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자본과 혁신성과의 관계 : 혁신활동의 매개효과 및 조직몰입의 조절효과 검증

        김성홍(Sung Hong Kim) 한국생산관리학회 2018 韓國生産管理學會誌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내 사회적 자본과 제품혁신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혁신활동의 매개효과와 조직 몰입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국내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수집한 189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본은 혁신활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혁신활동은 제품혁신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혁신활동은 사회적 자본과 제품혁신성과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며, 폐쇄형 혁신활동의 매개효과가 개방형 혁신활동의 매개효과보다 약간 더 크다. 마지막으로, 조직몰입은 사회적 자본이 제품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조절하지만, 사회적 자본이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게 조절하지 않는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기업이 제품혁신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고 조직몰입을 제고해야 한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and to grasp the mediation effect of innovation activities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189 observations from domestic manufacturing companie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apital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innovation activities and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Second, innovation activities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losed innovation activity is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open innovation activity. Finally, organizational commitment significantly moderates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but it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innovation activities.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companies should accumulate social capital and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improve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 KCI등재

        기술혁신활동이 공유가치창출에 미치는 영향

        반재인,김성홍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3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기업이 경쟁우위를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생존 및 성장하기 위해서 기술혁신활동과 공유가치창출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혁신활동이 공유가치창출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187개 국내 제조기업으로부터 유효한 설문지를 회수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술혁신활동은 공유가치창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특히 개방형 혁신활동은 폐쇄형 혁신활동보다 사회적 이익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기업은 기술혁신활동이 단지 한 기업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기 위한 투자라는 인식을 넘어 기업과 사회의 공유가치를 창출하는 수단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지속가능경영 패러다임에 부합하도록 기술혁신활동을 전략적 관점에서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In order for a company to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d to survive and grow continuously,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nd creating shared value are importa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can contribute to creating shared value. To do this, we constructed a research model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by collecting valid questionnaires from 187 domestic manufacturing companies. It is found that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in particular, open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creating shared value (economic benefits, social benefits), and that open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greater impact on social benefits than closed innovation activities. Thus, firms need to recognize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as a means to create shared value of corporations and society beyond the recognition that they are investments to generate economic benefits of only one company. In addition, firms will need to pursue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in line with the sustainability management paradigm.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