는 권리보호를 위한 법치국가원리에 근거하여 등장한 소송법상의 중요한 제도이다. 가처분심판은 본안소송과 결부되어 있지만, 소송 자체는 독립된 절차이다. 이런 점에서 가처분절차의 법적 근거가 없는 경우 가처분절차를 인정할 것인지 여부가 항상 논란이 되고 있다. 왜냐하면 소송절차는 입법부가 제정하는 법률에 의해야 한다. 이는 권력분립원칙에 다른 것이다. 독일과 달리 명문의 규정이 없는 우리나라는 헌법소원제도에서 가처분제도를 적용하는 것은 헌법의 위배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논란을 없애기 위해서는 헌법재판에서 가처분절차의 규정을 일반절차에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was established with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in 1987. It has been 20 years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started to play its role since 1987. The Court has made a lot of judicial decisions that reaffirm the fundamental right of people and the justifiability of national authority. Especially the Court is playing a very important part in guaranteeing the fundamental right of people. Especially the jurisdiction over Constitutional Complaint is the central part of the role. Constitutional petition is developing into an important institution for the fundamental right of people. The Constitution lists the right of access to courts for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In addition to it, the Constitutional petition (Constitutional complaints) is defined as an exceptional means to protect one's rights. However, the Constitutional petition in Korea is abnormal in that it excludes the decisions of judicature from the object of petition despite the court's importance for the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Another problem of Constitutional petition in Korea is that it does not include a distinct provision of preliminary injunction. A preliminary injunction, in equity, is an injunction entered by a court prior to a determination of the merits of a legal case, in order to restrain a party from going forward with a course of conduct until the case has been decided. The Constitutional Court provoked controversy by allowing preliminary injunction although its procedure is not stated in the Constitution. Preliminary injunction is an important institution in procedural law which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al state. It is linked with the merits of a legal case but is regarded as an independent procedure. In this aspect, it has always been a controversy whether to admit preliminary injunction in the case it is not based on legal provision. Because legal procedure must be based on the provisions enacted by the legislati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the powers. In Korea, unlike Germany which has a distinctive provision on preliminary injunction, has a possibility to violate the Constitution by allowing the procedure. To put an end to this controversy, the procedure of preliminary injunction should expressly be stipulated as a general procedure.

      • KCI등재

        기소유예처분의 헌법소원에 관한 형사사법적인 평가

        이경열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성균관법학 Vol.30 No.1

        A constitutional petition is the only legal remedy available to a suspect who seeks to object to a suspension of prosecution. However, a constitutional petition is more or less restricted in its ability to provide constitutional control over suspension of prosecution by prosecutors, on account of the negative format employed in the main texts of decisions on constitutional petitions, and the restrictions on fact finding inherent in constitutional court proceedings. This paper reviews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2017 HeonMa 384 from a criminal justice perspective, focusing on the facts of the case as determined by the prosecutor, who is the respondent in the case, the applicable regulations, and the gist of the petitioner’s claims. Firstly, with regard to the application of the “special rules on crimes and complaints among relatives” to property crimes, the substantive criminal law distinguishes between mandatory exemption of punishment and crimes subject to victim’s complaint. However, the Regulations on Prosecutory Affairs provides that the type of the main text of decisions in both cases should be non-prosecution due to a “lack of authority to prosecut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case processing. In this regard, the Regulations on Prosecutory Affairs is in violation of the substantive law. In fact, most constitutional petitions against suspension of prosecution stem from the unjustifiable distinction between suspension of prosecution and non-prosecution due to a lack of authority to prosecute. Nevertheless, as the substantive criteria applicable to such cases, the Constitutional Court reviews “whether there exists an exercise of a prosecutor’s power that is so arbitrary as to require an intervention from the Constitutional Court,” on account of “an investigation that is markedly unjust or unfair, or an error in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application of the law, or judgment on evidence.” As for the formal criteria applicable to such cases, the Constitutional Court relies on the types of the main text of non-prosecution decisions prescribed by the Regulations on Prosecutory Affairs. However, Article 37,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provides for statutory reservation of basic rights. Then, it may not be appropriate for the Constitutional Court to lay down the Regulations on Prosecutory Affairs, which requires non-prosecution decision due to a lack of authority to prosecute when there exists a cause for mandatory exemption of punishment, as a criteria to decide whether a suspension of prosecution—which represents the prosecutor’s tentative judicial judgment of the case—violated a petitioner’s basic rights. For this reason, by way of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improvements. In sum, if the special rules on crimes and complaints among relatives and the exempted adjudication based on the causes for mandatory exemption of punishment can be understood as statutory provisions based on a policy consideration that, even though a suspect’s action constitutes a crime, the state refrains from exercising its power of punishment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al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s, the prosecutory practices should be brought to alignment with the dual distinction under the substantive criminal law, so as to match the types of decisions under the procedural law, and allow for the incorporation of crime victims’ intentions in various formats. In other words, as the Criminal Procedure Act distinguishes between formal decisions such as rejection of indictment and substantive guilty/not guilty decisions, the Regulations on Prosecutory Affairs should be revised so that a prosecutor is required to render a decision of suspension of prosecution rather than a decision of non-prosecution due to “a lack of authority to prosecute” in cases where there exists a cause for mandatory exemption of punishment. 기소유예처분에 불복하는 피의자의 법적 구제수단은 헌법소원심판이 유일하지만, 그 결정주문의 소극적 형식과 헌법재판에 내재된 사실규명의 제약으로 인하여 기소유예처분의 통제 기능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헌법재판소 2017헌마384 결정을 중심으로 피청구인 검사의 피의사실에 대한 결정과 관련 실무규정 및 청구인의 주장요지에 대하여 형사법이론적인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먼저 재산범죄에 대한 친족간 특례규정의 적용과 관련하여, 실체형법이 형의 필요적 면제와 친고죄로 구분하고 있는데도 사건처리의 편의를 위하여 이를 동일하게 형식적인 ‘공소권없음’의 불기소 결정의 주문 형식으로 기재하도록 정하고 있는 검찰사건사무규칙은 법에 위반하는 것이다. 실제로 기소유예처분에 대한 헌법소원의 대다수는 기소유예처분과 공소권없음의 불기소처분간에 존재하는 부당한 구별에 기인하고 있다. 그런데도 헌법재판소는 그 실질적인 판단기준으로 ‘현저히 정의와 형평에 반하는 수사, 헌법해석과 법률적용 또는 증거판단에의 잘못’이 있어 ‘헌법재판소가 관여해야 할 정도의 자의적인 검찰권한의 행사’이가 있는지를 제시하며, 형식적 기준으로는 검찰사건사무규칙에 정해진 불기소결정의 주문 각호에 따른 유형구분에 근거하고 있다. 하지만 헌법 제37조 제2항은 기본권제한의 법률유보를 정하고 있는데, 헌법재판소 자체가 형의 필요적 면제사유가 있는 경우에 대해 ‘공소권없음’ 불기소결정하는 검찰사건사무규칙을 이유로 삼아, 검사의 잠정적 사법판단인 기소유예처분의 기본권침해여부 판단기준으로 제시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여기서는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요컨대, 재산범죄에 대한 친족간 특례규정이나 형의 필요적 면제사유에 기한 면제판결이 죄의 성립은 인정하되 그 처벌에 대해 친족관계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국가형벌권 행사를 자제하는 정책적 입법규정이라고 이해한다면, 검찰실무도 절차법상의 재판유형과 일치되도록 또 범죄피해자의 의사를 다양한 형태로 반영할 수 있도록 실체형법의 이원적 규정태도에 일치하게 정비되어야 한다. 즉 형사소송법이 재판형식에 대해 공소기각 등의 형식재판과 유·무죄의 실체재판을 구별하고 있으므로 필요적 형면제사유에 대해서는 ‘공소권없음’의 불기소가 아니라 오히려 ‘기소유예’의 불기소처분으로 검찰실무규정을 개정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헌법재판에서의 가처분 - 최근 입법논의와 관련하여 -

        이준상 사법발전재단 2010 사법 Vol.1 No.13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the “Act”) provides for interim remedies or preliminary injunctions only in the cases of dissolution of a political party and jurisdictional disputes. Nevertheless, since the decision over Judicial Examination case(2000 Hun-Sa 471) delivered on December 8, 2000,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the “Court”) has issued a series of decisions that the Court is empowered to grant an interim remedy in constitutional petitions pursuant to Section 68.1 of the Act. Thus, the Court deserves some criticism, in that interim remedies still have no clear constitutional or legal grounds, and in that it is unclear whether interim remedies in constitutional petitions concerning laws and regulations have similar binding force as the Court's final decision of nonconformity to the Constitution. Recently a bill for amendment to the Act which allows interim remedies only in constitutional petitions related to Section 68.1 of the Act has been laid before the National Assembly, and approximately 10 years ago the Korean Public Law Association proposed a draft legislation to allow interim remedies in all constitutional cases. Above all, it would be against the provisions of the Act or the doctrine of separation of powers, if the above-mentioned bill or draft legislation provides that the Court could grant a stay of laws or order an active interim measure. Further, it is hard to find out laws of any other countries that contain general provisions of interim measures or special provisions of interim measures for a stay of law, except for the law of Germany. However, the German constitutional system needs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 Korean constitutional system, in that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is the highest court in the judicature of Germany and has much broader power, and in that special historical backgrounds exist just in the case of Germany. Moreover, interim measures for a stay of laws may be equivalent to a prior decision of nonconformity to the Constitution, which is in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interim measures. And such interim measures may have much greater retroactive effect, as compared to an ordinary final decision concerning unconstitutionality, given that, by court’s order of such interim measures, the later decision concerning unconstitutionality can actually take effect as of the date of such court order, the result of which is not consistent with the Section 47.2 of the Act. Also, it could be contradictory directly to the Section 113.1 of the Constitution providing for the quorum requirement, because, under the proposed bill or draft legislation, a preliminary injunction for a stay of laws may be decided by justices less than a quorum (i.e., 6 justices). Furthermore, an interim remedy like a temporary ruling along with a stay of a law would infringe legislative power and, if also allowed in a constitutional petition made pursuant to the Section 68.2 of the Act, a stay of a related trial would not only contradict relevant provisions of the Act (i.e., 75.7) and but also fundamentally infringe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Therefore, in this regard, it is undesirable to introduce the general provisions of interim measures, so by adopting additional provisions that prevent the Court from issuing a stay of laws or an active interim measures, the proposed draft legislations need to be reconsidered and revised to the effect that allowing interim measures under the Act must be limited to a reasonable extent in light of the constitutional order. 현행 헌법재판소법은 정당해산심판과 권한쟁의심판에 대하여만 가처분조항을 두고 있을 뿐 그 이외의 다른 심판절차에 대하여는 가처분 조항을 두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헌법재판소는 2000. 12. 8. 사법시험령사건 관련 가처분사건(2000헌사471)에서의 결정 이후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의 권리구제형 헌법소원 사건에서 가처분이 가능하다고 판시하여 오고 있다. 위와 같은 헌법재판소의 태도는 가처분제도의 헌법적, 법적 근거가 없고, 법령에 대한 헌법소원에서 가처분결정의 효력이 위헌결정과 유사한 기속력을 가질 수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는 점에서 비판의 여지가 많다. 한편, 가처분 조항의 입법불비와 관련하여 현재 국회에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에 가처분 조항을 신설하는 내용의 입법안이 상정되어 있고, 약 10년 전에 한국공법학회가 모든 심판절차에 적용될 수 있는 가처분에 관한 일반조항을 신설하는 내용의 입법안을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입법안들을 검토함으로써 헌법재판에서의 가처분 논의를 접근하여 보면, 먼저 위 입법안들에서의 가처분조항이 법령의 효력정지나 적극적인 잠정조치를 명하는 것까지를 포함한다면 헌법재판소법의 관련 규정들이나 헌법상 권력분립의 원칙에 반할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가처분의 일반조항 혹은 법령에 대한 효력정지를 내용으로 하는 가처분 조항은 독일외의 국가에서 찾아보기 어려운데, 독일의 경우에는 독일연방헌법재판소가 사법의 정점에 있고 매우 포괄적인 권한을 갖고 있으며, 또한 독일만의 특수한 역사적 환경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위와 같은 규정이 탄생할 수 있었다고 보이나, 우리의 제도나 역사적 환경은 매우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또한 법령에 대한 효력정지는 사실상 본안결정을 선취하는 효과가 있어 가처분제도의 본래의 속성에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위헌결정의 효력시기를 가처분결정시로 소급시키는 효력이 있어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2항의 규정에 반하고, 위헌결정정족수에 미달하는 정족수로도 가처분결정이 가능하여 헌법 제113조 제1항 위반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나아가 법령의 효력 정지와 함께 잠정 적용법령을 정하게 되면 이는 입법권을 침해하게 되는 것이고,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에서 재판의 중지를 명하는 가처분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면 이는 재판이 정지되지 않도록 규정한 헌법재판소법 제75조 제7항 등의 관련 규정에 반할 뿐만 아니라 근본적으로는 사법권을 침해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위의 개정시안들을 그대로 도입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하고, 특히 가처분 일반조항을 도입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고,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에 가처분조항을 도입하더라도 적어도 그 대상에서 법령을 제외하거나 그 권한에서 적극적인 처분이나 명령을 내릴 수는 없다는 예외조항을 두는 등으로 제한하여 헌법질서에 정합적인 형태로 탄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후보

        법원과 헌법재판소의 조세사건에 있어 헌법판단의 차이

        박훈(Park Hun) 한국조세연구포럼 2010 조세연구 Vol.10 No.3

        이 글은 헌법재판소의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의 위헌결정 중 조세와 관련된 19건의 주요한 사례를 대상으로 한다. 법원의 합헌판단과 헌법재판소의 위헌판단이라는 대립에 초점을 맞추어 위 헌법재판소 결정례를 분석하였다. Ⅱ.는 전체적인 법원 및 헌법재판소에 의한 헌법판단의 법적 근거 및 현황에 대한 것이다. Ⅲ.에서는 19건의 사례를 ⅰ) 대상법령과 쟁점, ⅱ) 위헌제청기각을 한 법원과 위헌결정을 한 헌법재판소의 헌법에 대한 판단, ⅲ) 결정 이후 법령의 개정여부와 결정 관련판례 등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Ⅳ.에서는 종합적으로 위헌심사형 헌법소원 위헌결정 사례의 특징을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정리했다. Ⅴ.의 결론에 따르면, 19건의 위헌결정 사례에서 법원의 헌법판단은 통일성이 있다고 보기 어려운데 반해 헌법재판소는 일관성을 보이고 있다. 헌법재판소가 위헌결정을 내린 후 대법원이 이를 정면으로 다른 헌법판단을 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다만, 한정위헌결정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 19건의 헌법재판소 위헌결정의 취지에 따라 대상법률이 개정되었는데, 그 개정 전후의 헌법재판소의 결정과 대법원 판례를 비교해 볼 경우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에 배치되는 헌법재판소 결정과 대법원 판례는 찾기 어렵다. 포괄위임과 관련한 대법원 1993. 2. 12. 선고 92누5478 판결이 그 이후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과 달리 합헌판단을 한 경우가 있지만, 헌법재판소 결정으로 그 대상법령은 효력을 잃는다고 해석하여야 한다. This article concerns 19 important, tax-related cases among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s striking down statutes as unconstitutional in the constitutionality review-type of constitutional petitions. In the cases, while the courts held a statute as constitutional, the Constitutional Court held a statute as unconstitutional. Chapter Ⅱ concerns the overall legal basis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constitutionality determination of the court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Chapter Ⅲ reviews the 19 cases in the aspects of ⅰ) relevant statutes and legal issues;ⅱ) determination on the Constitution which the courts dismissed the request of a party for petition of unconstitutionality review, but the Constitutional Court issued a decision striking down a statute as unconstitutional;and ⅲ) whether relevant statutes were amended after the decisions and cases related to the decision. Chapter Ⅳ is an overall summarization, in three asp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decisions striking down a statute as unconstitutional in the constitutionality review-type of constitutional petition. As the conclusion of Chapter Ⅴ, among the 19 decisions, it is hard to say that there is any consistency in the courts' constitutionality determination, but the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shows consistency. Where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issued a decision striking down a statute as unconstitutional, it is difficult to find a case where the Supreme Court made a different constitutionality determination directly contradicting the Constitutional Court. However, that is not the case in the decision restrictively striking down a statute as unconstitutional. Relevant statutes were amended pursuant to holdings of the 19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when comparing the statues before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and the Supreme Court's decision and after the amendment, it is difficult to find any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which contradict the Constitutional Court's opinion. Although the Supreme Court decision of February 12, 1993 (92Nu5478) regarding general delegated legislation held a statute as constitutional, unlike the Constitutional Court's subsequent decisions striking down the statute as unconstitutional, such statute has to be interpreted as void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 KCI등재

        2024년 상반기 헌법재판소 중요 결정에 대한 평석

        장혜진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4 法과 政策 Vol.30 No.2

        헌법재판소는 2024년 상반기(1월~6월) 동안 총 1,005건의 사건을 다루었다. 그 중 검찰의 불기소 처분에 대한 헌마 사건 총 260건을 제외하고도 헌법재판소가 올 상반기 동안 다룬 사건은 무려 745건에 이른다. 본 논문에서는 올 상반기 헌법재판소 결정 중 위헌법률심판 및 위헌법률심사형 헌법소원심판 사건에서 6건,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심판 사건 중 법령소원에서의 중요 결정 7건 등 총 13건을 선별하여 그 의미와 비판점, 시사점 등에 대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그 방식이 규범통제형이거나 권리구제형인지 여부를 불문하고, 법 또는 법령의 위헌성을 다룬 헌가, 헌바, 헌마 사건에 대한 상반기 헌법재판소의 중요 결정을 내용적인 면에서 요약하여 정리해 본다면,「민법 분야」에서는 사실혼 배우자의 상속권에 대한 (선례 유지) 합헌 결정과 재산분할청구권에 대한 각하 결정, 유류분과 관련한 위헌 및 헌법불합치 결정, 상속분 가액지급청구권에 대한 10년 제척기간에 대한 위헌 결정이, 「형법 분야」에서는 친족상도례를 규정한 형법 조항에 대한 헌법불합치 결정이 향후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파급력이 매우 클 것으로 예측된다. 「선거 관련 분야」로는 공직선거법상 지방공사 상근직원의 선거운동을 금지 및 처벌하는 조항에 대한 위헌 결정과 후보자비방죄에 대하여 선례를 변경하여 위헌 결정을 한 것이 중요 결정으로 분석되었는데, 선거운동의 자유,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는 취지의 해석을 하는 것으로 보이는 헌법재판소의 최근의 주류적 결정과 같은 맥락의 판단으로 보인다. 「행정 관련 분야」로는 감염병 예방 및 감염 전파의 차단을 위하여 감염병 의심자 등에 관한 인적사항 수집을 허용하는 구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조항이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합헌 결정이 향후 언제든지 찾아올 수 있는 또 다른 팬데믹 시대를 고려하는 차원에서의 중요성이 있고, 주민등록법상 지문날인제도와 관련하여서는 지속적으로 동일 사안에 대한 헌법소원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각 조항에 대한 헌법재판소 재판관들의 의견이 세분화 되어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사회 주요 관심사 분야」로는 임신 32주 이전 태아에 대한 성별을 알리는 것을 금지하는 의료법 조항에 대한 위헌 결정이, 장교가 군무와 관련된 고충사항을 집단으로 진정 서명하는 행위를 금지한 군인의 지위 및 복무에 관한 기본법에 대한 4인의 반대의견이 동반된 합헌 결정이, 미성년자에 대한 생활자금 대출상환의무 부과한 구‘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 조항이 아동으로서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등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결정(4인 인용 의견)이 중요한 결정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유사 선례 반영 분야」로는 군인연금법상 퇴역연금 수급자가 지방의회의원에 취임한 경우, 퇴역연금 전부의 지급을 정지하도록 규정한 구 군인연금법 조항에 대한 헌법불합치 결정과, 의료급여기관이 사무장 병원임을 수사기관의 수사 결과로 확인한 경우 의료급여비용의 지급을 보류할 수 있도록 규정한 의료급여법 조항에 대하여 헌법불합치 결정을 선별하였다.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handled 1,005 cases in total during the period of six months from January to June of 2024. Except for 260 cases of Hun Ma used for criminal remedy in non-indictment, the number of cases handl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became 745 during such period of time. In this study, 6 major cases in judicial review and constitutional complaint and 7 notable cases in statutory petition of constitutional review for criminal remedy, among 1,005 cases, are particularly reviewed and analyzed by focusing on the meaning of such cases, criticism and implication. Regardless of whether it is for the order of higher and subordinate law, or remedy, the summary of the main decisions on Hun Ga, Hun Ba and Hun Ma, related to constitutional review on statue and decree are as follows: In a field of Civil Law, the Constitutional Court upheld the precedent on inheritance of de facto marriage spouse and division of property, and decided as unconstitutional & unconformable to Constitution in relation to legal reserve of inheritance, and decided as unconstitutional on 10-year statute of repose about claim for payment of amount equivalent to one’s share of inheritance, and as for Criminal law,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on criminal provision stipulating exception to relatives on thievery is predicted that the social impact and ripple effect will be very large with the decisions made above in the field of Civil Law. In election related cases, it is analyzed as important decisions that the article prohibiting public officials from primary election campaign and its penalty provision under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s unconstitutional, and a penalty provision prohibiting slanders against candidates is unconstitutional as opposed to the precedent. Such decisions are made to support freedom of election campaign and freedom of speech, which appears to be a judgment in the same context as the mainstream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s notable cases in administrative law, the article allowing col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erson suspected of having an infectious diseas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and blocking spread of infection under former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does not infringe Privacy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therefore it is constitutional, which is a meaningful decis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another pandemic that could come at any time in the future. Another case was about fingerprint seal under Resident Registration Act which was one of the repeating constitutional review cases but individual Justic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had different opinion on each article of such Act, which made to take a close look in this paper. In regard to main public-interest sector, the article prohibiting fetal gender prediction of Medical Service Act was decided as unconstitutional, and the article banning collective petition for grievance relating to military service of Framework Act on Military Status and Service was decided as constitutional with opposing opinion by four individual justice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article providing minor with loan repayment obligation for living fund under former Decree of Compulsory Motor Vehicle Liability Security Act is not unconstitutional because such article does not infringe the right to have life worthy of human beings as minor by four upholding individual justice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Lastly, in area reflecting similar precedents, the article suspending payment of veteran’s pension to a recipient who taking office as a local council member under Military Pension Act was decided as unconformable to constitution, and the article holding payment of medical expenses to an institution in case where a medical institution turned out to be so called “office manager hospital” established violating Medical Service Act was decided as unconformable to constitution. Those are also marked cases to ...

      • KCI등재

        國家의 基本權保護義務와 告示를 對象으로 한 不服方法: 미국산 쇠고기등 수입위생조건 위헌확인사건 평석

        권은민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10 행정판례연구 Vol.15 No.2

        This is a commentary on a case that came before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in which the petitioners challenged the constitutionality of a public notice that relaxed the sanitary conditions imposed on imported U.S. beef. The decision render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discussed the extent to which a state holds an obligation to protect its citizens from the dangers presented in modern society, in addition to the standard by which compliance with such an obligation, if recognized, should be assessed. A majority of the Constitutional Court held that the state has a concrete obligation to protect the life and physical safety of its citizens. The majority found that the public notice in the underlying case stipulated specific sanitary conditions for imported beef, which constituted state measures to protect the life and physical safety of consumers, and as such the public notice could possibly give rise to an infringement of the fundamental right to life and physical safety. The majority opinion concluded that these sanitary conditions qualified as appropriate and efficient measures providing a minimum level of protection for the public, and thereby held that the public notice was constitutional. Commentators and scholars have commended the Constitutional Court for its successful resolution of a social conflict within the framework of constitutional law. In this commentary, the author analyzes each of the majority and minority opin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discusses the implications raised. First, the author argues that acknowledging a state obligation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has the positive effect of expanding the scope of protection provided for fundamental rights beyond the traditional right to defend against state action to include protection against infringement of such rights by private parties. This expansion in protection, however, brings with it the problematic corresponding expansion in the scope of permitted interference by the state into the lives of its citizens. Second, if the content of the obligation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is more concretely articulated through the Constitutional Court, this has the effect of moving a determination usually made by the political process into the realm of the judiciary. Overall, if the obligation to protect fundamental rights is expanded through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cope of permitted intervention by the state is also expanded in that process, the Constitutional Court will be leading the process of articulating fundamental rights, and judicial procedures will effectively be replacing democratic political processes. The commentary also addresses the viability of constitutional challenges against public notices in general. In this case, the Constitutional Court accepted a public notice amended by the executive branch pursuant to authority delegated by statute as a proper subject of a constitutional petition. The public notice in this case would become effective immediately, without the need for any other administrative action. It is unclear from this case alone, however, whether such constitutional petitions against public notices will be possible in the future, especially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alternative option of using administrative proceedings. The question of whether constitutional petitions may be brought against public notices in general will be determin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a range of factors, including the limits of judicial control over administrative rulemaking, the underlying purpose of constitutional cases, and the ease with which remedies may be issued. 미국산 쇠고기 수입과 관련된 헌법소원사건에 대한 평석이다. 이 사건에서 헌법재판소는 현대사회에서 국민이 직면하는 위험상황에 대해 국가가 어느 정도의 보호의무를 지는지를 다루었다. 또한 보호의무의 준수여부를 어떤 기준으로 심사하는지도 판단하였다. 헌법재판소의 다수의견은 국가가 국민의 생명과 신체의 안전을 보호할 구체적인 의무가 있다고 인정하였다. 또한 다수의견은 이 사건 고시로 인해 일반소비자인 청구인들의 기본권침해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개정된 고시를 심사한 다음 개정된 내용이 체감적으로 완벽한 것이 아니라 할지라도 국민에 대한 보호의무를 위반한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이 사건의 처리에 대하여 헌법재판소는 사회갈등을 헌법재판의 틀 안에서 해결함으로써 갈등해결을 성공적으로 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필자는 이 사건 결정에 나타난 다수의견과 소수의견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는 국민의 기본권 보호를 전통적인 대국가적 방어권을 넘어서 사인에 의한 위법한 침해로부터도 기본권을 보호한다는 긍정적 측면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국가의 보호의무가 확대될 경우에는 국민생활에 대한 국가개입의 확대라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기본권보호의무가 헌법재판소를 통해 구체화된다는 측면에서는 종전에는 정치적 영역의 것이 사법절차에 의해 대체된다. 기본권보호의무가 확대될 경우 그 과정에서 국가개입이 확대되며, 헌법재판소가 그것을 주도하게 됨으로써 사법절차가 민주적 정치과정을 대체하는 문제가 있다. 이 사건에서 헌법재판소는 행정부가 법령의 위임에 따라 제정한 고시를 개정한 경우에 그것을 헌법소원의 대상으로 인정하였다. 이 사건 고시는 다른 행정행위를 기다릴 것 없이 바로 효과를 발생한다. 이 사건 고시의 시행으로 종전에 허용되지 않던 유형의 쇠고기가 수입되는데 대하여 추가적인 행정조치가 필요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향후에도 고시를 대상으로 한 헌법소원이 가능할지 여부는 검토되어야 한다. 고시에 대한 헌법소원 가능성 여부는 행정입법에 대한 사법통제의 한계, 헌법재판의 목적, 국민의 권리구제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것이다.

      • KCI등재

        조세 분야 한정위헌결정의 효력에 관한 고찰 - 헌법재판소 2022. 7. 21. 2013헌마496 재판취소 등 평석 -

        이전오 한국조세법학회 2024 조세논총 Vol.9 No.2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을 둘러싼 헌법재판소와 대법원간의 오랜 다툼은 단순히 이론상의 견해 대립에 그치지 않고 때로 납세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끼치게 되는데, 대상결정이 그 한 예이다. 이 사건에서는 과세처분 – 제1심 원고청구 기각 – 항소심 원고 청구 인용 – 대법원 파기환송판결 – 파기 환송 후 항소심 판결(재심대상판결) - 한정위헌결정 – 재심기각판결 – 재심상고기각판결 등의 길고 복잡한 소송과정이 있었다. 대상결정의 청구인은 ① 이 사건 재심기각판결 및 재심상고기각판결의 취소 ② 이 사건 한정위헌결정 이전에 이루어진 대법원의 파기환송판결 및 이 사건 재심대상판결의 취소 ③ 이 사건 과세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하였다대상결정은 ①은 취소하였으나 ②는 ‘법률에 대한 위헌결정의 기속력에 반하는 재판’에 해당하지 아니한다는 이유로 각하하고, ②를 취소하지 않으면서 ③을 취소하는 것은 재판의 기판력과 충돌한다는 이유로 ③도 각하하였다. 이 사건처럼 법원이 한정위헌결정의 효력을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경우에는 헌법재판소는 위헌결정의 실효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법원에 의하여 훼손된 헌법 우위의 법질서를 바로 잡고 국민의 기본권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구제하기 위하여, 예외적으로 원행정처분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청구를 적극적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이 사건 결정이 의미가 있으려면, 이 사건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을 부인하여 청구인의 재심청구를 기각한 판결을 취소함과 더불어 이 사건 과세처분도 함께 취소하였어야 한다. 헌법재판소가 충분히 그런 논리 구성을 할 수 있었는데도, 형식논리만 고수함으로써 납세자의 구제를 도외시한 점은 문제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우선 대법원은 헌법재판소의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을 인정하기 바라고, 대법원이 태도를 바꾸지 않으면 헌법재판소는 납세자 권리구제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를 취해 주기 바라며, 입법부는 헌법재판소법의 개정을 서둘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 주기 바란다. he long-standing dispute betwee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over the binding force of limited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is more than just a theoretical disagreement; it sometimes results in serious harm to taxpayers, as is the case with the targeting decision discussed in this paper. This case involved a long and complicated process of tax assessment - first instance dismissal of the plaintiff's claim - appellate decision upholding the plaintiff's claim - the Supreme Court‘s remand - appellate decision after remand - limited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 reconsideration dismissal - reconsideration appeal dismissal. The claimant of the target decision sought a constitutional challenge of ① the reversal of the decision to dismiss the reconsideration and the reversal of the decision to dismiss the appeal of reconsideration, ② the reversal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 to remand the case and the reversal of the decision which is the target of reconsideration, and ③ the cancel of the tax disposition of the case. The Constitutional Court dismissed the first case, and dismissed the second case on the grounds that it did not constitute a ‘trial against the binding effect of an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on the law,’ and also dismissed the third case on the grounds that canceling the third case without canceling the second case would conflict with the trial’s binding effect. In cases such as this one, where a court violates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by failing to recognize the effectiveness of a limited unconstitutionality decision, the Constitutional Court needs to actively recognize a petition for constitutional review of the original administrative decision in exceptional cases in order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the unconstitutional decision, correct the legal order of constitutional supremacy that has been undermined by the court, and promptly and efficiently remedy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For the decision in this case to be meaningful, it should have reversed the judgment dismissing the petitioner's request for reconsideration by denying the binding effect of the limited constitutionality decision and also reversed the tax assessment in this case. It is troubling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could have done so, but instead chose to stick to a formalistic logic and ignored the taxpayer's remedy. In the future, we hope that the Supreme Court will first recognize the binding force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limited constitutionality decision, and if the Supreme Court does not change its attitude, the Constitutional Court will take a more proactive stance in relieving taxpayers' rights, and the legislature should hurry to amend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 KCI등재후보

        대통령 탄핵심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최인화(Choi, In Hwa)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서강법률논총 Vol.7 No.1

        탄핵심판제도는 행정부와 사법부의 고위공직자에 의한 헌법위반이나 법률위반이 있는 경우 그에 대한 법적 책임을 추궁함으로써, 헌법침해로부터 헌법을 보호하는 헌법보호수단이다. 특히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제도는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통제기능으로서 작용하고 소추절차가 엄격하며 국민에게 정치적 책임을 지는 대통령에게 법의 지배에 따라 권력을 제대로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이미 2004년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청구에서 탄핵심판의 본질, 대상 및 절차, 탄핵심판의 요건, 탄핵심판의 기준 및 결정의 방식에 대한 많은 쟁점들이 제기되었다. 2017년 3월 헌법재판소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사건에서 인용결정을 하였고 헌정사상 처음으로 대통령이 파면되었다. 먼저 적법요건에 대하여 국회의 자율성과 관련하여 국회에서의 충분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질의와 토론 절차가 생략되었으며, 탄핵소추의결이 개별 사유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탄핵소추에 대한 보다 엄격한 절차와 요건이 준수되어야 한다는 비판이 있었다. 헌법이나 법률에 위배되는 대통령의 행위와 관련하여 노무현 대통령 탄핵심판사건에서는 정치적 중립의무, 헌법수호의무, 재신임 투표행위가 쟁점이 되었고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사건에서는 공무원 임면권 남용, 생명권 보호의무가 쟁점이 되었다. 대통령의 탄핵사유는 헌법상 ‘직무집행에 있어 헌법과 법률에 위배되는’ 대통령의 행위로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르면, 헌법 및 법률 위배의 ‘중대성’이라는 별도의 요건을 요구하면서 법위반이 헌법질서에 부정적인 영향이나 해악을 미치는지 여부와 피청구인을 파면하는 경우 초래되는 효과를 비교 형량하여 파면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 탄핵심판사건에서 헌법재판소는 법위반의 중대성의 판단기준을 ‘헌법수호의 관점’과 ‘신임배반의 관점’이라는 두 가지의 분리된 기준으로 판단하였고 두 유형이 중첩되지 않는 상호 배타적인 행위유형으로 판시하고 있다. 그러나 법위반의 중대성의 두 개의 판단기준은 탄핵제도의 취지에서 보면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의 심리방향에 있어서도 법위반의 중대성에 대한 면밀한 논리의 구성과 논증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이유 제시가 있어야 할 것이다.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사건을 통해서 앞으로 탄핵절차, 탄핵대상별 탄핵사유의 차별화, 법위반의 중대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Adjudication on impeachment is a constitutional procedure that protects the constitutional order by depriving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of their authority when they abuse that authority to violate the Constitution or law. In particular, the impeachment trial system for the President works as a control func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to the President and its prosecution procedure is strict. It is the system which the President takes a responsibility for the people and can properly exercise the power in accordance with the rule of law.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respondent, President Park Geun-hye is removed from office in March 2017 and this is the first President’s expulsion in the constitutional history in Korea. We had already raised many issues such as the nature, standards, requirements and decision ways of impeachment in the petition for the President Roh Moo-hyun in 2004. Firstly, the Constitutional Court pronounced that the self-regulating authority of the deliberative process of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be respected under the doctrine of separation of powers, as long as it is not marked by any clear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or law. In connection with the President`s acts which violate the Constitution or other laws, the issues of the President Roh Moo-hyun Case were political neutrality obligation, president`s obligation to protect the Constitution and suggestion to hold a national referendum on whether he should remain in office, while those of the President Park Geun-hye Case were the abuse of the power to appoint and dismiss a civil servant and obligation to protect the right to life. Article 65(1) of the Constitution limits the ground for impeachment to the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or statutes in the performance of official duties. However,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was a ‘grave violation of law’ or whether the ‘removal is justifiable’ cannot be conceived by itself and that the existence of a valid ground for the petition for impeachment adjudication should be determined by balancing the ‘degree of the negative impact on or the harm to the constitutional order caused by the violation of law’ and the ‘effect to be caused by the removal of the respondent from office.’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at the standard of review to be applied in determining the “gravity of the violation of law” is two standpoints, that is to say, ‘the standpoint of the protection of the Constitution’ and ‘the standpoint of betrayal of the trust of the people. However, the criteria of gravity of the violation of law is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light of the system of impeachment but is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e judicial review of adjudication on impeach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be provided through more careful logic and argument about the gravity of the law with specific reasons. I think that more detailed review of impeachment procedures, discrimination of impeachment grounds and gravity of the violation of law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