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자 안보협력 체제의 이해 : 집단안보, 공동안보, 협력안보의 개념과 현실

        신범식(Beom-Shik Shin)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0 국제관계연구 Vol.15 No.1

        안보연구에서뿐만 아니라 국제정치학 전반에서 대단히 자주 언급되는 중요성을 가지면서도 그 개념에 대한 합의된 이해의 기반이 비교적 약한 것으로 집단안보(collective security), 공동안보(common security), 협력안보(cooperative security)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개념들을 비교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분석하며, 그 현실적 의미를 추적하는 연구가 의외로 많지 않다. 본고는 이들 집단안보, 공동안보, 협력안보의 개념을 현재적 상황에서 재구성하고, 다양한 다자안보레짐의 현실 가운데 이 개념들이 어떻게 적용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특히 집단안보, 공동안보, 협력안보에 대한 21세기적 상황에서의 개념적 이해와 이러한 개념이 적용된 안보협력체제로서 NATO, CSCE/OSCE, ARF, SCO 등의 안보협력레짐을 이들 안보개념과 연관하여 분석함으로써 21세기적 안보의 복합화(hybridization) 특성을 밝히고 있다. 지금까지 다자안보체제와 관련된 다양한 안보개념이 국제정치 환경의 변화와 관련하여 등장하여 왔지만, 그것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안보협력레짐은 다양한 안보개념의 지향을 지역별 · 시기별 필요에 따라 원용하면서 복합적인 체제를 구축하여 왔으며, 이러한 안보개념의 복합화는 앞으로 더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한반도평화체제나 동북아 및 아시아 다자안보체제의 수립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을 검토하고 새로운 연구들을 촉진하는 데 유용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States can enhance their security through cooperation with other states instead of obtaining the balance of power by means of self-help or alliances. Despite its importance within international political studies, as well as in security studies, agreements in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collective security, common security, and cooperative security have been relatively weak. Yet surprisingly, there exist few studies which analyze these concepts and trace their actual implications in comparative perspectives.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s of collective security, common security, and cooperative security from a viewpoint of the international conditions in the 21st century, and explores their application within various multilateral security regimes such as NATO, CSCE/OSCE, ARF, SCO in comparative perspective. This research also reveals the hybrid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ternational security practice of these institutions. These multilateral security organizations reflect various combinations of these three concepts of security, establishing multifaceted systems according to time changes and regional conditions. The tendency toward hybridization of these security concepts seems likely to be strengthen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집합투자증권 양도시 소득세 과세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문성훈(Seong Hoon Moon) 한국세법학회 2009 조세법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집합투자증권의 종류 및 양도방법을 살펴보고, 집합투자증권 양도시 과세현황 및 문제점을 중심으로 검토한 후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 간투법 및 2009년 2월 시행된 자본시장법상 구체적 집합투자증권의 종류 및 양도방법에 따른 구소득세법과 현행 소득세법상 과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집합투자증권 양도에 대한 과세소득의 적합성 및 비과세의 타당성 등을 살펴본 후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구소득세법에서는 집합증권의 종류, 양도방법, 상장여부에 따라 이자소득, 배당소득 및 양도소득 등으로 다양한 과세방식으로 과세하거나 비과세하는 등 과세의 일관성과 명확성이 부족했다. 자본시장법 시행을 계기로 한 소득세법 개정으로 집합투자증권 양도방법과 관계없이 배당소득으로 과세하고 상장 집합투자증권은 비과세하는 등 집합투자증권 양도에 대한 과세제도가 정비되었다. 그러나 집합투자기구의 법적 형태에 따른 상이한 과세취급, 채권 등 보유기간과세의 단순 적용, 형식적 상장거래를 통한 조세회피 가능성 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집합투자증권 과세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세제의 중립성과 형평성 제고를 위해 현행 집합투자증권 양도에 따른 채권 등 보유기간 과세규정을 삭제하고, 모든 형태의 집합투자증권 양도에 대해 양도소득으로 과세하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만, 투자자의 납세순응 및 조세협력비용 감소를 위해 원천징수제도와 과표기준가제도를 준용하고, 양도소득세율은 집합투자기구의 환매시와 동일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투자조합 등 “사모성”과 “사업성”이 강한 집합투자기구에 대해서는 경제적 실질을 고려하여 PEF에서와 같이 동업기업 과세제도를 적용하는 것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자본시장법 도입으로 집합투자기구의 종류 및 투자대상 확대 등 법적 제도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시점에 맞추어 집합투자증권 양도소득 과세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과세의 중립성과 단순성을 고려한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집합투자증권 양도에 대한 합리적인 과세기준 정립에 본 연구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ind and the transfer method of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and taxation status. In addition to this, we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of these after we study the taxation status and problem mainly. For the this study, First, we concretely examine the taxation of the kind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regarding previous income tax law and current income tax law under Indirect Investment Asset Management Business Act &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Second, we seek the improvement plan after we study the appropriateness of taxation and tax exemption. Under previous income tax law, there was no consistency regarding above mentioned taxation as the income from interest, income from dividends and transfer income etc. in accordance with the kind, transfer method and listing of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In addition, there is the improvement of taxation regarding the transfer of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that this income would be taxed as the income from dividends and the listed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would be non-taxable income regardless of the method oftransfer as follow the operation of FSCMA. By the way, there are still some problem that different taxation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form of the Collective Investment vehicle, simple application to the tenure taxation of the bond and the possibility of tax avoidance through transaction of “formally” listed securities. To settle the problem of taxation regarding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and to improve the impartiality and equality of taxation, we suggest that the current taxation of bond's holding period interest income regarding the transfer of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should be deleted and all kind of the transfer of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would be taxed as transfer income tax. To reduce the tax compliance costs and tax co-operation cost of investors, the withholding taxation and tax base standard price system should be introduced newly and the tax rate of transfer income tax should be same rate about the short covering of the Collective investment vehicle. In addition to this, we cam consider that the partnership taxation will be applied to the Collective investment vehicle as the investment association which have the character of private placement and business purpose after taking account of economic substance. As introduction of FSCMA,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system improvement like that the kind and the enlargement of investment of Collective investment vehicle etc. is done in a nowaday, we examine the problem of transfer income tax of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and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which reflect the impartiality and simplicity of taxation. Finally,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prepare reasonable standard of taxation regarding the transfer of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afterward.

      • SSCISCOPUSKCI등재
      • KCI등재

        Collective Self-Defense or Collective Security? Japan’s Reinterpretation of Article 9 of the Constitution

        이재민 (사) 이준국제법연구원 2015 Journal of East Asia and International Law Vol.8 No.2

        The concept of self-defense takes such an important place in the UN Charter and international law. The concept of collective self-defense should also be interpreted and applied within the clear parameters of stated principles of the UN Charter. This is not a concept that can be elastically applied so as to cover a wide range of instances that require military action by like-minded States acting in response to contingent situations. The discussion of collective self-defense within the specific context of Japan at the moment, however, seems to involve issues larger than or beyond the traditional concept of self-defense. Arguably, some aspects of the issues posed seem to fall under the collective security realm which is reserved to the authority of the UN Security Council or which at least requires authorization or delegation from the Security Council. Using the term collective self-defense to address a wide spectrum of military contingencies to be tackled by collective security regime may not square with the provisions of the UN Charter.

      • KCI등재

        일본 사이버안보 전략의 변화 : 사이버 안보의 전통 안보화와 전통 안보의 사이버 안보화

        이승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7 국가안보와 전략 Vol.17 No.1

        Japan’s cyber security strategy entered into a new stage by enacting cyber security basic act in 2014, which stipulates the new direction of cyber security policy.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evolution of Japan’s cyber security strategy in terms of the relations between traditional security and cyber security. For this, I draw on concepts such as ‘securitization of cyber security’ and ‘cyber securitization of traditional security.’ Traditional securitization of cyber security occurs when the government and other key players do not approach cyber security related issues not just in terms of issues of cyber space or economic costs and benefits, but in terms of the broader military security perspectives. By contrast, cyber securitization of traditional security implies that they attempt to turn traditional military securitiy issues into cyber security related issues and take advantage of cyber security as a means to military security goals. While traditional securitization of cyber security has to do with perception changes by the Japanese government that focuses on security threats potentially arising from cyber threats. cyber securitization of traditional security takes place as the Abe government tries to link cyber security related issues to national security strategy. 일본은 2014년 사이버안보기본법을 제정함으로써 사이버 안보 정책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게 되었다. 이로써 일본의 사이버 안보 전략과 외교는 새로운 단계에 진입했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 이 연구는 일본이 사이버 안보 전략을 전통적인 군사 안보와 사이버 안보의 연계라는 관점에서 설명한다. 이 연구는 이를 ‘사이버 안보의 전통 안보화’와 ‘전통 안보의 사이버 안보화’로 개념화하여 설명한다. 사이버 안보의 전통 안보화가 사이버 대응 능력의 증대를 사이버 공간상의 문제나 경제적 손실에만 주목하지 않고, 국가 안보 증진이라는 거시적 맥락의 군사안보 문제로 인식하고 그에 대한 포괄적인 대응 체계를 갖추는 것을 뜻한다. 한편, 전통 안보의 사이버 안보화는 전통적인 군사안보 영역의 문제를 사이버 안보의 문제로 환원시키려는 시도로서 군사안보 목표를 위해 사이버 안보를 수단화하는 경향을 뜻한다. 사이버 안보의 전통 안보화는 사이버 위협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안보 위협에 초점을 맞추는 일본 정부의 인식의 전환과 관련이 있다. 전통 안보의 사이버 안보화는 일본 정부가 사이버 안보 관련 쟁점들을 국가안보전략, 특히 아베 정부 등장 이후 국가안보전략과 연계하여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다.

      • KCI등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국제연합(UN) 안보리와의 역학관계: 탈냉전 이후 나토의 집단안보 역할을 중심으로

        이수형 세종연구소 2008 국가전략 Vol.14 No.3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NATO) was created for the purpose of collective defense in April, 1949.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however, NATO has transformed its main security role from collective defense into collective security. Especially NATO's collective security role in the post-Cold War era was focused on humanitarian interventions that may have grave influence on state sovereignty. Therefore, more enlarged role for the NATO was closely related to United Nations' traditional task, commonly referred to as peacekeeping. Because the article VII in the UN Charter defines the use of force by the United Nations to uphold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Big 5 of the 15 members of the Security Council have especially had the responsibility for authorizing humanitarian interventions until now.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examines NATO's humanitarian interventions toward Bosnia-Hercegovina, Kosovo, and Afghanista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role and UNSC based on the three cases. 1949년 4월 워싱턴 조약을 통해 탄생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역할은 외부의 침략으로부터 회원국의 안보를 책임지는 집단방위(collcetive defense)를 수행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냉전 종식 이후 나토의 주된 역할은 집단방위에서 집단안보 역할로 변하게 되었다. 그러나 특정 국가의 주권에 개입하게 되는 나토의 인도주의적 개입은 유엔 헌장 제7장하에서 유엔 안보리의 승인이 있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냉전 종식 이후 나토가 집단안보 차원에서 인도주의적 개입 활동을 벌이고자 한다면, 그리고 그러한 행동이 특정 국가의 주권에 개입하는 경우라면, 나토는 유엔 안보리의 승인을 받아야만 하는가? 만약 나토가 무력사용에 대한 유엔 안보리의 승인없이는 집단안보 차원의 인도주의적 개입 활동을 할 수 없는 것인가? 만약 유엔 안보리의 승인 없이 나토의 집단안보 역할이 실행되었을 경우 국제사회는 이를 어떻게 규정해야 하는가?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탈냉전 이후 나토의 집단안보 사례 분석을 통해 합법성과 협력문제를 중심으로 나토와 유엔 안보리간의 역학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집합건물양도담보의 법률구성에 관한 연구

        김용길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05 성균관법학 Vol.17 No.3

        In Korea, nonpossessory security interest cannot be created against personal properties because of the lack of proper notice. If personal properties and receivables are granted as security, its may be usually possessed and used by the debtor. In order to create such nonpossessory security rights, a public announcement of filing or perfection against third parties are required. The collateral transferred for security is useful for the diversity of security and financing of enterprises. But it has some problems. First, the collateral transferred for security is a security interest according to custom. But an obligee has the title of collateral transferred for security, an obligor could use it and have interest in it. It can be recovered to its former state where repaid one’s debts. Second, due to not having legal ground, the basis of the collateral transferred for security theory is founded in theory that comprised of the collective theory, analytical theory, value scope theory, obligatory agreement theory, complex effect theory and so on. Among them, the collective theory is advocated by a majority. In the collective theory, it is offered as security that made into one economic unit from several properties. This way to ensure a secure interest is contributed to elevation of efficiency by way of security. But, in Korea, the collateral transferred for security is in existence by case law, not having legal ground. In order to diversify a collateral offered as security in future, it is necessary to more widely employ the collateral transferred for security. Consequently, I think, we need make greater effort to study the collateral transferred for security.

      • KCI등재후보

        채권을 활용한 새로운 담보제도에 관한 소고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김효석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12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8 No.-

        오늘날 산업이 발전하고 자본이 축적되면서 자산 가치가 높은 동산의 사회 적 비중이 급속도로 증대함에 따라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보유자산 가운데 부 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세에 있는 반면,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이 차지하 90 김 효 석 는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민법 하에서는 동산이나 채권 을 담보로 활용하여 자금을 조달하고자 하더라도 공시방법이 불완전하고 이 용상 많은 제약이 따르므로 금융회사가 분쟁의 우려가 적은 부동산담보를 중 심으로 대출을 실행하는 관행은 쉽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근 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동산·채권을 목적으로 하는 담보권을 공시할 수 있 도록 함으로써 거래의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부동산 자산이 부족한 중소기업 이나 자영업자의 자금조달에 편의를 제공하는 새로운 동산·채권 담보제도가 창설되어 2012. 6. 11.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특히, 채권에 관하여 민법상 기 본 담보권인 채권질권을 바탕으로 새로운 채권담보권을 창설하면서 그간 채 권질권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온 공시방법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은 향후 집합채권이나 장래채권을 담보로 활용하는 금융거래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 인하여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이나 상호등기를 한 자영업자가 금전채권을 담보로 하여 종전보다 수월하게 자금조달을 할 수 있 게 된다면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담보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좀 더 보완·개선되어야 할 몇 가지 과제 로서, 첫째, 담보 목적이 아닌 진정한 채권양도, 대량의 채권거래, 채권유동화 등을 통한 자산유동화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담보법의 적용대상에 이들이 포 함되도록 보완하거나 민법상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에 등기제도를 도입하는 방 안 등의 연구검토 및 입법조치가 뒤따라야 한다. 둘째, 담보법의 이용주체인 담보권설정자의 인적 범위에 관하여 법인 외에도 ‘상호등기를 한 사람’까지 담보권설정자가 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향후 인적 범위를 합리적인 범위에서 더 확대하되 그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함께 연구해야 할 것 이다. 셋째, 담보법의 적용대상인 담보목적물에 관하여 동산과 채권을 포괄하 는 총자산에 대하여 하나의 담보권을 설정하고 등기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넷째, 채권양도금지특약의 적용을 배제하는 입법조치를 강구하 거나, 양도금지특약에 반하는 담보제공이라도 효력을 인정하는 해석론이 정립 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집합채권의 경우 제3채무자 대항요건을 위한 통지 방법을 간소화하는 방안에 대하여 심도 있는 연구검토가 필요하다. 여섯째, 담보목적물에 대한 담보가치의 적정한 평가 및 채무자의 신용위험과 담보물을 효율적으로 감시·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일곱 째, 채권담보권을 활용한 새로운 금융기법이 속히 개발되어야 한다. As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the accumulation of capital leads to a rapid increase in the social importance of high-value movable property, real estate as a proportion of assets held by Korean small and mid-sized corporations is on the decline, while the proportion of sales receivables and inventory assets is steadily increasing. However, in current civil law, efforts to raise funds with movable property or receivables as collateral are hampered by incomplete means of notice and limitations in usage, making it difficult to change financial institutions’ practice of focusing on real estate loan security due to the lower risk of disputes. In order to change this situation fundamentally, a new movable property and receivables security system was established and will go into effect on June 11, 2012. The new system makes it possible to give public notice of such security rights, thereby increasing transaction security and providing new options for small and mid-sized corporations that do not have adequate real estate to secure financing under the current law. Of particular interest is the new receivables security, which is based on the preexisting receivables lien in the Civil Act but breaks new ground in means of public notic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use of financial transactions secured by collective or future receivables. Due to this new system, not only major corporations but also small and mid-sized corporations, and entrepreneurs with registered trade names, may be able to raise funds more efficiently with receivables as security, creating the basis for a mor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There are certain supplementations and changes necessary for the invigoration of this new system of debt security. First, in order to encourage 92 김 효 석 actual transfer of receivables, large-scale transaction in receivables, and securitization of receivables distinct from debt security, the new Act should be amended to apply to these transactions, or registration as a requirement for opposition to transfer of receivables should be considered for study and legislation. Second, regarding the personal scope of the security provider, the user of this law, though “persons who have registered a trade name” in addition to corporations may become security providers, ways should be studied to expand that scope within reason while preventing adverse effects from such expansion. Third, regarding the law’s object of application, the object of security,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o establish and register debt security rights on gross assets including movable property and receivables. Fourth, there should be legislative measures to exclude the application of special agreements that forbid the transfer of receivables, or there should be theories of legal interpretation in place to recognize the validity of debt security that contravenes such agreements. Fifth, an in-depth examination is needed to simplify the notification requirement for opposition to third-party debtors of collective receivables. Sixth, there should be systems in place to accurately appraise the debt security value of the object of security, and to efficiently monitor and manage objects of security and the debtor’s credit risk. Seventh, new financial methods making use of receivables security must be developed with all possible speed.

      • KCI우수등재

        일본의 채권담보제도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채권질권 및 채권양도담보권에 관한 담보법제연구회의 입법제안을 중심으로 -

        柳昌昊 ( Ryu Chang-ho ) 법조협회 2021 法曹 Vol.70 No.3

        일본에서는 2019년 3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상사법무연구회에 설치된 ‘동산·채권을 중심으로 한 담보법제에 관한 연구회’를 중심으로 동산양도담보권 및 소유권유보를 대상으로 하는 담보소유권, 채권질권 및 채권양도담보 등 동산과 채권을 목적으로 하는 담보법제 및 예금담보·금융리스·기업의 사업을 전체적으로 담보의 목적으로 하는 포괄담보 등 동산과 채권 이외의 재산권을 목적으로 하는 담보법제의 개선 및 입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입법제안을 한 바 있다. 이 입법제안 중 채권을 목적으로 하는 담보권에 관한 주요 내용으로는 첫째 채권양도담보권의 법적 근거, 둘째 집합채권양도담보에 관해서는 집합물에 대응하는 집합채권의 개념과 요건·담보설정자의 개별채권의 처분 및 설정자의 일반채권자에 의한 압류의 효력, 셋째 채권양도담보권의 대항요건과 우열관계에 관해서는 채권질권과 채권양도담보권의 우열관계·대항요건으로서의 통지나 승낙과 양도등기의 우열관계, 넷째 채권양도담보권의 실행방법으로서 직접 추심에 의한 실행과 추심 이외의 실행방법으로서 귀속청산방식 또는 처분청산방식의 사적 실행방법과 그 실행절차에 관한 내용 등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채권질권 및 채권양도담보에 관한 담보법제연구회의 입법제안을 소개·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일본의 학설 및 판례와 비교·평가함으로써,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우리 법제는 일본과 달리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이 시행 중에 있으므로, 이 법률에 의한 동산담보권 및 채권담보권 뿐 아니라 동산양도담보권·소유권유보 및 채권양도담보권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는 한편 동산을 목적으로 하는 담보권과 채권을 목적으로 하는 담보권에 관한 공통적인 조문과 각 담보권에 특유한 개별적인 조문을 각각 구분하여 입법하는 방안을 통하여 입법의 체계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Japan, the Working Group for Security Legislation has worked for improvement of collateral system on movables and claims from March 2019 to March 2021, and issued legislative proposals in the form of final report in April 2021. This report consists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is on chattel mortgage, that is the property security by means of transfer, the second part is on claim security, that is the claim security by means of transfer and pledge of claims, and the last is on securities over other objects except properties and claims, that is security of deposit and finance lease. Among these three parts of the proposals, I studied the proposal about claim security in this paper. The main issues of claim security are as follows. The first issue is about the legal basis for security on claims. Second, regarding the collective claims security by means of transfer, the concept and requirements of collective claims, the disposal of individual claims by the debtor, and the effect of garnished claim by another creditor of the debtor. Third, regarding the requisites for counteraction and superiority relations of claim security, the superiority relationship between the pledge of claims and the claim security by means transfer, the superiority relationship between notification·acceptance and transfer registration as requisites for counteraction of the security. Fourth, regarding the execution of claim security, the working group is proposing the debt collection and the private execution by creditor as kinds of executions and their procedures of each execution. This paper present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legal system b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proposals of the working group with related Japanese theories and precedents.

      • KCI등재후보

        한국신문에 나타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담론

        최낙진(Nak-Jin Choi)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5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9 No.3

        본 연구는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 신문들의 사설에 관한 담론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은 ‘일본의 보통국가론’, ‘미국의 동아사아 회귀론’, ‘중국경계론’, ‘북한위협론’ 등 4가지 담론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보통국가론’은 평화헌법 개정이나 해석 개헌을 통해 일본이 국제공헌을 하겠다는 것이다. ‘미국의 동아시아 회귀론’ 은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가 미국의 군사외교전략과 연계되어 있음을 가리킨다. ‘중국경계론’은 G2로 부상한 중국을 경계하기 위해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확보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북한핵무기위협론’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로 일본의 안보 위협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처럼 한국신문에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과 관련한 다양한 층위의 담론들이 존재함에도 이 담론들은 크게 ‘진정성’ 담론과 ‘안보’ 담론의 틀에 묶여 있다. ‘진정성’ 담론은 일본 보수우익 정치세력들을 향하고 있으며, 그들의 태도와 행동에서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비진정성’ 담론이다. 그러니만큼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는 어떠한 것이든 믿을 수 없으며 경계할 수밖에 없는 것이 된다. 한편 ‘안보’ 담론은 한국이 처한 특히 군사적 현실에 관한 것으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를 한국의 안보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한국의 안보가 ‘한 · 미 방위조약’을 기본 틀로 하고 있는 이상, ‘미 · 일’ 동맹 나아가 ‘한 · 미 · 일’ 3각 안보동맹 차원에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를 바라보아야 한다는 ‘현실성’ 담론이다. 한마디로 ‘진정성’ 담론과 ‘안보’ 담론은 한국에서 집단자위권을 둘러싼 다양한 담론들의 근거로 작동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discussions on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of Japan are developed in Korean newspapers. Towards this end, an analysis of the discourse on editorials of conservative, moderate and liberal newspapers was performed with a total of 166 editorials as research target.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tiation between conservative, moderate and liberal newspapers was not found clearly in relation to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This trend was maintained even in the period divided in accordance with the political power of Japan. It can be inferred that a discourse about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itself cannot be accommodated by a variety of perspectives in Korea, or it is tied to the frame of a particular discourse. In more detail, the discourse bout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appeared divided into five conceptual layers such as ‘Japan’s normal state theory’, ‘the United States’ ‘pivot to East Asia strategy’, ‘theory of caution against China’, ‘North Korea threat theory’ and ‘theory of conflicts in Northeast Asia’. Nevertheless, these discourses of various layers are specified by the two representative discourses. The one is discourse of ‘sincerity’, and the other is discourse of ‘security’. The discourse of ‘authenticity’ is towards Japanese right-wing conservative political forces, and it suggests that there is no authenticity in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In this regard, the discussions on the Japan’s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cannot be reliable, and there is no choice but to exercise precaution. The discourse of ‘security’ is especially about military reality with which Korea is faced, and it approaches the discussion on the Japan’s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from a perspective of Korean security. This suggests that since the basic framework for the security of Korea is based on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the discussion on the Japan’s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should be dealt with in terms of ‘the US-Japan Alliance’, and further, ‘the US-ROK-Japan Triangular Security Alliance. In short, the discourse of ‘authenticity’ and ‘security’ turned out to serve as the dominant discourse of various discourses in Korea with respect to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