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계획ㆍ설계를 위한 장소성 개념 연구: ‘Sense of Place’와 ‘Placeness’ 용어 비교 분석

        홍성희 ( Hong Sung Hee ),박준서 ( Park Joon Seo ),임승빈 ( Im Seung Bin ) 한국경관학회 2011 한국경관학회지 Vol.3 No.1

        본 연구는 장소성의 실천적 연구에 앞서 장소성 개념 정립에 관한 연구이다. 1980년대 장소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이후 많은 시간이 을렀으나, 현재까지도 장소성은 복잡하고 모호한 개념으로 남아 있으며, 용어 혼용과 같은 기본적인 문제에 당면해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주장된 장소와 장소성 개념에 대한 국내ㆍ외 논의들에 대한 고찰을 기본으로 장소와 장소성 개념을 정립하고 있으며, 더불어 현재 혼용되고 있는 장소성의 영어적 표현의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장소와 장소성의 사전적 정의와 각 용어들이 국내에 사용된 시점과 내용들을 살펴보고, 제개념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논의를 종합ㆍ분석하여 장소와 장소성 개념을 정의하였으며, 유사 개념들과 제개념 간의 비교 고찰을 통해 각 개념들을 보다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장소성 연구의 혼란을 빚고 있는 장소성 개념의 모호성과 용오 혼용의 문제점, ‘sense of place’와 ‘placeness’ 용어 혼용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두 용어의 사용 경향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sense of place’를 장소성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The study is related establishment of concept for ‘sense of place’, prior to studying practical research. Even though it’s taken a lot of time since discussing the ‘sense of place’, the concept is not still obvious but complex and ambiguous. And use of the term mixed in with another term is causing confusion. So, this paper considers many other discussions that several scholars define the concept of ‘sense of place’ at home and abroad, in order to establishes the concept of ‘sense of place’. First, we look into dictionary’s definition, process on introduction of ‘sense of place’ and scholars’s definition, Next, we compare the concept similar to ‘sense of place’ with ’sense of place’ so that definitize the concept. Finally, it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concept’s of the concept’s ambiguity and use mixed in with the terms, ‘sense of place’ and ‘placeness’, that causing confusions in studying ‘sense of place’. We suggest that unify use of the term by comparing ‘sense of place’ with ‘placeness’.

      • KCI등재

        한국과 중국 발달지체유아의수감각 및 수개념 특성 비교

        구효진,신종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8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8 No.3

        Number sense can refer to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numbers, their magnitude, relationships, and how they are affected by operations while number concept relates to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umber sense and number concept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 delays in Korea and China. Moreover, the importance of providing relevant education for the children on number sense and number concept. 148 young children(71 from Korea and 77 from China) with developmental delays were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ported on the variables of intuitive quantity, intuitive calculation, intuitive siz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igured out on intuitive weight, intuitive pattern, intuitive inference.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ut overall variables and sub-variables on number concept expect inference. Korean participants showed higher level of number concept compare to those of Chinese participant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ystematic supporting for the young children was suggeted for Korea and Chinese teachers.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발달지체유아들의 수감각과 수개념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양국의 발달지체유아들을 위한 수교육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또한, 발달지체유아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교사들에게 관련 교육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교수방법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148명으로 한국(N=71)과 중국(N=77)에서 각각 선정되었다. 수감각과 수개념 정도에 대한 검사를 통한 본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별도로 교육된 검사자들이 한국과 중국에서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 집단별 수감각 검사를 실시한 결과 기존 연구와 마찬가지로 직관적수량, 직관적연산, 직관적크기에서는 연구대상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지 않았지만 개인의 경험이 상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관적질량, 직관적패턴, 직관적유추에서는 한국 연구대상자가 중국 연구대상자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연구대상자에 대한 집단별 수개념 검사를 실시한 결과 유추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한국 연구대상자가 중국 연구대상자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수감각과 수개념 검사를 비교한 결과 수감각의 점수가 수개념의 점수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체계적인 교육환경이 발달지체유아의 전반적인 수관련 학습에 미치는 영향 및 한국과 중국에서 관련 교육콘텐츠 개발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러시아어 해석사전에서 다의어의 의미구분 원칙 제안 - РЕЗАТЬ 동사를 중심으로 -

        권용재 한국슬라브어학회 2009 슬라브어연구 Vol.14 No.2

        This Paper aims to state methodology to draw a distinction between varied senses of polysemous words. When lexicographers accept structure of polysemous words as set of discontinuously divided sense units, not semantic continuum of them, they can expect polysemous word to be described completely by dealing with dictionary articles equally for each lexeme, separated from the use of a word. Maximizing that effect, Explanatory-Combinatorial Dictionary (ECD) offers criteria of sense distinction, depending on structural frame – Government model in polysemous verb rezat’. However, emphasis on structural frame in ECD may cause several problems in sense distinction due to neglecting immanent semantic structure of the verb. The problems results from the fact that there is not always one to one correspondence between structural frames and lexemes. From the critical point of view, our principle on sense distinction of polysemous words is elaborated on proper consideration of not only syntactic valency as structural frame, but also lexical valency, i.e. semantic type of syntactic participants combined appropriately with predicates. Diversity of semantic type in syntactic participants can be confirmed through lexemes combined with a specific verb (predicate), and can be a crucial instrument for the sense distinction of polysemous words. Russian verb rezat’, for instance, governs arguments al whose nouns belong to different semantic types respectively, the verb is treated as polysemous and each semantic type becomes means of representing identity of individual senses. The proposed principle to distinguish senses helps obtain systemicity in semantic description. Specific semantic group sharing common semantic type originate from superordinate concept (SC) that its senses are based on. This SC along with the other SCs is based on prime concept. These SCs are correlated with one another in accordance with a definite participant and changes in its semantic type. 다의성 문제, 특히 명확한 방법론적 기제에 의해 다의어의 의미를 구분하려는 시도는 어휘의미론의 핵심적 주제 중 하나가 된다. 다의어의 의미 구분을 위한 여러 방법론 중 설명결합사전에서의 원칙은 통사적 지배모델이라는 형식적 틀에 의존하여 다의어의 의미 구분을 위한 객관적인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반대로 의미 구분을 위해 형식적 틀이 지나치게 강조된 나머지 오히려 동사 고유의 의미구조가 간과되어 어휘소 구분에서 여러 문제점을 노출시킨다. 이는 다의어의 전체 의미와 그것들이 실현되기 위한 각각의 형식적 틀 사이의 관계가 완전하게 일 대 일의 대응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설명결합사전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극복하기 위해서는 단어의 통사적 결합성 뿐만 아니라 그것의 내용적 관계에 있는 어휘적 결합성, 즉 통사적 참여자들의 의미적 유형 까지도 고려할 필요성이 제기 된다. 어휘적 결합성, 즉 통사적 참여자의 의미적 유형에서의 차이는 다의어의 여러 의미들 간의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러시아어 동사 РЕЗАТЬ가 통사적으로 지배하는 특정한 참여자가 여러 의미적 유형에 속하게 될 때 그 동사는 다의어로 정의될 수 있고, 이때 그 참여자가 속하는 각각의 의미적 유형은 다의어 동사 РЕЗАТЬ가 가지는 개별 의미들의 정체성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참여자의 의미적 유형을 공유하는 특정 의미그룹은 그것의 의미적 성분을 통해 역으로 추론되는 상위개념을 자신들의 의미적 실현의 근거로 삼게 된다. 또한 이러한 상위개념은 해석사전에서 의미그룹 내 개별의미들을 실현시키기 위해 전제가 되는 상위의미로서 기술될 수 있으며 이를 통사적 결합성(지배모델)과 동기화 시켜볼 수 있을 것이다. 다의어 처리를 위한 이와 같은 방법론은 하나의 다의어가 가지는 여러 가지 의미적 자질들에 대한 재현성과 조작성을 갖춤으로써 언어외적인 모든 지시적 상황에 상응하는 의미 발현과 완전하고 체계적인 의미기술을 추구하는 사전편찬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게 된다.

      • KCI등재후보

        수 감각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수 개념에 미치는 효과

        이미영,정주영 한국통합교육학회 2014 통합교육연구 Vol.9 No.2

        This research sought to understand the improve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cognitive development stages centered around the overall changes of number sense and main elements that compose it by organizing number sense related activities and applying them to mental retardation students. For this research, 3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1st⋅2nd grade that attend a special class at an elementary school were targeted and it was conducted for 12 sessions over the period of 2 months.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although student A, B, C all showed improvement in the number sense through the number sense instruction, each student showed different aspects. First, the number sense instruction has a possibility as a teaching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number sens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 through the number instruction, developments in the area of counting were showed to be in the order of mechanical counting, intuitive counting, and material counting. Als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difficulties in material counting even when mechanical counting was possible. Third, in the comparison area of the number concepts, student A showed a concept of comparison, student B only looked for the big number, and student C did not show number comparison concept. 이 연구는 수 감각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수 감각 교수 동안의 지적장애 학생들의 수 개념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D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1, 2학년 지적장애 학생 3명으로, Baroody 등(2009)의 수 감각 교육과정을 수정하고 2008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 2단계의 내용을 토대로 수 감각 교수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수 감각 교수는 지적장애 학생의 수 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 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수 감각 교수를 통해 지적장애 학생들의 수 개념 중 수 세기는 기계적 세기, 직관적 세기, 구체물 세기 순으로 발달함을 보여주었다. 셋째, 수 비교 개념은 지적장애 학생의 인지발달 수준에 따라 달라졌는데, 이는 개별 학생의 보존 개념 발달에 영향 받은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警察의 개념과 警察法의 범위

        최영규(CHOI Yong-Gyu)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09 행정법연구 Vol.- No.25

        Poli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essential part of state function. The meaning of police and the scope of police law, however, differ from age to age and from state to state. Having accepted the Continental legal tradition, Korean police law has a variety of concepts of police, among which the most important is the material concept. Police in the material sense is generally understood as "activities of state which, on the ground of sovereignty, authoritatively command and coerce citizens in order to preserve public safety and order." It is compose of three elements: (1) The objective of police is to preserve public safety and order; (2) The means of police is authoritative command and coercion; and (3) The basis of police power is general sovereignty. Each of these elements, as generally explained, has some defects and nowadays needs to be modified. More important is that the relevancy of this concept to real working of the police is under doubt. Police in the material sense is regardless of the agency; it refers to the activities any agency who exercises this power. Thus came the distinction of so-called security police, or general police, which means the activities of general police agencies, and so-called administrative police in a narrow sense, or special police, which means the activities to prevent and remove danger by agencies other than general police. Most Korean administrative law scholars support this wide concept of police comprising both security police and administrative police in a narrow sense. But it is neither appropriate nor necessary to include the latter in police. That should rather be .understood as a part of those areas of administration carried out by the agency. If police law should provide directions and guidelines for police agencies, it is desirable and necessary to understand police in a narrow sense, that is, as only the activities of general police agencies. And accordingly the scope of police law is advisable to be limited to the law pertaining to police in a narrow sense.

      • KCI등재

        일반유아, 다문화가정유아, 발달지체유아의 수감각 및 수개념 특성 비교 연구

        구효진,임완정,王薇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7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개인의 가정환경과 생물학적 차이를 지닌 유아들의 수감각과 수개념 특성을 비교하여 향후 교육 대상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따른 수 교육에 대한 이해와 교수방법 개발의 기초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87명이며, 연구대상자에게 수감각과 수개념을 측정한 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 집단별 수감각 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반적인 수감각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자에 대한 집단별 수개념 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반적인 수개념 검사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수개념 하위영역별 검사 결과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수감각과 수개념 검사를 비교한 결과 수감각의 점수가 수개념의 점수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유아의 환경과 생물학적인 요인은 수감각과 수개념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유아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수 교육 관련 교수방법에 대한 관심과 구체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안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and teaching methods of infant education in the future by comparing the number sense and number concept characteristics of ing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7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verified in the overall number sense test.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verified in the overall number concept test. Third, we performed a test on subjects by sub-realm of number concept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aspects. Fourth, scores on number sense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on number concep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a basis for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for number education tailored to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in the period ahead.

      • KCI등재

        상식으로 포장된 개념으로서의 ‘비인기 종목’ 이해

        김대희,박채운,남상우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24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xt and pattern in which this concept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use of the concept of ‘unpopular events’ that have been used as common sense in the sports world, and to propose criteria for discriminating against unpopular sports among existing sports events based on this. To this end, research results (21 articles) mentioning ‘unpopular events’ in sports-related academic journals and articles (20 articles) reported in major daily newspapers and Internet newspapers were critically reviewed.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unpopular events were 1) lacking a concept definition, 2) mixing the selection criteria, and 3) being abused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Second, three criteria for comparing the popularity of sports events were derived, focusing on the categorization of the context of unpopular events during the analysis process of the first research result.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an unpopular event that is used very frequently in the sports world is a kind of ‘political coined’ that is used with the intention of securing resources that are insufficient for a specific situation, especially for them, without clear standards. In response, the researchers suggest that sports sociology should focus on clarifying “common sense packaged concepts” that are used without consensus on clear standards, although they assume that political jargon or everyone will know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계에서 상식으로 통용되어 온 ‘비인기 종목’ 개념의 용례를 분석하고자 이 개념이 사용된 맥락과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스포츠 종목 중 비인기 종목을 구분할 판별 기준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체육 관련 학회지 내 ‘비인기 종목’이 언급된 연구물(21편)과 주요 일간지와 인터넷 신문에서 보도된 기사(20편)가 비판적으로 검토되었다. 그 결과, 첫째, 비인기 종목은 1) 개념 정의 부재, 2) 선정 기준 혼재, 3) 상황적 맥락에 의존하여 남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첫 번째 연구 결과 분석 과정 중 비인기 종목 맥락과 분류 기준을 바탕으로, 스포츠 종목의 인기 정도를 비교, 판별할 1) 참여 인구 중심, 2) 국민 인식 중심 3) 조직 자생력 중심의 분석틀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스포츠계에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는 비인기종목이란 명확한 기준 없이 특정 상황에 맞게, 특히 자신들에게 부족한 자원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활용되는 일종의 ‘정치적 조어’임을 제시한다. 덧붙여 ‘비인기’의 용례가 스포츠계 구성원 사이에서 합의된 개념이라는 모호성과 더불어 어떤 종목이 진정 비인기 종목인가를 밝히지 않아야 한다는 암묵적 동의가 만연됨으로써 향후 도래할 공적 재원 투자 맥락에서 정책적 결정을 어렵게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븨고츠키 심리학 이론의 언어학적 전망

        이기웅 한국러시아문학회 2011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38 No.-

        The paper has two goals: one is to examine Vygotsky's linguistic psychology from his whole theoretical framework, the other is to construct a new linguistic horizon from this examination. I think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oretical contributions he made is the concept of sign-mediation, especially that of language-mediation in the growth process of mind which is well developed and demonstrated by main research themes in his Thought and Language(1934). Theoretical results of his experimental research on such a concept argue that linguistic competence is not determinated only by its innate structure but also by its complex developmental process synthesized with higher mental functions like thought, memory, imagination. By this is proved clearly that the contemporary cognitive theory based on the hypothetical concept of universal - innately determinated, thus static - linguistic competence and its language acquisition model must be necessarily modified by accepting such a developmental, dynamic concept. Vygotsky's another interesting linguistic contribution is the distinction between meaning (значение) and sense (смысл) of the word; the former is relatively invariant, whereas the latter presents variable, dynamic character and permanent tendency toward a kind of open polysemy. But in so far as the predominance of sense over meaning is an undeniable empirical fact on the level of utterance, a realistic linguistic semantics must take it into a serious consideration theoretically.

      • KCI등재

        시 텍스트 읽기의 평이성 조건에 대한 연구 -조병화의 작품을 중심으로-

        민재원 ( Jae Won Mi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1 문학교육학 Vol.35 No.-

        A Study on Plainness of Poetry Reading Min, Jae-Won Students get significant experience when they read poetry and make their own poetic world.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conditions of how students get significant experience through reading poetry. In Sartre`s theory about being, the world is a being-in-itself and the poet is a being-for-itself. When students read a poem, they take a role analogous to poet-a being-for-itself. Students` cognition of the world in a poetic world is constructed by the intentionality to objects in the poem. At this time, Students make an abstract concept concrete and extract a sense from the concrete object. Byung-hwa Cho`s poetry is regarded as plain. But there are many abstract concepts so readers have to make them concrete by considering their own experiences. And even in the case that there is no abstract concept in a poem, readers have to recall their own experiences for extracting a sense which kindle their emotion. Finally, the plainness of Byung-hwa Cho`s poetry is on the possibility of concrete-making and sense-extracting, which are depended on a reader`s ability. The plainness is confirmed in a relation between a poem and a reader.

      • KCI등재

        븨고츠키 심리학 이론의 언어학적 전망

        이기웅 ( Kee Woong Lee ) 한국러시아문학회 2011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38 No.-

        The paper has two goals: one is to examine Vygotsky`s linguistic psychology from his whole theoretical framework, the other is to construct a new linguistic horizon from this examination. I think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oretical contributions he made is the concept of sign-mediation, especially that of language-mediation in the growth process of mind which is well developed and demonstrated by main research themes in his Thought and Language(1934). Theoretical results of his experimental research on such a concept argue that linguistic competence is not determinated only by its innate structure but also by its complex developmental process synthesized with higher mental functions like thought, memory, imagination. By this is proved clearly that the contemporary cognitive theory based on the hypothetical concept of universal - innately determinated, thus static - linguistic competence and its language acquisition model must be necessarily modified by accepting such a developmental, dynamic concept. Vygotsky`s another interesting linguistic contribution is the distinction between meaning (значение) and sense (смысл) of the word; the former is relatively invariant, whereas the latter presents variable, dynamic character and permanent tendency toward a kind of open polysemy. But in so far as the predominance of sense over meaning is an undeniable empirical fact on the level of utterance, a realistic linguistic semantics must take it into a serious consideration theore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