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용 전념 치료가대인 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효과

        주수진,손정락 한국임상심리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of college students with interpersonal trauma. College students completed Posttraumatic Stress Diagnostic Scale,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Scale, Posttraumatic Cognitions Inventory,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and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16. Twenty-four students(treatment group n=12, control group n=12) participated in this study, AC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eight sessions.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negative cognition, emotion dysregulation and acceptance action were assessed at pre-test, post-test, and at 8 weeks follow-up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negative cognition, emotion dysregulation decreased in the therapy group more than in the control group, whereas acceptance action increased in the therapy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CT may effective on improving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related psychological vulnerability factors of college students with interpersonal trauma.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애착외상과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 간의 관계에서 자기체계손상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최샛별,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2 인지행동치료 Vol.22 No.1

        본 연구는 주 양육자에 의한 애착외상이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관계에서 구 체적인 기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기체계손상과 자기자비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선행 연구들과 문헌 리뷰에 기초하여 이러한 관계를 설명하는 구체적인 기제로서 자기체계손상과 자기자비의 매개역할을 가정 하는 두 가지 매개모형들, 즉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이 상정되었다. 이 두 가지 매개모형들과 대안모형으 로 상정된 단순효과모형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대학생 393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질문지 단축형 척도, 복 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 외상화된 자기체계손상 척도, 그리고 단축형 자기자비 척도를 실시하여 구조방정 식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애착외상과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의 관계에서 자기체계손 상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자기체계손상 하나만을 부분 매개변인으로 한 수정모형, 완전매개모형 및 단순효과모형의 적합도를 비교 평가하였고, 그 결과 수정모형의 적 합도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애착외상이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과 동시에 자기체계손상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나아가, 주 양육자에 의한 애착외상 경험자들이 호소하는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을 효과적으로 완화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자기체계 손상을 개선하는 것에 중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attachment trauma by primary caregivers to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s and shed light on its mechanism of ac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we proposed full and partial mediation models in which traumatized self-system and self-compass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s. Furthermore, as an alternative model, we proposed a simple effect model in which the three predictors would each be related to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s independentl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to analyze data from a sample of 393 university students. SEM results indicate that full and partial mediation models fit the data well, but simple effect model does not fit the data. Also, the path from self-compassion to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s was not significant in the full and partial mediation models. Then, as the best-fitting model, we suggested a modified partial mediation model in which traumatized self system would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s.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or treat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 it is important to focus on mitigating the impact of attachment trauma by primary caregivers as well as improving the traumatized self-system. Last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its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복합외상(complex trauma)의 개념과 경험적 근거

        안현의 한국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6 No.1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s the most common diagnosis given after a traumatic incident. However, there has been a broad consensus that PTSD does not explain all types of traumatic reponses, which led to the proposition of the notion of Complex PTSD or DESNOS. Complex PTSD or DESNOS is caused by complex trauma, a type of trauma that commonly involves repeated, interpersonal violence. Childhood abuse, family violence, war participation are some examples of the complex trauma. Complex PTSD or DESNOS is known to differ in its symptom manifestation, and therefore different treatment approaches are suggested. This study is a review of the current concepts and empirical evidence of complex PTSD, and its related issues. A few suggestions are give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complext PTSD in Korean society.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는 정신적으로 큰 충격을 준 사건을 겪은 이후 지속적으로 심리적 후유증을 나타내는 이들에게 내려지는 대표적인 진단이다. 하지만 PTSD가 다양한 종류의 외상경험자의 증상과 반응양상을 모두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으면서 복합 PTSD 또는 DESNOS 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외상 유형 가운데 대인간 폭력이 주가 되면서 반복적이거나 장기적으로 지속된 외상 유형의 경우(예, 아동폭력, 가정폭력, 난민 경험) 현재 DSM-IV에 수록된 PTSD 증상들과는 다른 증상 특징들을 나타내기에 기존의 PTSD 진단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적 접근 또한 달라져야 한다고 보는 입장이 있다. 이 연구는 복합 외상에 대하여 기존의 PTSD 진단이 가지고 있는 제한점이 무엇인지, 복합 PTSD(complex PTSD)라는 새로운 진단의 개념과 치료에 관하여 최근까지 발표된 경험적 연구결과들이 무엇인지를 개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미술치료가 복합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김종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복합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은 D시의 위탁가정에 입양된 16세 남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60분씩 주 1회 총 23회기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분석을 위한 도구로는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면접지(Complex PTSD Interview: CPTSD-Ⅰ)와 외상 후 성장 척도(Korean version of the Post 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전⋅사후⋅추후검사를 원점수와 백분율로 하였고, 프로그램의 단계별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초기에는 대상자와 연구자 간의 신뢰감을 형성하고 안전 기지를 확립하며, 중기에는 드로잉-명상을 통하여 몸을 알아차리고 몸에게 물어 보는 등 몸에 남아 있는 기억을 회생시켜 학대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애도하기를 경험한다. 종결단계에서는 드로잉-명상을 통하여 몸을 알아차리고 몸을 통하여 자신의 긍정적인 부분과 에너지를 찾아 일상과 연결하는 것으로 단계별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복합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가 복합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복합외상 후 성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adolescents with complex traum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 year old 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admitted to foster home in D city. The program consists of 23 sessions per a week for 60 minutes each. For the data analysis, Complex PTSD Interview (CPTSD-I) and K-PTGI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were used. Data analysis was done with pre-, post-, and post- test scores and the changes of the program step by step. At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the trust between the subject and the researcher was formed, the safety base was established. In the mid-term, the subject experienced mourning based on memories of abuse by recalling the body's memories, such as Drawing-Meditation and asking the body. In the closing phase, we noticed the body through Drawing-Meditation, analyzed the positive aspect and energy of body through the body, and connected with daily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alleviating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adolescents experiencing complex trauma. Second, Art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posttraumatic adolescents experiencing complex trauma.

      • KCI등재

        자기체계의 손상으로 본 복합외상증후군

        안현의,장진이,조하나 한국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8 No.2

        Conceptualizing the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 as a severe disruption of one's self-system is suggested in order to understand its complicated psychological mechanism and dynamic process. Understanding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 as traumatization in such self-related domains as self-agency(I-self), self as an object(Me-self), self-coherence, self-affects, and self-punitive behaviors can be helpful in understanding its individual symptoms from a holistic perspective since the lack of systematic theoretical grounds for the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 has often been a barrier in research and clinical settings that aimed to study and treat the survivors of complex trauma. 본 연구는 복합외상 증상 발현의 기저에 있는 심리적 기제 및 역동에 대한 탐색을 위하여 복합외상 경험자들이 호소하는 다양한 심리적 후유증을 자기체계(self-system) 손상이라는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주체적 자기, 대상적 자기, 자기지속성, 자기통합성, 부정적인 자의식적 정서, 자기처벌적 행동 등 자기(self)와 관련된 구성 개념들을 포괄하고 있는 자기체계의 손상이라는 관점은 성격적 변화와 대인관계 양식의 변화가 동반되는 복합외상의 증상들을 보다 전체론적인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애착, 생리, 정서조절, 해리, 행동 조절, 인지, 자기개념의 영역들을 포괄하는 상위개념으로 복합외상증후군을 이해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접근방식보다 체계적인 사례개념화와 효과적 치료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적 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아동기 어머니의 정서적 학대와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용서의 관계

        라영선,현명호,차성이,윤선영 한국임상심리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9 No.1

        본 연구는 아동학대 중에서도 어머니의 정서적 학대가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을 예측하는지와 정서적 학대와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 용서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용서는 특질용서와 상황용서로 구분하여 각각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적 학대, 특질용서, 상황용서, 그리고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서적 학대는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정서적 학대와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를 상황용서와 특질용서가 조절하였고 특질용서보다 상황용서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아동기에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정도가 높은 사람일수록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이 심각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정서적 학대가 심각하더라도 상황용서와 특질용서 수준이 높으면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긴장성 부동성과 경험회피가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신체감각 신뢰의 조절된 매개효과

        고효경,강영신 한국상담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6 No.3

        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이들의 외상 경험 동안 및 외상 재경험 동안의 긴장성 부동성과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신체감각 신뢰가 조절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외상을 경험한 일반 성인남녀 총 239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경험 동안 및 외상 재경험 동안의 긴장성 부동성과 경험회피는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신체감각 신뢰는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외상 경험 동안 및 외상 재경험 동안의 긴장성 부동성과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외상 경험 동안 및 외상 재경험 동안의 긴장성 부동성이 경험회피를 통해 복합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신체감각 신뢰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신체감각 신뢰 수준이 낮거나 평균 수준일 때에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itraumatic tonic immobility and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CPTSS), as well as between re-experiencing tonic immobility and CPTSS, were mediated by experiential avoidance (EA). It also examined whether trusting body sensations moderates these relationships. A total of 239 adults who had experienced trauma participated in a survey that assessed tonic immobility, EA, CPTSS, and trusting body sensations. The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eritraumatic tonic immobility, tonic immobility during re-experiencing, and EA with CPTSS. Additionally,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rusting body sensations and CPTSS. Furthermore, EA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eritraumatic tonic immobility and CPTSS, as well as between re-experiencing tonic immobility and CPTSS. Finally, trusting body sensations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tonic immobility on CPTSS through EA.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단순 및 복합 외상 유형에 따른 PTSD의 증상 구조

        안현의,주혜선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3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외상적 사건들을 단순 외상과 복합 외상 유형으로 구분하여 한국 성인집단에서 각각의 외상 유형에서 가장 적합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증상구조는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외상 체크리스트와 PTSD 증상을 측정하기 위한 외상 후 진단척도를 실시하여 생애 중 외상 경험이 있는 경우 연구 집단으로 포함하였다. 연구 집단은 경험한 외상적 사건의 유형에 따라 단순 외상 집단과 복합 외상 집단으로 하위 집단을 나누었으며 이들 중 단순 외상 집단은 428명, 복합외상 집단은 207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한 PTSD 증상구조 모형은 DSM-IV의 재경험, 회피 및 정서적 마비, 과각성의 3요인을 기본으로 하는 2개의 모형과 경험적으로 타당성이 보고된 4요인 모형 3개로 총 5개의 모형이다. 다섯 개의 PTSD 증상 모형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단순 외상 집단과 복합 외상 집단에서 동일하게 DSM-IV의 PTSD증상 모형보다는 재경험, 회피, 정서적 마비, 과각성의 4개의 하위 증상이 상호작용하는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PTSD 증상구조에 대한 이해와 함의 그리고 제한점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in simple and complex trauma. Sample consisted of 428 simple trauma group and 207 complex trauma group in Korean adults aged over 18 who had experienced at least one traumatic event in their life time. We assessed their PTSD symptoms using Posttrauma Diagnostic Scale (PDS), and tested five models consisting of PTSD symptom factors based on the DSM-IV criteria as well as those from the previous studie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on each of the five models of the PTSD symptoms. Among the five models, the four factor intercorrelated model with re-experiencing, avoidance, emotional numbing and hyperarousal factors provided the best fit in both simple and complex trauma groups. Results are discussed regarding the implications of this finding.

      • KCI등재

        복합외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사건, 가해자, 보호자 영역 중심으로

        최보윤,한주옥 가정과삶의질학회 2024 가정과삶의질연구 Vol.42 No.2

        본 연구는 성인의 복합외상 정도를 사건, 가해자, 보호자 영역 중심으로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복합외상을 경험한 참여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사건, 가해자, 보호자 영역에서 지각한 복합외상경험을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40개로 구성된 복합외상 척도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고 개발된문항은 전문가 2인의 검토로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2에서는 14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사건12문항, 가해자 8문항, 보호자 14문항으로 3요인, 총 34문항을 확인하였다. 연구 3에서는 21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선정된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부하량과 요인간 상관 등으로 복합외상 척도가 타당하게 개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상과 관련된 다른 척도들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준거관련 타당도인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추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복합외상척도가 복합외상을 겪는 사람들을 적절히 구분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외상 체크리스트로 외상의 종류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평균을비교하였다. 그 결과, 복합외상을 경험한 집단에서 사건, 가해자. 보호자에 대한 평균이 높게 나타나 이 척도가 복합외상의 정도를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hat measures the complex trauma based on the constructive concept of the incident, perpetrator, and guardian. To develop items, five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complex trauma were interviewed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literature reviews, we generated three factors and 40 items which were verified by two experts. Next,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148 people and 34 items under three factors were identified. The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218 people for the items select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ing that the complex trauma scale was properly developed due to factor load and correlation between factors.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other scales related to trauma to confirm the reference validity and the average was compared by classifying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trauma with a trauma checklist to confirm whether the developed complex trauma scale properly distinguishes those suffering from complex trauma. As a result, in the group that experienced complex trauma, the average for the incident, the perpetrator, and the guardian were found to be high, confirming that this scale reflects the degree of complex trauma.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The Efficacy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Complex Trau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최현정,이우열,허심양,김자혜 한국임상심리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9 No.2

        This study meta-analyzed interventions for symptom constructs of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related to complex trauma, such as child abuse, multiple interpersonal trauma, and organized violence. From 42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164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comprising various treatment comparisons and outcomes. Cognitive processing therapy/cognitive therapy (CPT/CT), narrative exposure therapy (NET), phase-based trauma-focused cognitive behavior therapy (phased TF-CBT), single-phased TF-CBT (single TF-CBT), prolonged exposure (PE),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EMDR), and present-centered therapy (PCT) each showed moderate to large effect sizes on PTSD. For depression, CPT/CT, phased TF-CBT, single TF-CBT, NET, and PE showed moderate to large effect sizes. Meta regression revealed that efficacy on PTSD and depression was greater with trauma-focused than with present-centered interventions. Limited evidence made it impossible to compare phased treatments and single-phase treatments. Outcomes of disturbance in self organization (DSO) were relatively scarce; however, among those, CPT/CT, PE, and PCT showed large to moderate effect sizes on negative self-concept. For emotion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phased TF-CBT seemed to be promising. Treatment completion rates were similar between trauma-focused and present-centered. Population and study characteristics did not affect efficacy; however, we discussed related clinical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