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과 무측지성 수분수용 신품종 ‘팅커벨’

        권순일(Soon-Il Kwon),권영순(Young Soon Kwon),박종택(Jong-Taek Park),김목종(Mok-Jong Kim),김정희(Jeong-Hee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5 No.3

        무측지성 수분수용 사과 품종 개발을 위해 ‘홍로’를 자방친, ‘메이폴’을 화분친으로 하여 교배한 교배실생을 조사•선발하여 ‘팅커벨’로 명명,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등록을 완료하였다. ‘팅커벨’ 육성 과정은 2003년에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2009년까지 과실 및 생육특성을 조사하여 1차 선발하였다. 계통명 ‘03-2-095’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과일특성 및 주요 품종과의 교배친화성을 평가한 후 최종 선발하였다. ‘팅커벨’은 대조품종 ‘메이폴’에 비해 만개기가 약 2일 정도 늦고, 수세가 약하고 가지 발생이 거의 없는 무측지성을 보인다. 대조품종 ‘메이폴’의 과형이 ‘타원형’인데 비해 ‘팅커벨’의 과형은 ‘넓은 타원형’이다. ‘팅커벨’은 117g으로 ‘메이폴’보다 과실이 크고, 과피가 매끈하며 과분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팅커벨’의 당도는 12.3°Bx로 ‘메이폴’ 10.7°Bx 보다 높고, 산도는 1.2%로 ‘메이폴’ 1.8% 보다 낮아서 당산비가 ‘메이폴’ 보다 개선되었다. 주요 품종과의 인공교배시 착과율은 ‘후지’ 90.8%, ‘홍로’ 94.9%, ‘쓰가루’ 71.0%로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수폭은 70cm이므로 사과 밀식재배체계에 아주 적합한 수분수용 신품종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breed new columnar-typed apple variety for pollinator in apple orchard. We cross-fertilized ‘Hongro’ that was an ovary parent and ‘Maypole’ a pollen parent in 2003. We gathered seeds in 2003 and sowed after breaking of dormancy in 2004. Seedlings was been growth and development till flowering. After fruit setting, We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fruit including mating compatibility from 2010 to 2012, then finally selected ‘03-2-95’ named ‘Tinkerbell’ in 2012, registered as new variety on Korea Seed & Variety Service in 2015. The full bloom stage of ‘Tinkerbell’ was later 2 days then of ‘Maypole’. Tree habit of ‘Tinkerbell’ was alike to of ‘Maypole’, for example weak tree vigor, columnar type. But there were many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Tinkerbell’ and ‘Maypole’. Fruit shape of ‘Tinkerbell’ was ovoid whereas of ‘Maypole’ was ellipsoid. Fruit of ‘Tinkerbell’ was bigger, smoother skin, no waxy bloom than of ‘Maypole’. Fruit of ‘Tinkerbell’ was more delicious than of ‘Maypole’ because of having higher soluble sugar content and lower titratable acidity. ‘Tinkerbell’ was excellent pollinator in apple orchard. Because of having high fruit setting rate with major apple varieties and a narrow tree width that was advantageous as pollinator in apple high density system.

      • KCI등재

        에너지원의 종류에 따른 비닐평형코드(VFF)의 소손원인 판정기법에 관한 연구

        최충석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25 No.6

        This study presented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vinyl cords used for wiring electric equipment and appliances and analyzed the photographs of damaged flat-type vinyl cords (VFF, 1.25 mm²) and the metallic cross-sectional structure of melted conductors. Normal VFFs were made by twisting several strands together and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was red brown. In addition, from the analysis of the metallic structure of the conductor, it was found that its grains had been elongated. The surface of a VFF damaged by normal flame showed no sheen with carbonized insulation material fused on the conductor surface. In addition, from the analysis of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melted area, it was found that voids of a certain shape were formed on it but that the cord’s own elongation structure could not be checked. The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melted conductor damaged by the external flame applied to a VFF to which electric current was being applied showed no elongation structure for each cord, and revealed that irregular voids and a columnar structure had grown. The surface of the VFF damaged by overcurrent was uniformly carbonized and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analysis of the melted conductor revealed that the dendritic structure had grow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VFF melted by short-circuit showed that even though some part of the surface was contaminated, it showed little sheen and that the area rebounded by melting was round in shape. In addition,the cross-sectional structure analysis using a metallurgical microscope showed the boundary surface and columnar structure and revealed an amorphous structure like normal copper at areas other than the melted conductor. 본 연구에서는 전기기기 및 가전기기 등의 배선으로 사용되는 비닐코드의 구조 및 특성을 제시하고, 에너지원의 종류에 따라 소손된 비닐평형코드(VFF, 1.25 mm²)의 실체 사진 및 용융된 도체의 금속 단면구조를 분석하였다. 정상 VFF는 소선 여러 가닥을 꼬아서 제작되었으며, 도체의 표면은 적갈색이다. 또한도체의 금속 조직 분석에서 그레인이 연신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 화염에 의해 소손된 VFF의 표면은 절연물이 탄화되어 도체의 표면에 융착되었고, 윤기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용융 부분의 단면 구조 분석에서 일정한 모양의 보이드가 형성되었고, 전선 고유의 연신 구조는 확인할 수 없었다. 통전중인 VFF에 외부 화염이 인가되어 소손된 용융 도체의 단면 분석에서 전선 고유의 연신 구조는 없었고,불규칙적인 보이드 및 주상 조직 등이 성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과전류에 의해 소손된 VFF는 표면이고르게 탄화되었으며, 용융된 도체의 단면 구조 분석에서 수지상 조직의 성장이 확인되었다. 단락에 의해용융된 VFF의 특성 분석에서 표면의 일부가 오염되었지만 약간의 윤기가 있고, 용융되어 재결합한 부분이 둥근 모양을 나타냈다. 또한 금속 현미경을 이용한 단면 구조 분석에서 경계면 및 주상 조직 등이 확인되었고, 용융된 도체 이외의 부분에서는 정상 구리와 같은 비정질체인 구조가 확인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