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벤처캐피탈 조합의 회계와 세무에 대한 소고

        최문수(Mun-Soo Choi),박종대(Jong-Dae Park)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사회과학논총 Vol.9 No.-

        창업투자회사(벤처캐피탈)는 벤처기업 등에의 투자를 위해 창업투자회사 고유의 자금과 창업투자회사가 결성한 조합 출자금을 주된 투자재원으로 삼고 있다. 벤처캐피탈 업계에서는 투자조합을 통한 투자의 비중과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나 관련 세법이나 회계처리 방법에서는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조합이론은 크게 도관이론(導管理論)과 실체이론(實體理論)으로 구분된다. 조합을 독립된 납세주체로 보지 않고 단순한 도관으로 보는 도관이론(conduit theory)과 조합이 독립적인 권리의무의 주체가 될 수 있다고 보는 실체이론(entity theory)이 그것이다. 투자조합은 법률적으로 권리의 주체성이 인정되지 않고 있으며 세무 상으로도 도관이론을 적용하여 과세의 실체가 되지 않는다. 다만 투자조합은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서 투자조합이 조합원의 출자금으로 투자 또는 운용하여 얻은 소득에 대하여 조합원에게 분배할 때 소득세 또는 법인세를 원천징수하여 신고납부할 의무를 지게 된다. 현행 우리나라 조세법상으로는 조합에 대한 과세근거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는 명문규정이 없는 실정이므로 조합과세에 관한 규정 제정이 필요하다. 조합과세에 관한 규정 제정시 도관이론이 실체이론보다 조합원들에게 세제상 유리하기 때문에 현재의 도관이론을 기본으로 하여야 활 것이다. 실체이론은 이중과세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조합과세는 기본적으로는 도관이론을 따르되 조합소득의 원천징수나 일정한 조합원과의 거래시 등 실체이론을 필요에 따라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For investing in the venture companies, venture capital corporations use not only their own fund but also investment association fund. In the venture capital industry, the percentage and the importance of the investment through the investment association fund is growing. But presently the related tax law and accounting method do not reflect the act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ory and practice regarding the venture capital partnership in the light of current accounting system and taxation. There are in general two theories for the venture capital partnership : conduit theory and entity theory. The conduit theory insists that the partnership is considered as a conduit. and it doesn't have any independent right and duty in the taxation. On the other hand, the entity theory insists that the association has its own right and duty independently in the taxation. The investment association has no any legal right. and no taxation right according to the conduit theory. But exceptionally, the investment association has withholding duty in the taxation according to the related tax law. Namely, the investment association has to withhold the taxes and pay it to the government when the income of the association is divided to the partners of the association. At present, as there is no particular article for the association in the tax law of Korea, it is necessary to enact the provisions for the association taxation.

      • KCI등재

        신탁법상 신탁의 납세의무자

        백제흠(Baik Jeheum) 한국세법학회 2020 조세법연구 Vol.26 No.1

        우리나라의 신탁제도는 2011년 신탁법의 전면 개정에 따라 새로운 신탁유형의 도입 등의 규정이 포함되면서 크게 도약할 수 있는 제도적 발판이 마련되었다. 신탁거래에서도 일반 거래와 같이 신탁재산의 수익, 보유 및 이전과 관련하여 다수의 과세문제가 발생한다. 신탁의 과세문제는 전형적인 민사 또는 상사법리와 차별되는 영미법상 신탁 특유의 논리로 인하여 복잡성과 불확실성이 현저하고, 그중에서도 신탁거래의 납세의무자 판정은 신탁세제의 문제점이 전면적으로 등장하는 영역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개별 세법에 신탁의 납세의무자 규정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그 규정 자체가 체계적이지 못하고 세목별로도 일관된 법리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나아가 과세관청에서는 신탁의 납세의무자 판정에 관하여 명의신탁에 폭넓게 적용되는 실질과세원칙을 적극 활용하여 과세하는 입장을 취하다 보니 다수의 조세분쟁이 양산되고 있고, 그 다툼의 해결을 주로 해석론에 의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신탁의 납세의무자가 구체적 사실관계에 따라 각기 다르게 판정된다면 신탁거래에 대한 과세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것이 된다. 우리나라의 현행 신탁세제는 기존 신탁의 과세문제는 물론 새로운 신탁유형의 과세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은바, 이 글에서는 신탁세제의 납세의무자에 대한 예측가능하고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신탁의 민사법적 본질과 신탁실체설과 신탁도관설에 따른 과세이론, 외국의 입법례 및 우리나라의 현행 신탁세제에 대하여 검토·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신탁세제는 신탁의 권리나 유형이 아니라 세목에 따라 신탁의 납세의무자를 달리 파악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기본적으로 소득세와 증여세에서는 신탁도관설이 지배하여 수익자가 납세의무자이고 재산세에서는 신탁실체설에 따라 수탁자가 납세의무자이다. 부가가치세에서는 신탁도관설과 신탁실체설이 혼재되어 원칙적으로는 위탁자가, 예외적으로는 수탁자가 납세의무자가 되고, 취득세에서는 수탁자가 납세의무자로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복잡하고 비체계적인 규정에 더하여 과세 관청의 실질과세원칙의 확대 적용에 따라 신탁세제는 그 출발선인 납세의무자의 판정에서부터 과세불확실성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법론으로는 신탁의 본질이론으로 신탁재산에 대한 권리를 수익자의 수익권과 수탁자의 관리․처분권으로 구분하는 가치지배권설을 신탁과세이론에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 즉, 신탁세제를 수익권에 관한 수익세제와 관리·처분권에 관한 관리·처분세제로 구분하여 각 세제에서 지배적인 가치 내지 권리를 보유하는 당사자를 납세의무자로 일관되게 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르면, 원칙적으로 신탁재산의 수익에 대한 가치지배가 문제되는 수익세제에서는 수익자를, 신탁재산에 대한 관리․처분권이 작동하는 관리․처분세제에서는 수탁자를 납세의무자로 삼되, 만일 그로 인하여 과세형평 등의 문제가 생기는 영역이 있다면 다른 당사자를 납세의무자로 보는 예외규정을 두어 실질과세원칙의 역할을 갈음하도록 하면 될 것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볼 때 수익세제와 대부분의 관리․처분세제는 납세의무자를 수익자와 수탁자로 규정하고 있어 일부 예외규정에 대한 정비만 하면 되지만 원칙적으로 위탁자를 납세의무자로 규정하고 있는 부가가치세는 이를 수탁자로 변경하는 것이 요청된다. 해석론으로 신탁세제의 불확실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탁법상 신탁과 명의신탁을 준별하여 신탁법상 신탁에 대해서는 실질과세원칙의 적용을 원칙적으로 제한하여야 하고 신탁의 권리와 유형을 중심으로 그 적용단계에서의 납세의무자 판정에 관한 구체적 판단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complete revision of the Trust Act in 2011 set the stage for major advancements in Korea’s trust system through revisions such as introduction of new types of trust, etc. A number of taxable issues arise for trust transactions, as is the case for general transaction, in relation to the profit from, and possession and transfer of trust assets. Taxation issues of trusts are subject to considerable complexity and uncertainty due to the unique logic behind trusts under common law that are distinct from civil or commercial law, among which determining the taxpayer in the trust transaction is an area which fully exposes the problems of the trust system. In Korea, although taxpayers for trusts are often specified in individual tax laws, they are disorganized and inconsistent among different tax items. Moreover, as the tax authority aggressively utilizes the substance-over-form principle, which is often used in ‘name trusts’, in determining the taxpayer for trusts, a number of taxation disputes arise and the resolution of most of the tax cases generally depends on legal interpretation. If the determination of the taxpayer of a trust differs based on specific factual circumstances, uncertainty involved with taxation of trust transactions will increase. As the current tax system in Korea is inadequate in solving not only existing trust-related tax issues, but also issues arising from new types of trusts, this article reviews and analyzes the civil-law nature of trusts as well as the taxation theory behind them (i.e., trust entity theory and trust conduit theory), foreign legislations, and the current tax system of trusts in Korea to present a predictable reasonable measure to improve the trust tax system. Korea’s trust tax system is unique in that it distinguishes the trust’s taxpayer based on tax item rather than on the type or the rights of the trust. Generally, in income tax and gift tax, the trust conduit theory dominates in such a way that the beneficiary is prescribed as the taxpayer, whereas property tax follows the trust entity theory so that the trustee is prescribed as the taxpayer. In value added tax (VAT), a mixture of the trust conduit theory and the trust entity theory apply so that the prescribed taxpayer is the trustor in principle and trustee as an exception, whereas in acquisition tax the trustee is prescribed as the taxpayer. In addition to such complicated and disorganized provisions, due to the broad application of the substance-over-form principle, the trust taxation system is plagued with uncertainty over the application of tax from the basic issue of determination of taxpayer. To address these problems, legislation needs to actively reflect the value-based theory as the trust’s essence theory, categorizing the trust property rights into the beneficiary’s rights to profit from the property and the trustee’s rights to manage and dispose of the property, into the trust taxation theory. In other words, the trust tax system needs to be categorized into a profit tax system related to beneficiary rights and a management and disposition tax system related to the rights of management and disposition so that the taxpayer is consistently determined in each tax system according to the parties who holds the prevalent value or right. In this case, the beneficiary would be the taxpayer in a profit tax system in which the control over the value or profit from trust property is in principle of the essence, whereas the trustee would be the taxpayer in a management and disposition tax system where the management or disposal rights over the trust property is the main concern. If any problem arises due to such measure in terms equity in taxation, etc., an exceptional provision may be put in place to play the role of the substance-over-form principle. According to such view, whereas only minor modifications would be necessary in the profit tax system and most management and disposition tax systems, the VAT system would n

      • KCI등재후보

        부동산신탁 과세제도의 현재와 미래: 신탁세제의 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하여

        임재혁 한국지방세학회 2019 지방세논집 Vol.6 No.2

        The revised Trust Act introduced new systems such as collateral trusts, self-trusts and beneficiary certificates issuance trusts, through which measures to utilize real estate trusts for collateral purposes were diversified. Such a trust structure is a system developed around the Anglo-American law, citing the convenience of bankruptcy remoteness, dual recourse, and controlling interests of mortgage holders. Meanwhile, in connection with the trust tax system, the Supreme Court recently made decisions in various tax categories, including acquisition tax, property tax and value-added tax(2012du22485, 2014du38149, 2015du49694, 2014du13393, 2016da224961). A real estate trust is a kind of property trust that manages and preserves land or buildings by trusting them, and pays them according to the status quo at maturity. Many development trust companies went bankrupt in the wake of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The real estate investment is classified into development trust, property management trust, disposition trust and collateral trust. Meanwhile, each country's trust tax system can be divided into two: the trust entity theory and the trust conduit theory. The former believes that the trust property can be an independent taxpayer or a taxable unit(United States and Great Britain’s taxation systems), whereas the latter assumes the trust is merely a conduit for distributing income to the beneficiary(Germany’s taxation system). It is assessed that national taxes(income tax, corporate tax, value added tax,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nd acquisition tax among local taxes of Korea's trust taxation system were taken as trust conduit theory, while property tax, gross real estate Tax, and local public facilities taxes were taken as trust entity theory. However,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s seem to have made a number of cases based on the belief of trust entiy theory. This attitude of precedent is thought to be a desirable tendency to enhance the essential function of trust. Nevertheless, the recent legislation has been based on trust conduit theory, as opposed to the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s. In order to realize the legislative purpose of amending the Trust Act in 2011, effective trust taxation system is very important. Trust entity theory has a theoretical advantage in that it increases the predictability of taxpayers and clarifies legal relations compared to trust conduit theory. Consistent trust conduit theor (as clearly seen in the taxation issues of collective investment schemes) will not only burden taxpayers with unnecessary tax compliance costs, but will also result in excessive administrative cost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ursue a unified trust taxation system under trust entity theory that can be harmonized with the revised Trust Act. 2011. 7. 25. 개정 신탁법을 통하여 유한책임신탁, 수익증권발행신탁, 신탁사채, 유언대용신탁, 수익자연속신탁 등 다양한 신탁제도가 도입되었다. 이와 같은 신탁구조는 도산절연, 이중청구 및 담보권자들의 이해관계 조절의 편의성을 이유로 영미법계를 중심으로 발전한제도이다. 한편, 최근 신탁세제와 관련하여 대법원은 취득세, 재산세, 부가가치세 등 다양한세목에서의 판결을 선고한 바 있다(대법원 2017. 5. 18. 선고 2012두22485 판결, 대법원2017. 6. 8. 선고 2014두38149 판결, 대법원 2017. 6. 8. 선고 2015두49694 판결, 대법원2017. 6. 15. 선고 2014두13393 판결, 대법원 2017. 8. 29. 선고 2016다224961 판결). 부동산신탁은 위탁자가 수탁자에게 토지, 건물 등 부동산을 수탁하여 개발, 관리, 처분하게 하거나 담보로 제공하는 재산신탁의 일종이다. 우리나라 신탁 실무는 종전에는 개발신탁(토지신탁)이 많이 이루어졌으나 1997년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다수의 개발신탁회사가 도산하였고 현재에는 담보신탁이 대부분이다. 부동산신탁은 그 기능에 따라 개발신탁, 관리신탁, 처분신탁, 담보신탁으로 구분된다. 한편, 각국의 신탁세제는 신탁재산을 독립된 납세의무자또는 과세단위가 될 수 있다고 보는 신탁실체이론과, 신탁은 수익자에게 소득을 분배하여 주는 도관에 불과하다는 신탁도관이론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미국과 영국은 전자(前者)의예이며 독일은 후자(後者)를 채택하는 대표적인 국가이다. 물론, 각 국가마다 원칙에 대한 예외규정을 다수 두고 있음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신탁세제 중 국세(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상속세 및 증여세), 지방세 중 취득세는 신탁도관이론을, 지방세 중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지역자원시설세 등은 신탁실체이론을 취한 것으로 각각 평가된다. 다만, 최근 대법원 판례는 부가가치세 및 지방세 분야에서신탁실체설에 입각한 판시를 다수 내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판례의 태도는 신탁의본질적인 기능인 도산절연 또는 재산분리를 제고하는 바람직한 경향으로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산세 분야를 제외한 최근 입법(예컨대, 부가가치세법)은 판례의 태도와는 반대로 신탁도관설에 입각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2011년 신탁법 개정의 입법 취지를 실현하기 위하여서는 그 세제상 뒷받침이 필수적이다. 신탁실체이론은 신탁도관이론에 비하여 납세자의 예측 가능성을 증대시키고 법률관계를 간명하게 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우위를 갖는다. 특히 집합투자기구 등의 과세 문제에서 보는 것처럼 신탁도관이론을 일관하는 것은 납세자에게 불필요한 조세순응비용을 부담시킬 뿐만아니라, 행정비용도 과다하게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개정 신탁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신탁실체설에 따른 통일적, 일원적인 신탁세제를 지향하되, 현행 지방세법 제9조 제3항의 규정과 같이 구체적 타당성 측면을 고려하여 일부 신탁도관설를 가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부동산신탁 과세제도의 현재와 미래: 신탁세제의 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하여

        임재혁 ( Im Jayhyuk ) 한국지방세학회 2019 지방세논집 Vol.6 No.2

        2011. 7. 25. 개정 신탁법을 통하여 유한책임신탁, 수익증권발행신탁, 신탁사채, 유언대용 신탁, 수익자연속신탁 등 다양한 신탁제도가 도입되었다. 이와 같은 신탁구조는 도산절연, 이중청구 및 담보권자들의 이해관계 조절의 편의성을 이유로 영미법계를 중심으로 발전한 제도이다. 한편, 최근 신탁세제와 관련하여 대법원은 취득세, 재산세, 부가가치세 등 다양한 세목에서의 판결을 선고한 바 있다(대법원 2017. 5. 18. 선고 2012두22485 판결, 대법원 2017. 6. 8. 선고 2014두38149 판결, 대법원 2017. 6. 8. 선고 2015두49694 판결, 대법원 2017. 6. 15. 선고 2014두13393 판결, 대법원 2017. 8. 29. 선고 2016다224961 판결). 부동산신탁은 위탁자가 수탁자에게 토지, 건물 등 부동산을 수탁하여 개발, 관리, 처분하게 하거나 담보로 제공하는 재산신탁의 일종이다. 우리나라 신탁 실무는 종전에는 개발신탁(토지신탁)이 많이 이루어졌으나 1997년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다수의 개발신탁회사가 도산하였고 현재에는 담보신탁이 대부분이다. 부동산신탁은 그 기능에 따라 개발신탁, 관리신탁, 처분신탁, 담보신탁으로 구분된다. 한편, 각국의 신탁세제는 신탁재산을 독립된 납세의무자 또는 과세단위가 될 수 있다고 보는 신탁실체이론과, 신탁은 수익자에게 소득을 분배하여 주는 도관에 불과하다는 신탁도관이론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미국과 영국은 전자(前者)의 예이며 독일은 후자(後者)를 채택하는 대표적인 국가이다. 물론, 각 국가마다 원칙에 대한 예외규정을 다수 두고 있음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신탁세제 중 국세(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상속세 및 증여세), 지방세 중 취득세는 신탁도관이론을, 지방세 중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지역자원시설세 등은 신탁실체이론을 취한 것으로 각각 평가된다. 다만, 최근 대법원 판례는 부가가치세 및 지방세 분야에서 신탁실체설에 입각한 판시를 다수 내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판례의 태도는 신탁의 본질적인 기능인 도산절연 또는 재산분리를 제고하는 바람직한 경향으로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산세 분야를 제외한 최근 입법(예컨대, 부가가치세법)은 판례의 태도와는 반대로 신탁도관설에 입각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2011년 신탁법 개정의 입법 취지를 실현하기 위하여서는 그 세제상 뒷받침이 필수적이다. 신탁실체이론은 신탁도관이론에 비하여 납세자의 예측 가능성을 증대시키고 법률관계를 간명하게 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우위를 갖는다. 특히 집합투자기구 등의 과세 문제에서 보는 것처럼 신탁도관이론을 일관하는 것은 납세자에게 불필요한 조세순응비용을 부담시킬 뿐만 아니라, 행정비용도 과다하게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개정 신탁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신탁실체설에 따른 통일적, 일원적인 신탁세제를 지향하되, 현행 지방세법 제9조 제3항의 규정과 같이 구체적 타당성 측면을 고려하여 일부 신탁도관설를 가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vised Trust Act introduced new systems such as collateral trusts, self-trusts and beneficiary certificates issuance trusts, through which measures to utilize real estate trusts for collateral purposes were diversified. Such a trust structure is a system developed around the Anglo-American law, citing the convenience of bankruptcy remoteness, dual recourse, and controlling interests of mortgage holders. Meanwhile, in connection with the trust tax system, the Supreme Court recently made decisions in various tax categories, including acquisition tax, property tax and value-added tax(2012du22485, 2014du38149, 2015du49694, 2014du13393, 2016da224961). A real estate trust is a kind of property trust that manages and preserves land or buildings by trusting them, and pays them according to the status quo at maturity. Many development trust companies went bankrupt in the wake of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The real estate investment is classified into development trust, property management trust, disposition trust and collateral trust. Meanwhile, each country's trust tax system can be divided into two: the trust entity theory and the trust conduit theory. The former believes that the trust property can be an independent taxpayer or a taxable unit(United States and Great Britain’s taxation systems), whereas the latter assumes the trust is merely a conduit for distributing income to the beneficiary(Germany’s taxation system). It is assessed that national taxes(income tax, corporate tax, value added tax,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nd acquisition tax among local taxes of Korea's trust taxation system were taken as trust conduit theory, while property tax, gross real estate Tax, and local public facilities taxes were taken as trust entity theory. However,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s seem to have made a number of cases based on the belief of trust entiy theory. This attitude of precedent is thought to be a desirable tendency to enhance the essential function of trust. Nevertheless, the recent legislation has been based on trust conduit theory, as opposed to the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s. In order to realize the legislative purpose of amending the Trust Act in 2011, effective trust taxation system is very important. Trust entity theory has a theoretical advantage in that it increases the predictability of taxpayers and clarifies legal relations compared to trust conduit theory. Consistent trust conduit theor (as clearly seen in the taxation issues of collective investment schemes) will not only burden taxpayers with unnecessary tax compliance costs, but will also result in excessive administrative cost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ursue a unified trust taxation system under trust entity theory that can be harmonized with the revised Trust Act.

      • KCI등재

        신탁세제 개정 관련 신탁과세이론의 재검토

        김성균 중앙법학회 2017 中央法學 Vol.19 No.2

        Generally, trust taxation of Korea is based on the Conduit theory. However, that taxation has many problems. As a result (1) the Province Tax Act revised taxpayer to trust from truster, (2) the Supreme Court held that a taxpayer is trust as cases of Acquisition Tax and Value Added Tax show. Nevertheless, taxpayer problems remain in the Income Tax and the Corporate Tax. The complete revision of Turst Act leads government to re-consider taxpayer problem.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solve taxpayer problem shall be which taxation system is good in the view of weighing interests of relevant people. A single taxation theory itself cannot solve all problems of trust taxation. Taxation theory is no mere than a mere mean for understanding trust taxation. If trust taxation system following certain trust taxation theory cannot provide appropriate interest balancing, that theory has to be abandoned. With the above mentioned background, trust taxation system following trust entity theory is a system that can solve most of trust taxation problems. However, rapid movement to taxation system following trust entity theory can occur unanticipated problems, so that temporary, the usage of Japanese trust taxation system is desirable. If trust shall be taxpayer, for the time being, Compulsory Execution for tax obligation shall be restrained to trusted property. 일부 예외는 있지만 우리나라의 신탁세제는 신탁도관이론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납세의무자를 수익자 내지 위탁자로 보는 경우 과세관청 입장에서는 신탁재산을 집행 대상 재산으로 삼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당해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재산세 납세의무자를 수탁자로 하는 지방세법 개정이 있었고, 간주취득세의 예에서 보듯 법 해석 차원에서 수탁자를 납세의무자로 보아야 한다는 판결이 있었다. 올해 5월에는 자익‧타익신탁을 불문하고 신탁재산의 관리‧처분에 따른 부가가치세 납세의무자를 수탁자로 보아야 한다는 판결도 나왔다. 그러나 소득제세 등에 있어서의 납세의무자 관련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이런 상황 하에서 2011년 전면 개정된 신탁법의 여러 내용은 납세의무자 문제를 한층 시급히 해결하여야 하는 과제로 몰아가고 있다. 납세의무자 관련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중요한 것은 어떤 입장을 취하는 것이 국민들 사이의 적절한 이익형량을 담보할 수 있느냐는 점이다. 재산세 납세의무자를 수탁자로 하는 지방세법 개정이 위탁자들의 납세의무 이행 미협조 등 부작용을 낳고 있는 점에서 볼 수 있듯 특정 신탁과세이론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여 줄 수도 없다. 그러한 점에서 볼 때 신탁과세이론은 일응의 기준을 제시하는 것일 뿐 당해 이론 그 자체에 매몰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이론은 어디까지나 신탁을 이해하는 기본도구로서 기능할 뿐이고, 무엇보다 중요한 목표는 신탁을 둘러싼 국민들의 이해관계를 형량하여 가장 적절한 안을 내어 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목표를 달성함에 있어 특정 이론이 방해가 된다면 당해 이론과의 정합성을 고집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상 논의의 배경 및 장단점의 측면에서 비교하여 볼 때 신탁실체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신탁세제를 운용하는 것이 신탁 관련 문제의 대부분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다만, 신탁실체이론을 전면적으로 도입하는 것은 법제를 일거에 미국식으로 바꾸는 것이어서 실무계나 학계의 반발이 적지 아니할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볼 때 우선 일본식의 중간적 방식을 도입하고, 향후 그 추이를 보아가며 미국식 제도 운용의 필요성을 재논의하는 것이 적절한 방법이 될 것이다. 한편, 신탁실체이론에 따라 수탁자를 납세의무자로 하는 경우 그의 책임재산 범위를 신탁재산으로 한정하는 것은 이론적으로는 그리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다만, 현재의 신탁업계의 여러 사정을 감안할 때 신탁재산의 범위로 한정을 하고 그 부작용을 보아가며 재개정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공적연금 운용단계 이익의 과세 재고찰- 과세도관이론(Conduit Theory)과 연금충당부채를 중심으로-

        김수성,문성훈 한국세무학회 2014 세무와 회계저널 Vol.15 No.3

        최근 사학연금기금의 운용이익에 대하여 법인세가 실제적으로 과세된 바 있다. 그리고 조만간 공무원연금기금의 운용이익에 대하여도 법인세 과세가 예상된다. 우리나라 공적연금기금 사이에는법인세 과세체계가 서로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 국민연금과 군인연금기금은 비과세법인으로 구분되어 있어 해당 기금의 운용이익에 대해서는 법인세를 과세하지 않는 반면, 공무원연금기금과 사학연금기금은 비영리법인으로 구분되어 운용이익이 과세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같이 기금간 과세불일치에 대한 문제제기를 바탕으로 공무원연금기금과 사학연금기금의 운용이익을 중심으로 고유목적사업준비금 설정과 관련하여 과세도관이론(Conduit Theory)적용과 미적립 연금충당부채를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금기금의 운용이익에 대한 법인세 과세의 타당성 여부에 대하여 두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다음과 같이 공적연금 기금운용단계에서 발생한 운용이익은 고유목적사업준비금을 전액 설정함으로서 운용단계 이익의 비과세에대하여 다음과 같이 논리적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과세도관의 기준으로 연금기금 운용이익 과세의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현행 기금회계는 연금회계의 도관체로 볼 수 있다. 연금기금의 운용이익은 전액 연금수급자에게 지급되며,연금 수령시 연금소득과세를 하게 되면 이중과세의 위험이 존재하게 되어 기금운용단계의 법인세과세는 타당하지 않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둘째, 연금제도의 성격을 기준으로 과세의 타당성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최근 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의 미적립 연금부채의 재무제표 계상과 국가부채로의 계상이 사회적으로 관심이 되고 있다. 이는 연금기금의 운용이익을 본질적인 측면에서볼 때, 외관상 기금운용상에서 발생한 이익으로 볼 수 있지만 이러한 기금운용 이익은 연금을 지급하기 위한 부채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 법인세 과세는 타당하지 않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향후에는 연금기금 운용이익에 대해서 현행과 같이 기금회계만을 고려하여 법인세를과세할 것이 아니라 연금회계까지 동시에 고려하여 기금운용단계에서 법인세를 과세하지 않고 급여단계에서 과세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안을 제시함으로서 법 개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법 개정의 조속한 이행은 공적연금기금간의 과세형평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 언급한 연금기금이 미적립부채를 지니고 있는 특성과 과세도관으로서의 역할은 운용단계에서는 비과세하고 급여단계에서는과세하는 것이 공적연금기금 운용단계 이익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함에 있어서 비과세의 시사점을제공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there is taxation in the concrete for operating stage’s income of private schoolpension fund and the taxation for operating stage’s income of public official pension fund wouldbe expected. The corporate tax’s taxation systems are different amoung social security reservepension fund. National pension and military pension fund are classified as non-taxablecorporation, so the operating income of relevant fund do not taxed but public official pension fundand private school pension fund are classified as non-profit corporation, so some operatingincome of these fund are tax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at this study analyzed thetaxation conduit theory application and non-accumulated pension provisions liability regardingsetting of reserve fund for essential business central on operating income of public official pensionfund and private school pension fund based on problem of taxation discord among these funds. This study researched the validity of corporate tax’s taxation for operating income of pension in2 aspects and suggested the logical validity of non-taxation for operating income by setting theoperating income in social security reserve pension fund operating stage as reserve fund foressential business total amount as follows. First, we try to decide the validity of taxation based on character of pension system. Currently,the non-accumulated pension liability’s appropriation on financial statement and appropriation asnational liability incur the social issue. This is considered as income from fund operatingexternally in the essential side of operating income for pension fund but this fund operatingincome has a character as liability which to pay the pension. So, the corporate tax taxation forthis income is not reasonable. Second, we try to decide the validity of taxation based on taxationconduit. The present fund accounting could be considered as conduit of pension accounting. Theoperating income of pension fund is totally paid to pension receiver and the taxation for pension income in pension receipt stage would raise the risk of double taxation, so the corporate taxtaxation for this income is not reasonable on fund operating stage. Afterwards, it is necessary totax on pay stage but taxation for fund operating stage by considering the pension accounting atthe same time and should not tax on pension fund operating income just only by considering thefund accounting as present system.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of tax law revision bypointing out these problems and suggesting the improvement plans. The speedy fulfillment of taxlaw revision which was suggested by this study not only keeps the taxation equity among socialsecurity reserve pension fund but also has a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suggest the implicationwhich the pension fund has a character as non-accumulated liability and role as taxation conduit,to don not tax on operating stage but to tax on pay stage suggest the non-taxation in the pointof suggesting the validity for income of social security reserve pension fund in operating stage.

      • KCI등재

        조세특례제한법상 투자조합 과세제도에 대한 검토―직접투자와 간접투자 간의 과세형평을 중심으로―

        손영철,임동원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7 세무와 회계 연구 Vol.6 No.2

        In Korea, the Investment Funds Taxation under the Special Tax Treatment Control Law consists largely of two propositions:conduit theory and taxation equity. The principle of taxation is to ignore the reality of the union and to the union members, and it is pursuing tax equity for direct investment or indirect investment in venture companies. However, there are some inconsistencies in consistency and tax neutrality in income attribution or non-tax exception, so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quity and to resolve ambiguity through the following improvements on current taxation. First, if the Investment Fundsis regarded as a conduit, it should be regarded as the period when income for the exemption applies to the union member, but if the union member pays the source tax amount for the income such as interest income, It seems that the timing of attribution of the income is unclear because it is difficult to distribute the profit immediately due to the structure of profit and loss of the union.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in the interpretati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rovision that it is not regarded as belonging to any person at the time when the income to be covered by special income applies to the Investment Funds. Second, in terms of tax neutrality, the Venture Capital Investment Co. Ltd. and the Venture Capital PEF should apply the non-taxation exemption of stock transfer rights on the Venture Capital companies etc. The Venture Capital Investment Co. Ltd. are the same as Venture Capital company and the Venture Capital PEF are the same as Investment Funds in terms of purpose or economic substance, because if they discriminate taxation according to the legal form, they violate tax neutrality. Third, in the case of disposition of the members,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theories of capital gains tax and the tax office. Therefore, it should be revised consistently to eliminate uncertainty. Under the Income Tax Act, Unlisted union shares will not be taxable. In order to be taxed, the union share must be specified in the taxable subject in the Income Tax Act through amendment of the law. It shall be deemed to transfer only the property belonging to the ownership in accordance with the conduit theory. Finally, in order to overcome taxpayers’ dissatisfaction with the practice of conduit theory in relation to cost allocation, it is necessary to withdraw taxation by conduit theory to some extent and to revise the taxation system from an empirical point of view. Cost of performance, and so on, should be reported as a common cost, and it would be appropriate to treat the union as an entity. 우리나라의 조세특례제한법상 투자조합 세제는 크게 도관론과 조세형평의 2가지 명제하에 구성되어 있다. 조합의 실체를 무시하고 조합원에게 과세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필요에 따라 실체론을 적용하고 있어 조화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벤처기업에 직접투자하거나 간접투자하는 경우에 대한 조세형평을 추구하고 있지만 소득귀속이나 비과세 특례에 있어 일관성이나 조세중립성을 저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어 현행 세제에 대한 다음의 개선사항을 통해 형평성을 강화하고 불명확성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 첫째, 투자조합을 도관으로 본다면 특례적용대상소득이 발생하는 시기가 조합원에게 수익이 귀속되는 시기로 보아야 하지만 조합원이 이자소득 등 동 소득에 대한 원천세액을 납부하려면 투자조합으로부터 수익을 배분받아야 하나 투자조합의 손익구조상 즉각적인 수익 분배가 어렵기 때문에 동 소득의 귀속시기가 불명확한 것처럼 보인다. 해석상 혼란을 막기 위해서 투자신탁의 경우와 같이 특례적용대상소득이 투자조합에 귀속되는 시점에는 아무에게도 귀속된 것으로 보지 아니한다는 규정을 신설하여 이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조세중립성 차원에서 벤처기업출자유한회사와 창업․벤처 PEF에 대한 벤처기업등의 주식양도차익 비과세 특례를 적용하여야 한다. 벤처캐피탈회사등과 투자조합의 경우 벤처기업등의 주식양도차익에 대해 법인세를 과세하지 않지만, 벤처기업출자유한회사와 창업․벤처 PEF는 벤처기업에 직접투자할 경우 주식양도차익의 법인세를 과세하고 있다. 벤처기업출자유한회사는 벤처캐피탈회사등과 창업․벤처 PEF는 투자조합과 목적이나 경제적 실질이 동일한데 법형식에 따라 과세상의 차별을 둔다면 조세중립성을 위반하는 것이므로 개선하여야 한다. 셋째, 조합원의 지분 처분시 양도소득세 관련하여 도관론과 과세관청의 입장이 충돌하고 있으므로, 투자조합과세가 도관론의 입장에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관성 있게 개정하여 불명확성을 제거하여야 할 것이다. 열거주의를 택하고 있는 소득세법상 조합지분은 과세할 수 없을 것이고, 과세하려면 법 개정을 통해 소득세법상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에 조합 지분을 명시하여야 할 것이다. 그 대상에 있어서도 도관설에 따라 자기 지분에 해당하는 조합재산만을 양도하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비용배분과 관련하여 도관론을 견지하는 것이 기술적인 부분에서 납세자에게 혼란을 주거나 실무상 불가능할 경우에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도관론에 의한 과세를 어느 정도 후퇴시키고 실체론적 관점에서 과세제도를 새롭게 구성하여 관리보수, 성과보수 등 비용 모두를 공통비용으로 보고, 조합을 실체로 취급하여 비용을 안분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집합투자기구 세제에 관한 연구

        김용민(Kim Yong-Min) 한국조세연구포럼 2010 조세연구 Vol.10 No.3

        집합투자에 대한 과세는 집합투자재산을 운용하고 그 결과를 투자자에게 귀속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집합투자기구를 세법상 독립적인 실체로 인정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집합투자기구를 세법상 독립적인 실체로 인정할 것인지 여부를 설명하는 이론으로는 도관이론과 실체이론을 들 수 있다. 현행 세법에서는 집합투자기구의 과세에 있어 기본적으로 실체이론을 따르면서도 경우에 따라서는 도관이론을 적용하고 있다. 그 결과로 현행 세법은 금융상품에 대한 직접투자시와 간접(집합)투자시 그 과세범위가 달라지며, 투자 손실이 발생한 경우에도 과세하는 등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현행 집합투자기구 과세방법이 직접투자와 간접투자 간의 조세중립성과 집합투자기구의 형태(회사형, 신탁형, 조합형) 간 조세중립성을 확보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조세중립성의 원칙을 기준으로 하되 단순성의 원칙도 고려하면서 그 개선방안을 강구하였다. 첫째, 직접투자와 간접(집합)투자 간의 과세대상의 차이를 없애는 방안으로서 현재 직접투자는 비과세되나 간접투자는 과세되는 채권매매?평가차익, 해외주식 평가이익, 상장증권을 대상으로 하는 장내파생상품 이외의 파생상품, 외화자산환 차익도 간접투자의 비과세 대상 손익에 포함함으로써 직접투자와 간접투자와의 조세중립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둘째, 투자손실이 발생한 경우에도 과세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집합투자기구의 결산?분배시 과세하지 않고 환매?매도시 과세하며, 거주자가 펀드에 가입하여 투자이익이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비과세손익을 차감하여 과세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집합투자증권의 양도시 법인격 유무에 따라 다르게 취급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집합투자기구가 발행한 집합투자증권의 양도에 대해서 법적형태에 관계없이 배당소득으로 과세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axation of collective investment depends on whether the collective investment vehicle is deemed as an independent entity or not.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the independent entity in taxation, there are two theories:Conduit Theory and Entity Theory. Concerning the taxation of collective investment, the current tax laws assume - in principle - Entity Theory, but in some cases it assume Conduit Theory. As a result, the scope of taxation is different between direct investment and indirect(collective) investment in financial products, and taxes are imposed even in case of investment loss. This study makes policy suggestions for the taxation of collective investment in order to achieve neutrality of taxation between direct investment and indirect investment in financial products while minimizing the tax compliance costs and tax cooperation costs of investors. First, in order to achieve taxation neutrality between direct investment and indirect investment, objects which are currently not taxed for direct investment but taxed for indirect investment such as bond trading and evaluation profit, foreign stock evaluation profit, over-the-counter derivatives on listed securities, and foreign-exchange profits of foreign assets should be included in the partial profit/loss tax exemption regulations of indirect investment. Second, in order to prevent imposing taxes in case investment loss has occurred, it is proposed to tax in case of resale or selling;not taxing in case of settlements of accounts or division of profits of the collective investment vehicle. In addition, it is proposed that investors are taxed only when the overall investment income is positive. Third, in case of the transfer of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it is proposed to tax as dividend income regardless of the form of legal entity in order to solve the differences of taxation depending on the form of legal entity.

      • KCI등재

        수익증권발행신탁 세제

        김성균 중앙법학회 2014 中央法學 Vol.16 No.4

        Security issuance trust(SIT) is a trust which can issue securities. The 2011 revised trust law introduced SIT. Industry expects on the various functions of SIT. SIT requires new thinking way regarding trust taxation. The conduit theory that governs current taxation is not sufficient to solve various problems regarding SIT. However government has not prepared relevant tax revision. This thesis deals with topics needed to be discussed on tax revision. Firstly, this thesis deals with other countries' practice. Secondly, deals with trust taxation theory. Thirdly, suggests provisions needed to be revised. Regarding that suggestion, this thesis stressed on each function of SIT.

      • KCI등재

        수익증권발행신탁 세제

        全炳旭(Sung Kyun Kim) 중앙법학회 2014 中央法學 Vol.16 No.4

        Security issuance trust(SIT) is a trust which can issue securities. The 2011 revised trust law introduced SIT. Industry expects on the various functions of SIT. SIT requires new thinking way regarding trust taxation. The conduit theory that governs current taxation is not sufficient to solve various problems regarding SIT. However government has not prepared relevant tax revision. This thesis deals with topics needed to be discussed on tax revision. Firstly, this thesis deals with other countries` practice. Secondly, deals with trust taxation theory. Thirdly, suggests provisions needed to be revised. Regarding that suggestion, this thesis stressed on each function of S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