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영교육의 인증기준과 사례에 관한 국제적 비교

        유병남(Yu, Byung-Nam) 글로벌경영학회 2014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1 No.1

        우리나라의 경영교육체제는 지난 50여 년간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지원하면서 양적으로는 놀라운 성장을 이룩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90년대 후반 외환위기를 경험하면서 경영교육의 내용과 질이 산업과 기업의 합리적인 성장기반을 강화하는데 부족함이 있었다는 점도 지적되었다. 우리나라 대학에 있어 대다수 경영교욱 관련 기관들은 강의실 교수방법의 의존도 심화, 세분화된 전공영역으로 분리된 교육과정의 운영이라는 공통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일찍이 외국에서도 경험하였던 내용이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은 AACSB, 유럽은 EFMD 등과 같은 인증기관의 경영교육인증 프로그램을 통하여 개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AACSB, EFMD 및 한국경영교육인증원의 인증기준과 내용을 소개하고 둘째, 경영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검토하며, 셋째, 국내외 사례를 통하여 경영교육의 특성 화와 차별화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Business education have developed over the past five decades according to growth of the industry and economy in Korea. But the quality of business education have limited influenced and mismatched on the healthful progress and development in Korean industries. The majority of administrative business department of Korean universities have similar curriculum that severely divided into functional approach and subjects by the traditional customs.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accreditation criteria of KABEA(Korean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AACSB and EFMD to review and analyze the business education course and conditions in Korean university and to provide the accreditation experience of wonkwang university(focused on the design of mission, vision and strategic objective in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The motto of Wonkwang University is cultivation of both Knowledge and morality and practice of moral principle. On the basis of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nation and the founding principle of Won-Buddhism, the educational goal of Wonkwang University is to prepare students to serve the country and to contribute to the progress of society. At Wonkwang university, educators and students endeavor to acquire good moral sensibility to serve the community.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is mission-driven in its planning, policies, procedures, and organizational actions. The processes of identifying Core Values and education Objectives and of revising the Select Mission have been open and collaborative. This has made Wonkwang University’s purposes and priorities more transparent and widely understood in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Finally, this paper analyzed and provided the problem and alternative of the accreditation criteria of KABEA

      • KCI등재

        대학평가인증제 평가기준의 타당성 검토

        곽진숙(Jin-Sook Kwa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공학교육인증제와 경영교육인증제를 중심으로 그 평가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한 연구다. 타당성은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되지만, 특별히 교육프로그램 평가의 메타평가 기준 중 교육본위성 준거에 따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교육주체의 교육지향성, 교육방법의 적절성, 교육환경의 충실성, 교육성과의 본질성이 그 하위준거다. 인증실무경험자인 각 5개 공과대학, 경영대학 소속교수 10인, 5인과의 인터뷰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두 인증제는 교육주체가 현재의 교육에 만족하지 않고 개선하도록 권장하지만 시스템 구축에 더 초점이 있어 만족도를 확인하거나 향상시키게 하는 면은 자극을 제공하는 정도다. 교육방법의 적절성은 교수-학생의 역동적 상호작용, 학습과정에 관한 충실한 모니터링의 면에서 긍정적이지만, 학생수준에 맞는 교육방법과 매체 활용, 개인별 속도, 스타일에 따른 학습경험 제공에 관해서는 부정적이다. 단계적, 순차적 학습경험의 배열은 공학 분야에서는 이수체계의 강조로 높은 관심을 보이나, 경영학에서는 주된 관심사가 아니다. 교육환경의 충실성은 확인하기는 하나 향후 현황보다 개선방향에 관한 관심으로 전환시켜야 한다. 교육성과의 본질성은 학생 자신의 교육성과를 평가하거나 교수의 교육전문성 신장을 확인하게 하지만, 교육활동에 관한 긍정적 태도 확인은 취약해 교육평가 분야에서 이 기준에 관련한 구체적인 평가방법 등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validity of the accreditation standards of two programs: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Among the various meta-evaluation criteria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accreditation standards for the education programs, we chose here the education-centered criteria. This includes the education-directivity, properness of the education method, perfec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ubstantial product of the education, as its sub-criteria. The basic research materials consist of the interview data for 10 professors from the 5 colleges of engineering and 5 professors from the 5 colleges of business who have experience in the working group for the accreditation. It was observed that both of the programs promote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But more emphasis are laid on the construc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comparatively, the enhancement of the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of the education were taken care of on the level of providing certain stimulation. On the properness of the education method: they have positive aspects on the interaction of the professors and student, monitoring on the education procedure, while also they have negative aspects on the education method proper to the students' level, usage of medium, progress for each individual, providing the educational experience with appropriate style. On the arrangement of the phased educational experience: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has much interest in the completion of the courses, while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doesn't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scholarly area. On the perfec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y are checking the present situation, but it is required to advance into the improvement. On the substantial product of the education: They are running the self-evaluating programs for students and they are checking the education-expertise of the professors. But we found certain weak points on the checking the professors and students' positive attitude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later studies on the education accreditation, it is required to provide concrete accreditation methods for the standards on this aspect.

      • KCI등재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 도입과 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곽진숙(Jin-Sook Kwa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공학과 경영학을 사례로 하여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 도입과 운영을 분석하고 그 발전 과제를 논의한 연구다. 연구문제는 평가인증제의 도입 배경, 인증기준 결정 및 변경, 결과 및 효과, 발전 과제로 범주화하였다. 우선 도입 배경을 ‘교육에의 관심 촉구’, ‘professional school에 걸맞는 견고한 커리큘럼으로의 재편’, ‘self-regulation을 통한 교육의 질 관리와 구조조정’, ‘교육에 관한 systematic approach’로 나눠보았다. 인증기준 결정 및 변경과정은 공통적으로 ‘해외 인증기준의 벤치마킹과 한국형 인증기준의 수립’으로 요약되었다. 인증제의 결과 및 효과로는 ‘교육장면에서의 긴장감 요구’와 ‘지속적 수업 개선 유도’, ‘교수들 간의 의사소통 활성화 및 공동체 의식 증대’, ‘교육공동체로서의 협동 체제 구축’, ‘전문가로 단련시키고 훈련한다는 면에서 학생들에게도 의미 있음’을 들었다. 또한 특히 경영학에서는 교수 충원 유도를 통한 교육여건의 개선을 가져왔다. 향후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의 발전 과제로는 먼저 대학 차원에서 ‘인증받은 대학교육 시스템이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이 작동하고 움직여 나갈 수 있도록 활성화시키는 것’, ‘교육에 관한 관심과 평가 필요’, 다음으로 인증원 차원에서 ‘각각 평가자와 피평가자인 인증원 운영주체와 해당 학문분야 교육주체의 이분화 방지’, ‘인증기준 작성시 stage를 고려하고, 각 학문분야 교육주체의 의견수렴 절차를 적절하게 밟는 것’, 마지막으로 대학을 넘어선 사회적 차원에서 ‘산업계와 대학의 지속적 networking과 공생’으로 분류해 보았다. In this paper, we study the introduction and steering of Education Accreditation, concentrated on the cases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and discuss a few tasks for its improvement. The subjects of our research are categorized as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 Accreditation, Deci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accreditation criteria, results and effects, and tasks for improvement.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are classified as ‘stimulating the interest in education’, ‘reorganization into a solid curriculum well-matched with professional school’, ‘manag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self-regulation’, ‘systematic approach to education’. The procedure of deci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accreditation criteria can be summarized commonly as the bench-marking of the foreign accreditation criteria. The results and effects are listed as ‘formation of the tension in the educational fields’, ‘requirement for continuous improvement of lectures’, ‘active communication of professors and community spirit’, ‘cooperation system as educational community’, ‘training of the students as specialists’. In particular,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enabled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condition by inducing supplement of professors. As for the tasks for further improvement, the following list is suggested. For the universities, ‘activation of the already accredited university education system’ and ‘interest and evaluation of education’, for the Association of Accreditation, ‘prevention of the dichotom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the accreditation’ and ‘consideration of the stages in framing the accreditation criteria by collecting opinions of education subjects of each discipline’, finally for the society level, ‘continuous networking and coexistence of the industrial society and the university’.

      • KCI등재

        한국경영학교육인증제와 세무학교육

        정연식 한국세무학회 2008 세무와 회계저널 Vol.9 No.2

        In November 2005, Korean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KABEA) was established to improve business education in Korea and train a capable man in business. KABEA put in force KABEA accreditation, which is applied to all the departments that award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other departments that belong to the same college. KABEA accreditation is also applied to the departments of which the ratio of business related subjects is over 25%, or the department that include "business" in its name. If any of these departments does not participate in accreditation, the university can not acquire the accreditation in principle. And all these departments should open at least 6 compulsory subjects among 5 traditional business subjects, which are Strategic Managemen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International Management, Marketing, Operations Management, Human Resources, Finance, and Accounting.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st taxation departments can not avoid KABEA accreditation because they award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open several accounting subjects including tax accounting. But they can not acquire KABEA accreditation because they open few traditional business subjects except accounting.It is not reasonable for taxation department to open several traditional business subjects as compulsary subjects. So this study suggested that KABEA should exclude taxation departments from accreditation or should not request that the participating departments open several traditional business subjects. 2005년 11월에 경영학교육의 발전과 경영분야 인재 양성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사)한국경영교육인증원이 설립되어 한국경영학교육인증제가 시행 중에 있다. 한국경영교육인증원에서는 경영학사를 수여하는 모든 학과, 이들 학과들과 같은 학부나 대학에 소속된 학과, 전공과목 중 25% 이상이 전통적 경영학 과목인 학과, 학과 명칭에 ‘경영’이 포함된 학과 등을 모두 인증 대상에 포함시키고, 이들 중 한 학과라도 참여하지 않을 경우 원칙적으로 해당 대학교 전체를 인증하지 않는 기관인증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리고 인증제에 참여하는 모든 학과나 전공은 경영전략, 경영정보, 국제경영, 마케팅, 생산운영, 인사조직, 재무, 회계 등 전통적 경영학 분야의 과목을 최소한 5개 분야 이상, 총 18학점(3학점 기준으로 보면 6과목임) 이상을 전공필수로 개설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각 대학 세무학과들의 편제와 학사학위 명칭 및 교과과정을 검토하여 경인원의 인증 대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경인원의 인증을 획득할 수 있을 만큼의 경영학 과목을 개설하고 있는지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세무학과들은 경영학사를 수여하고 있고, 세무회계를 포함한 회계 분야 과목을 다수 개설함으로써 한국경영학교육인증 대상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회계를 제외한 경영학 과목은 전공과목으로 거의 개설하지 않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무학의 학문 특성과 세무학과의 교육목표를 검토하여 세무학과에서 회계 이외의 경영학 과목을 4분야씩이나 전공필수로 개설하는 것이 합리적이 아님을 규명하고, 나아가 한국경영교육인증원이 인증 대상에서 세무학과를 제외하거나 경영학 과목 전공필수 요건을 폐지하는 등의 방향으로 한국경영학교육인증제도를 개선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경영학 교수인력 수급에 관한 연구

        손태원(Tae Won Sohn),김주엽(Joo Youp Kim),김민수(Min Soo Kim),정헌식(Hun Sik Jung) 한국경영학회 2010 Korea Business Review Vol.14 No.2

        국내 경영학 교육의 문제점 중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문제는 바로 전임교수 부족 문제이다. 본 연구는 한국 경영학분야의 교수인력 수급에 대한 현황파악과 문제규명, 그리고 해결방안에 관련된 기초자료와 정책방안 마련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진들은 전국 4년제 대학 중 경영학사 학위를 수여하는 경영학과(부 또는 계열)가 개설된 대학을 대상으로 재학생 및 전임교수와 대학원 박사과정 및 수업에 대한 현황을 설문을 통해 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대학교 전체 전임교수 1인당 학생 수(교과부 통계자료, 2008)가 24.5명인데 반해 경영학과의 경우 44.2명에 달하고 있다. 경영학과 재학생의 증가율은 전체 대학생 증가율을 앞지르고 있으나, 경영학과 전임교수의 증가율은 이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학교육 인증제도의 도입을 통해 인증을 받았거나 인증을 준비 중인 대학을 중심으로 전임교수 채용이 늘고 있어 인증제도의 도입이 경영학 교육의 질을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전임교수를 해외 박사학위 취득자에게 의존하는 상황에서 최근 해외박사학위 취득자의 국내유입이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국내대학들이 박사과정에 집중하여 역량 있는 전임요원 육성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당면 과제임을 보여주고 있다. 경영학 교육의 질을 글로벌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안정적인 교수 공급을 위한 학계 및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과 정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Among the problems in business education in Korea, the lack of full-time professors is the most noticeable.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identify the problems around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business professors in Korea, and contribute to formulating policies relevant to the solutions. Through the survey,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ituation of 4-year colleges(universities), which have the department of business that offers a bachelor`s degree in business, about the students, full-time professors, doctoral programs, and curriculums. The result shows that the number of the students per a full time professor reached 44.2 in the department of business, while it was 24.5 in the extent of the whole universit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8). The increase rate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business surpassed the one of the whole university, but the increase rate of the full-time professors was lower than that. The employment of full-time professors was increasing mainly in the universities that were accredited or preparing for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which clarified that the adop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business education. On the other side, the influx of the people with doctoral degree from foreign universities into Korea was rapidly decreasing recently, but the supply of full-time professors have been dependent upon them. Thus, it is required for Korean universities to systematize the cultivation of competent full-time professors by concentrating on the doctoral program. To improve the business education to meet the global standard, the cultivation system for stable supply of full-time professors should be supported by the academia and the national government, in terms of finance and policies.

      • KCI등재

        경영학 교육 인증제도와 교육학습 평가체계

        하영원(Young Won Ha),김영곤(Young Gon Kim),황국재(Kook Jae Hwang) 한국경영학회 2011 Korea Business Review Vol.14 No.3

        본 논문은 경영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주목하여, 경영교육인증제도의 도입과 그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규범적 차원의 논의와 더불어, 경영교육인증제도와 관련된 경영학 교수 표본으로 부터 수집된 설문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볼 때, 많은 교수들이 경영교육인증제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경영교육인증제도의 획득에 많은 흥미를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현재 경영학 교육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교육이 산업의 요구를 수용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응답자의 대부분은 이상의 문제가 경영교육인증제도의 도입으로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분석결과는 학습인증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규 경영학 교육과 더불어 부가적 특별활동이 도입되어야함을 확인시켜 주었다. 인턴쉽, 현장학습, 그리고 산학협력체제는 특별활동의 좋은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학습인증목표 평가체계와 관련하여, 평가주체, 평가방법, 평가결과의 공개는 주요 이슈가 되겠다. 학습인증목표 평가시스템의 주체와 관련하여, 많은 응답자들은 기관뿐 아니라 학생들 또한 학습인증목표의 평가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한다고 대답했다. 추가적으로, 응답자들은 간접 평가방법보다는 직접 평가방법을 보다 선호하고 있었다. 평가결과의 공개와 관련하여, 많은 응답자들은 모든 이해관계자집단이 평가결과에 접근 가능하도록 허가되어야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In this research we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shift of business education paradigm and tri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and introduction of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We not only proposed normative suggestions but also showed survey results from sampled business professors regarding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Overall, we found the majority of professo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and showed high interest at acquisition of accredit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the most severe problem of current business education is that the education does not meet the needs of industry. However, it is interesting that most survey respondents expected the above problem could be solved by the introduction of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Survey results also showed that in addition to regular business education, additional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uld be introduced to achieve AoL objectives. Internship, field trip, and collaboration between the universities and corporations can be good exampl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Regarding the AoL evaluation system, selection of evaluators, evaluation methods, disclosure of evaluation results are major issues. For AoL evaluation system evaluators, most respondents answered students also actively participate in AoL progress evaluation besides institutions. Moreover, direct evaluation methods were preferred over indirect ones by most respondents. For AoL evaluation results disclosure, most respondents preferred all interested parties should be allowed to approach the evaluation results.

      • KCI등재

        비서 역량개발을 위한 비서학 평가인증제 도입에 관한 기초 연구

        김지영(Kim, Jiyoung),박윤희(Yoonhee Park) 한국비서학회 2019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8 No.2

        이 연구는 비서학 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하여 비서학 평가인증제 도입의 필요성을 탐색하고 비서학 평가인증제 구축을 위한 과제와 기대효과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면허 취득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이 아닌 교육의 수월성 제고에 목적이 있는 공학 분야와 경영학 분야를 중심으로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비서학 평가인증제 도입에 관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공학교육인증제와 경영교육인증제 모두 교육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어 교육프로그램 평가 사례로 이해할 수 있다.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의 도입배경, 인증기준 결정 및 변경, 인증의 결과 및 효과로 전반적인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 범주화하여 비서학 교육 평가인증제 도입의 필요성, 평가인증제 구축방안, 기대효과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비서학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대학의 교육과정 품질 개선 보증과 비서학의 견고한 커리큘럼, 정체성 위협에 대한 대비, 그리고 비서직종의 차별화된 전문화를 위해서 비서학 평가인증제 도입이 필요하다. 비서학 평가인증제 도입 및 구축을 위한 과제로는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 및 활용, 평가인증 기준 마련, 비서교육인증을 지원, 관리, 통제하는 법적, 행정적 시스템 마련 등이 있다. 비서학 평가인증제가 도입된다면 비서학 교육 인증학과 및 졸업자에 대하여 인센티브가 보장될 수 있고, 검증된 교육과정으로 우수한 전문비서를 양성하여 사회에 배출할 수 있게 되어 궁극적으로는 비서직의 전문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비서학이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며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높은 수준의 비서학 교육프로그램 평가인증제를 구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역량을 갖춘 비서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ion of introducing secretarial science education accreditation by analyzing the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Both these accreditations intend to promote educational development and they could be understood as a form of evaluation of these educational programs. Introduction of secretarial science education accreditation is investigated through several categories such as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the accreditation in each discipline, the determination of the accreditation standard and then the changes of it, the result and effect of accreditati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ccreditation to continuously improve the quality of the university"s secretarial education contents, create a well organized curriculum, establish a solid identity and to introduce diverse specialization for this secretarial profession.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legal and administrative system to secure reliability of secretarial certification, to develop and utilize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and to support, manage and control secretarial science education accreditation. The secretarial science education accreditation itself can help provide excellent professional secretaries to society, and so there should be guaranteed incentives for the departments and graduates to obtain this cert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resources to introduce secretarial science education accreditation for continuously developing secretarial science and to ensure adequate competency of secretaries.

      • KCI등재

        경영교육인증에 따른 수산경영학 교과과정 및 학업이수의 변화 분석과 과제

        이동호 ( Dong Ho Lee ) 한국수산경영학회 2014 수산경영론집 Vol.45 No.2

        Recently the rapid changes of the social environment make both university and every each department should have to renovate and adjust all of the educational components. The most dominant and issuable chan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is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which was certified by the KABEA(Korean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 only two department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which i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and Puk yong National University has been accredited recently. Though The department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in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that Accreditation, there is few research and analysis on educational change. So it is very important that research on the curricular constitution and change of the curriculum for considering the its own effect and influence.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urricular constitution, change and course fulfillment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after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based on the case of the department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i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he analysis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change will help develop sustainable curriculum and give more guideline for identifying the core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The method of analysing that in this research has adopt the social network analysis(SNA) and automated software tool which is the most dominant technique in contents analysis including the Krkwics and Pajek. The SNA is evaluated that most popular, rigorous and firm methodology for analyzing, examining and revising some concepts or objects in the context of semantic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ratio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class has been decreased but still the most fulfilled course. And English mediated class has been avoided though that sort of the class has been increased. In the view point of course fulfillment, it has been potential and inefficient problems that some classes that including financial related and accounting related class would not been accomplished appropriately. The findings of a graduate depth interview which has been done about 4 years for understanding that student show that there’s some recognition gap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in staff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n fisheries business still somewhat low and even worse the chance of recruitment also unsteady.

      • KCI등재

        우리나라 대학에 있어 경영학교육의 과제와 개선방향 - 연구, 교육, 인증을 중심으로 -

        조병택,유병남 한국상업교육학회 2006 상업교육연구 Vol.14 No.-

        한국경영학은 경제성장과 산업발전에 따라 지난 40여 년간 꾸준히 발전하였다. 그러나 연구와 교육의 질은 산업의 합리적인 성장과 기틀을 마련하는데 충분한 역할을 못하였고 조화로운 동반자적 관계를 형성하는데도 부족한 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 대학에 있어 대다수의 경영학 관련 학과는 매우 세분화된 기능적 분류와 전공영역으로 구성되는 커리큘럼을 가지고 있다. 또한 경영학연구의 대부분은 한국적 특성과 상황적 요인에 대한 고려 없이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서구의 조사방법론(가설검증을 중심으로 하는 방법론)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의 경영학 연구와 교육의 개선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대학의 경영학 관련 연구와 교육이 기업경영과 경쟁우위 창출에 관계되는 현실의 이슈와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기반으로 경영학 교육과 연구의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육에 있어 기능과 과정을 통합하고, 연구범위의 확대와 관점의 심화가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최근의 국내 주요대학을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는 AACSB 인증을 둘러싼 지나친 경쟁적 양상을 비판하면서 우리 스스로 설립한 KABEA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권고하고자 한다. Business research and education have developed over the past four decades in Korean Academy according to growth of the economy and industry in Korea. But the Quality of research and education have limited influenced and mismatched on the rational progress and fundamental in Korean industries. The majority of administrative business department of Korean university have similar curriculum that very divide into functional approach and major of subject. Also the majority of the business research have most used western methodology(hypothetic testing method) without considering the Korean identity and contingent factors.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improvement perspectives of business research an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y.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business research an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y to contribute the contemporary issues and problems which have related the business management or competitive advantage in Korean industri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is paper proposes to integrate the function and process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to extend the scope and viewpoint of the business research which would be facilitate to reform the problems and limits of the business research an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y. Also this paper criticizes the trend in which the major universities in Korea compete with each other for the accreditation of AACSB(Association to Advance Collegiate School of Business). and recommend the concern and participation of KABEA(Korean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 KCI등재

        IT분야 공학교육인증 이수자의 실무역량에 대한 기업과 졸업생 인식 비교

        주인중,권장우,신준우,임경범 한국직업교육학회 2010 職業 敎育 硏究 Vol.29 No.1

        본 논문은 IT분야를 중심으로 실무역량에 대한 기업과 공학교육인증을 이수한 사원의 시각차를 분석하여 공학교육인증 제도 도입 이후의 그 효과 정도를 동 제도의 수요자 입장에서 점검하여 보았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공학교육인증의 12개 학습성과를 기초로 기업이 필요로 할 것으로 예측되는 실무역량을 도출하였고, 기업체 인사(부서장)와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을 이수한 사원(졸업생) 각각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첫째, 실무역량별 필요정도에서 ‘의사소통 및 협업능력’을 가장 필요한 역량으로, ‘수학․과학 등 기초 학문에 대한 지식’을 상대적으로 필요정도가 가장 낮은 역량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육을 통한 습득정도에 있어서 두 집단이 ‘전공기초 지식’을 대학에서 가장 많이 배운 역량으로, ‘창의성․인내 등 인성적 측면’을 대학교육이 가장 제공하지 못한 역량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대기업과 중소․벤처기업으로 구분한 기업규모에 따른 비교․분석 결과, 대학교육을 통한 실무역량별 습득정도는 기업규모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Accreditation for Engineering Education(AEE) have effect on personnel practice on information technology by analyzing the views on practical competencies different between management and employees who completed AEE. Practical competencies predicted as employee requirement were drawn based on 12 learning products of AEE and previous stud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each of management chiefs and employees(college graduates) who completed AEE in college. The data gathered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Ability' is required the most, whereas 'Academic Knowledge such as Maths, Science, etc' is required the least. Second, it is shown that Graduates considered 'Writing Report & Presentation Ability' and 'Foreign Language & Sense of Globalization' more required for business practice than management. Third, in the acquired level by college education, both responded that 'Knowledge of College Major' is the most acquired, whereas 'Attitudes such as Endurance, etc' is the least acquired. Comparative analysis depending on the management size(large/small and midium enterprise) has shown that the required level of each practical competency is similar to that of total analysis, however the acquired level by college educa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nagement s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