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무원의 부패방지를 위한 뇌물죄의 적용범위

        김준성(JunSung Kim) 한국부패학회 2012 한국부패학회보 Vol.17 No.4

        오늘날 공직사회의 가장 큰 폐단은 부정부패와 연루되는 사건일 것이다. 그동안 정권이 교체될 때 마다 대통령들은 공무원들에게 강도 높은 청렴의무의 이행을 촉구하 였지만, 특히 대통령의 친인척 및 청와대 최측근의 비리는 끊이지 않았다. 현 정부도 역대정부처럼 반부패정책을 제도화하였지만, 특히 권력과 연루된 공무원의 부패범죄는 계속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권력형 비리사건과 관련한 공무원범죄는 주로 뇌물범죄의 형태에 속한다. 특히 뇌물범죄는 그 구조에 따라 공직사회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엄청난 파장을 일으키는 부패범죄의 유형이다. 하지만 뇌물범죄는 외형적으로 뇌물 의 형태를 띠고 있지 않아서 형사상 처벌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일반시민들이 직접적 인 피해를 느끼지 못하는 범죄유형이다. 그러나 뇌물범죄는 사안에 따라 그 사후에 국 가 및 국민적 손실이 엄청 크기 때문에 공무원의 부패방지를 위한 최적의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공무원의 부패방지를 위하여 형법상 뇌물죄의 적용방안에 대 하여 검토를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뇌물죄의 적용대상과 적용범위를 확정하기 위하여 뇌물의 개념을 명확하게 해석하거나 입법화하는 방안을 들 수 있다. 둘째, 직무행위가 공익성을 가진 경우에는 형법 제129조 내지 제132의 규정 및 특가법 제4조의 규정과 특경법 제5조의 규정을 적용하여 비공무원이라 하더라도 준공무 원으로서 뇌물죄의 행위주체가 되어야 한다. 셋째, 현행법상 뇌물죄의 적용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양형의 불균형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적어도 특가법 제3조의 법정형을 형법 제132조에 상응하는 정도로 하향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특가법 제4조에 수뢰자와 더불어 증뢰자에 대한 처벌규정도 함께 입법되어야 한다. 아울러 특가법 제2조의 제1항 각호의 수뢰액은 경제적 상 황을 감안하여 상향조정되어야 하며, 제2항은 단서조항으로 ‘특수한 사정’을 고려하여 법정형의 가중에 제한사유를 규정하여야 한다. 넷째, 형법 제134조의 규정은 뇌물요구의 경우에는 몰수․추징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볼 여지가 있기 때문에 뇌물요구의 경우에도 몰수․추징의 대상이 된다고 법문을 개정하여야 한다. 또한 공무원범죄에 관한 몰수특례법 제6조에 규정된 추적․환 수의 실효성을 위하여 단서조항으로 환형처분의 규정을 입법하여야 한다. These days, the most serious problem about public servants is the crime concerning corruption or bribery. Every time a new president takes office, Korean presidents rigorously urge the implementation of incorruptible obligation to public servants, but the corruption of president's relatives and close associate is continually going on. The existing government like the successive governments institutionalized anti-corruption policy, but the crimes of the public service personnel's corruption have continually happened in our society. The crimes of the public service personnel's corruption related to power scandals are mainly bribery crimes. The bribery crime is one of the most serious crimes and has large wavelength in our society as well as in public service personnel's. This kind of bribery crime is hard to be punished criminally because it doesn't have any outward forms of bribery. Also, it is the kind of crime from which citizens don't feel direct harm. We should establish the best suitable system to prevent bribery crimes because it cause big problems in our society. The writer reviewed applicable schemes criminally to prevent public service personnel's bribery crimes. Firstly, we need to concretize and legalize the concept of bribery crimes for settlement of bribery crimes' coverage and objet target. Secondly, if duties act is concerned with public benefit, the person who is not a public service personnel should be punished criminally according to article 129 or 132 of Criminal Law, article 4 of Penalties for Certain Economic Crimes Act, and article 5 of Punishment of the Law Regarding a Particular Economy Act. Thirdly, To disparitie in sentencing issues that could happen for applying to bribery crimes in the existing law, downward adjustment is needed at least to article between article 3 of Penalties for Certain Economic Crimes Act and article 132 of Criminal Law. Both bribetaker and briber should be punished in article 4 of Penalties for Certain Economic Crimes Act. The upward adjustment of bribery amount is needed in article 2 and item 1 of Penalties for Certain Economic Crimes Act, and spacial situations are considered and the extra weight of the penalty amount should be added in item 2. Lastly, Article 134 of Criminal Law should be revised because it could be believed that forfeiture and supplementary collection are not included when asking bribery. The provisions of the disposal of the annular should be legalized to be effective tracking and taking-back in article 6 of Officials Seized on Crime as a Special Act.

      • 《刑法修正案(十二)》中行贿类犯罪的适用思考

        胡世娟(Shijuan Hu),曾俊儒(Junru Zeng) YIXIN 출판사 2024 Journal of China Studies Vol.2 No.6

        In order to strictly implement the spirit of strengthening the punishment of bribery crimes and implement the policy requirements of “investigating both bribery and bribery together”, the Criminal Law Amendment (XII) made important revisions and supplements to bribery crimes, revised the statutory penalties for bribery crimes and bribery crimes, and added seven aggravating circumstances for bribery crimes, making bribery and bribery crimes compatible in legislation, so as to better promote the comprehensive and strict governance of the party to go deeper. In judicial practice, the content of the Criminal Law Amendment (XII) should be correctly understood, especially the application of the circumstances of aggravated punishment for the crime of bribery should be clarified, and it should not be evaluated repeatedly as the circumstances of conviction and aggravated punishment for the crime of bribery. At the same time, the significance of the revision of the statutory penalty for bribery crimes should be understood. When punishing bribery crimes, the elements of crime of bribery by units and bribery crimes, as well as special circumstances of reduced or exempted punishment, should be strictly compared, an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between crime, responsibility and punishment and the policy of “combining leniency and severity” should be adhered to. 为了严格落实加大惩治行贿犯罪精神,贯彻“受贿行贿一起查”政策要求,《刑法修正案(十二)》对行贿类犯罪作了重要修改和补充完善,修改了单位行贿罪、行贿罪法定刑,增加了行贿罪七种从重处罚情节,使得行贿与受贿犯罪在立法上相适应,从而更好推动全面从严治党向纵深推进。在司法实践中,应当正确理解《刑法修正案(十二)》的内容,特别是要厘清行贿罪从重处罚情节的适用,不得同时将其作为行贿罪定罪情节和从重处罚情节予以重复评价,同时要掌握行贿类犯罪的法定刑修改的意义所在,在惩治行贿犯罪时严格对照单位行贿罪、行贿罪的犯罪构成要件、特殊减免处罚情节,在坚持罪责刑相适应原则和符合“宽严相济”政策的要求下进行。

      • KCI등재후보

        Fair Government at Home and Abroad: Improving Korea’s Foreign Bribery Prevention Act

        ( Kwon-yong Jin ) 서울대학교 아시아태평양법연구소 2019 Journal of Korean Law Vol.18 No.2

        The globalization of business transactions in recent years has drawn greater attention to the problem of foreign bribery. Like domestic bribery, bribery of foreign public officials can lead to a number of adverse consequences, including loss of economic efficiency and government revenue, diminished public trust, and a culture of corruption. To prevent such adverse consequences, anti-foreign bribery statutes, such as the United States’ Foreign Corrupt Practices Act,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s Anti-Bribery Convention, and Korea’s Foreign Bribery Prevention Act, are crucial in ensuring the fair and impartial exercise of government functions around the world. This Article thus examines Korea’s legal regime against outbound foreign bribery, the Foreign Bribery Prevention Act (FBPA). In particular, this Article notes three major areas of concern in the FBPA. First, the definition of a “foreign public official” is too vague and unpredictable, particularly where state-owned enterprises are concerned. Second, a statutory defect in the FBPA means that foreign bribery involving a third-party beneficiary is technically not prohibited by the FBPA. Third, the authorized punishment under the FBPA can be insufficient.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FBPA, this Article proposes a set of legislative solutions, including utilizing state control and preferential treatment as a proxy for the exercise of a public function, expanding the scope of the anti-bribery provision to cover bribery with a third-party beneficiary, and authorizing debarment for FBPA violators.

      • KCI등재

        Fair Government at Home and Abroad: Improving Korea’s Foreign Bribery Prevention Act

        진권용 서울대학교 아시아태평양법연구소 2019 Journal of Korean Law Vol.18 No.2

        The globalization of business transactions in recent years has drawn greater attention to the problem of foreign bribery. Like domestic bribery, bribery of foreign public officials can lead to a number of adverse consequences, including loss of economic efficiency and government revenue, diminished public trust, and a culture of corruption. To prevent such adverse consequences, anti-foreign bribery statutes, such as the United States’ Foreign Corrupt Practices Act,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s Anti-Bribery Convention, and Korea’s Foreign Bribery Prevention Act, are crucial in ensuring the fair and impartial exercise of government functions around the world. This Article thus examines Korea’s legal regime against outbound foreign bribery, the Foreign Bribery Prevention Act (FBPA). In particular, this Article notes three major areas of concern in the FBPA. First, the definition of a “foreign public official” is too vague and unpredictable, particularly where state-owned enterprises are concerned. Second, a statutory defect in the FBPA means that foreign bribery involving a third-party beneficiary is technically not prohibited by the FBPA. Third, the authorized punishment under the FBPA can be insufficient.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FBPA, this Article proposes a set of legislative solutions, including utilizing state control and preferential treatment as a proxy for the exercise of a public function, expanding the scope of the anti-bribery provision to cover bribery with a third-party beneficiary, and authorizing debarment for FBPA violators.

      • KCI등재후보

        대한민국의 OECD 뇌물방지협약 이행 수준 개선 방안

        Choi, Jeonghyuk,Kim, JongBum 법무부 2012 통상법률 Vol.- No.105

        The OECD Convention on Combating Bribery of Foreign Public Officials in International Business Transactions (OECD Bribery Convention) was signed on December 17, 1997 with the aim of combating bribery in international business transactions. As a member country of the OECD, the Republic of Korea enacted the Foreign Bribery Prevention Act (FBPA) to implement the OECD Bribery Convention on December 28, 1998. From the time that the FBPA has taken effect, there have been 17 cases of the enforcement of the FBPA. The OECD Working Group on Bribery in International Business Transactions (OECD Working Group on Bribery) have evaluated Korea's enforcement of the OECD Bribery Convention on three occasions: Phase 1 (2000), Phase 2 (2004), and Phase 3 (2011). On all three occasions, the OECD Working Group on Bribery stated that sanctions against the offense of the bribery of a foreign public official under the FBPA had not been “effective, proportionate or dissuasive.” Our examination of the FBPA shows that the inadequacy of the enforcement of the FPBA is due to the inadequacy of the framework and the texts of the FBPA. In view of the OECD evaluations, this paper proposes two approaches to remedy the inadequacy of the sanctions under the FBPA.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proportionate, and dissuasive” sanctions, the FBPA should add a separate confiscation clause that targets the proceeds of bribery. Alternatively, the FBPA should amend Article 3(1) and Article 4 in order to incorporate a minimum range of fines equivalent to the amount of the proceeds of bribery. These amendments will be able to strengthen the effectiveness of the FBPA and will bring Korea’s implementation of the OECD Bribery Convention into conformity with the expected level of the enforcement of the OECD Bribery Convention. 국제상거래에 있어 외국공무원에 대한 뇌물방지협약(OECD 뇌물방지협약)은 국제상거래에서의 외국공무원에 대한 뇌물 공여 행위에 대항하기 위해 1997년 12월 17일에 제정되었다. 이에 OECD 회원국인 대한민국은 1998년 12월 28일에 OECD 뇌물방지협약의 이행 법안으로서 국제상거래에 있어서 외국공무원에 대한 뇌물방지법 (해외뇌물방지법)을 제정하였으며 해외뇌물방지법에 기초하여 현재까지 17건의 외국공무원에 대한 뇌물 공여행위를 처벌하였다. 그러나 처벌시의 제재 강도와 관련하여 OECD 뇌물방지작업반은 3단계의 이행 심사 모두에서 (2000년에 1단계, 2004년에 2단계, 2011년에 3단계) 대한민국이 외국공무원에 대한 뇌물공여 행위에 부과하는 제재가 충분치 않다는 평가를 하였다. 본 논문은 OECD 뇌물방지작업반의 평가에 기초하여 해외뇌물방지법이 실효성 있는 제재를 부과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입법 당시의 의도와는 달리, 현 해외뇌물방지법의 규정은 뇌물공여자로부터 뇌물공여행위를 통해 얻은 이익을 완전히 몰수 하지 못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해외뇌물방지법의 제재들이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두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첫 번째 방안은 외국공무원에 대한 뇌물공여행위를 통해 얻은 이익을 직접 박탈하는 몰수 규정을 별도로 신설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안은 현재 벌금의 상한선을 규정한 해외뇌물방지법 제 3조 1항과 제 4조의 벌금 범위를 개정하여 뇌물공여행위를 통해 얻은 이익을 벌금의 하한선으로 명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익 몰수 방안의 확보는 해외뇌물방지법이 더욱 실효성 있는 법률이 되는 데에 이바지 할 것이며, 나아가 대한민국의 OECD 뇌물방지협약 이행 수준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뇌물범죄의 체계와 삼각뇌물의 형사책임

        윤동호(Yun, Dong-Ho) 한국형사정책학회 2020 刑事政策 Vol.32 No.3

        이 글은 복잡하고 난해한 현행법의 뇌물범죄의 체계와 구조를 보고, 이로 인해 해석이 어려워진 이른바 삼각뇌물의 형사책임을 검토하고 있다. 삼각뇌물은 공무원이 스스로 뇌물을 받지 않고 제3자가 뇌물을 받게 하는 경우를 말한다. 형법은 수뢰죄와제3자수뢰죄를 구별하고 있다. 이 글은 전자의 수뢰죄를 자기수뢰죄라고 부른다. 공무원이 스스로 뇌물을 받지 않고 제3자가 뇌물을 받게 하였을지라도 공무원과 제3자가 경제공동체이어서 공무원을 뇌물의 귀속주체로 볼 수 있으면 공무원에게 자기수뢰죄가 성립한다. 그런데 제3자가 뇌물의 귀속주체일지라도 제3자가 공무원과공동정범관계에 있는 경우는 공무원이 직접 받은 것과 같이 볼 수 있으므로 자기수뢰죄가 성립한다. 이것이 대법원 판례의 입장이다. 이는 옳지 않다. 뇌물범죄의 체계와 구조를 보면 자기수뢰죄와 제3자수뢰죄를 구별하고 있으므로 제3자가 공무원과공동정범관계일지라도 제3자가 뇌물의 귀속주체이면 제3자수뢰죄의 성립 여부가문제된다고 봐야하기 때문이다. 공무원이 스스로 뇌물을 받지 않고 제3자가 뇌물을 받게 한 경우 제3자가 뇌물의 귀속주체일지라도 제3자가 공무원의 수뢰에 공동정범으로 가담하면 제3자에게 수뢰죄가 성립하는 반면, 교사방조범으로 가담하면 제3자수뢰죄의 교사방조범이 성립한다. 이것이 대법원 판례의 입장이다. 이는 옳지 않다. 정범인 공무원의 형사책임을먼저 결정하고 가담자인 제3자의 형사책임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거꾸로 제3자가가담한 정도나 형태에 따라 정범의 형사책임을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mplex system of bribery crimes under the current law, and examines the criminal responsibility of the public official and the third person in so-called triangular bribery. A triangular bribery refers to a case where a public official funnels a bribe to a third person in connection with his or her duties. Apart from the crime of acceptance of bribe under Article 129(1), the Criminal Act stipulates the crime of bribery against a third person in Article 130. The constituent act of the crime of bribery against a third party is an act of causing a bribe to be given to a third party on acceptance of an illegal solicitation in connection with his or her duties. The Criminal Act distinguishes between the crime of acceptance of bribe and the crime of bribery against a third person according to the bribe taker. In this article the former is referred to as the self-bribery offence, and the latter is referred to as the third-party bribery offence. And the bribe taker means the person who benefits from bribery or whom the bribe belongs to. Even if a public official does not accept a bribe on his own and a third party accepts a bribe, if the public official and the third party are in an economic community and the public official can be regarded as the bribe taker, self-bribery offence is established against the public official. However, even if the third party is the bribe taker whom the bribe belongs to, the case where the third party is in co-principals relationship with a public official can be regarded as if the public official received it directly, and thus self-bribery offence is established. This is the position of the Supreme Court. However this is not correct. This is because the system and structure of bribery crimes distinguishes between the self-bribery offence and the third-party bribery offence so even if a third party is in joint principal offender relationship with a public official if the third party is the bribe taker, whether the crime of bribery against a third person is established becomes a matter at issue. If a public official does not accept a bribe by himself and a third party accepts a bribe, even if the third party is the bribe taker, if the third party joins the public official s commission as joint principal offender, the third party is convicted of self-bribery offence, whereas if he participates as instigator or accessories of the Criminal Act, instigator or accessories committed against third-party bribery offence is established. This is the position of the Supreme Court. However this is not correct. This is because the criminal responsibility of principal offender is not determined first and the criminal responsibility of a third party, which is a participant, but conversely, the criminal responsibility of principal offend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r type of participation by the third party.

      • KCI등재

        직무관련 금품수수 용인도와 간접경험의 관계 및 윤리적 리더십 조절 효과의 추정

        장이랑(Yi Rang Jang),박흥식(Heung Sik Park)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4 行政論叢 Vol.52 No.4

        이 연구에서는 직무관련 금품수수 용인도과 간접경험, 윤리적 리더십 간의 영향관계와 윤리적 리더십 조절효과의 크기를 추정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주요 변수 간의 영향관계 및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에 관한 가설을 설정한 후, 지방자치단체 중하위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데이터를 수집, 검증하였다. 서울특별시와 전라북도의 본청, 구, 시갋군청 594명의 공무원들로부터 응답을 받아, 분석에 사용하였다. 회귀분석결과, 간접경험은 금품수수 용인도와 긍정적 관계가, 윤리적 리더십은 부정적 관계가 있었다. 윤리적 리더십의 리더로서의 모범 요인은 간접경험과 부정적 영향 관계가 있었고, 윤리운영 요인은 직무관련 금품수수 용인도를 줄이는 효과가 발견되었다. 용인도에 대한 간접경험의 영향관계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는 윤리운영 요인만 유의하였고, 그 효과의 크기는 간접경험보다는 작았다. 윤리적 리더십의 이러한 조절효과는 간접경험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것으로, 금품수수 용인도를 낮추고자 한다면 윤리적 리더십의 윤리운영, 리더로서의 윤리적 모범 요인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 연구는 정부 청렴도조사 프로그램 가운데 윤리적 리더십이나 간접경험 측정의 업무설계 및 효과 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ibery tolerance, indirect experiences of bribery, and ethical leadership, and specifically estim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lerance of bribery and indirect experience of bribery.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of corruption and ethical tolerance and ethical leadership, hypotheses were develop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Ethical leadership was defined as a construct with two components, a leader`s role as a model of ethical behavior and as a manager of workplace ethics. Using a survey method,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594 mid-to-low-level government officials in two local government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North Jeolla Provinc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ndirect experiences of bribery positively affect tolerance of bribery while ethical leadership has a negative association with bribery tolerance. Ethical leadership also completely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indirect experiences and tolerance of bribery.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an ethical leader is important for reducing tolerance of bribery and indirect experiences of bribery. This research adds considerable depth to our understanding of what role ethical leadership and indirect experiences of bribery play in deterring potential bribery and how the question items in a government integrity survey can be improved to diminish bribery tolerance.

      • KCI우수등재

        비교법연구(比較法硏究) : 국내뇌물죄와 해외뇌물죄의 비교 연구 -FCPA, UK Bribery Act 등 외국 법제로부터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오택림 ( Taek Rim Oh ) 법조협회 2013 法曹 Vol.62 No.10

        최근 미국의 해외부패방지법(FCPA)이나 영국의 뇌물법(Bribery Act) 등으로 인해 해외뇌물죄(Foreign Bribery)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OECD 부패방지협약을 받아들여 해외뇌물죄를 규율하는 국내법을 두고 있다. 이러한 해외뇌물죄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법규와 실무의 통일이 상당 부분 진행되고 있는바, 이러한 해외뇌물죄와 국내뇌물죄의 비교를 통해 국내뇌물죄에 대한 입법적 보완 사항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우선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뇌물법 체계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특히 국내뇌물죄와 해외뇌물죄로 나누어 관련 조항을 간략히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국내뇌물죄와 해외뇌물죄의 비교 검토를 하였다. 해외뇌물죄에는 양벌규정이 있는 반면 국내뇌물죄에는 양벌규정이 없어 기업형사책임에 큰 차이가 있다. 또한 해외뇌물죄에는 벌금형의 상한을 정하는 기준으로 ‘범죄행위로 얻은 이익’ 개념이 도입된 반면 국내뇌물죄에는 그와 같은 개념이 없다. 그리고 공무원의 범위 및 예외사유의 유무 등에 대해서도 비교해 보았다. 또한 영국과 미국의 뇌물법 체계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영국의 경우 최근에 제정된 UK Bribery Act의 주요 조문별 내용을 소개하면서 우리법과의 차이나 고유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특히 독특한 부패방지실패죄와 그 면책사유인 적절한 조치의 6가지 원칙에 대해 살펴보았다. 미국의 경우 연방법 차원에서 국내뇌물죄와 해외뇌물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특히 최근에 화두가 되고 있는 FCPA의 내용 및 법집행 추세를 소개하면서 미국이 반부패 분야에서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즉, 엄한 기업형사책임을 전제로 기업들로 하여금 자율적인 컴플라이언스 확립을 독려하고, 부패 행위가 발생하였을 경우 기업 스스로 내부조사를 통해 진상을 규명한 후 이를 검찰에 자발적 신고함으로써 검찰과의 협상에서 선처를 받는 형식의 선순환 구조가 실무상 정착되었음을 소개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비교검토를 바탕으로 우리법상 국내뇌물죄에 대한 문제점은 없는지, 나아가 개선방안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우선 기업형사책임 차원에서 국내뇌물죄와 해외뇌물죄에 차이가 있을 이유가 없음을 강조하면서 국내뇌물죄에도 양벌규정의 신설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해외뇌물죄에 도입된 ‘범죄행위로 얻은 이익’ 개념을 국내뇌물죄에도 도입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양벌규정의 운영과 관련하여 법인 면책사유인 ‘상당한 주의 감독 의무’의 구체적 기준 마련이 시급하며, 바로 반부패 컴플라이언스 시스템 도입을 통해 구체적 기준 설정이 가능함을 설파하였다. 이때 영미식의 컴플라이언스 가이드가 큰 참고가 될 수 있으며 우리 역시 자체적인 가이드 마련이 시급함을 밝혔다. 또한 미국의 자발적 신고 제도나 다양한 협상을 통한 선처 실무 관행을 소개하면서 우리도 자수 감경과 조건부 기소유예 등을 결합하여 외국 실무 관행의 장점을 우리 나름대로 살릴 수 있음을 아이디어로 제시하였다. 부패방지가 우리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요즘 법규와 실무의 국제적인 통일 움직임을 보이는 해외뇌물죄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기존 국내뇌물죄 관련 조항과 실무에 문제점은 없는지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라 할 것이다. Recent years have witnessed a growing interest in foreign bribery due to the U.S. Foreign Corrupt Practices Act (FCPA), the U.K. Bribery Act, etc. Korea also enacted a law prohibiting foreign bribery pursuant to the OECD Convention on Bribery. There has been substantial convergence in many countries` laws and enforcement relating to foreign bribery. Thus, a comparative study of such foreign bribery regimes could provide input helpful for improving domestic bribery laws. This Article first briefly explains the structure of the Korea bribery laws by separating out domestic and foreign bribery law provisions. This Article then compares domestic bribery and foreign bribery under Korean law. While the Korean law governing foreign bribery provides for vicarious liability, the domestic bribery laws in Korea do not contain a vicarious liability provision. This could give rise t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rporate criminal liability. In addition, the Korean foreign bribery law introduced the concept "profit obtained through an offence" in setting the limit or cap on the amount of fine imposed for foreign bribery. The Korean domestic bribery laws, on the other hand, lacks such concept. Further, this Article explains the scope of "public official" and permitted exceptions and defenses provided under different laws. This Article briefly introduce the U.K. and U.S. bribery laws. In connection with the U.K. bribery laws, I explain important provisions of the recently enacted U.K. Bribery Act and differences between the U.K. Bribery Act and the relevant Korean laws. Particularly, it is noteworthy that the U.K Bribery Act contains provisions making it a crime for a commercial organization to fail to prevent bribery, and a guidance published by the U.K. government sets out the "six principles"to demonstrate that "adequate procedures" have been taken to prevent bribery. With regard to the U.S. bribery law, I explain domestic and foreign bribery laws at the federal level. Particularly, I briefly examine important aspects of the FCPA, which has recently drawn considerable attention, and recent trends in its enforcement that could show how the U.S. government has addressed corruption issues. The U.S. government, threatening stringent corporate liability, has encouraged companies to adopt internal compliance systems, conduct internal investigations on any uncovered corruptive behavior and voluntarily report their findings to the U.S. authorities. By providing leniency to such voluntarily reporting companies, the U.S. government has made strides to improve efficiency in enforcement and enable the virtuous cycle of voluntary reporting and lenient punishment to take root as a well-established practice. Finally, this Article, based on comparisons with foreign laws, discusses whether there is any room for improving the Korean bribery laws and, if so, how such improvements could be achieved. Among other things, by emphasizing that there is no reason Korean law should treat domestic bribery laws from foreign bribery laws in terms of corporate criminal liability, I argue that the Korean laws governing domestic bribery should provide for vicarious liability. I further argue that the concept "profit obtained through an offence", which is reflected in the Korean law regulating foreign bribery,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domestic bribery laws as well. Also, I believe that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specific guidance regarding the "reasonable supervision duty" which, if discharged, provides exemption from corporate vicarious liability, and I argue that putting in place sufficient anti-corruption compliance system and programs could serve as a basis for the discharge of the "reasonable supervision duty". In my view, compliance systems and programs adopted in the U.S., U.K. and other countries could provide guidance for how progress could or should be made in Korea. In addition, I propose that Korea could improve its enforcement system by adopting or learning from the U.S.`s voluntary reporting mechanism and leniency through plea bargaining and other types of negotiation with authorities. As anti-corruption has become a worldwide agenda, it is very important and imperative to compare and study the converging foreign bribery laws and related practices, thereby diagnosing and finding ways to improve domestic bribery laws and practices.

      • KCI등재

        뇌물수수죄와 제3자뇌물수수죄의 법리에 관한 연구

        이숙연(Lee, Sook-yeon) 한국법학원 2020 저스티스 Vol.- No.177

        뇌물수수죄 및 제3자뇌물수수죄에 관해 형성된 여러 법리 중 “형법은 뇌물의 귀속주체에 따라 제129조 제1항의 뇌물수수죄와 제130조의 제3자뇌물수수죄를 구별한다.”는 법리(이하 ‘제1법리’라 한다) 및 “제3자뇌물수수죄에서의 ‘제3자’는 공동정범이 아닌 자이어야 한다.”는 법리(이하 ‘제2법리’라 한다)는 뇌물범죄에 관한 죄명과 적용법조를 결정함에 있어 중요한 축을 형성해 왔다. 형법 제정 당시 예상하지 못했던 뇌물범죄 형태의 진화 및 그에 따른 법률적용의 어려움에 따라 위 각 법리에 대하여도 해당 조문의 연혁과 구성요건 등 근원에서부터 다시 검토해야 할 시기가 되었다. 이른바 ‘삼각뇌물’ 형태의 최근 사례들을 통해 뇌물수수죄와 제3자뇌물수수죄 경계 획정에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비신분범이 공무원의 직무와 관련하여 공여자로 하여금 자신에게 뇌물을 공여하도록 공무원과 공모하고, 뇌물을 수수하는 실행행위를 주도적․적극적으로 수행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이러한 경우 형법 제129조 제1항과 제130조 중 어느 조항으로 의율할지를 두고 기소와 재판과정에서 적지 않은 공방과 혼선이 초래된다. 두 조항의 경계 획정기준과 비신분범의 엄벌 필요성은 제1, 제2법리와 충돌하므로 해결 방법이 필요하다. 첫 번째 방법은, 제2법리를 유지하면서 제1법리를 변경 내지 수정하여 공무원과 비신분범을 모두 뇌물수수죄의 공동정범으로 의율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제1법리와 제2법리를 모두 유지하면서, 공무원은 제3자뇌물수수죄의 정범으로, 비신분범은 그 방조범으로 의율하는 것이다. 세 번째 방법은, 제1법리를 유지하면서 공무원과 비신분범 모두 제3자뇌물수수죄의 공동정범이 성립한다고 봄으로써 사실상 제2법리를 폐기하는 것이다. 대법원 2019. 8. 29. 선고 2018도13792 전원합의체 판결의 다수의견 및 2개의 별개의견은 각기 위 세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축적된 법리도 시대의 변화 및 범죄태양의 변경에 따라 변모될 필요가 있다. 형사사법절차에 있어 죄명과 적용법조의 판단기준은 일의적이고 명확해야 한다. 따라서 제1법리는 유지하고 근거가 박약한 제2법리는 폐기하는 것이 차선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불법성에 있어서 차이가 없는 제129조 제1항과 제130조를 하나의 조항으로 통합하도록 법률을 개정함으로써, 당사자들의 혼란과 사법자원의 낭비를 근원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최선의 방안이라고 할 것이다. Various legal principles have been accumulated regarding bribery and third-party bribery. The first one could be “the criminal law distinguishes bribery charges under Article 129 (1) from third-party bribery charges under Article 130, according to whom the bribe belongs to”(hereinafter ‘The First principle’) and the second one, “a principal offender could not be a ‘third-party’ in third-party bribery”(hereinafter ‘The Second principle’). These two principles need to be reexamined from the source. Recent examples of so-called “triangle bribery” show how difficult to demarcate bribery and third-party bribery. There are a number of cases where non-public officials conspire with public officials to make donors to give bribes to them in connection with public officials’ duties, and actively take important role in executing the crime. In such cases, there have been a considerable amount of confusion in prosecution and trial proceedings as to which article will govern.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provisions and the necessity for punishment of non-public officials conflict with the First and the Second principles. A solution is needed. The first method is to change or modify the first principle while maintaining the second principle so that both public officials and non-public officials can be condemned as a joint offense for bribery. The second method, while maintaining both the first and second principles, is to punish public officials and non-public officials as principle offenders and accessories of third-party bribery, respectively. The third method is to punish both of them as principal offenders of third-party bribery, by maintaining the first principle and repealing the second principle. The majority opinion and the two separate opinions of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8do13792(sentenced 2019.08.29.), seem to suggest the three methods, respectively. Accumulated legal principles and case laws also need to be transformed in response to change of times and changes of crimes. In criminal justice proceedings,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names of the crimes and applicable laws should be plain and clear. Therefore, it may be suboptimal to maintain the first principle and to repeal the second principle, which is weakly grounded. However, by unifying Article 129 (1) and 130, which have no difference in illegality, it would be the best way to fundamentally resolve the confusion and save judicial resources.

      • KCI우수등재

        뇌물죄와 제3자 뇌물제공죄에서 ‘대가관계’와 ‘청탁’의 요건

        최정학(Choi, Cheong-Hak) 한국형사법학회 2018 형사법연구 Vol.30 No.3

        Korean Criminal Law provides that an ‘illegal favor’ is needed for the bribery for the third. However, the illegal favor of this clause has been interpreted as the same meaning of a ‘favor’ by the Korean Supreme Court. Futhermore, the favor in the bribery should be eliminated or interpreted broadly as the ‘cost-benefit relation’ in the bribery. Because there is no reason of the additional request only for the bribery for the third. As a matter of fact, the ‘cost-benefit relation’ is the first and foremost requisite of the bribery. However, if we ask a specific and very detailed relation for the bribery it can be too much difficult to punish the bribery, because it is not easy to prove the specific cost-benefit relation. Therefore, since 1997,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interpreted this matter very broadly, that is, so-called ‘inclusive cost-benefit relation.’ This expanded relation can be reduced again by the judgement of the unreasonableness of the relation. For instance, in the case of a very small present for an officer or a donation for the public foundation, we can hardly find the necessity to punish it as a bribery. However, a donation should be dealt with very carefully, because this might be used as a disguised way of large amount of bribery. 제3자 뇌물제공죄의 ‘부정한 청탁’ 요건은 사전뇌물죄와 퇴직후 사후수뢰죄에서 규정하는 ‘청탁’과 같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 이 때 ‘청탁’의 의미는 실질적으로 뇌물죄 일반에서 요구되는 ‘대가관계’를 구체화하는 것으로, 즉 뇌물의 대상이 되는 직무행위를 보다 더 엄밀하게 특정해야 한다는 요청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사전 수뢰죄나 제3자 뇌물제공죄에서만 이와 같이 구체적인 대가관계가 증명되어야 할필연적인 이유를 찾을 수 없으므로, 이 ‘청탁’의 요건은 삭제되거나 아니면 적어도 현재 뇌물죄에 대해 판례가 인정하는 ‘포괄적 대가관계’의 정도로 완화하여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청탁의 대상인 특정한 직무행위가 밝혀지지 않는 ‘포괄적 청탁’이 인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해석에 따르면 이 범죄들의 처벌범위가 상당히 넓어지겠지만, 이것은 현실적인 처벌의 필요성을 위한 불가피한 결과라고 보아야 한다. 이렇게 보지 않으면 구체적인 대가관계가 입증되지 않는 제3자에 대한 뇌물제공을 처벌할 수가 없게 되고, 이것은 뇌물죄에서 중대한 처벌의 흠결이 있음을 의미한다. 결국 뇌물죄에서 가장 중요한 요건은 ‘대가관계’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직무행위가 뇌물과 교환의 대상, 즉 뇌물을 통한 거래와 흥정이 될 수 있다는 외관을 띠게 하여 공무의 공정성에 대한 일반의 신뢰를 침해하는 뇌물죄의 본질을 이루기 때문이다. 문제는 뇌물죄의 성립을 위해 어느 정도로 구체화된 대가관계를 요구할 것인가 하는 것인데, 이를 엄격하게 해석하면 특정한 직무행위를 정확하게 밝혀내기 어려운 많은 사건에서 뇌물죄의 성립과 처벌이 어려워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 판례는 1997년 이래 ‘포괄적 뇌물죄’의 법리를 발전시켜 왔고, 우리와 비슷한 문제를 가지고 있던 독일도 1997년 형법 개정을 통하여 뇌물죄의 기본 구성요건인 이익수수죄에서는 더 이상 구체적으로 특정된 직무행위의 입증이 필요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렇게 확장된 뇌물죄의 처벌범위는 대가관계의 부당성 판단을 통하여 축소될 수있다. 즉 이익의 제공이 어떤 사정으로 인해 공무에 대한 매수성의 외관을 전혀 띠지 않는 때에는 굳이 여기에 뇌물죄로 처벌할 실질적인 불법이 있지 않다고 보고 처음부터 구성요건 해당성을 배제할 수 있다. 여기에는 공무원에 대한 근소한 가액의 선물이나 대접, 그리고 공무원 본인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는 순수한 공익적 목적을 가진 제3자, 예컨대 공익재단에 대한 기부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후자에 대해서는 이것이 공익으로 위장한 개인적인 뇌물수수의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즉 우선 공무원과 제3자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엄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고, 그 외에도 제공된 이익의 양과 종류, 이익 제공과 직무행위 사이의 시간적 간격 등 대가관계 판단을 위한 일반적인 기준들을 함께 고려하여 그 뇌물성 여부가 결정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