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2년 6.13 지방선거 선거자금 수입 및 지출 형태에 대한연구 - 기초단체장선거 후보자 회계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

        김범석,전용주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3 한국과 국제정치 Vol.19 No.3

        This paper analyzes the campaign finance of 2002 local election based on official data. Although it is limited, the official data reveals the significant patterns of revenue and expenditure of campaign finance. First, there is a ignificant imbalance of campaign finance between the ruling party and the opposition party. In order to reduce the imbalance of campaign finance and ensure the fair ompet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tate subsidy on the campaign finance. Second, because the local election law does not allow to hold the official patronage system, the large amount of campaign finance consists of candidate’s personal fund. This large share of personal fund on the campaign finance results in political corruption and reduce fair competi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llow the official patronage system in local elections. Third, in terms of expenditure of campaign finance, the portion of organizational mobilization expenditure is very high. We found that especially during the last period of election campaign, the organizational mobilization expenditure was rapidly increased and this excessive spending did not influence the election resul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lection campaign method from the organizational and obilizational method to the mass media-oriented method.

      • KCI등재

        미국 의회선거와 선거자금: 선거결과에 대한 영향력

        최성재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6 국제지역연구 Vol.15 No.4

        In the US congress elections, the tendency has been that the over 90% of the incumbents are re-elected with higher vote margins. There are worries that the electoral fair competition has been weakened. This study focused on the wide gap of campaign costs amongcandidates and thereby, analyzed the effects of such a gap on vote margins, competitiveness of election. The data from the congressional electionsfrom 1996 through 2002 were processed wi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dvantage of campaign costs had significantly affected the vote margins. Namely, if the other conditions remained the same, a wide gap of campaign costs between incumbents and their challengers acted to further increase the vote margins for the former group who were already positioned favorably in the election. Such findings suggest that the narrower the gap of campaign costs, the easier it is for the challengers to be in a much more favorable position to compete with the incumbents. In addition, the stronger the base of challengers' political parties, the more experienced they were politically, and the lower the incumbent's vote margins in the preceding elections, the challengers tended to be more favorably positioned in the current elections. Lastly, the democratic incumbents were more favorable in their vote margins owing to President Clinton's high popularity, economic boom and solidarity of Democratic Party. After all, in order to enhance the spirit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improve a fair competition of elections,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campaign finance system so that the gap of campaign costs between incumbents and challengers can be narrowed and challengers are able to compete against incumbents under fair conditions. 미국 연방 의회선거에서는 현직의원이 주로 안정적인 당선률로 재선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선거에서 현직의원의 높은 재선율과 압도적 득표율에 대해 선거의 경쟁성이 약화된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제기 되고 있다. 이에 대한 주요 원인으로, 현직의원이 도전자에 비해 약 3~5배 정도 선거자금의 우세를 누리고 있는 선거자금의 문제가 쟁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간과하고 있는 후보자간 선거비용 격차에 주목하여 현직의원과 도전자간 선거자금의 불균형이 서로간의 득표차(vote margins), 즉 선거의 경쟁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1996년부터 2002년의 상·하원 일반 선거와 공석선거를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상원 및 하원선거, 그리고 공석선거 모두에서 상대 후보자에 대한 선거비용 비율은 후보자간 상대 득표율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다른 조건들이 동일한 경우 현직의원과 도전자의 상대적 선거비용 비율의 격차가 커지면 이미 도전자에 비해 유리한 입장에 있는 현직의원의 득표율에 대한 도전자의 상대 득표율은 감소하였다. 반면에 현직의원과 도전자간의 상대적 선거비용 비율의 격차가 줄어들면 현직의원의 득표율에 대한 도전자의 상대 득표율은 증가하였다. 이는 현직의원과 도전자간의 선거자금 격차가 줄어들수록 선거에서 도전자가 선전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단, 선거비용의 득표에 대한 한계효과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뿐 아니라, 선거구에서 도전자 정당의 지지기반이 강할수록, 도전자의 정치적 경험이 많을수록, 그리고 이전 선거에서 현직의원의 득표율이 낮을수록 도전자가 강세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1996년부터 2002년 동시선거와 중간선거 모두에서 클린턴 대통령의 높은 인기, 경제호황, 그리고 우세한 정당일체감 등으로 현직의원의 소속 정당이 민주당인 경우 공화당인 경우보다 득표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대의제 민주주의 정신을 살리기 위해 선거의 건전한 경쟁성을 제고하려면, 현직의원과 도전자의 선거비용 격차를 감소시키는 제도적 방안의 마련이 중요한 사안이며, 정당의 지속적인 정치엘리트 육성 및 선거구에서의 정당지지 확보 노력 역시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 KCI등재

        Sources of political parties’ campaign expenditure in Nigeria’s Fourth Republic: Examining the 2015 General Election

        Babayo Sule,Bakri Mat,Mohd Azizuddin Mohd Sani,Saalah Yakubu Ibrahim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9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Vol.22 No.4

        A periodic election is a fundamental pillar and backbone of any democratic regime, and for a proper election to take place there must be some activities, most especially by parties and contestants to vote for them most especially competing to secure the electorates. These activities require huge expenditure from the parties and their financiers through campaigns, media advertisements and other related activities. The problem is that parties and their candidates are allowed, in Nigeria constitutionally and by the Electoral Act 2010, to source their campaign finance privately, which has led to illegal financing.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urces of parties’ campaign expenditure in the Fourth Republic, taking the 2015 General Election as the case study. The research used a qualitative method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here both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were used. The primary source was an in-depth personal interview with some selected informants/participants from the categories of stakeholders in the electoral process, parties, and agencies responsible for regulating their activities. The secondary source was the use of available documents such as books, journals and Internet sources on the subject matter of the study. The data obtained were analysed and interpreted using thematic analytical interpretations from the informants’ views and the existing data in the field. The research discovered that there are basically six major sources of campaign expenditure for parties and that some of the sources are illegal and the spending has violated the regulations. The research recommends thorough supervision and monitoring of the sources of parties’ campaign expenditure and the spending process.

      • KCI등재후보

        美國憲法上의 政治的 表現의 自由와 選擧運動의 規制

        林智奉(Lim Ji-Bong) 미국헌법학회 2010 美國憲法硏究 Vol.21 No.2

        선거는 대의민주주의 하에서 중요한 헌법적 주제이다. 선거야말로 대의민주주의 헌법 하에서 주권자인 국민이 국가의사를 대신 의논하고 결정해 줄 대표를 뽑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세계 각국의 헌법은 이러한 선거제도에 대해 헌법에서 대강의 틀을 정하고 구체적인 내용은 보통 선거법 등 하위법률에서 이를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선거제도가 선거부정 방지를 통한 ‘공정한 선거’를 위해 일정 유형의 선거운동은 이를 규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기도 하다. 이 때 이러한 선거운동의 규제가 선거 후보자나 유권자의 입장에서는 언론 · 출판의 자유나 결사의 자유와 같은 표현의 자유나 평등권을 침해하는 것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미국 연방대법원도 선거운동에 대한 어느 정도의 규제가 합헌인지에 대해 오래 전부터 수많은 판결들을 내려왔고 이를 통해 합헌적인 선거운동 규제의 내용과 범위에 대한 법리를 발달시켜 왔다. 미국 헌법과 미국 연방대법원이 제시하고 있는 이러한 합헌적인 선거운동 규제의 내용과 범위에 대해 규명해 봄으로써 우리의 선거운동 규제입법을 만드는데 타산지석으로 삼아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다음에서는 먼저 미국의 선거 관련 법체계와 선거제도에 대해 개관한 후, 선거제도와 관련된 미국 연방대법원의 주요판결들을 시대순으로 살펴본다. 그 후 이 판결들의 내용을 귀납적으로 정리하여 정치적 표현과 정치적 결사의 자유라는 관점에서 ‘정당’에 대한 규제와 ‘정치자금’에 대한 규제에 대해 미국 연방대법원이 어떤 법리를 전개시켜 왔는지를 알아본다. The election is an important constitutional issue in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That is because the electoral process is the very scheme by which the people select their representatives who will decide administrative polices and enact laws on behalf of them. Nearly all the countries in the world provide the frame of the election process in their Constitution while its details are prescribed in their statutes. Sometimes, the statutes regulate certain types of the election campaign to achieve the ideal of the fair election and the regulations could from time to time violate the freedom of the association and the expression of the candidates and the constituents. The U.S. Supreme Court has issued many decisions in regards to the constitutional criteria of the regulations of the election campaign and the political money. At the same time, it has developed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for the contents and the boundaries of the election campaign.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contents and the boundaries of the constitutional election process which have been developed by the U.S. Supreme Court. To achieve the aim, this paper looks over the American legal systems on the election campaign at first, and analyzes the major decisions of the U.S. Supreme Court on the electoral process. Then, it will examine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that have been developed by the U.S. Supreme Court on the valid regulations of the political money and the political parties in terms of the freedom of the association and the expression by inductively generalizing the major decisions.

      • KCI등재

        Revisiting Institutional Choice in Presidential Campaign Finance- A Hierarchical Linear Model -

        남지원,하세헌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2

        Our model explored how the U.S. presidential candidates’ popularity rates as observational units can be differently explained by citizens’ economic voting and money sources depending on the parties as an experimental unit. The partial effects of these variables were investigated by controlling for individual contributions, super PAC’s donations, consumer sentiment and the levels of ideology from parties. Because of the bipartisan system, it was inevitable to examine the factors in terms of a multi-level approach based on nested structure. This is a methodological study to show how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is used with the nested data in the U.S. presidential candidates with party membership.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ixed-effect model, individual contributions as a level-1 predictor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candidates’ popularity rates. Subsequently, the random slope of individual contribution had a different magnitude of effect on the popularity rates depending on the candidates’ party affiliation. Nevertheless, the cross-level interaction between level-1 and level-2 variables did not exist. For a methodological suggestion, the authors took note that stratifying variables at multi-levels is more accurate in analysis than the use of ordinary least squares (OLS) because an HLM analysis can prevent the overestimation of the statistical significances.

      • KCI등재

        17대 대선을 통해 본 정치자금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임성학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0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1 No.2

        한국 정치자금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위에서 논의된 한국 정치자금의 문제점, 즉 정치자금의 적정규모, 제도적 불안전성, 한국정당의 카르텔화 현상, 미디어 비용의 상승과 흑색비방의 증가 등에 대한 대안을 세우는 것이 중요한다. 정치자금의 적정규모에 대해서는 먼저 일반 국민의 의식이 변해야 할 것이다. 정치에 필요불가결한 요소인 정치자금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이에 대한 비용지출을 피하면 안된다. 둘째, 제도적 불안정성에 대한 대안은 우선 대통령후보자 후원회의 설립허용이 급선무이다. 다행히 17대 대선 이후 대통령선거 후보자 및 예비후보자의 합법적 정치자금 모금∙사용 보장을 위하여 후원회 설치를 허용하고 선거비용제한액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금액을 모금∙기부할 수 있도록 하였다(정치자금법 제6조). 그러나 선거비용제한액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금액은 선거운동을 효과적으로 하기에는 매우 부족하다. 이외에도 현직과 비현직, 무소속후보와의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제도 개선도 필요하다. 셋째, 한국정당의 카르텔화를 막는 것뿐만 아니라 정당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라도 국가가 선거에 들어가는 거의 모든 비용을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정당 스스로 선거와 정당 운영을 위한 최소한 자금은 모금할 수 있는 책임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라도 중앙당의 후원회를 허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비용의 상승과 흑색비방의 증가문제에 대한 논의의 시작은 보다 균형있는 시각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저비용이라도 민주주의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 제도보다는 고비용이라도 민주주의에 발전에 도움이 되는 제도를 채택해야 한다는 점이다. 매스미디어를 이용한 선거운동방식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점차 비용이 상승하고 선정주의에 빠질 위험이 높다. 그리고 매스미디어에 접근하기 어려운 계층의 정치적 소외는 점점 커질 것이다. 따라서 매스미디어방식과 더불어 이런 계층에 접근할 수 있는 선거운동방식을 같이 고려해야 한다. 현재와 같이 선거비용보전에서 매스미디어방식 이외의 부분에 대해 비용보전을 해주지 않는다면 이런 문제는 계속 발생할 것이다. Despite successful reforms on political finance system in Korea there are many things to be done to improve our political fund and election campaign. First, more practical approach to the political finance is needed. We should understand that money is ‘a necessary evil’ for democracy. The second is to reduce the unstability of political institutions. During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candidates had a difficulty to fundraise for the election. There were no institutions for a political financing dur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No Supporters’ Associations for Presidential candidates were established because the enactment of Supporters’ Association for Presidential Candidates has not passed. Fortunately after the election the National Assembly enacts the law that allows Presidential Candidates can fundraise an equivalent of 5/100 of the election expense limit amount. But 5/100 of the election expense is not enough money to run competitive election campaign. Third, the cartelization of political parties should be prevented. Most of election expenses were reimbursed by the government. In the 17th presidential election, more than 90% of expense of major candidate were from state’s subsidy. This is not desirable for the sound development of political party. The final problem to be resolved is the increasing cost and sensationalism of mass media in the election. We are better to have a realistic but a little high than to have unrealistic but low type system.

      • KCI등재

        선거공영제의 평가 : 공직선거법 및 정치자금법 분석

        李在轍,朴明浩 한국의정연구회 2011 의정논총 Vol.6 No.2

        선거 공영제는 선거에서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가 선거를 관리하는 제도이다. 즉 선거 공영제는 국가가 선거에 참여한 모든 후보자들이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고 정당과 후보자가 사용한 선거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담하는 제도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거 공영제를 통해 우리가 구현하고자 하는 것은 공정 선거이다. 나아가 공정 선거로 구성된 대의기구는 국가와 사회의 연결기구로서 제대로 기능을 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선거 공영제는 그 제도적 취지에 부합하고 있을까? 만약 한국에서 선거 공영제의 도입목적이 현실적으로 적절하게 실현되지 못한다면 우리는 어떤 대안을 모색할 수 있을까? 본 논문은 한국의 선거 공영제가 제도적 목적과 취지에 부합하는지 평가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은 한국의 선거 공영제를 개선하기 위해 몇 가지 개선안을 제시했다. 첫째, 이전 선거에서의 비용 자료 등을 토대로 물가 상승률 등을 반영하여 사전에 지원하는 방식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비후보기간 동안 사용한 선거 사무장과 사무원의 인건비를 공식 선거운동기간과 같이 보전대상에 포함 시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국고보조금의 배분방식은 의석수보다 득표수가 먼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예비후보제의 도입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사항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득표율에 따른 선거 비용의 보전 기준을 하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ublic campaign financing system in Korea. The country established the system to ensure a fair opportunity for candidates in election campaign. For managing this system,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in Korea provides financial support to candidates or political parties for campaign expenses. Then, how well is this system maintained? Do the system attain the purpose? If not, what is the problem of the system?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analysis shows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system. Then, it presents several alternative suggestion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system. First, the system needs to provide a fund to candidates in advance taking the latest election expenses report to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and inflation rate into account. Second, the system requires to include the staffs' labor cost for pre-candidates when reimbursing the candidates' expenditure. As distribution criterion, third, the study proposes that national subsidy to political parties is decided by vote rate in the election rather than seat number in National Assembly. Finally, it suggests that the system alleviates the condition for reimbursement of candidates' expenditure.

      • KCI등재후보

        한국 선거정치에 있어서 실질적 기회균등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손병권(Byoung Kwon Sohn) 명지대학교 미래정치연구소 2015 미래정치연구 Vol.5 No.1

        포괄적 민주주의의 실현이라는 목표에서 볼 때 한국 선거정치는 새로운 정당이나 소수정당 혹은 새로운 인물이나 정치적으로 열위(劣位)에 있는 후보자들이 공정한 경쟁을 통해서 정치권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어야 한다. 또한 이를 뒷받침하려는 노력은 공정한 선거를 통해서 실질적인 기회균등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서 이 글은 선거정치의 공정성 제고라는 각도에서 매우 개괄적인 수준에서 문제점을 제기하고 기존의 논의에 필자의 의견을 더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선거정치의 기회균등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의 영역을 현역의원과 도전자 혹은 정치신인 간 기회균등, 현행 선거공영제와 선거보조금제도의 합리적 운영, 선거보조금 지급 뒤 후보자 사퇴의 문제 등으로 크게 대별하여 제시하고, 이에 따른 대략의 해법을 제시하였다. 현행의 제도는 민주주의라는 이름하에서 운영되고는 있으나, 정치과정의 곳곳에 법령이나 규칙의 비호하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이익의 굴절점(bias of interests)들이 점차적으로 제거되거나 완화되어야 공정한 선거정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 선거운동 기간에 대한 규정이나 선거자금과 관련된 선거공영제는 현직의원이나 거대정당에 유리한 방향으로 이익의 굴절을 유도하고 있어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From the perspective of inclusive democracy, Korean politics needs more to help new and minor parties, and freshmen and disadvantaged candidates. The way for this endeavor should designed in a way to make it sure that a substantive degree of equality of opportunity should be guaranteed through fair electoral competition. With this reform vision in mind, this article diagnoses some problems within the current legal system at the most general level, and proposes some reform areas and their solutions, partly relying upon the ideas suggested by scholars and practitioners. To be more specific, this article discusses the ways for more equal and fair competition between incumbents and challengers, and for more rational management of the current government financing of campaigns. It also addresses remedies for the cases where candidates suddenly exit the campaign without paying back the government campaign subsidy they were already paid. In conclusion, despite the Korean politics having stepped on the path of democratic deepening, it needs to be more fair in terms of electoral competition and campaign financing. Since the current system largely favors the major parties and their candidates at the cost of the minor parties and their candidates, it needs to be revised for wider political participation.

      • KCI등재

        정치관계법의 근본문제와 개정방향

        鄭萬喜(Man-Hee Jeong) 한국헌법학회 2007 憲法學硏究 Vol.13 No.2

          Approaching of two major political events,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December 2007, and the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April 2008, it is quite natural that many sectors of Korean society, not alone legal scholars, are engaging in active debates on various laws concerning elections and political activities. In this regard,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made public its proposals for reforming relevant laws on elections and political campaigns in December 2006.<BR>  This paper examines these laws especially in light of the principles and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Since all these legal rules are subordinate to the Constitution, they must conform to not only the letter but also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The critical analysis of these laws reveals that they are very problematic with respect to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people"s sovereignty, the right of equality, and the right to hold public office, among others. The paper also scrutinizes the recent reform proposal of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and evaluates the applicability and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proposal in depth.<BR>  Based on the critical assessment of the current laws and proposals, the paper suggests and proposes the followings. The relevant laws cannot justify their constitutionality because of the excessive restriction on free elections and political campaigns. The current Korean laws, which have been substantially influenced by Japanese laws, are paying too much attention to fair and clean elections without properly endorsing the system of free and democratic elections, the right to vote, and the right to hold public office. The paper also raises the problems on the financial support of political parties. The paper finally proposes to establish a non-partisan nationwide commission to study these shortcomings, and revise the unconstitutional or outdated laws to meet the changed circumstances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미국의 정당정치 변화와 정치자금 규제

        서정건(Jungkun Seo),최은정(Eunjung Choi)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15 평화연구 Vol.23 No.2

        정치에 있어 돈을 필요악(necessary evil)으로 취급할 것인지 혹은 단순 악(unnecessary evil)으로 치부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는 그 나라의 정치 전통과 현실, 그리고 정치 제도적 차원과 관계가 깊다. 미국의 경우 특히 1970년대 이후 미국의 정치자금 이슈와 관련해서는 정치 자금 규제를 강화하려는 연방 의회와 지나친 규제를 경계하는 연방 대법원 사이의 제도적 긴장 관계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71년 연방선거위원회의 설치와 1974년 정치자금 규제를 위한 수정안들, 그리고 2002년 소프트 머니를 금지하는 선거개혁법안 통과 등 의회의 정치 자금 규제 시도가 이어졌다. 이는 1976년 버클리(Buckley) 판결과 2010년 Citizens United 판결 등 정치 자금의 헌법적 보호 원칙을 재차 확인한 연방 대법원의 입장과 대조된다. 다시 말해 미국 정치에 있어 돈과 정치 관련 특이점은 수정 헌법 1조에서 보호하는 언론과 표현의 자유 범주에 정치 자금을 일정 부분 포함하여 고려하는 연방 대법원의 존재이다. 정치 자금의 기부가 정치적 의사 표현의 주요 수단으로 인정되는 순간 헌법이 지켜야 할 개인의 권리로 해석된다는 것이다. 즉 선거 경쟁이나 표 대결로부터 초연할 수 있는 사법부가 정치 자금의 다양한 측면을 전면에 나서 체계적으로 점검하고 재고할 수 있는 시스템이 바로 미국 정치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The question of whether money is necessary evil or unnecessary one has a great deal to do with political tradition and reality, along with institutional framework. Since the 1970s, the United States has experienced a tension between the legislative branch and the courts over the issue of campaign finance regulation. On the one hand, the U.S. Congress has attempted to regulate campaign finance through the creation of Federal Election Commission in 1971 and the ban of soft money in 2002. On the other hand, the Supreme Court has taken an issue with congressional regulation and instead regarded campaign money as a sort of speech, which constitutes the First Amendment right protected by the U.S. Constitution. In short, what is unique in American politics is the role of the courts in striking a balance between regulation and protection over the campaign finance in election compet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