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장애아동을 위한 비구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최근 연구 검토

        이상희(Lee Sang-H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4

          의사소통이란 두 사람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 사이에서 태도와 생각, 사실과 정보를 전달하고 교환하는 상호적인 과정이다. 대부분의 비장애아동은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하지만 의사소통 장애아동은 언어 외에도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시도한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비구어적인 의사소통에 관한 최근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기능의 의미와 분류 체계에 관하여 살며본다. 둘째,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보완ㆍ 대체의사소통 기능에 관하여 살며본다. 셋째,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보완ㆍ대체의사소통 중재 전략에 관하여 살펴본다.<BR>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소통 장애아동의 보완ㆍ대체의사소통을 통하여 특수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중재를 실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제시한다.   Communication is a mutual process of transmitting and exchanging attitudes, ideas, facts and information among two people or more. Most children without communication disorder communicate using the language but those with communication disorder attempt to communicate in very many ways in addition to using the languag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ecent trend in non-verbal communication by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 The specific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irstly, the sifnificance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communication functions, secondly, th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unction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 thirdly, the strategy for mediation i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s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BR>  Based on the study result, this study suggests basic data to conduct intervention effectively o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s of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장애와 치유의 문제

        이봉원 ( Bong Won Yi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인문학연구 Vol.0 No.21

        의사소통의 문제가 개인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지속적으로 주는 것이 의사소통 장애이다. 의사소통 장애의 유형은 매우 다양하지만 크게 말장애, 언어장애, 청각장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의사소통 장애에 대한 학문인 언어병리학은 인접 학문과의 교류를 바탕으로 하여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성과를 이루어냈다. 의사소통장애의 여러 문제는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 제도의 개혁과 인력 양성, 학문적 성과의 측면에서 이 분야는 계속 발전하고 있다. 의사소통 장애는 누구나 직면할 수 있으며 개인의 삶에 중대한 문제를 야기한다. 최근에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장애의 차원이 아니지만 의사소통의 문제가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여러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의사소통은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공동체의 차원에서도 해결되어야 하는 것이다. 인문학적 견지에서는 의사소통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공동체적 통합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사소통 장애의 치유는 삶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것이다. 언어병리학은 의사소통 장애인들이 사회와 연결될 수 있는 기본 도구를 제공할 수 있지만, 그 의사소통이 사회에서 수용되고 확장되어 의사소통의 총량이 늘어나려면 다른 차원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의사소통 장애가 당사자나 관련 전문가의 영역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삶의 문제임을 공유해야 하는 것이며, 인문학의 역할을 여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Communication disorders give a negative impact on the lives of individuals.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 disorders, but usually can be divided into speech disorders, language disorders and hearing disorders. Speech-language pathology has made many achievements in communication disorders. Anyone can face communication disorders, which can be improved through proper diagnosis and intervention. In recent years, the dimensions of the communication problems that hinder the social integration have been appearing with according to society`s change. Communication disorders are matters of individual level but also areas of community to be resolved. It is important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share the experience of integration. Healing of communication disorders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is. Speech-language pathology has provided the basic tools to approach the problems, but the solutions have to be expanded to increase the total amount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Communication disorders and social issues are not the domain of specialists, but the challenge to be shared to all of our lives; the role of the humanities will be found here.

      • KCI등재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연구 문헌분석

        이은주,오소정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2

        Purpose: A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was added to DSM-5 as a new diagnosis name for language disorders. However, the researches on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s were not enough in Korea and abroad. The study looked at how the studies related to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s were being carried out worldwide. Method: From 2012 to 2019, the study selected 10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for the school aged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and analyzed the research methods, independent variables, social language evaluation testing tools, and research results. Results: Children with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s had similar characteristics in other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ASD, ADHD, etc.) on defectiv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In this regard, the studies of children with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s were mainly conducted on the design of language ability comparison and diagnostic evaluation methods in ASD and DLD, or significant treatment methods.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show that we need to make clear the distinction between appropriate diagnostic evaluation methods and treatments for the new diagnosis name as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s. 연구목적: DSM-5에 새로운 언어장애 진단명으로 사회적 의사소통장애가 첨가되었다. 그런데 현재 국내·외적으로 사회적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편이다. 이에 이번 연구를 통해 사회적 의사소통장애와 관련된 연구가 세계적으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저널에 발표된 학령기아동 대상의 국내·외 10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연구대상 연구방법, 독립변수 종속변수, 사회적 언어평가 검사도구, 연구결과 등을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결과: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아동은 다른 신경발달장애(ASD, ADHD 등)아동과 사회적 의사소통능력 결함에 있어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이에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아동들에 대한 연구들은 ASD 및 DLD 과의 언어능력 비교 및 진단평가 방법의 고안, 또는 유의미한 치료방법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우리는 사회적 의사소통장애라는 새로운 언어장애 아동 구분법에 맞는 적합한 진단 평가방법과 치료법에 대한 구분이 명확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예술-언어 통합 치료가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천정민(Jeong Min Cheon),김화수(Wha Soo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2

        Purpose: This study targe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and language integrated therapy on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ies by performing the program with elderly people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whose levels of decline of cognition abilities are between normal aging and dementia. Methods: Looked into the effects of art and language integrated therapy on experiment group(12 elderly people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who took part in it and control group(12 elderly people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who did not took part in it. Holden Communication Scale was carried out to look into changes in communication abilities. Results: As a result of providing elderly people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with art and language integrated therapy, communication abilities showed improved results in after evaluation rather than before evaluation. Thus, art and language integrated therapy appear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communication abilities of elderly people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Conclusions: Art and language integrated therapy appear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elderly people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On the basis of the result, the program can be utilized for rehabilitation and prevention of dementia for elderly people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later in clinical scene. Also it can provide basic data to carry out specific and various programs involving rehabilitation of communication abilities of elderly people in fields of study related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 KCI등재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의사소통과의 관계

        유명환(Myeonghwan Yu),강지숙(Jisook Kang)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4

        본 연구는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의사소통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사의 의사소통 관련 연구 및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 노인과의 의사소통 장애, 의사소통 행위, 의사소통 만족을 확인하고 그 관계를 조명하는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IRB 승인을 받은 후 노인에게 돌봄을 제공하는 병원 및 관련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면대면 조사와 구글엔진을 통한 온라인 자료수집을 병행하여 진행되었고, 총 292명이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과 ANOVA, 사후검증으로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의사소통 장애, 의사소통 행위, 의사소통 만족도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노인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의사소통장애는 감소하고 의사소통 행위는 좋아지며 노인과 의사소통 만족도가 높아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무적으로 노인을 만나는 간호사의 의사소통 교육과 함께 노인에 대한 인식 향상과 관련된 교육 또한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또한, 관련하여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 향상과 의사소통 향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tilize for foundation data of research related nursing communication and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using a set of questionnaires tha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who provide care to the elderly by confirming their perception of the elderly, communication difficulties with the elderly, communication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communication. After IRB approval, data were collected either face-to-face survey or by online survey. A total of 292 nur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WIN 26 program. As a resul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identified between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communication disorders, communication behavior,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We found that nurses who had more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elderly had less communication disorders, better communication behaviors, and higher communication satisfaction with the elderly. From this result, we suggest that nurses caring for the elderly should receive education on communication methods with elderly to improve their perception. Furthermore, we suggest future studies to improve nurse s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학령기 사회적의사소통장애와 고기능자폐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차이

        진연선(Yeon Sun Jin),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1

        배경 및 목적: 사회적의사소통장애란 구어적·비구어적 수단을 사회적으로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자폐와는 다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평가 방법을 통해 한국의 사회적의사소통장애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이들을 고기능자폐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학령기 사회적의사소통장애, 고기능자폐, 일반 아동 집단 각 15명씩 총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언어문제해결력검사, 교실환경을 구조화 한 상황에서 행동관찰, 마음이해 과제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언어문제해결력검사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셋째, 교실환경을 구조화한 환경에서 행동관찰을 통해 분석한 결과, 총 사회적 의사소통 발생 빈도(SCDSCD, TD)·독단적(HFA>TD) 개시하기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고 반응하기 측면에서는 친사회적(TD>SCD, HFA)·소극적(SCD>HFA, TD)·이탈적(HFA>SCD, TD)·독단적(HFA>SCD, TD) 반응하기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마음이해 점수에서도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HFA<SCD, TD).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학령기 사회적의사소통장애와 고기능자폐아동 집단의 차이를 다양한 평가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는 현장에서 평가 및 중재 방향에 대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certain the profiles of communication between school-aged children with social communication disorder (SCD) an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HFA).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forty-five school-aged children with SCD, HFA, and TD. This present study used the Korean Test of Problem Solving, which is a behavior observation in a structured task representing a small group classroom setting, as well as the test of theory of mind (ToM). Result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on the Korean Test of Problem Solving. Second, in the structured task representing classroom sett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amount of social communication (SCDSCD, TD), and assertive (HFA>TD) behavior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responsive among groups; prosocial (TD>SCD, HFA), passive (SCD>HFA, TD), irrelevant (HFA>SCD, TD), and assertive (HFA>SCD, TD) behaviors. Finally,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eory of mind among groups (HFA<SCD, TD).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ildren with SCD showed similar communicative behaviors in initiations with TD children except prosocial behaviors. Interestingly enough the children with SCD seem to be very passive in responsivenes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guide the assessment and/or interven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SCD. The findings of this paper wil lsupport the guideline of the assessment and/or interven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 KCI등재

        장애성인의 의사소통문제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정경희,안성우,신창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5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disorders and speech and language therapy in adults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 125 experts including special teachers, social workers, double license and speech and pathology. Experts' perception was measured with questionnaire related to communication disorder. Thes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frequency, cross analysis and One-Way ANOVA using SPSS WIN 22.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perts were aware very highly the need for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ervices for adult with disability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exper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speech therapy services in accordance to sociology of population characteristics. Secondly, they think adult with disabilities dont' know much about speech therapy services, does not have the appropriate support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or adult with disabilities. Third, experts were aware adult with disability was shown the most difficult in the expression, represent a problem in the conversation, experts were aware the verbal and non-verbal together is most often used in communication on adult with disability. Fourth, experts were aware the most preferred area is language understanding, language expression, in such as the use of language at the same time in mediation for communication disorders of adult with disability. Fifth, experts responded that when experts met adult disorder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experts treating a subject with direct and indirect way. This study imply that there is a need for appropriate support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성인의 의사소통문제 및 언어치료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대구․경북, 부산․경남의 장애인 이용기관에 근무하는 전문가들 125명이다. 장애성인 의사소통문제 및 언어치료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사용해서 빈도분석,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첫째, 전문가들은 장애성인의 의사소통문제에 대한 언어치료지원의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문가들의 인구사회학 특성에 따라 의사소통문제에 대한 언어치료지원의 인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장애성인들은 언어치료에 대해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치료지원도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장애성인들이 나타내는 의사소통의 문제는 표현언어가 가장 많았으며 대화의 어려움과 자신의 의사표현에 어려움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성인들이 사용하는 의사소통수단은 구어와 비구어를 함께 사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가들은 장애성인의 의사소통문제에 대한 중재가 언어이해, 언어표현, 언어사용 영역에서 동시에 이루어져야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전문가들은 의사소통문제를 가진 장애성인을 만나면 직·간접적인 방법으로 대상자를 교육 및 치료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성인들에게 적절한 언어치료지원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A Meta-analysis of Children’s Communication Checklist (CCC) for Children & Adolescents with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

        송승하(Seung Ha Song),양윤희(Yoon Hee Yang),김영태(Young Tae Kim),임동선(Dong 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아동 의사소통 체크리스트(Children’s Communication Checklist, CCC)를 사용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CCC가 화용에 어려움이 보고된 장애 집단과 비장애 집단을 유의하게 변별해줄 수 있는지, 각각의 장애 집단별 프로파일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화용언어장애 집단으로 자폐범주성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s & hyper-activity disorder), 그리고 윌리엄스증후군(Williams syndrome)을 포함하였다. 방법: 화용언어장애 및 비장애 집단의 CCC 점수를 비교한 연구들을 PsycINFO, Academic Search Complete, ERIC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Pragmatic language assessment’를 주제어로 최초 검색한 결과, 총 238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선정 및 제외기준에 적합한 총 14편의 문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CCC 결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ASD, ADHD 집단은 비장애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WS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난 장애군의 세부적 프로파일로는 ASD 집단의 경우 언어구조, 화용, 사회성 영역 모두에서, ADHD 집단은 언어구조 및 화용영역에서 비장애 집단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CCC를 활용하여 ASD, ADHD 집단의 변별적인 프로파일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두 집단 모두 화용영역에 따른 어려움이 나타날지라도 장애집단에 따라 세부적으로 다른 프로파일을 보일 수 있다. 이들의 차별적인 어려움을 고려하여 체크리스트 형식 외에도 직접 평가를 병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Objectives: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 show overall communication problems. However, the pragmatic problems vary depending on their diagnostic characteristics. The Children’s Communication Checklist (CCC, CCC-2) was developed to assess overall language ability through parents’ and/or teacher’s reports (Bishop, 2003). This research reviews studies of pragmatic language assessment using CCC or CCC-2, and investigates i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ragmatic deficits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s [ADHD], and Williams syndrome [WS]) can be differentiated through CCC or CCC-2. Methods: Fourteen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ve and exclusive criteria were selected from three electronic databases: PsycINFO, Academic Search Complete, and ERIC. A systematic review was done using meta-analysis (Comprehensive Meta-Analysis II, 2005).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between ASD and ADHD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ypically development (TD),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WS and TD controls. The sub-domains (structural/pragmatic/autism-social domain) that brought group differences were all three sub-domains in the ASD group. Structural and pragmatic domai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ub-domains in the ADHD group. Conclusion: CCC or CCC-2 is a useful tool for discriminating ASD and ADHD groups from TD controls. However, it is not enough to represent various pragmatic profiles depending on diagnostic groups such as ASD and ADH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both direct and indirect assessment tools to reveal the differential profiles of pragmatic problems in various groups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