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수준이 자본조달(후순위채 발행)에 미치는 영향

        김상헌(Kim Sang-Hu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1 국제회계연구 Vol.0 No.36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취약한 은행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불이익을 받게 되므로 은행들은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을 높게 유지하려는 충분한 유인을 가지게 된다. 은행들은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을 제고하기 위해 위험자산을 줄이는 방법, 증자나 정상적인 영업활동을 통해 기본자본을 확충하거나 후순위채를 발행해 보완자본을 늘리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조달기간이나 시장상황 등 여러 가지 제약조건을 고려할 때 후순위채를 통해 보완자본을 확충하는 방법이 기타 방법에 비해 가장 단기간에 적용 가능한 현실적인 방안으로 사용 될 수 있다. 또한 은행업종의 특성상 당기순이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재량적 항목인 대손충당금 적립수준은 기본자본의 감소를 통해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대손충당금의 적립수준이 높은 은행일수록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을 제고하는 대안으로 후순위채에 대한 상대적인 의존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수준이 보완자본인 후순위채의 발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당기 대손충당금적립액 수준변수 및 전기 대비 대손충당금적립액 변화변수와 후순위채 변수 사이에 모두 유의한 양의 관계가 관찰되었다. 이는 위험 가중자산에 대한 대손충당금적립액이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이 낮아질 유인이 높은 은행일수록 보완자본인 후순위채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외부투자자 및 금융감독당국에게 은행의 재무건전성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즉, 은행의 정보이용자들에게는 개별 은행의 기본자본과 후순위채를 포함한 보완자본의 세부적인 구성내역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한 투자의사결정의 중요성을 제시해 주고 있으며, 금융감독당국에게는 보완자본의 구체적인 구성내역을 자본시장에 상세히 공시하도록 하고, 은행들이 건전한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Banks with low capital ratio are directly regulated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board. Low capital ratio is also negatively related to incentives for managers such as monetary compensation. Therefore, managers have sufficient motivation to increase BIS capital adequacy ratio by using their discretion. It is possible for banks to increase BIS capital adequacy ratio by two directions. Specifically, one is through primary capital and the other is through secondary capital. The former is increased by issue of new shares or ordinary business activities, the latter is increased by flotation of subordinated notes and debentures. In actuality, it is easy to increase BIS capital adequacy ratio through secondary capital rather than through primary capital because of the realizability and restriction such as financing, market circumstance. Therefore, subordinated notes and debentures can be an important means to increase BIS capital adequacy ratio. In addition, prior empirical studies present that banks are managing their reported earnings and BIS capital adequacy ratio by adjusting loan loss provisions. The loan loss provisions are expenses that erode a bank's earnings and the BIS capital adequacy ratio. According to this conjecture,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loan loss provisions on the flotation of subordinated notes and debentures in Korean banks. the hypothesis is that banks with larger bad debt expenses are likely to be highly dependent on subordinated notes and debentures to increase BIS capital adequacy ratio.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bad debt expenses of banks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flotation of subordinated notes and debentures. This implies that banks with large bad debt expenses are have larger subordinated notes and debentures. This paper's result will provide external investor and financial supervisory authorities with useful information about bank's financial soundness. More specifically, external investor will make better use of information of subordinated notes and debentures for effective investment decision making. Also this suggests that financial supervisory authorities lead to disclosure of the details relating to BIS capital adequacy ratio and need to strengthen the regulation policy to increase BIS capital adequacy ratio.

      • KCI등재

        인터넷전문은행의 자본적정성과 유동성 규제에 관한 연구

        배재권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Basel III (Third Basel Accord or Basel Standards) is a global, voluntary regulatory framework on bank capital adequacy, stress testing, and market liquidity risk. Basel III regulatory ratios include capital adequacy, asset soundness, and liquidity. The capital adequacy variables include BIS capital adequacy ratio, BIS tier 1 capital ratio, and tangible common equity ratio. The asset soundness variables include non-performing loan ratio and non-performing loan coverage ratio. The liquidity regulation variables include KRW liquidity coverage ratio and foreign currency liquidity coverage rati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capital adequacy standard affects efficiency of internet primary banks. As a result of this study, BIS capital adequacy ratio of domestic internet primary banks is lower than that of commercial banks. In order to maintain sustainable operation considering capital adequacy regulations, it is necessary to expand additional capital. In addition, the delinquency rate and non-performing loan ratio of domestic internet primary banks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the maturity of high-yield loans in 2019. 바젤III(Basel III)는 국제결제은행(BIS)이 2010년에 확정한 강화된 재무건전성기준으로 대표적인 규제비율에는 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 유동성 등이 있다. 자본적정성 규제의 측정항목은 BIS자기자본비율, BIS기본자본비율, 단순자기자본비율로 구성된다. 자산건전성 규제의 측정항목에는 고정이하여신비율과 대손충당금적립률이 있으며, 유동성 규제의 측정항목에는 원화 및 외화 유동성커버리지비율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은행의 건전성감독지표를 도출하고, 재무건전성 관점에서 국내 인터넷전문은행과 시중은행을 비교하여 문제점 도출과 해결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국내 인터넷전문은행의 자기자본비율은 시중은행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적정성 규제를 고려하여 지속적인 영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자본확충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또한 국내 인터넷전문은행은 2019년에 중금리 대출의 만기가 도래하며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젤I 적용을 받고 있는 인터넷전문은행은 재무건전성은 양호한 수준이나 바젤III 시행에 대비하여 BIS총자본비율과 보통주자본비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은행의 지배구조와 자본적정성에 관한 분석 및 현안 - 바젤 기준 자본적정성에 따른 자본 확충 방안을 중심으로 -

        남유선 한국상사법학회 2019 商事法硏究 Vol.38 No.2

        대부분의 상업은행들에 대한 규제는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규제의 최우선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은행의 건전성 규제가 금융시스템 안정성을 높여 금융시장의 선순환적 구조를 정착시키고, 국가경제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에 이견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금융위기 등을 경험하면서 바젤 규제라 불리우는 은행의 자본적정성 규제가 강화되어 왔고, 이러한 규제는 지배구조 유형에 따라 자본증대 수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자본수단이 다양한 일반은행과 정부에서 출자하는 특수은행보다 자본증대 수단이 제한적인 협동조합형 은행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관련 법에서 특정분야에 대하여 지원하도록 명시하고 있는 협동조합 은행은 단순기본자본비율 등 자본적정성 관리를 위한 자본증대가 다른 지배구조 은행 대비 더욱 제한적이라 할 것이다. 자기자본비용 부담 때문에 자기자본비율 유지과정에서 대출 자산을 줄이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특히 기존 주주들의 입장에서는 주식 발행으로 인한 주가하락이 발생하는 것보다 은행 대출을 줄이는 것을 선호하므로, 은행 주식발행에 추가적 비용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주주들의 입장에서는 자기자본비율 유지를 위해 은행대출 축소를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 이와 같은 은행의 자기자본비율 유지과정에서의 대출자산 축소는 실물 경기의 위축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은행의 자기자본비율 유지와 관련된 은행 대출 감소와 실물경기 침체 등은 상호 악순환의 연쇄 관계를 형성하며 은행의 자기자본비용 부담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현재 Global Standard 규제로 은행들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바젤Ⅲ 규제도 은행간 지배구조의 특성을 반영하여 차등적으로 적용하는 것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협동조합 은행의 경우 자본 확충 방안이 제한적인 점을 감안하여 정부대행사업 등에 대한 고려 등 지배구조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규제와 감독 측면에서 지배구조를 감안한 정책적 차별화는 은행의 자본적정성 제고라는 규제 목적 달성과 함께 은행별 특수성에 대한 핵심 고려사항으로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Most regulations on commercial banks prioritize the stability of the financial system as the primary goal of the regulation. There is no doubt that such prudential regulation increases the financial stability and settles the virtuous cycle of the financial market, and gives positive effect to the national economy. However, ever since the financial crisis, capital adequacy ratio regulation called the ʻʻBasel Regulationʼʼ has tightened. It is considered that such regulation effects the capital increase means according to the type of governance. Especially, compared to regular banks with various means of capital or special banks who are invested by the government, it will affect the joint union banks with limited means to capital increasement more gravely. Due to the burden from cost of capital, in effort to maintain the equity capital ratio, the banks may try to decrease the loan assets. Moreover, as former shareholders prefer to decrease the bank loans rather than issuing shares which would result in the lowering of stock price, even though there are no additional costs for issuing shares, from the shareholdersʼ aspect, the bank would choose to decrease the bank loan. The decrease of the bank loan from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equity capital ratio may result in the contraction of the real economy. The decrease of bank loan resulting from the effort of maintaining the equity capital ratio and economic recession may result in a vicious cycle, and thus increase the cost of capital of the bank. Therefore, the current Global Standard regulation of the Basel III accord applied uniformly to all banks should be applied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governance characteristics. For instance, in the case of the cooperative banks, as the means of increasing capital is limi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ance such as the government agency business may be regarded. The differentiation of policy from the aspect of regulation and supervision regard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corporate governance is crucial for improving the capital adequacy.

      • KCI등재

        손해보험산업에서 감독목적 가용자본의 가치관련성에 관한 연구

        조석희 한국회계정책학회 2016 회계와 정책연구 Vol.21 No.2

        In this paper I empirically analyzed the value relevance of available capital which was disclosed in the annual report of domestic insurance companies. Even though available capital in excess of net asset value(hereafter ‘excess capital’) is not an equity calculated by the accounting standards, this amount is recognized as a firm’s statutory-purpose capital in the calculation of solvency margin ratio. In this situation, I investigated the market response to the excess capit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excess capital has a significant positive value in the regression model which includes the excess capital as an explanatory variable and a firm’s value as a dependent variabl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excess capital is recognized as a positive item in the capital market, even if the excess capital is not an equity of insurance company in IFRS. Second, contrary to my expectations, I couldn’t find the empirical evidence that the value relevance of excess capital differs from the firm’s size.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prevalent view that the big-sized firms’ stocks are usually transacted actively in the capital market and market participants are concerned about these firms, therefore, market participants tend to use more information including the statutory information in the valuation process of a big firm’s stock. This study has a contribution because I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statutory-purpose equity and a firm’s value, which has not been analyzed so far. 본 논문에서는 국내 보험회사들이 사업보고서에 공시하고 있는 가용자본의 가치관련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손해보험회사의 가용자본은 장부상의 자본을 기초로 보험업감독규정에 따라 자본의 성격이 있는 일부 항목을 가산하고 자산성이 없는 일부 항목을 차감하여 산출하는데, 일반적으로 가용자본은 장부상 자본을 초과한다. 이러한 가용자본 중 장부상 자본을 초과하는 부분(이하 ‘초과자본’)은 회계기준상 자본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감독목적상 특별히 자본으로 인정받은 부분이기 때문에 자본의 성격과 부채 또는 자산의 차감항목으로서의 성격을 동시에 갖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 성격상 논란의 여지가 있는 보험회사의 초과자본을 자본시장에서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과자본을 설명변수로 포함하고 기업가치를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식에서 초과자본의 회귀계수가 유의한 양(+)의 값을 가졌다. 이는 초과자본이 비록 회계기준에서는 보험회사의 자본으로 인정받지는 못하지만 감독목적상의 자본으로 인정받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요소가 많이 작용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초과자본의 가치관련성이 해당 보험회사의 규모에 따라 차별화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분석한 결과, 대형 보험회사의 주식종목이 시장에서 활발하게 거래되고, 시장참여자의 관심정도가 높아 주가결정과정에서 보다 많은 감독상의 정보가 활용되기 때문에 대형사 그룹의 가치관련성이 더 높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기업규모로 구분한 대형사와 중소형사 그룹 간 초과자본의 기업가치 관련성에는 체계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 동안 연구가 거의 없었던 감독목적상의 자본과 기업가치와의 연관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공헌점을 가진다.

      • KCI등재

        How Have Indian Banks Adjusted Their Capital Ratios to Meet the Regulatory Requirements? An Empirical Analysis

        Jalaludeen NAVAS,Periyasamy DHANAVANTHAN,Daniel LAZAR 한국유통과학회 2020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 Vol.7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Indian banks have adjusted their risk-based capital ratios during 2009–2018 to meet the regulatory requirements. Banks can, in principle, increase their risk-based regulatory capital ratio, either by increasing their levels of regulatory capital or by shrinking their risk-weighted assets by adjusting asset growth or risk in the portfolio. We investigate banks’ capital behavior by decomposing the change in the capital ratio into the contribution of its components and analyzing their variance across regulatory regimes and banks’ ownerships. We further investigate how each component of the capital ratio is adjusted by the banks by breaking down them into balance sheet items. We find that the banks’ capital behavior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 banks and between the two regulatory regimes. During Basel II, banks, in general, followed a strategy of aggressive asset growth with increased risk-taking. The decline in the CRAR because of such an expansionary strategy was adjusted by augmenting additional capital. However, during Basel III, due to higher capital requirements, both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banks followed a strategy of cutting back their asset growth and reducing the risk in their portfolio to maintain their CRAR.

      • KCI등재

        금융규제법상 후순위 채무의 자기자본 인정 요건 및 그 타당성에 관한 연구 – 은행, 증권, 그리고 보험 권역을 중심으로 -

        한병기 법무부 2023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103

        The Financial Regulation Law of Korea requires financial institutions in the banking, securities, and insurance sectors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f equity capital ratio as part of regulating financial soundness, and classifies subordinated bonds that meet certain requirements as equity capital.  This article has looked into the requirements for subordinated bonds to be recognized as equity capital under the Financial Regulatory Law, and discussed whether such requirements are appropriate, whether there is reasonableness in requiring different requirements for each region, and whether there is any part that needs to be revised. In particular, this article included discussions on the Korean-Insurance Capital Standard (K-ICS), which was recently introduced in the insurance sector, and discussions on subordinated debt under the Financial Regulation Act for tax purposes. In conclusion, even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individual regions, there is a need to partially amend or supplement the following differences in the supervisory regulations of each region. ① The Regulations on Supervision of Banking Business shall also have an explicit provision that a subordinated creditor shall not exercise the right of set-off. ② Although the early redemption condition of the subordinated bonds is the subordinated creditor's right, in practice, the early redemption condition is being used as means for investors to pressure the subordinated debtor to repay the debt. Therefore, despite the form of perpetual bonds, subordinated bonds are actually serving as bonds with a five-year maturity. Considering this phenomenon, there is a need to revise the current supervisory regulation that allows financial institutions to exercise their early repayment rights five years after issuing subordinated bonds. ③ Even if we admit that the current provisions on early repayment terms are maintained, there is a need to amend the current Supervisory Regulations, which more strictly stipulate the requirements for early repayment only for subordinated bonds issued by insurance companies than other areas. ④ In addition, given that there is no limit on the inclusion of subordinated bonds into equity capital in the banking sector, it is unreasonable to propose a stricter restriction on the limit on the inclusion of subordinated bonds into equity capital only in the insurance sector. In particular, the current Insurance Supervisory Regulations only impose an additional 5% limit on subordinated bonds that meet the requirements for contingent capital securities. Considering the intent of the Regulations, it would be reasonable to impose a greater limit or exclude subordinated bonds from the limit. 우리 금융규제법은 재무건전성 규제의 차원에서 은행, 증권, 보험 권역의 각 금융기관들로 하여금 일정한 수준의 자기자본비율을 유지할 것을 요구하면서, 각 금융기관들이 일정한 요건을 갖춘 후순위 채권을 발행한다면 이를 금융규제법상 자기자본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나, 각 권역별로 요구되는 구체적인 요건들이 무엇인지, 각 권역별로 서로 다른 기준을 제시하는 것에 합리성이 존재하는지 등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 않았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후순위 채권이 금융규제법상 자기자본으로 인정되기 위해서 각 권역별로 요구되는 요건들에 대해 알아보고, 그러한 요건들은 타당한지, 각 권역별로 상이한 요건을 요구하는 것에 합리성은 존재하는지, 개정되어야 하는 부분은 없는지 등에 대해서 논하였다. 결론적으로 개별권역의 특수성을 고려하더라도 각 권역별 감독규정들의 아래와 같은 차이점들은 일부 개정 또는 보완되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① 은행업감독규정에도 다른 권역 규정들과 마찬가지로 후순위 채권자가 상계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명시적 규정을 두어야 한다. ② 후순위 채권의 조기상환조건은 후순위 채권자의 권리임에도 불구하고, 현행 실무상으로는 오히려 투자자들이 후순위 채권자로 하여금 자신의 채무를 조기에 상환하도록 압박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후순위 채권은 영구채라는 형식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5년 만기의 채권으로만 역할하고 있는 것이 현실인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금융기관이 후순위 채권을 발행한 후 5년이 지나면 곧바로 조기상환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현행 감독규정은 개정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③ 설령 이와는 달리 조기상환조건에 대한 현행 규정을 유지한다고 가정하더라도, 유독 보험회사가 발행한 후순위 채권 중에서 보완자본으로 산입되는 후순위 채권에 대해서만 조기상환인정 요건을 더욱 엄격하게 규정하는 현행 감독규정은 개정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④ 은행업 권역에서도 후순위 채권의 자기자본 산입 한도가 존재하지 않는데, 유독 보험업 권역에서만 후순위 채권이 자기자본으로 산입되는 한도에 대해서는 더욱 엄격한 한도를 제시 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특히 현행 보험업감독규정은 조건부자본증권의 예정사유 요건을 충족한 후순위 채권에 대해서는 5%의 추가 한도만을 부여하고 있는데, 그 취지를 고려할 때 현행 규정보다는 더 많은 한도를 부여하거나 아니면 한도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타당하다.

      • KCI등재

        조건부 자본증권의 도입에 관한 소고

        송종준(Jong-Joon Song) 한국기업법학회 2011 企業法硏究 Vol.25 No.3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FSC) pronounced the revising draft of the Capital Market Act, July 27, 2011. The draft newly introduces the contingent capital instrument, which is the hybrid capital and equity linked instrument that is automatically converted into the issuer"s share capital at certain pre-defined trigger points. The contingent capital instrument has been converged very much to the fore two or three years in some large European banks. For example it was reported that the instrument issued by Lloyds Bank will convert into ordinary shares if the consolidated core tier 1 ratio of Lloyds falls below 5%. But the instrument has never been wellknown to the general industries except for the banks in Europe as well as in other countries, although there appear to be no major obstacles from a legal perspective. The revising draft is willing to introduce the instrument to all of the listed companies including listed Banks for the companies" flexibility of raising capital. According to the draft, listed companies can issue at the pre-defined triggering events based on the objective and reasonable standards, which are supposed to be explicitly defined in detail by the decree. But there seem to be some legal ambiguity and uncertainty under the standards prescribed in the article, and be some concerns that the instrument has possibilities to be abused for defending against the would-be hostile M&As or succession of controlling shareholder"s managing power, which is beyond the main purpose of raising funds to be pursued in the draft. In this paper, to begin with, a general definition and legal characteristic of the contingent capital instrument and its legal system under the French Commercial Code are reviewed in detail, and then some comments to the draft are given. And also some legislative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ly, all of the listed companies should be able to issue the instrument including banks and the banking law should be also revised for the unlisted bank"s issuance for it. Secondly, the objective and reasonable test as a general standard for its issue in the draft and the pre-defined triggering points should be amended in detail in accordance with natural purpose of the contingent capital instrument, namely loss absorbency benefits in times of stress and also in harmonization with the purpose of raising capital. Thirdly, the conversion price with the future share market conditions should be based on the stock market price at the time of its conversion, not at the time of its issuance. Lastly, the forfeited instruments emerged in the process of issuance to all the shareholders, even-though there are pre-agreements between the issuer and offeror-shareholder to re-subscribe the forfeited instruments, should be cancelled in the same way as in the case of share allotment and alloted to the public by public offering.

      • SCOPUS

        The Effect of Bad Credit and Liquidity on Bank Performance in Indonesia

        SUYANTO, Suyanto Korea Distribution Science Association 2021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 Vol.8 No.3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 of bad credit and liquidity on bank performance with the mediation of capital adequacy. Data were provided by banking institutions listed on the Indonesia Stock Exchange from the period of 2011-2019. The analysis technique was PLS-SEM supported by an application named WarpPLS 6.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 effect of bad credit and liquidity on bank performance is not significant. A high level of bad credit is associated with a low level of bank performance. Bank earnings decline along with low profitability. This relationship is not significant because banks can still cover some proportions of bad credit through capital availability. Capital adequacy as an intervening variable has mediated partially the effect of bad credit and liquidity on bank performance. Besides, capital adequacy has a strong effect on credit distribution. Agency theory says that the owner of the fund (the savers of saving account, current account, deposit account) is called principal while the bank as the trusted institution to manage the fund is called an agent. If customers fulfill their duty, then bad credit never happens.

      • KCI등재후보

        바젤 III 도입이 금융기관의 자기자본비율에 미치는 영향

        정경채,김주철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2 延世經濟硏究 Vol.19 No.2

        We analyze the effects on financial institutions’ capital adequacy ratios under the Basel III framework. Since the Basel III requires the improvement of the capital quality and the increase of the capital ratio, We predict the behavior of financial institutions under the Basel III. Also, we discuss the role of the so called leverage ratio, which is newly introduced under the Basel III,and investigate the circumstances which may be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leverage ratio. Finally, we consider the effect of the countercyclical buffer, which is expected to ease the procyclicality of the capital. Base on the above analysis, we then suggest the policies to solve the problems that might be occurr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Basel III. 본 연구는 바젤 III의 주된 내용 중의 하나인 자기자본비율 확충이 금융기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다. 자기자본의 질 향상 및 자기자본 비율의 상향 조정이 요구될 때 예상되는 금융기관의 행태를 분석함으로 바젤III 도입 시 예상되는 문제점 및 이의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새롭게도입되는 레버리지 비율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고 이에 의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경기순응성 문제를 완화시키기위하여 제안된 반경기순응성 버퍼(countercyclical buffer)의 역할을검토하고 이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 KCI등재

        카드사의 자금조달 구조가 부문별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지용 사단법인 한국신용카드학회 2021 신용카드리뷰 Vol.15 No.2

        This study did pay attention to rising market rate in Korean market ascribed to uprising U. S. treasury bond rate. It is concerned that the increase of funding cost results in negative effect of profitability and capital adequacy of Korean card firms which is heavily dependent on wholesale funding. Considering recent studies that financial institutions have to cut cost to enhance their financial performances, current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funding cost on financial performances of card firms.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factor that affects on profitability of card firms is issuing weight of asset backed security(ABS) at high level. This evidence is line with argument of Yoon and Jo(2020). Second, negative factor that influences on profitability of card firms is issuing weight of high short-term liability at high level. According to argument of Ayres, Blank(2017), it is found that negative effect on profitability is occurred if long-term capital, which is available in mid-to-long term period, is financed. Third, it is needed that ABS financing is increased instead of short-term liability to improve capital adequacy. As a conclusion, effective financing method can contribute to financial performance, and card firms urgently have to finance mid-to-long-term capital with low cost against rising market rate. 본 연구는 최근 미국 국채금리 상승으로 인한 국내 시장금리 상승에 주목했다. 시장성 수신의 의존도가 높은 카드사의 조달비용 상승이 수익성, 자본적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최근 보고된 선행연구들의 재무성과 개선을 위해 비용절감에 주력해야 한다는 주장을 참고하여, 조달비용이 카드사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했다. 요약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카드사 수익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높은 수준의 유동화자금 발행비중이다. 이는 윤종문⋅조윤서(2020)의 주장과 부합된 것으로 낮은 조달금리로 인한 비용절감이 수익성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카드사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은 높은 수준의 단기차입금 발행비중이다. Ayres and Blank(2017)의 주장대로 중장기적으로 이용가능한 자금조달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가져옴을 확인했다. 셋째, 카드사의 자본적정성 개선을 위해서는 단기차입금 대신 유동화자금 발행을 늘릴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카드사의 효과적 자금조달이 부문별 재무성과에 기여할 수 있으며, 향후 금리상승에 대비하여 낮은 비용의 중장기 자금조달 확보가 시급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