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식적 처벌 인식이 준법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용재 ( Yong-jae Jeon ),유영재 ( Young-jae Yoo ) 대한범죄학회 2021 한국범죄학 Vol.15 No.1

        고전학파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인정하며 범죄에 비례하는 처벌을 주장하였다. 인간이 합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행위를 선택한다면 범죄의 이익을 다소간 초과하는 처벌로써 범죄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형벌의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고전학파는 인간행위의 합리성을 바탕으로 합리적 형벌체계를 수립하였다. 한편 이후 대두된 실증주의 범죄학은 합리성으로 말미암아 고전학파를 비판하였다. 개인의 생물학적, 심리학적 상태 및 사회적 환경이 합리성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이라면 공히 합리적으로 행위를 선택할 것이라는 고전학파의 명제는 비논리적이라 주장하며 범죄예방을 위한 처벌의 교화개선적 기능을 강조하였다. 그런데 1970년대 이후 교화개선 전략의 억제효과에 의문이 제기되며 고전학파 처벌관으로의 회귀가 강력히 요구된 바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내에서도 처벌의 억제효과에 대한 실증 연구가 일부 수행되었다. 다만 대개의 선행연구는 처벌의 일부 성질만을 검증하였으며, 그마저도 특정한 범죄행위에 국한된 모습이었다. 즉, 억제효과의 범위가 제한된 것이다. 이에 억제효과의 실천적 가치가 저해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일반이론으로써 억제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이 연구에서는 일상적 준법행위에 대한 처벌의 일반억제를 검증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처벌의 확실성 인식만이 일상적 준법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두 가지 사실을 암시한다. 확실성 인식은 엄중성 인식보다 우월하며 처벌의 일반억제는 부분적으로 일상적 준법행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고전학파의 명제에 부합하는 것이므로 이 연구에서는 기초질서 위반행위에 대한 철저한 법집행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준법행위는 법규범에 대한 동조로서 1차적으로 사회질서유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더불어 강제력에서 비롯된 준법행위라 할지라도 지속적으로 반복될 경우 준법행위의 당위성에 대한 내적 동의가 생성될 것이라 판단되었다. 행위와 인지는 태도의 하위요인으로서 일반적으로 유사한 성질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Classical school of Criminology acknowledged human free will and insisted on punishment proportional to crime. If humans choose to act based on reasonable thinking, not only can prevent crimes but also ensure fairness of judicial system by punishment that slightly exceeds benefits of crime. As such, the classical school established a rational judicial system based on the rationality of human behavior. On the other hand, positivists emerged later criticized the classical school with its rationality. This is because individuals’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and social environments can limit rationality. Therefore, the positivists emphasized rehabilitative functions of punishment for crime prevention. However, since the 1970s, the effectiveness of the rehabilitative approach had been questioned and a return to the classical school had been strongly demanded. Some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in Korea on the effects of punishment. However, most prior studies only verified some of the nature of punishment, and even that was limited to certain criminal activities. In other words, scope of deterrence was limited. It was concluded that practical value of the deterrence was undermine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se prior studies and confirm possibility of deterrence as a general theory, this study verified the deterrence of punishment on everyday law-abiding ac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nly perceived certainty of punish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law-abiding acts. The results suggested two facts. The perceived certainty was superior to the perceived severity and the general deterrence of punishment was partly applicable to everyday law-abiding acts. Since the result was consistent with the proposition of Classical school, this study proposed maintenance of social order through thorough enforcement of laws against basic order violations. The law-abiding acts we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social order. In addition, an internal agreement on the legitimacy of compliance would be generated if the acts were repeated continuously since acts and perceptions were sub-factors of attitude sharing similar properties.

      • KCI등재

        절도범의 범죄 억제력에 관한 연구: 처벌의 확실성과 엄격성을 중심으로

        박미랑 ( Mi Rang Park ),박경래 ( Kyong Rae Park ) 대한범죄학회 2012 한국범죄학 Vol.6 No.1

        Unlike other countries which tested the empirical researches on deterrence effect, it is hard to find the empirical research of deterrence effect of punishment in Korea. The classical deterrence theory states that three main factors such as severity, certainty and celerity of punishment play an important role to decease future crime.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earches of the deterrence theory conducted in other countries, many scholars empathized on the significant role of certainty of the punishment.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test a significant factor which deters the criminal behavior of thieves. We collected the survey data from 115 thieves who were detained in four prisons in Korea. Mainly, we tried to measure the classical deterrence theory and informal social control. The survey was included the questions of the severity, certainty, and celerity of punishment, and the informal social control(societal reaction and shame). The result shows that the certainty and the severity of punishment are significant factors to deter future crime of thieves. The power of the explanation of certainty is bigger than severity on the deterrence among thieves. However, we failed to report the impact of celerity of punishment and informal social control. Detailed result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 KCI등재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형사적 규제 실태 연구 – 처벌의 확실성을 중심으로 -

        이장욱 한국경찰연구학회 2021 한국경찰연구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영업비밀의 침해사건에 대한 판결 동향을 분석하고, 처벌의 확실 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최근 3년간 영업비밀 침해사건의 제1심 판결문을 전량 입수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징역형에 대한 집행유예의 비중이 파격적으로 높았다. 둘째, 영업비밀에 대한 엄격한 기준의 적용으로 인해 영업비밀 침해사건의 무죄율이 일 반 형사사건들에 비해 훨씬 높았다. 셋째, 양벌 규정에 의해 처벌되는 대상임에도 불구 하고 기소되지 않은 법인이 절반 이상이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영업비밀 침해 범죄에 대한 처벌의 확실성이 매우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영업비밀 침해범죄에 대한 억제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형사사법적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업비밀 침해범죄에 대한 양형기준의 권고형량을 조속히 상향 조 정하여야 한다. 둘째, 영업비밀 침해 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일선 법관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양형기준에 적시된 요소만을 기준으로 정상참작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겠다. 넷째, 수사당국에서는 예측 가능하고 명확한 양벌규정의 적용 기준을 마련하기를 권고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in rulings on cases of infringement of trade secrets and to present measures to enhance the certainty of punishment.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trends can be confirmed as a result of obtaining and analyzing the entire first trial judgment of the trade secret infringement case over the past three years: First, the proportion of probation for prison sentences was exceptionally high. Second, due to the application of strict standards for trade secrets, the acquittal rate of business secrets infringement cases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criminal cases. Third, more than half of the corporations were not indicted despite being subject to employer punishment provisions. The above results confirmed that the certainty of punishment for violating trade secrets is very low. Based on these results, criminal justice improvement measures to enhance the deterrence effect of violation of trade secrets shall be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recommended sentence of the sentencing standards for violations of trade secrets shall be raised as soon as possible. Second, it is imperative that front-line judges change their perception of the seriousness of the violation of trade secrets. Third, it shall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take into account the normal circumstances only based on the factors specified in the sentencing standards. Fourth, investigative authorities need to establish predictable and clear standards of punishment for employers.

      • KCI등재

        범죄 억제력의 효과적 발현 모델 연구

        서준배(Suh Joon Bae)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3 경찰학연구 Vol.13 No.2

        Deterrence theory is a theory based on the concepts of men’s pursuit of pleasure, free will, and rational decision-making. According to deterrence theory, there are three deterrent values of punishment such as swiftness, certainty, and severity of punishment. However, the theory has been criticized for it has overlooked differentiated deterrence, imperfect rationality, and risk-seeking tendency within the loss area from perspective theory. 29) This study applied deterrence theory into the case of Yuchendong red-light district eradication that occurred in Deajeon, 2008. In order for the deterrent values of punishment to be effective, it turned out to be very important that the police should increase the certainty of punishment by concentrating limited capacity and resources dynamically and by communicating credible threats to criminals. Furthermore, this study reveals that the charisma of police leader affects the credibility of the threats, that the more organized the crime is, the faster the diffusion of threats, and that informal social control also has an impact on crime deterrence. Through the mechanisms of positive feedback and tipping-point, the police can deter crime simply by communicating credible threats without really punishing criminals or falling into the police swamping situation.

      • KCI등재

        A Moral-Belief Model for Deterring Non-Work-Related Computing in Organizations

        Tserendulam Munkh-Erdene,박상철 한국경영정보학회 2019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29 No.4

        Negative consequences incurred from employees’ non-work-related computing (NWRC) have been one of the security-related issues in information intensive organizations. While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factors that motivate employees to engage in NWRC,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moral belief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nctions and NWRC using a moral beliefs-based model. The research model posits that the formal (i.e., punishment severity and detection certainty) and informal sanctions (subjective norms and descriptive norms) enhance employees’ moral beliefs against NWRC intention. From a cross-sectional scenario-based survey involving 176 employees working at banks in Mongolia, our results indicate that moral beliefs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tection certainty/subjective norms and NWRC intention and act as a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criptive norms and NWRC.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present empirical evidence that both informal and formal sanctions could be an effective deterrent for NWRC intention through employees’ moral beliefs.

      • KCI등재

        게임 관련 불법 소비행동의 억제요인 분석 : 불법이용자와 합법이용자 집단 간 비교를 중심으로

        이지수(Yi, Jisu),양성병(Yang, Sung-Byung),유창석(Yoo, Changsok) 한국소비문화학회 2021 소비문화연구 Vol.24 No.1

        오늘날 불법적인 게임 콘텐츠 복제로 인한 피해는 개인과 기업의 재산권 침해 수준을 넘어, 게임 산업 전체에 영향을 주는 수준에 이르렀다. 특히, 온라인상에서의 불법복제물 유통이 급증함에 따라, 게임 콘텐츠 저작권 침해 억제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게임 산업의 중요한 이슈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게임 콘텐츠 저작권 침해 행동의 억제요인을 중심으로 게임이용자의 불법 소비행동 메커니즘을 밝히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1) 억제이론(Deterrence Theory)을 바탕으로 게임이용자가 인식하는 처벌의 두려움, 즉 게임불법소비에 대한 처벌의 엄격성과 처벌의 확실성을 주요 억제요인으로 도출하고, (2) 합리적 행동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을 기반으로 앞서 도출된 억제요인(처벌엄격성 및 처벌확실성)이 게임 불법소비에 대한 주관적 규범과 태도, 나아가 불법소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3) 불법이용자와 합법이용자 집단 간 비교분석을 통해 게임 불법소비 억제 메커니즘에 집단별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국내 게임이용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828개의 설문 표본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처벌엄격성에 비해 처벌확실성이 게임 불법소비에 관한 주관적 규범과 태도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게임 불법소비를 억제하는 데에 있어 처벌엄격성은 불법이용자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처벌확실성은 합법이용자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주관적 규범과 불법소비태도가 불법소비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불법소비자는 주관적 규범이, 합법소비자는 불법소비태도가 더욱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게임 불법복제물 이용 근절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및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합법이용자와 불법이용자를 대상으로 차별화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개발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day, the damage caused by illegal game content consumption (i.e., game piracy) has reached the level that affects the entire game industry beyond the level of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for both individuals and companies. In particular, 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distribution of illegal online contents in the game industry, it has become one of the important issues to develop measures to suppress the copyright infringement of game contents.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chanism of illegal consumption behavior of game users, focusing on the deterrence factors of game piracy. More specifically, (1) based on deterrence theory (DT), punishment severity and punishment certainty for illegal game consumption, the fear of punishment perceived by game users, are identified as major deterrence factors; (2) drawing upon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 the influences of these two deterrence factors on subjective norms, attitudes, and intentions towards illegal game consumption are investigated; and finally, (3)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user groups (illegal vs. legal game users) in the suppressing mechanism of illegal game consumption is validated through a comparis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using 828 samples collected from domestic game users, it was confirmed that punishment certainty has a greater influence on subjective norms and attitudes towards illegal game consumption than punishment severity. Moreover, it was found that punishment severity plays a more critical role in suppressing illegal game consumption for illegal users, while punishment certainty is a more important deterrence factor for legal users. Interestingly, concerning the effect of subjective norms and attitudes on intentions, it was found that, for illegal users, subjective norms have a greater impact on intentions, while attitudes are more impactful for legal us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ould provide effective guidelines for education and policy-making to reduce illegal game consumption,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legal and illegal users, respectively.

      • KCI등재

        자기통제와 처벌확신이 관광객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목표지향적행동 모형을 적용하여 한국과 미국 비교

        구혜민,정지연 한국마이스관광학회 2024 MICE관광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control and certainty of punishment on deviant tourist behaviors by applying the model of a goal-oriented behavior. A total of 911 data was collected from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compare two cultures based on the Hofstede’s indulgence-seeking index. Certainty of punishment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both groups, but self-control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United States group only. In the group with a high indulgence-seeking index, self-control in daily life increased attitudes, desire, and intentions toward deviant behavior, while certainty of punishment suppressed the desire for deviant behavior. This study has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confirms the antecedent variables for intention to deviant behavior and confirms the existence of differences according to cultural values.

      • KCI등재

        사이버 범죄 억제인식에 대한 연구 -사이버 범죄에 대한 처벌의 인식이 범죄신고 의향에 미치는 영향-

        박한호 한국범죄심리학회 2020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6 No.4

        In general, the definition of crime is important to victims. In cyber crime, the definition of crime is more and more important. This is because it is not directly related to life or body, but rather related to property, honor, or efforts to overcome damage. It is also because specialized knowledge is sometimes required to recognize cyber crime. Therefore, cyber crime victims are redefined for crime damage. In this process, victims generally consider the size of the damage, whether or not to recover, the degree of recovery, and the degree of support from a cost-benefit perspective to recover the damage. Even if they have specialized knowledge about cyber crime, they are not only limited in economic and time to recover damage, but also have limited powers for investigation, so they intend to recover the damage as well as the progress and spread of the crime through reports from criminal justice agenc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solve two major questions. First, does the procedure and trust of criminal justice agencies affect the intention to report? Second, it is whether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perception of suppression of punishment for cyber crimes affects their intention to report. As cyber crime detection technology develops day by day, the technology to avoid it also intelligently evolves, making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victim. For all crimes, elaborate countermeasures are made when the overall reality of the crime is accurately identified. Given this, the increase in reports of cyber crime will reduce the male and female rates. As a result, rapid interven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cyber crime will contribute to suppressing crime and preventing crime in the long term. Therefore, this study was surveyed centering o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ctive in cyber activities, and attempted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intentions of reporting cyber crimes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ertainty of punishment for cyber crime is a very important determinant of reporting.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willingness to report to criminal justice agencies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punishment for cyber crim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rust of criminal justice agencies is important among the factors to consider for recovering damage through redefinition of cybercrime damage. 일반적으로 피해자에게 범죄라는 정의는 중요하다. 사이버 범죄에서는 더욱 더 범죄에 대한 정의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직접적으로 생명·신체와 관련되기 보다는 재산과 명예 또는 피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또한 사이버 범죄의 인식을 위해 전문지식이 요구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이버 범죄 피해자는 범죄피해에 대한 재정의가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피해자는 피해를 회복하고자 하는 행동에 일반적으로 비용 편익적 관점에서 피해규모, 회복여부, 회복정도, 지원정도 등을 고려하게 된다. 사이버 범죄에 대하여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피해회복을 위한 경제적·시간적 한계뿐 아니라 수사에 대한 권한이 한계로 형사사법기관의 신고를 통해 범죄의 진행과 확산은 물론 피해를 회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질문에 대하여 해결을 시도한다. 첫째, 형사사법기관의 절차와 신뢰가 신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형사사법기관이 사이버 범죄에 대한 처벌의 억제인식이 신고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지가 바로 그것이다. 사이버 범죄에 대한 탐지기술은 날로 발전됨과 동시에 이를 회피하는 기술 또한 지능적으로 진화하여 피해자가 피해인지를 어렵게 만든다. 모든 범죄는 범죄의 전체적 실태가 정확히 파악될 때 정교한 대책이 만들어진다. 이 점을 감안한다면 사이버 범죄에 대한 신고의 증가는 암수율을 감소시킬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이버 범죄의 인지에 따른 신속한 개입은 범죄를 진압하고 장기적으로 범죄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 활동이 활발한 대학생을 중심으로 설문되었으며, 사이버 범죄에 대한 인식과 신고 의향에 대해 분석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사이버 범죄에 대한 처벌의 확실성이 매우 중요한 신고의 결정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사이버 범죄에 대한 처벌의 기대가능성이 존재할 때 형사사법기관에 신고할 의향이 존재하는 것으로 사이버 범죄 피해의 재정의를 통한 피해회복의 고려요인 중 형사사법기관의 신뢰가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국가의 선거범죄 억제력에 관한 연구 : 처벌의 확실성과 엄격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김학량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4 No.-

        본 연구는 검찰. 경찰, 선거관리위원회, 법원 등 선거법 위반을 감시하고, 집행하는 국가기관이 행하는 선거범죄 억제력이 얼마나 효과적인가에 대한 것이다. 선거사범은 간접민주주의 구현에 장애가 되는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절도범이나 강도 같은 일반 형사범에 대한 국가의 억제력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진전된 반면, 국가의 선거범죄 억제력에 대한 연구는 한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찾아볼 수 없다. 기존의 형사범죄 억제력에 대한 연구는 억제력의 구성요소 중에서 법을 위반하면 조사를 받고 기소 당한다는 두려움에 대한 것인 처벌의 '확실성' 부분과 법을 위반하면 엄한 처벌을 받는다는 처벌의 '엄격성'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도 2000년-2010년 사이에 실시된 3회의 국회의원 선거와 3회의 지방선거를 대상으로 처벌의 '확실성'과 '엄격성'에 대해서 집중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수집한 선거자료를 근거로 억제력을 검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 및 비율분석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선거에 출마하는 후보들과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한 검찰, 경찰, 선거관리위원회, 법원 등이 행하는 선거범죄 억제력은 충분치 않다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선거법 위반 적발건수 중 11%내외만이 기소되었고, 6%정도만이 100만원 벌금 이상의 중형을 선고 받았다는 점에서 그렇다. 적발되지 않았지만 실제적으로 행해진 선거법 위반 건수는 훨씬 더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국가의 선거범죄 억제력은 불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인 문제, 통계분석결과, 정책적 함의는 본문에서 논의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deterrence by the state with regard to election illegalities in Korea. Election illegalities are an obstacle to indirect democracy. In spite of this fact,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studies about the deterrence effect by the state on election illegalities in other countries as well as in Korea, while many studies about the deterrence effect on various criminals such as thieves and robbers have been done. Based on previous studies about deterrence effect on criminals,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certainty of punishment, meaning that a violator of the election law must be indicted, and also severity of punishment, meaning that the violator must be severely sentenced. The object of this study is six elections, including three general elections and three local elections during 11 years of 2000-2010, based on data provided by the Election Commission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ratio.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deterrence effect by the state on election illegalities is inadequate. Only around 11% out of total disclosure numbers of election illegalities are indicted, while about 6% are subject to severe punishment such as fines of more than one million won. Considering the fact that number of detected election illegalities is very far less than that of undetected ones, the deterrence effect by the state on election illegalities in Korea is quite insufficient.

      • KCI우수등재

        형법제정 70주년과 형법의 오늘

        김웅재 한국형사법학회 2023 刑事法硏究 Vol.35 No.4

        올해로 형법이 제정ㆍ시행된지 70주년이 되었다. 그 70년간 한국사회는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상전벽해의 격변을 겪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형법은 형사사법의 핵심적 실체법으로서 확고히 규범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는 한편으로 제정형법이 현실적ㆍ시대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사회현상을 규율해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고, 다른 한편으로 지난 70년간 형법에 생명력을 불어넣기위한 실무 및 학계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글은 형법 제정 70주년을 맞아 주로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입법ㆍ헌법재판ㆍ사법의 영역에서 형법이 우리 사회의변화에 대응하여 변화해 온 모습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입법에 의한 형법의 주요 변화로는 컴퓨터 관련 범죄 등을 신설한 1995년의 개정과 유기징역ㆍ유기금고형의 상한을 상향한 2010년의 개정, 2012년과 2018년, 2020년세 차례에 걸친 성범죄 관련 개정이 있다. 1995년의 개정은 형법전이 정보통신사회로진입한 우리 사회에 규범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였다. 2010년의 개정은 충분한 숙고없이 엄벌주의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바람직하다고 보기 어려우나, 통계에따르면 위 법개정 이후 죄질이 가장 중한 범죄들을 중심으로만 선고형량이 늘어난것으로 보여 그 개정의 영향은 실무에 의해 어느 정도 제어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2년 이후의 성범죄 개정입법은 우리 사회의 가치관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고, 특히 친고죄 폐지는 범죄예방효과가 경험적으로 뒷받침되는 필벌주의 경향의 발현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헌법재판소는 2009년 혼인빙자간음죄에 대한 위헌결정을 선고한 이래 간통죄, 낙태죄에 대한 위헌결정 등을 통해 우리 사회의 가치관 변화를 반영하여 형법전의 내용에 직접 변경을 가하였다. 또한 헌법재판소는 형법에 대한 가중처벌을 규정한 특별형법 규정들에 대한 일련의 위헌결정을 통해 간접적으로 형법의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한편 입법부의 엄벌주의적 경향에 제동을 걸고 있다. 사법부는 신설된 규정을 활용하거나 기존 형법규정을 탄력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사회현상에 대응해 왔다. 컴퓨터등사용사기죄의 ‘재산상 이익’에 관한 판례처럼우리 형법전이 가진 잠재력을 온전히 살리지 못한 사례도 있지만, 사회상규불위배행위에 관한 최근의 판례처럼 그 잠재력을 살리는 해석론을 제시한 사례들도 있다. 또한 성폭력범죄에 관한 2000년대 이후의 판례들과 반의사불벌죄에 관한 최근의 판례는 우리 사회의 가치관 변화를 반영한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지난 70년간 제정형법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온 실무ㆍ학계의 노력은 자랑스러워할만한 것이지만, 이제는 우리의 사회현실에 대한 주체적 고민으로부터 출발한 새로운형법전을 마련할 때이다. 그간 미뤄온 ‘새로운 법전편찬의 대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형사사법 실태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 필요하고, 판결례들을 넓고 깊게 검토하여 법률이 실제 적용되는 모습뿐만 아니라 그 배경에 작용하는 사회적ㆍ문화적요인까지 통찰해내야 하며, 현행법 규정들을 끝까지 탐구하여 그 함의와 잠재력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