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 문학> : 한일(韓日) 산육신(産育神) 비교 연구

        김난주 ( Nan Ju Kim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39 No.-

        This thesis comparatively looks into folklore faiths, expecially child-birth gods related to child-birth customs and aims to find out both nations’ faith in child-birth gods and their features. It looks into birth gods protecting delivering mothers and babies by appearing at the delivery sites at time of delivery and child-rearing gods intervening in growth of babies after they are born. In both nations, many gods are believed in for selection of babies, safe delivery and their healthy growth but those appearing at delivery sites are only birth goddesses called Samsinhalmony and Obugami. What make this phenomenon appear in both nations’ folklore faiths? Seeing the reason in the fact that common negative concept regarding childbirth exists in both nations’ established faiths, the writer comparatively analyzed various cases of delivery-related defilement in both nations’ delivery customs. Its result showed that Japan is stronger in delivery-related defilement concept than Korea is. For instance, Japan regard child birth-related defilement more horrible than that related to funeral. Pursuantly, in Japan stricter regulations on childbirth rooms and stricter taboos for babies have been passed down. Besides, in the process of its comparative study on both nations’ divine images and appearances, the write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unlike Japan’s mountain gods and restroom goddesses appearing at delivery sites, they don’t get involved in childbirth in Korea and discussed Japan’s theory of reincarnation and its mountain goddess’ marginal nature working behind the curtain. I also discussed the phenomenon that both nations’ childbirth gods are passed down as Three gods, which means that their faith in childbirth gods has to be seen as a result of the faith in childbirth gods interacting with the faith in Three gods or the Three-gods theory, accordingly I indicated that it is worth re-consideration to see the Three-God Theory as the core of the faith in Samsinhalmoni. Lastly, though in both nations’ childbirth faith underlies their fear for divine beings, the faith in childbirth gods, strongly coupled with death heritages,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nation, which is because Japan’s childbirth gods intervening in birth and growth of a new life also actually involve themselves deeply in the sphere of death as well.

      • KCI등재

        중국 애니메이션 속 나타 캐릭터에 대한 분석

        황몽진,고은영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2 조형디자인연구 Vol.25 No.3

        In 2002, China’s National Radio and Television Administration formulated The Development Planning of the Film, Television, and Animation Industries During the 10th Five-Year Plan to actively support the animation industry’s development. Under this policy, the animation industry has adjus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age and explored multifaceted development possibilities.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diverse and numerous film, television, and animation works drawing inspiration from traditional Chinese culture. This research compares and analyzes contemporary China’s social and cultural features revealed by the role of “Nezha” in the films “Nezha: Birth of the Demon Child” and “New Gods: Nezha Reborn” produced with the above idea. In addition, this paper will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new schemes of Chinese animations as popular cultural commodities based on traditional Chinese culture. Research results show that modern Chinese animations “Nezha: Birth of the Demon Child” and “New Gods: Nezha Reborn” based on traditional narratives display the changes in social, family, and individual ideologies. In particular, these have been intuitively reflected in Nezha, the protagonist role. It is hoped that in the future, popular cultural commodities based on Chinese classical works will be new perspectives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play a vital role in China’s cultural industry. 2002년 중국은 국가광파전영전시총국(國家廣播電影電視總局)에서 10차 5개년 애니메이션 발전계획 (影視動畫業"十五"期間發展規劃) 당시 중국 애니메이션 업계의 실태에 대응하여 국가광전총국(國家廣電總局)은 2002년 4월 2일에 「영시동화업십오기간발전규획(影視動畫業"十五"期間發展規劃)」을 제정하고, 각 성, 자치구, 직할시의 방송영상국(청), 신장생산건설병단방송국, 각 방송영상그룹(본국), 중국애니메이션학회에 발행하여 관철하였다. 을 통해 애니메이션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의지를 표명한 후, 디지털 시대의 발전에 발맞추어 다양한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중국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한 영상콘텐츠의 개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취지에 힘입어 제작된 <나타지마동강세> <신신방: 나타중생>의 ‘나타’ 캐릭터에서 발견되는 현대 중국의 사회문화적 특성들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한 대중문화상품으로서 현대 중국 애니메이션의 가능성과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전통서사를 바탕으로 한 현대 중국의 애니메이션 <나타지마동강세> <신신방: 나타중생>는 사회적, 가족적, 개인적 중국 사회의 이데올로기의 변화를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주인공 ‘나타’의 캐릭터를 통해 직접적으로 표출되고 있었다. 중국 고전을 기반으로 한 대중문화 상품들은 중국 전통 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함으로써 중국 문화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封神演义』动画电影的“封神之路”模式探索 ——以『哪吒之魔童降世』、『姜子牙』、『新神榜:杨戬』为例

        何柄庆,박명진 대한중국학회 2023 중국학 Vol.83 No.-

        随着现代科技的发展以及人们日益提高的精神需求,流传已久的经典文学作品被当作热门的“IP”并进行现代化传承,主要是指将传统文学作品以新的媒介再次进行广泛传播。『封神演义』便是被现代化改编得最频繁的作品之一,它作为一部深受喜爱的神魔小说,其瑰丽炫彩的故事以及塑造的形形色色人物角色都有很大的文化再创作潜力,由此应运而生出多种类型的文化产品,如电影、电视剧、网络小说、动漫等。近年来,在中国最受欢迎的动画电影,如『哪吒之魔童降世』、『姜子牙』、『新神榜:杨戬』等都是以『封神演义』为蓝本,因此观众都期待中国能打造出和“漫威宇宙”一样全世界闻名的“封神宇宙”。本文以『哪吒之魔童降世』、『姜子牙』、『新神榜:杨戬』为主要研究对象,分析出针对『封神演义』系列动画电影的讲故事(Story Telling)模式,即具有中国神话特色的“封神之路”模式,并围绕入凡、历劫、封神登天三部分详细阐述。同时本文通过分析海内外权威电影评分网站的评分、正负向情感值分布情况、随机抓取评论的关键词词云图等市场反应与大数据,以期用具体数据验证封神系列动画电影在借鉴“封神之路”模式后扩大至“封神宇宙”的可行性。

      • KCI등재

        ‘꽃 피우고 차지하기 경쟁’ 삽화의 운용 양상과 의미-신격의 위계에 따른 동아시아권 삽화의 변용에 단서하여-

        이현정 남도민속학회 2022 남도민속연구 Vol.45 No.-

        이 글에서는 중앙아시아․동아시아 일대의 창세신화와 설화에 차용된 ‘꽃 피우기 경쟁’ 삽화를 ‘꽃 피우기’와 ‘꽃 차지하기’라는 요소로 분별하여, 경쟁 주체와 신격 위계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정되어 온 삽화의 운용 양상과 변별적 의미들을 살폈다. 창세신과 관련한 ‘꽃 피우고 차지하기’ 경쟁은 삽화의 본질이 구현되는 이상적인 구조이자 원형에 해당한다. 꽃을 피우는 행위는 창세신의 권능과 직결되며, 꽃을 차지하는 행위는 경쟁 신격 간의 권력과 힘의 완전한 이동을 의미하였다. 창세신화류에서 ‘꽃 피우기’와 ‘꽃 차지하기’는 견고한 연결성을 지지고 있었다. 서사에서 두 신격이 공존할 수 없는 관계로 설정되는 정황도 이와 관련이 깊다. 치세신, 산육신, 지역신의 경합담으로 ‘꽃 피우고 차지하기 경쟁’ 삽화가 운용되었을 경우, 천신(창세신)과 경쟁 주체 간의 혈연 관계 혹은 위계, 신격 특성에 따라 서사가 조정되거나, 삽화 가운데 일정 부분만이 수용되는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주로 치세신은 서사에서 천신과 혈연관계로 설정되어 신성성을 담보받고 있으며, 산육신은 천신과의 관련성이 경합의 승패를 좌우하는 형태로 삽화가 조정되고 있었다. 지역신은 한정된 관장처라는 제한성으로 인하여, 여러 신격들 가운데 천신과의 위계가 가장 많이 벌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경우 ‘꽃 차지하기’ 화소만이 확인될 뿐이며 삽화를 구성하는 화소 중 ‘속임수’만이 상당하게 변형되어 나타났다. 이에 따라 특정 신격의 위계에 따른 경합담에서 ‘꽃 피우기 경쟁’ 삽화는 각각 ‘꽃 피우고 차지하기(치세신)’, ‘꽃 피우기(산육신)’, ‘꽃 차지하기(지역신)’로 달리 그 양상이 실현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그간 학계에서 ‘꽃 피우기 경쟁’으으로 통용되어 온 해당 삽화는 다시금 ‘꽃 피우고 차지하기 경쟁’이라는 결합 구조로서 보다 구체화 된 조명이 요구된다. 이 삽화는 각 전승 권역의 신앙 체계 또는 신화적 사고관을 투영하며 독특한 지역 유형을 생산하는 기제이며, 그 운용 방식은 일종의 서사적 장치이자 미학으로까지 기능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Rereading the Infancy Narrative in Matthew for a Pilgrimage of Justice and Peace in Asia and in the World

        배현주 한국민중신학회 2016 Madang: Journal of Contextual Theology Vol.0 No.25

        The infancy narrative in Matthew describes the glory and the wonder surrounding the nativity of Jesus in the context of the brutal historical reality of political oppression, dislocation, infanticide, and people’s “wailing and loud lamentation” (Mt 2:18). This ancient account in the New Testament has manifold resonances in the grave challenges of the contemporary world: the refugee crisis and the migrant crisis remind us of the plight of the Holy Family; the victimized people’s pain and suffering are captured in the image of “Rachel weeping for her children” (Mt 2:18); and the violence in the contemporary Bethlehem evokes the hopes and fears of the ‘little town of Bethlehem’ where the infanticide took place. These echoes between then and now prompt this study to attempt to investigate the infancy narrative in Matthew from an Asian feminist perspective in the ecumenical context of the Pilgrimage of Justice and Peace in Asia and in the world. Chapter 2 explores Matthew 2 in particular which depicts the clash between the Roman imperial domination and the divine politics. While King Herod, ‘all the chief priests and scribes,’ and the death squad are the loyal minions of the hegemonic system, Joseph, Mary and the magi are the faithful followers of the divine initiative. The story portrays Jesus the King as a vulnerable child, and this motif presents profound theological challenges. Chapter 3 discusses an Asian feminist engagement with the Matthean infancy narrative. Despite his androcentric and patriarchal assumptions, Matthew’s theological construction introduces an alternative reality. This distinctive trait can be detected in the way he portrays Mary’s birth-giving as well as the action of Joseph the husband of Mary which conjures up what is called a healthy, positive, or transformative masculinity in the present ecumenical movement. In the infancy narrative of Matthew, the feminine and maternal images of God can be traced through intertextual readings. Chapter 3 appropriates the fertile meanings of a variety of motifs such as dream, hope, imagination, faith, and love that abound in the text for those who embark on the Pilgrimage of Justice and Peace in Asia and in the world encountering the unprecedented challenges. In conclusion, the infancy narrative of the first evangelist emerges as a story of birth possibly opening up the imaginary of natality, as well as a tale of star or light, rising above the threats of death and darkness and twinkling with ho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