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人權의 基礎槪念으로서 良心

        李在承 國民大學校 法學硏究所 2002 법학논총 Vol.14 No.-

        This article aims at defining conscience and taking validity claim of conscience into account. It has been recognized in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1948) and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1968) that everyone has the right to freedom of conscience. Thus that right has been regarded as a fundamental human right in the liberal states. Conscience can be defined as human being's innate moral sense of right or wrong. The origin and essence of conscience has been elucidated from the theological, philosophical or psychological viewpoint. Philosophical concepts of conscience are summarized as the Kantian subjectivist and the Hegelian objectivist version. But if we adopt the latter, individual conscience should be simply submitted to the ethical horizon of the dominant majority or community. Therefore, only the subjectivist version of conscience is adequate for supporting freedom of conscience. To begin with, this article separates concept of conscience from its validity claim. If the absolute freedom is permitted to the conscience in the subjectivist form, then conscience would be degraded into the principle of ethical anarchy. Secondarily, we evaluate the concrete contents of conscience from the viewpoint of universalizability. In that case the universalizability test should not be reduced to the dominant ethical view of majority or legal order. To the contrary, universalizability presupposes ethical pluralism and a inviolable fundamental right to differ from the dominant moral standards. In conclusion, the universalizability principle demands open society. The open society is the community which extends the ethical horizon of the majority in order to include ethical minority within the community without interruption. In the open society a prima-facie crime which is contrary to positive law may be justified as an exercise of right to freedom of conscience, if the intent and performance of such crime is universalizable. At present, recognition of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is the first step towards open society in Korea.

      • KCI등재

        人權의 基礎槪念으로서 良心

        李在承(Lee Jae-Seung)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02 법학논총 Vol.14 No.-

        This article aims at defining conscience and taking validity claim of conscience into account. It has been recognized in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1948) and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l968) that everyone has the right to freedom of conscience. Thus that right has been regarded as a fundamental human right in the liberal states. Conscience can be defined as human being's innate moral sense of right or wrong. The origin and essence of conscience has been elucidated from the theological, philosophical or psychological viewpoint. Philosophical concepts of conscience are summarized as the Kantian subjectivist and the Hegelian objectivist version. But if we adopt the latter, individual conscience should be simply submitted to the ethical horizon of the dominant majority or community. Therefore, only the subjectivist version of conscience is adequate for supporting freedom of conscience. To begin with, this article separates concept of conscience from its validity claim. lf the absolute freedom is permitted to the conscience in the subjectivist form, then conscience would be degraded into the principle of ethical anarchy. Secondarily, we evaluate the concrete contents of conscience from the viewpoint of universalizability. In that case the universalizability test should not be reduced to the dominant ethical view of majority or legal order. To the contrary, universalizability presupposes ethical pluralism and a inviolable fundamental right to differ from the dominant moral standards. In conclusion, the universalizability principle demands open society. The open society is the community which extends the ethical horizon of the majority in order to include ethical minority within the community without interruption. In the open society a prima-facie crime which is contrary to positive law may be justified as an exercise of right to freedom of conscience, if the intent and performance of such crime is universalizable. At present, recognition of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is the first step towards open society in Korea.

      • KCI등재후보

        죄의 양심. 히브리서의 '양심' 개념에 대한 철학적 신학 고찰

        정기철 한국기독교철학회 2022 기독교철학 Vol.34 No.-

        I analyze the conscience of sin in Hebrews. The methodology for this subject analysis is not based on a mor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conscience’, but based on Christology and soteriology, and above all, the Holy Spirit and eschatological ecclesiology according to the Hebrews. I have not found any paper that studies the concept of ‘conscience’ in Hebrews following the methodology. Therefore, there is no intensive review of previous studies. In Hebrews, the concept of ‘voice of God’, ‘inner court’, or moral judgment, which is a common understanding of ‘conscience’, does not appear. The concern of Hebrews is the conscience of sin. In other words, it is not an analysis of the realization of sin and suffering from guilty conscience, but freedom from the conscience of sin. It follows the consideration of chrisotological conscience that ‘it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blood of Christ’. It is based on the theory of the Holy Spirit that the reason why the blood of Christ brings eternal atonement, and a complete conscience is the Holy Spirit. It is because all the views that the conscience of sin becomes the saved conscience, and the reborn conscience are understood and analyzed based on soteriology. In addition, the writer of Hebrews introduces a good conscience, and advises how the church as the eschatological community should live a life of worshiping and serve God with a good conscience. 히브리서 10장 2절의 ‘죄의 양심’을 고찰하여 죄의 양심에서 벗어난 양심의 자유를 제시하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그리스도의 피가 죄를 ‘깨끗하게 하다’ 할 때의 동사인 ‘카타리조’(καθαρίζω)의 목적어가 히브리서 9장 14절에서는 ‘양심’이지만, 요한일서 1장 7절에서는 ‘우리를 모든 죄로부터’라 했기에 ‘죄를 깨끗하게 하다’는 말은 ‘양심을 깨끗하게 하는’ 것과 같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양심은 ‘죄를 깨닫게’(히 10:2) 하고 ‘죄를 기억하는’(히 10:3) 기능을 한다. 이러한 양심의 기능을 주목한 독일 철학자 니체(Friedrich Nietzsche)는 양심이 죄를 깨닫고 기억하여 느끼게 되는 양심의 가책을 기독교가 발명한 몹쓸 병이라 비판한다. 그러나 히브리서 10장 2절은 니체가 주장한 것처럼 양심의 가책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밝히는 것이 아니라, 양심의 가책에서 어떻게 자유할 수 있는지 제시하고 있다. 히브리서는 기억에 남아 있는 “죄의 양심”(히 10:2)과 “악한 양심”(히 10:22)을 그리스도의 피로 정결하게 하여 “죽은 행실에서 깨끗한 양심”(히 9:14)과 “선한 양심”(히 13:18)으로 하나님을 섬기고 하나님께 나아가도록 권면한다. 논문의 주제를 정당화하기 위한 방법론은 철학적 신학이다. 히브리서에 다섯 차례(9:9; 9:14; 10:2; 10:22; 13:18)나 ‘양심’ 개념이 등장하기에 ‘양심’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해석을 위해 해석학이 필요했다. 철학적 신학 특히 해석학에 기초해 온전하지 못한 양심(9:9), 구원받은 양심(9:14), 죄의 양심(10:2), 거듭난 양심(10:22) 그리고 선한 양심(13:18) 등의 양심 개념의 내용이나 속성을 설명하다 보면 다양한 조직신학적 방법론들과 만나게 된다.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은 9장 9절의 그리스도론, 9장 14절 성령론에 기초한 양심의 구원론, 10장 2절의 죄의 양심, 곧 죄의 기억이나 양심의 가책에서 자유함을 기념하는 성례, 그리고 10장 22절과 13장 18절의 거듭난 선한 양심을 통한 종말론적 교회론 등이 그것이다. 철학적 신학의 방법론에 기초해 양심 개념이 논구되지만, 철저하게 성서신학이나 조직신학과의 연대 속에서 진행된다. 여러 양심 개념 분석을 넘어 각각의 구체적 적용 사례는 계속된 연구 작업의 기획 속에 남겨두게 되었지만, 각 양심 개념의 특성을 설명하다 보면 실천적 적용이 논의된다.

      • KCI등재

        양심이란 무엇인가?: 양심의 권위에 대한 두 가지 철학적 접근과 대한민국 사법부의 양심 개념

        최성호 한국법철학회 2019 법철학연구 Vol.22 No.2

        What is conscience? From a moral or legal perspective, what importance does conscience hold? They are important but difficult questions that philosophers and legal scholars of our time can’t just dodge. Further, these questions are not merely questions of scholarly interest only in a country where a strict conscription system is in place, for it will have a life-changing impact on individuals how we answer them.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the academic community in Korea has put an effort on answering the questions as much as it should do in the light of their urgency and gravity. Philosophers commonly rest content to introduce individual philosophers’ views of conscience such as Aquinas, Kant, Hegel, etc. Meanwhile legal scholars have shown only scanty interest on the philosophy of conscience. Research work that examines issues about conscience such as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s by combining a competent knowledge of the context and history of the Korean judicial system and an extensive understanding of philosophers’ effort to understand the nature of conscience is badly needed. This paper is a response to this need. In this paper, I will first show that conscience commands a certain authority in our mind. Next, I give an overview of what philosophers have said about the authority of conscience. Intellectualism, the relativistic challenge against intellectualism, and volitionalism will be discussed in this order. It will feature Thomas Aquinas, Immanuel Kant,Adam Smith, Sigmund Freud, Bernard Williams, and Michael Sandel. In 2018, the Constitutional Court legalized 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s. In its sentencing letter, it presents the most systematic and detailed account of conscience that has ever been provided by any judiciary organizations of Korea. I will scrutinize and classify it as a version of the volitionalist approach to the authority of conscience. I will close the paper by pointing out that volitionalism has its own share of difficulty. 양심이란 무엇인가? 윤리적 혹은 법적인 관점에서 양심은 어떤 중요성을 지니는가? 이러한 질문들은 우리 시대의 철학자나 법학자들이 결코 피할 수 없는오래된 숙제와 같은 질문들이다. 특히나 엄격한 징병제가 시행되고 있는 분단국가에서 양심적 병역거부의 문제가 사회적 쟁점이 될 때 그 질문들은 단순히학자들의 사변적 질문에 머물지 않는다. 그에 대한 답변이 사회 구성원들의 삶에 직접적인 그리고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의 학계가 이 오래된 숙제에 대하여, 그 긴급성과 중대성에 비추어 합당한 노력을 기울였는지 의문이다. 양심에 관한 철학 문헌들은 아퀴나스, 칸트, 헤겔과 같은 개별 철학자의 양심 개념을 소개하는 것에 머무는 경우가 다반사였고 반면 법학계는 양심 개념에 대한 철학자들의 논의에 오직 인색한 관심만을 표명할 뿐이었다. 대한민국 사법 체계에 대한 법학적 이해와 양심에 관한 철학적 통찰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양심 개념을 심도 있게 성찰하는 학술적 작업이 부재하다는 말이다. 본 논문은 그러한 학술적 작업의 필요성에 대한, 그리고 그것의 부재에 대한 필자의 응답이다. 본 논문은 먼저 상식적 양심 개념을 소개한 뒤, 그것이 우리의 내심에서 모종의 도덕적 권위를 갖는다는 것을 관찰할것이다. 다음으로 본 논문은 양심이 우리의 내심에서 지니는 이러한 권위에 대한 철학자들의 사유를 추적할 것이다. 양심의 권위에 대한 주지주의, 주지주의에 대한 상대주의자의 도전, 그리고 양심의 권위에 주지주의에 대한 대안으로등장한 주의주의가 차례로 논의될 것이다. 그 과정에 토마스 아퀴나스, 임마누엘 칸트, 애덤 스미스, 지그문트 프로이트, 버나드 윌리암스, 마이클 샌델 등 다양한 사상가들의 양심관이 소개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대한민국 사법부의 양심관을 검토할 것이다. 2018년 양심적 병역거부를 합법화한 헌법재판소의 결정문은 대한민국 사법부의 양심관을 가장 체계적이고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는데, 필자는 그 양심관을 양심의 권위에 대한 주의주의적 접근으로 분류할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주의주의적 접근이 직면한 중요한 이론적 도전을지적하며 논문을 마감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아우구스티누스의 양심

        정기철 ( Kicherl Chu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21 기독교철학 Vol.32 No.-

        우리의 주제는 아우구스티누스(Aurelius Augustinus Hipponensis)의 양심이다. 그가 양심에 관해 체계적으로 쓴 글이나 책은 없지만, 그의 여러 저서에서 양심과 관련한 중요한 개념들 이를테면 양심의 자유, 양심 고백, 도덕 양심, 그리고 양심적인 세례 등을 발견할 수 있다. 이들 여러 양심 개념들 각각을 역사적으로 연구하기 보단 잘 혼합된 양심 개념 지도를 그리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다. 그 작업 결과 하나님 앞(coram Deo) 그리스도인의 양심으로 논점이 귀결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렇다면 그것이 어떻게 고대 양심 사상에서 기독교 통찰로 새롭게 발전하고 있는지 밝히는 것이 연구 목적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론은 해석학이다. 잘 혼합된 양심 개념 지도를 그리기 위해서는 양심에 대한 바른 이해와 설명을 시도해야 하기 때문이다. 해석학은 테마에 따라 여러 분야에서 적용된다. 도덕 양심은 철학적 윤리학의 주제다. 신학적 인간학 또는 신학적 윤리학에 기초해 양심을 하나님의 소리로 그리고 내부의 법정이나 도덕 최후심급보다 더 거룩한 양심 성소가 가진 중요성을 설명할 것이다(『신국론』, 신학적 인간학과 윤리학). 양심의 본래 기능이 잘 작동되게 하기 위해서는 양심 치료가 필요한데, 그리 스도의 피를 통해서만 가능하다(『삼위일체론』, 그리스도론). 그리스도의 피가 영원한 속죄, 온전한 양심을 가져오게 된 것은 성령 때문이다(『고백록』, 성령론). 죄의 양심이 구원받은 양심이 되는 모든 관점은 구원론에 근거해 양심을 이해하고 분석했기 때문이다(『고백록』, 구원론). 양심적인 세례는 종말론적인 교회에서 기념되어야 한다(『페틸리아누스 서간 반박』, 종말론적 교회론). 연구 성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양심이 오늘날 우리에게 어떻게 적용 가능한지 각 주제를 살필 때마다 다룰 것이다. 여러 양심 주제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하고 그의 통찰은 현대인에게 올바른 삶을 정향해 준다는 결론으로 마무리할 것이다. Our thesis is Augustine's conscience. There are no articles or books systematically organized by him on the subject of conscienc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ristian’s conscience before God that the ancient theory of conscience reached its apex in him and at the same time that it is developing anew from ancient thought to Christian insight. I have found several important conscience-related key concepts in many of Augustine's works. I would like to introduce his theory of conscience through the concepts of confession of conscience, testimony of conscience, or freedom of conscience, such as peace of mind, conscience travel, and conscientious baptism. I will introduce several academic methodologies to address this topic. Based on theological anthropology or theological ethics rather than moral philosophical conscience, I will explain the conscience as the voice of God and the importance of the conscience as a more holy sanctuary than an inner court or moral supreme court(theological anthropology and ethics). A pure conscience is necessary for the original function of conscience to function well, and it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blood of Christ(Christology). It is because of the Holy Spirit that the blood of Christ brought eternal redemption, a perfect conscience(Pneumatology). A redeemed conscience should commemorate conscientious baptism, especially in the eschatological church(eschatological ecclesiology). We considered his theory of conscience still important in our day and applied as a guide for the modern Christian life.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윤리적 양심론

        이정희 한국중세철학회 2007 중세철학 Vol.0 No.13

        This thesis aim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with relation to the concept and function of moral conscience according to Thomas Aquinas. What is conscience? What are the fundamental functions of it? How can we explain the double structure of that from which evil and good come? Is the judgment of moral conscience obligatory, including that of erroneous one, why is it? Which is prior, reason or liberty? Is conscience sufficient for moral life? What to do with prudence does it have? This has investigated those problems from the points of view of the nature of the moral conscience and the cognitive structure of moral conscience, the relation of conscience to prudence, the obligation of conscience, the relation of conscience to truth and liberty, which Thomas Aquinas says about. The results that I have ascertained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gnitive structure of conscience is known through the distinction between synderesis and conscience, both of which belong to practical reason. Synderesis is a habit of prime operative principles that pronounces the universal judgments on the acts to be done. Synderesis cannot be extinguishable simply but solely secundum quid, namely, in case of exercise of it through the lack of the use of reason. On the other hand, conscience is principally an act of judgment applying the universal knowledge to a particular act, integrally including psychological act like to witness to the human life, and the moral acts like to bind, or incite, and to excuse, accuse, torment, or rebuke. Conscience as quasi regula regulata can err except in the particular conclusions that are directly subsumed under the universal principles of synderesis. Moral conscience applies the habits of the operative reason: synderesis, wisdom and the science in the antecedent and consequent manners. In this way the moral conscience is extended to the whole life of human being from the present, the past and to the future. Secondly, the judgments of conscience and of prudence are the same one judgment considered according to different aspects. The judgment, considered precisely as proceeding from synderesis and thus assuring the rectitude of an act to be posed but not controlling the appetitive potency, is that of conscience. This judgment, considered as it attains the singular operable, and guaranteeing its practical rectitude by being conformed to the inclination of rectified appetite, is the judgment of prudence, or more precisely, of synesis and gnome. When the judgment of conscience is thus formed within the judgment of prudence, its insufficiency is eliminated and virtuous acts are assured. Thirdly, Conscience has a binding force in virtue of the knowledge of the divine precept, in the sense that if one does not follow it, he commits a sin. Furthermore, Thomas applies the principle of the binding force of conscience to the erroneous one. The reason is that the will is evil, when it wills evil. Invincible ignorance can, by making an act involuntary, can exempt the will following the command of erroneous conscience from evil. But although even erroneous conscience can have a binding force, it binds in different way from right conscience. The right conscience binds absolutely, while the erroneous conscience binds under condition. Although it excuses the will from evil to abide by erroneous conscience which arise from invincilble ignorance, nevertheless it is not good, because good comes from the entire, while evil from each particular defect. Fourthly, conscience is said to be the privileged place of the real meeting between liberty and truth. The union of liberty with truth becomes real only when man knows truth, chooses and loves it, lives in conformity with it. The human dignity is in the knowledge of truth and in the love of it. Nevertheless, nobody can be compelled to accept the truth of faith and to love the good without his own conviction and willingness induced by his conscience. The liberty of conscience has cre... 본고는 주로 양심의 본성과 기능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규명하고자 했다. 양심은 무엇인가? 양심이 가진 선악의 이중적 구조를 어떻게 설명할 수가 있는가? 양심의 한계는 무엇이며 그것은 사려의 덕과 어떤 관계에 있는가? 양심의 판단은 의무적인가? 그렇다면 왜 그러한가? 잘못된 양심의 판단을 따르는 것도 의무적인가? 이성과 자유는 어느 것이 우선적인가? 그것들은 양심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가?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먼저 본론 1장에서 양심의 본성과 인식구조, 2장에서는 양심과 사려의 덕의 관계, 3장에서는 양심의 구속력, 4장에서는 양심, 자유, 진리사이의 관계를 검토했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토마스에 의한 양심의 인식구조는 신데레시스와 양심의 구분을 통해서 알려지는데 그 둘은 실천이성에 속해있다. 신데레시스는 제일의 실천적 원리의 습성으로서 행해야 할 것들에 대한 보편적 판단들을 선언한다. 신데레시스는 이성의 사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신체적 결함을 지니고 있는 경우와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절대로 사라지지 않는다. 양심의 주된 의미는 보편적 지식을 특정한 행위에 적용하는 판단의 행위이며 또한 의무로 속박하거나 자극하고 변명하고 고발하고 고통을 주고 비난하는 것과 같은 윤리적 행위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차적 규칙(quasi regula regulata)으로서의 양심은 신데레시스의 보편적 원리들 하에 직접적으로 포섭되어 있는 특정한 결론들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오류에 빠질 수 있다. 윤리적 양심은 선행적(antecedent) 또는 후속적(consequent) 방법으로 현재와 과거로부터 미래에 이르기까지 적용됨으로써, 인간의 전체적 삶으로 확대된다. 둘째, 양심의 판단은 사려의 덕의 판단 안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것은 신데레시스로부터 나오는 것으로서 행해야 할 행위의 올바름을 보증해주지만 의지나 감정 등 욕구적 기능을 통제하지 못한다. 그리고 사려의 덕의 판단 더 엄밀히 공통판단(synesis) 또는 차별적 판단(gnome)은 특정한 행위에 적용되는 것으로, 교정된 욕구의 경향에 적합하게 됨으로써 실천적 올바름을 보증해 주는 판단이다. 그래서 양심의 판단은 사려의 판단 안에서 형성될 때, 그 불충분함은 제거되고 덕스러운 행위들이 보증된다. 셋째, 양심은 신적 명령의 힘으로 구속력을 갖는데, 오류에 빠진 양심도 이러한 구속력을 갖고 있으며 그 이유는 양심을 거스르는 의지는 악하기 때문이다. 극복될 수 없는 무지는 어떤 행위를 비자발적으로 만듦으로써 오류에 빠진 양심의 명령을 따르는 의지를 악으로부터 면제시킬 수 있다. 오류에 빠진 양심이 구속력을 가질 수 있지만, 그것은 올바른 양심과는 다른 방식으로 구속력을 갖는다. 올바른 양심은 절대적으로 구속력을 갖는다. 반면 오류에 빠진 양심은 조건부로 구속력을 갖는다. 극복될 수 없는 무지로 인해 오류에 빠진 양심의 명을 따르는 것은 의지를 악으로부터 면제시켜주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은 완전한 이유로부터 오고, 반면 악은 각각의 특정한 결함으로부터 오기 때문에 그런 행위는 선은 되지 못한다. 넷째, 양심은 자유와 진리가 만나는 특수한 공간이다. 양심 안에서 자유와 진리의 결합은 인간이 진리를 알고 선택하고 사랑하고 진리에 따라 살 때에만 현실화되며 여기에 진정한 해방과 윤리의 가치가 있다. 그러나 진리에 따르는 삶의 선택은 자 ...

      • KCI등재후보

        양심의 자유에서의 양심 개념의 비교적 고찰

        나달숙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논총 Vol.34 No.2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concept of conscience which is premise in every spiritual activity of humane being. The humane conscience is affected by the religious belief, the spiritual thinking and the thinking about learning or art. Therefore the clause on the freedom of conscience can deal with including the freedom of thought. The freedom of conscience was separated from the freedom of religion, so nowadays the former protects the secular life and the latter does religious faith of the humane being. Although the both of them are prescribed on the same article, they have quite a different meanings. The concept of conscience can divide into two parts, private conscience and public conscience or the subjective conscience and the objective conscience according as whether it involves a certain contents about the conscience. The ground of conscience has been unfolded variously from ethicalㆍmoral one till religiousㆍsociological and philosophical one etc. The conscience is regarded as ethicalㆍmoral awareness of the humane being. The extension to the ground of conscience doesn’t mean to allow what is beyond the law or order. So the resisting conscience and the opposing one must not be beyond legalism. The conscience of article 19 in constitution is not the same the public conscience that has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or a judge but the personal conscience. The Supreme Court hangs on to the judgement denying the freedom of conscience in the accidents related with the conscience. The Constitutional Court suggests in a series of decisions that “Conscience includes inner valuableㆍethical judgement on personal character building more extensively as well as a world view, one’s view of life, principle, belief”The concept of conscience must be understood as the subjective conscientious theory. Therefore the legal discussion about the conscience must be started not from the general law, the general moral and the universality etc., but from the uppermost value judgment, the final judgmental organ and so on.

      • KCI등재

        대학생의 도덕적 양심 확신 수준과 도덕적 양심 지각의 관계 연구

        강인구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1

        Moral conscience is an evaluative property and characterized by moral responsiveness. In this study, college students (N = 273) subjects were examined perceptions of moral conscience, which is the first period of conscience awareness, the influencing factors of conscience, the self-evaluation of conscience, the relevance of conscience and career. Depending on the level of conviction of moral conscience, the subjects are divided conscience conviction groups and conscience conflict group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moral conscience. The result has shown that the first period of conscience awareness recognized that most of the students was in elementary school. The meaningful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on of conscience are parents and self. Conviction groups are more confident about their own conscience, self- evaluation in relation to others, a career choice in conscience than conflict groups. Thus, parenting and moral self-regulation in the development of moral conscience is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to enhance the confidence of the moral conscience. Also, educational materials and methods of moral conscience should be developed in moral education. 도덕적 양심은 평가적 속성을 지닌 도덕적 반응의 민감성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N=273)을 대상으로 도덕적 양심에 대한 지각을 조사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양심지각 시기, 양심영향요인, 양심 평가, 양심과 직업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도덕적 양심의 확신수준에 따라 양심확신집단과 양심갈등집단으로 구분하여, 도덕적 양심에 대한 지각정도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도덕적 양심지각 시기는 전반적으로 초등학교 때 대부분 지각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양심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부모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다음으로 스스로의 고민을 통하여 형성되었다고 응답한 학생이 두 번째로 많았다. 그리고 양심확신수준에 따른 조사에서, 양심확신집단이 양심갈등집단보다 자신의 양심에 대한 평가, 타인과의 관계에서 평가, 직업선택에서 양심의 일관성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도덕교육에서 부모양육과 도덕적 자기조절력이 도덕적 양심발달에서 양심에 대한 확신을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요소로서 고려되어지고, 도덕적 양심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교육내용과 방법이 구안되어져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논문 : 토마스 아퀴나스의 윤리적 양심론

        이정희 ( Jeong Hee Lee ) 한국중세철학회 2007 중세철학 Vol.0 No.13

        본고는 주로 양심의 본성과 기능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규명하고자 했다. 양심은 무엇인가? 양심이 가진 선악의 이중적 구조를 어떻게 설명할 수가 있는가? 양심의 한계는 무엇이며 그것은 사려의 덕과 어떤 관계에 있는가? 양심의 판단은 의무적인가? 그렇다면 왜 그러한가? 잘못된 양심의 판단을 따르는 것도 의무적인가? 이성과 자유는 어느 것이 우선적인가? 그것들은 양심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가?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먼저 본론 1장에서 양심의 본성과 인식구조, 2장에서는 양심과 사려의 덕의 관계, 3장에서는 양심의 구속력, 4장에서는 양심, 자유, 진리사이의 관계를 검토했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토마스에 의한 양심의 인식구조는 신데레시스와 양심의 구분을 통해서 알려지는데 그 둘은 실천이성에 속해있다. 신데레시스는 제일의 실천적 원리의 습성으로서 행해야 할 것들에 대한 보편적 판단들을 선언한다. 신데레시스는 이성의 사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신체적 결함을 지니고 있는 경우와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절대로 사라지지 않는다. 양심의 주된 의미는 보편적 지식을 특정한 행위에 적용하는 판단의 행위이며 또한 의무로 속박하거나 자극하고 변명하고 고발하고 고통을 주고 비난하는 것과 같은 윤리적 행위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차적 규칙(quasi regula regulata)으로서의 양심은 신데레시스의 보편적 원리들 하에 직접적으로 포섭되어 있는 특정한 결론들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오류에 빠질 수 있다. 윤리적 양심은 선행적(antecedent) 또는 후속적(consequent) 방법으로 현재와 과거로부터 미래에 이르기까지 적용됨으로써, 인간의 전체적 삶으로 확대된다. 둘째, 양심의 판단은 사려의 덕의 판단 안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것은 신데레시스로부터 나오는 것으로서 행해야 할 행위의 올바름을 보증해주지만 의지나 감정 등 욕구적 기능을 통제하지 못한다. 그리고 사려의 덕의 판단 더 엄밀히 공통판단(synesis) 또는 차별적 판단(gnome)은 특정한 행위에 적용되는 것으로, 교정된 욕구의 경향에 적합하게 됨으로써 실천적 올바름을 보증해 주는 판단이다. 그래서 양심의 판단은 사려의 판단 안에서 형성될 때, 그 불충분함은 제거되고 덕스러운 행위들이 보증된다. 셋째, 양심은 신적 명령의 힘으로 구속력을 갖는데, 오류에 빠진 양심도 이러한 구속력을 갖고 있으며 그 이유는 양심을 거스르는 의지는 악하기 때문이다. 극복될 수 없는 무지는 어떤 행위를 비자발적으로 만듦으로써 오류에 빠진 양심의 명령을 따르는 의지를 악으로부터 면제시킬 수 있다. 오류에 빠진 양심이 구속력을 가질 수 있지만, 그것은 올바른 양심과는 다른 방식으로 구속력을 갖는다. 올바른 양심은 절대적으로 구속력을 갖는다. 반면 오류에 빠진 양심은 조건부로 구속력을 갖는다. 극복될 수 없는 무지로 인해 오류에 빠진 양심의 명을 따르는 것은 의지를 악으로부터 면제시켜주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은 완전한 이유로부터 오고, 반면 악은 각각의 특정한 결함으로부터 오기 때문에 그런 행위는 선은 되지 못한다. 넷째, 양심은 자유와 진리가 만나는 특수한 공간이다. 양심 안에서 자유와 진리의 결합은 인간이 진리를 알고 선택하고 사랑하고 진리에 따라 살 때에만 현실화되며 여기에 진정한 해방과 윤리의 가치가 있다. 그러나 진리에 따르는 삶의 선택은 자유로운 This thesis aim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with relation to the concept and function of moral conscience according to Thomas Aquinas. What is conscience? What are the fundamental functions of it? How can we explain the double structure of that from which evil and good come? Is the judgment of moral conscience obligatory, including that of erroneous one, why is it? Which is prior, reason or liberty? Is conscience sufficient for moral life? What to do with prudence does it have? This has investigated those problems from the points of view of the nature of the moral conscience and the cognitive structure of moral conscience, the relation of conscience to prudence, the obligation of conscience, the relation of conscience to truth and liberty, which Thomas Aquinas says about. The results that I have ascertained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gnitive structure of conscience is known through the distinction between synderesis and conscience, both of which belong to practical reason. Synderesis is a habit of prime operative principles that pronounces the universal judgments on the acts to be done. Synderesis cannot be extinguishable simply but solely secundum quid, namely, in case of exercise of it through the lack of the use of reason. On the other hand, conscience is principally an act of judgment applying the universal knowledge to a particular act, integrally including psychological act like to witness to the human life, and the moral acts like to bind, or incite, and to excuse, accuse, torment, or rebuke. Conscience as quasi regula regulata can err except in the particular conclusions that are directly subsumed under the universal principles of synderesis. Moral conscience applies the habits of the operative reason: synderesis, wisdom and the science in the antecedent and consequent manners. In this way the moral conscience is extended to the whole life of human being from the present, the past and to the future. Secondly, the judgments of conscience and of prudence are the same one judgment considered according to different aspects. The judgment, considered precisely as proceeding from synderesis and thus assuring the rectitude of an act to be posed but not controlling the appetitive potency, is that of conscience. This judgment, considered as it attains the singular operable, and guaranteeing its practical rectitude by being conformed to the inclination of rectified appetite, is the judgment of prudence, or more precisely, of synesis and gnome. When the judgment of conscience is thus formed within the judgment of prudence, its insufficiency is eliminated and virtuous acts are assured. Thirdly, Conscience has a binding force in virtue of the knowledge of the divine precept, in the sense that if one does not follow it, he commits a sin. Furthermore, Thomas applies the principle of the binding force of conscience to the erroneous one. The reason is that the will is evil, when it wills evil. Invincible ignorance can, by making an act involuntary, can exempt the will following the command of erroneous conscience from evil. But although even erroneous conscience can have a binding force, it binds in different way from right conscience. The right conscience binds absolutely, while the erroneous conscience binds under condition. Although it excuses the will from evil to abide by erroneous conscience which arise from invincilble ignorance, nevertheless it is not good, because good comes from the entire, while evil from each particular defect. Fourthly, conscience is said to be the privileged place of the real meeting between liberty and truth. The union of liberty with truth becomes real only when man knows truth, chooses and loves it, lives in conformity with it. The human dignity is in the knowledge of truth and in the love of it. Nevertheless, nobody can be compelled to accept the truth of faith and to love the good without his own conviction and willingness induced by his conscience. The liberty of conscience has creative ch

      • KCI등재

        양심의 자유에서의 양심 개념의 비교적 고찰

        나달숙 ( Dal Sook Na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논총 Vol.34 No.2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concept of conscience which is premise in every spiritual activity of humane being. The humane conscience is affected by the religious belief, the spiritual thinking and the thinking about learning or art. Therefore the clause on the freedom of conscience can deal with including the freedom of thought. The freedom of conscience was separated from the freedom of religion, so nowadays the former protects the secular life and the latter does religious faith of the humane being. Although the both of them are prescribed on the same article, they have quite a different meanings. The concept of conscience can divide into two parts, private conscience and public conscience or the subjective conscience and the objective conscience according as whether it involves a certain contents about the conscience. The ground of conscience has been unfolded variously from ethical·moral one till religious·sociological and philosophical one etc. The conscience is regarded as ethical·moral awareness of the humane being. The extension to the ground of conscience doesn`t mean to allow what is beyond the law or order. So the resisting conscience and the opposing one must not be beyond legalism. The conscience of article 19 in constitution is not the same the public conscience that has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or a judge but the personal conscience. The Supreme Court hangs on to the judgement denying the freedom of conscience in the accidents related with the conscience. The Constitutional Court suggests in a series of decisions that Conscience includes inner valuable·ethical judgement on personal character building more extensively as well as a world view, one`s view of life, principle, belief The concept of conscience must be understood as the subjective conscientious theory. Therefore the legal discussion about the conscience must be started not from the general law, the general moral and the universality etc., but from the uppermost value judgment, the final judgmental organ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