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

        자율평가고사와 전문의 자격고사의 평가도구로써의 타당성 고찰

        전시영(Sea Yuong Jeon),정명현(Myung Hyun Chung),김광현(Kwang Hyun Kim),홍원표(Won Pyo Hong) 한국의학교육학회 1997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9 No.2

        1. 95년,96년 자율평가고사는 형성적 평가의 도구로서 타당성이 있었다. 2. 2년간 자율평가고사에서 지속적으로 하위권에 머무른 사람은 1차 전문의 자격고사에서도 하위권에 머무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하위권에 속한 사람들을 확인 할 수 있는 개인별 향상 지수는 형성적 평가척도로서 타당성이 있었다. 3. 1차와 2차 저눈의 자격고사의 성적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두 시험간에 유의한 분별도가 있었다. 그러나 총괄적 평가도구로써는 1차 전문의 자격고사가 보다 더 타당성이 있었다. The korean society of otolaryngology has had and experience on intraining examination since 1992. We also had the fortieth annual board examination for specialist in 1997. But we have no evidence on the validity of these tests ye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intraining examinations as a tool of formative evaluation, to present a personal progress index demonstrating constructive validity, an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board examination as a tool of summative evaluation. We did statistic analysis on the consecutive personal scores of 1995 and 1996 intraining examinations, and 1997 written and oral board examinations. Analysis of the averages, standard deviations, distribution curves, and Wilcoxon singed rank test on the scores of 1995 and 1996 intraining examinations demonstrated the constructive validity. Chi-square test revealed that those who had low scores in intraining examinations of two consecutive years had low scores in 1997 board examinations and personal progress index demonstrated the predictive validity. Correlation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1997 written and oral board examination. Analysis of the averages, standard deviations, distribution curves, and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revealed that 1997 written board examination had higher concurrent validity than the that of oral examination.

      • KCI등재후보

        한국판 청소년 자기조절 척도의 번안 및 타당화 연구

        황운영,정지현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1

        Translation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dolescent Self-regulatory Inventory (K-ASRI) Unyoung Hwang* & Jihyun Jung** Abstract: This study translated the adolescent self-regulation scale (ASRI) developed by Moilanen (2007) into Korean and test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A total of 32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the online survey,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principal axis factoring and direct oblimin in SPSS statistics 21.0. Afterward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est of validity were carried out using online survey data from 29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number of factors with an eigenvalue of 1 or higher was 3,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all items was good.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model fit of 3 factor model was good. In order to improve the optimal fit, the model was modified by checking the item MI index, and the convergen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17 items in the three-factor model were confirmed to be appropriate. This study confirm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dolescent self-regulation scale, and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to measure adolescents’ self-regulation. Key Words: Adolescent, Self-regulation,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 접수일: 2024년 1월 19일, 수정일: 2024년 2월 13일, 게재확정일: 2024년 2월 20일* 주저자,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석사(First Author, Master, Seoul Univ. of Buddhism, Email: heedong001@hanmail.net)** 교신저자,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eoul Univ. of Buddhism, Email: stophyun@hanmail.net) 한국판 청소년 자기조절 척도의 번안 및 타당화 연구 황 운 영ㆍ정 지 현 연구 목적: 이 연구는 Moilanen(2007)이 개발한 청소년의 자기조절 척도(ASRI)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목적: 이 연구는 Moilanen(2007)이 개발한 청소년의 자기조절 척도(ASRI)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방법: 번안된 척도를 중·고등학생 320명에게 온라인에서 실시하여, SPSS statistics 21.0의 주축요인분석방식(principal axis factoring)과 사각회전(direct oblimin)을 적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이후 중·고등학생 293명의 온라인 설문 자료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내용: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고유치 1 이상인 요인이 3개였고 전체 문항의 내적 합치도는 양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요인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하였으나 문항 MI 지수를 확인하여 보다 나은 적합도로 최종 모형을 수정하였고, 3요인 총 17문항 척도의 수렴타당도와 공존 타당도가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를 통해 한국판 청소년 자기조절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청소년의 자기조절을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청소년, 자기조절, 신뢰도, 수렴타당도, 공존타당도

      • 한국판 아건강 평가 설문지의 타당도 연구

        유재민 ( Jae-min Ryu ),박영배 ( Young-bae Park ),박영재 ( Young-jae Park ) 대한한의진단학회 2009 大韓韓醫診斷學會誌 Vol.13 No.2

        Background and Objective: We previously developed questionnaire of subhealth status. Developed questionnaire was verified about reliability and validity, but there had a lack of concurrent validity study. On this study, we will verify concurrent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ubhealth Questionnaire. Methods: Guibi-tang questionnaire, chalder questionnaire and subhealth questionnaire were applied to 113 college students. After then do correlation analysis, we calculate concurrent validity of that. Results and Conclusions: As a result, subhealth questionnaire between chalder questionnaire, and subhealth questionnaire between Guibi-tang questionnair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developed questionnaire of subhealth status was verified about concurrent validity.

      • KCI등재

        한국판 도박 중독 임상면접 도구(K-SCI-GA)타당화 연구

        김교헌,김세진,권선중,임숙희 한국건강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DSM-IV(APA, 1994)에 기초한 도박 중독 진단 임상면접 도구(SCI-GA)를 한국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정기적으로 도박을 하고 있는 내국인 카지노 이용객 65명과 도박으로 인해 심각한 문제를 보고한 대학생 4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2인이 독립적으로 한국판 도박 중독 임상면접 도구(K-SCI-GA)를 실시하여 평정자간 일치도를 살펴보고, K-NODS 및 K-CPGI로 자기-보고한 측정치와 면접 측정치 간의 상관 분석을 통해 공존 및 수렴타당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K-SCI-GA는 도박 문제를 보이는 사람들의 도박중독 여부를 평가하는데 양호한 신뢰도(Kappa=.89)와 타당도(r=.74~.84)를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K-SCI-GA를 통해 자기보고식 평가의 한계점을 어떻게 보완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DSM-5 (APA, 2013) 기준을 적용할 경우 어떻게 변형시켜 활용해야 하는지 설명하였다. This study adapted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pathological gambling (SCI-GA) for diagnosis of gambling addiction based on DSM-IV(APA, 1994) to the situation in Korea and verifi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o examine the inter-rater reliability, two clinicians interviewed independently with 65 local casino regular visitors and 4 college students who reported serious gambling problems through Korean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Gambling Addiction(K-SCI-GA) and to examine the convergent and concurrent validity, analyzed correlation of the self-reported scores and the interviewed scores those were diagnosed with K-NODS and K-CPGI. Findings in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K-SCI-GA had good reliability(Kappa=.89) and validity(r=.74~.84) diagnose gambling addiction people who have gambling problems. Lastly, investigated how the limit of self-reporting evaluation can be supplemented through K-SCI-GA and explained utilizations of how to transform when applying DSM-5(APA, 2013)

      • KCI우수등재

        신체건강행동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연구

        양옥경(Yang, Ok-Gyeong),김학령(Kim, Hak L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3

        본 연구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보편적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일반 클라이언트의 일상생활에서의 신체건강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문헌검토와 사회복지사 대상 FGI 및 관련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설문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일반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증진행동척도’와 ‘저해행동척도’의 하위척도로 나뉘는 ‘신체건강행동척도’를 완성하였다. 증진행동척도는 7요인(신체건강관리, 구강관리, 신체활동, 위생관리, 건강음식섭취, 수면관리, 식습관)으로, 저해행동척도는 5요인(흡연, 저해식품섭취, 음주, IT기기사용, 저해식습관)으로 구성되었다. 두 척도 모두 모형적합도가 우수하였고, 내적일관성 신뢰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동시타당도 등의 검증에서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보임에 따라 타당성 있는 척도임이 확인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척도는 사회복지실천의 현장에서 클라이언트에게는 신체건강행동에 대한 자기점검의 도구로, 사회복지사에게는 신체건강행동의 사정(Assessment)을 통한 근거기반의 실천을 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physical health behaviors among social work clients using general services. The scale items were constru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FGI of social worke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ffirmed the factor structure of Physical Health Behavior Scale with two sub-scales: Health Promotion Behavior Scale and Health Hindrance Behavior Scale. Promotion Scale had 7 factors and Hindrance Scale had 5 factors. Both sub-scales showed acceptable ranged goodness-of-fit for the model, and internal consistency test proved that the scale was reliable. The analyses of discriminan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resulted significant validation. Based on those results, the developed Physical Health Behavior Scale were proved well-constructed, reliable and valid. The Scale will be utilized for both clients in general to check their own health related behaviors and social workers to adopt as a tool for assessment in order to perform an evidence based practice.

      • KCI등재

        읽기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어절 선택 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연구: 공인 타당도와 구인 타당도에 초점을 맞추어

        여승수 한국학습장애학회 2021 학습장애연구 Vol.18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curr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Maze in Korean. Although CBM-Maze is one of most useful measures in reading, in addition to CBM-reading aloud, little research has focused on evaluating its validity. This study used a standardized reading comprehensive test for testing the validity of Maze in Korea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Maze scores in Korean were moderately correlated with subtest scores of KOLRA. In particular, there wer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pport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in which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was only included, were the best-fitting model for Maze in Korean.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educa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로 개발한 어절 선택 검사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어절 선택 검사는 소리내어 읽기 유형과 함께 읽기 교과에서 활용 가능한 대표적인 CBM 검사이지만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공인 타당도와 구인 타당도에 관한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표준화 읽기 검사 도구인 KOLRA 검사를 사용하여 어절 선택 검사의 공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절 선택 검사 점수는 KOLRA 하위 검사 점수와 유의한 상관계수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읽기 이해와 문단글 유창성 하위검사와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구인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에 따르면, 읽기 이해와 문단글 유창성 검사만 포함한 가설 모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한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아동용 조음검사'의 개발

        김민정(Min Jung Kim),배소영(So Yeong Pae),이성은(Seong Eun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0 No.1

        본 연구는 아동의 조음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아동용 조음검사’를 개발하고 이 검사에 대한 공인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아동용 조음검사’는 총 70개의 말소리를 37개의 낱말로 검사한다. 70개의 말소리는 우리말의 음운특성, 음운발달, 음운빈도를 면밀히 검토하여 우리말의 19개 자음을 다양한 음운환경에서 검사할 수 있도록 선정하였다. 또한 37개의 낱말은 학령전기 아동이 그림을 보고 자발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것들로 선정하였다.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3 - 5세의 일반아동 30명을 대상으로 새로운 조음검사인 ‘아동용 조음검사’,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그림자음검사’, 그리고 자발적인 발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동용 조음검사’의 자음정확도는 ‘그림자음검사’의 자음정확도와 상관계수 .92의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고 자발적인 발화의 자음정확도와도 상관계수 .91의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동용 조음검사’는 전체 자음정확도 뿐만 아니라 조음방법별 정확도에 있어서도 자발적인 발화와 상관계수 .55-.95의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아동용 조음검사’가 조음음운장애를 진단하는 공식적인 조음검사도구로서 타당하며 자발적인 발화를 보완하는 유용한 검사도구임을 입증해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TAC)’ that measures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development for children and to examine its concurrent validity. 'TAC' investigates 70 speech sounds. These items were selected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development and frequency of Korean consonants in order to test the 19 Korean consonants in various phonetic contexts. A total of 70 speech sounds were elicited through 37 words that preschool children could spontaneously produce. Thirty normal developing children from the age of 3 to 5 participated in the concurrent validity test. We compared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PCC) of ‘TAC’ with that of the ‘picture articulation test’ and the spontaneous speech.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92 with the PCC of the ‘picture articulation test’, and .91 with the PCC of spontaneous speech. In addition, the PCCs of plosives, nasals, affricates, liquids, and fricatives of ‘TAC’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ose of the spontaneous speech. This result showed that ‘TAC’ is a valid tool in diagnosing children with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disorders, and that it could become a useful tool in the application to spontaneous speech.

      • 휴대전화 중독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주리(Julie Han),허경호(Gyeong-Ho Hur) 한국방송학회 2004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본 연구는 휴대전화가 단순한 통신수단을 넘어 사회 구성원 절대 다수가 사용하는 새로운 의사소통 매체로 급부상한 시점에서 휴대전화의 과도한 사용으로 초래되는 휴대폰 중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본 연구는 이같은 연구의 시발점으로서 휴대전화 중독 현상을 측정할 수 있는 한국형 척도를 개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형 인터넷 중독 척도(KIAS)와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검사(K-척도)에서 휴대전화 중독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선별한 후 액면타당도(face validity)를 고려하여 내용을 적절하게 바꾸어 설문에 사용하였다. 인자 분석을 통하여 새롭게 떠오른 휴대전화 중독을 구성하는 네 가지 인자를 지속적 몰입, 금단증상, 강박증상 및 생활 장애로 각각 명명하였다. 아울러 이같은 인자구조를 예비 인자구조와 비교하여 구성 타당도를 확보했으며 이와 같은 네 가지 하부 구성요소들을 각각 변인으로 삼아 이미 타당성이 확보된 자기 통제감, 충동성, 낙관성과 같은 변인들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지 확인함으로써 척도의 동반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아울러 개발된 척도의 문제점과 이를 이용한 후속 연구가 고려해야 할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raised an urgent need for studying mobile phone addiction which caused by excessive uses of mobile phone which has prevailed Korean society not as a simple communication tool but as a new way of communication mode. The study tried to construct and validate a new scale for tapping mobile phone addiction symptoms.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we expected the construct, the mobile phone addiction, would be consisted of four elements such as loss of control, disorder, and compulsion and continued involvement. We generated five statements per each sub-construct. After factor-analyzing these statements, we confirme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by comparing the factor structure to the preliminary factor structure. We also confirmed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 by examining the correlations of the four sub-constructs, each of which were used as a variable, with the three scales such as self-control, impulsivity, and optimism, all of which had been validated. Other finding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made.

      • KCI등재

        한국판 개인관점척도(K-MMS)의 타당화 연구

        김병석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4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struct and the structure of mindfulness and valida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dfulness/Mindless Scale(K-MMS) designed to asses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ropensity to be mindful.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776 high school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K-MMS was proved to be acceptable. The validity of the K-MMS was verifi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iscriminant valid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K-MMS consisted of four-factor structure (flexibility, novelty producing, engagement, novelty seeking) in a similar way as the original version, with high internal consistency. Correlations with other criterion variables (i.e., openness to experience, need for cognition, liberal thinking styles, cognition style, general intellectual ability, need for cognitive closure) provided support for convergent validity of the K-MMS. 본 연구는 마인풀니스(mindfulness)의 구성개념과 구조를 확인하고 개인의 마인풀니스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Bodner와 Langer(2001)의 개인관점척도(the mindfulness/ mindlessness scale: MMS)를 한국에서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대학생, 성인 등 총 776명에게 K-MMS의 이론적 구성개념들의 공인타당도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K-MMS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Bodner와 Langer (2001)의 결과와 유사하게 K-MMS는 경험에 대한 개방성, 인지적 욕구, 자유주의 사고양식, 인지양식, 지적능력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인지적 폐쇄성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예측타당도를 위한 살펴본 삶의 만족과 공감능력과도 정적상관을 보였다.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K-MMS는 미국판 MMS와 동일하게 융통성(Flexibility), 독창성(Novelty Producing), 몰입성(Engagement), 탐구성(Novelty Seeking)등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K-MMS는 개인의 마인풀니스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유아용 언어력 검사의 타당도 연구

        이희란,이유미,이승복,김민정 한국자폐학회 2012 자폐성 장애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Screening Test of Early Language Development(STELD) in Korean children(age 1;6~3;11). STELD is the screening test composed of the vocabulary checklist and emergent literacy list. The STELD and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SELSI) were applied to 37 normal children who were divided into four age groups.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two tests were performed for the concurrent validity.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s were obtained between the two tests(STELD and SELSI). It was suggested that the STELD is a valid tool for measuring the children in early stage of language development. 본 연구에서는 18개월부터 36개월 유아의 표현어휘력과 읽기준비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아용 언어력검사’(가칭)의 개발을 목적으로 검사가 갖는 공인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6-3;11세 아동 총 37명을 대상으로 ‘유아용 언어력 검사’와 국내에서 이미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 김영태 외, 2003)의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검사를 토대로 두 검사 간 공인타당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공인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실시한 유아용 언어력 검사의 어휘력 검사와 SELSI 간의 상관계수는 .87로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용 언어력 검사의 읽기준비도 검사와 SELSI 간 상관계수 역시 .52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아용 언어력 검사를 어휘력과 읽기 준비도를 평가하는 타당도를 갖춘 간편 검사로 제안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