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암묵적 기억성과는 상표친숙도 수준의 측정지표가 될 수 있는가?

        유창조(Chang Jo Yoo),이상준(Sang Jun Lee) 한국마케팅학회 2011 마케팅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암묵적 기억성과와 상표친숙도가 변화되는 추세를 비교함으로써 상표친숙도가 형성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암묵적 기억성과는 소비자의 지식구조를 반영하고 있고, 상표친숙도는 상표에 대한 지식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이 두 가지 변수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제안하였고, 이를 탐색하기 위해 두 가지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암묵적 기억성과로 나타나는 점화효과가 상표이름에 대한 인지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가와 암묵적 기억성과가 상표친숙도의 지표가 될 수 있는가를 실증적인 자료를 가지고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상표정보에 대한 노출횟수와 정보처리방식에 따라 암묵적 기억성과와 상표친숙도가 변화되는 추세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상표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유형(의미적 및 비의미적 정보처리)과 정보에 노출되는 횟수(0회, 1회, 2회 및 3회)를 개체간 변수로, 상표에 대한 인지수준을 개체내 변수로 조작한 실험설계를 진행했다. 또한, 본 연구는 실험대상 상표를 선정하고 학습시간을 정하기 위한 두 가지의 사전조사를 진행하여 실험의 타당성을 높였다. 먼저 조작점검으로 정보처리유형별 학습효과를 비교해 본 결과 실험조작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이 확인된 후, 연구과제에 대한 분석결과가 제시되었다. 첫째, 상표정보에 노출됨에 따라 나타나는 점화효과는 상표이름에 대한 인지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기존상표의 경우 상표정보에 대한 1회의 노출로도 점화효과가 나타날 수 있지만, 새로운 상표의 경우 3회 정도 수준의 반복노출이 있어야만 점화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암묵적 기억성과는 상표친숙도의 적절한 지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인지도가 낮은 기존상표의 경우 암묵적 기억성과는 현재의 상표친숙도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고, 시장에 새로이 소개된 상표의 경우 암묵적 기억성과는 상표친숙도의 선행지표가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요약하였고, 상표 관리자에게 유용한 관리적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의 한계점을 언급하면서 이를 극복하면서도 초기의 상표친숙도 형성과정에 대한 기존 지식을 확장해 줄 수 있는 후속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Prior studies have reported that brand familiarity is one of the key factors to build brand equity. Brand familiarity influences various types of consumer behaviors such as decision making process, advertising information processing, price perception, brand evaluations and brand loyalty. Brand familiarity derives from the number of brand-related experiences that have been accumulated by the consumer, including exposure to advertisements for the brand, exposure to a brand in a store, and purchase and/or usage of brand and so on. Depending on the types of experiences, consumers may process the informations about the brand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However, most studies about brand familiarity has analyzed the effects of consumers` conscious processing about brand informations and selected the well-known brands as stimuli. Therefore, we still do not know much about how brand familiarity is formed through consumers` unconscious information processing after the brand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the market. On the other hand, prior studies about implicit memory has analyzed the effects of unconscious information processing on consumers knowledge development and memory performance. Considering brand familiarity is closely related with knowledge structure about the brand, those studies provide foundations to understand brand familiarity formation process in the introductory stage in the market. Applying the theory of implicit memory to brand familiarity formation, we suggest that implicit memory performance can be an appropriate index for brand familiarity under certain contexts. Thus, we raised two important research issues in this study. First, we attempt to extend the knowledge about implicit memory by analyzing priming effects across information processing types. We recognized that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priming effects under non-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condition. Second, we attempt to test the feasibility of implicit memory performance as a brand familiarity index by analyzing the changing trends of those variables with more exposures to brand information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experimental designs to measure implicit memory performance and brand familiarity by information processing types and exposure frequencies. The dependent variables for this experiment were implicit memory performance, brand familiarity and brand attitude. We manipulat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types(cognitive vs. non-cognitive) and number of exposures to brand slogans(one exposure, two times exposures, three times exposures) as between-subjects factors and brand recognition level(existing brands with high recognition, existing brands with low recognition and new brands) as within-subjects factors. In addition, one control group with no exposures to brand slogans was included in the experimental design for comparisons. Two hundred twenty two students who took introductory marketing classe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and went through practice, learning to brand slogans, distracter test and performance measurement stages in order, depending on experimental conditions. We provided exercise samples to the participants to give some idea about tasks requested in the following learning period. In learning period, we showed target brand slogans in the screen and asked participants to read the slogans carefully or to count the number of consonants in the brand slogan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information processing types. Preliminary analyses were conducted to check if manipulations about information processing were successful. Ratios of correct answers at counting tests indicated low probability to process brand slogans semantically under non-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condition, and ratios of correct answers at brand name recognition tests showed higher memory performances under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conditions than under non-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condition, indicating the manipulati

      • KCI등재

        브랜드 친숙도 차이에 따른 OTT 플랫폼 디자인의 심리적 평가요소가 브랜드 연상에 미치는 영향 관계 분석

        나경훈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4 No.-

        기술의 발전으로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과 안정성이 향상되고, 모바일 및 포터블 기기의 보급에 따른 OTT 서비스의 이용 률이 가속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OTT 플랫폼 디자인에 대한 평가요소가 브랜드 연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브랜드 친숙 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였다. 디자인의 평가요소를 인지적 차원(레이아웃, 색상, 일러스트레이션, 이미지, 타이포그래피)과 심리적 차원(심미성, 상징성, 기능성, 조형성, 혁신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인지적 평가요소에 따라 넷플릭스, 티빙, 쿠팡플레 이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OTT 플랫폼은 그리드 시스템을 적용한 레이아웃, 다크테마 사용, 불필 요한 일러스트와 이미지 배제 등을 통해 사용자가 콘텐츠 자체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실증연구는 가설의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으며, 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의 평가요소는 브랜드 연상에 긍정적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브랜드 친숙도에 따라 디자인의 평가요소가 브랜드 연상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친숙도가 높을수록 디자인의 평가요소가 브랜드 연상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인 것으로 확 인되었다. 본 연구는 OTT 플랫폼의 디자인 평가요소, 브랜드 연상, 브랜드 친숙도의 관계를 밝힌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향후 관련 연구에 지속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streaming services have improved, and the utilization rate of OTT services has accelerated due to the spread of mobile and portable devices. In this study, the moderating effect of brand familiarity was identified in the effect of evaluation factors on OTT platform design on brand association. The evaluation elements of design were divided into cognitive(Layout, Color, Illustration, Image, Typography) and psychological(Aesthetics, Symbolism, Functionality, Formative, Innovative) dimensions, and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Netflix, Tving, and Coupang Play according to cognitive evaluation ele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OTT platform is designed to allow users to focus on the content itself through layout with grid system, use of dark themes, and exclusion of unnecessary illustrations and images. The empirical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and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valuation factor of design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ssoci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design evaluation factors on brand association varies depending on brand familiarit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brand familiarity, the more positive the impact of design evaluation factors on brand association.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evaluation factors, brand association, and brand familiarity of the OTT platform.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inue to be helpful for 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브랜드 원산지에 대한 인식이 브랜드 성과관련변수에 미치는 영향

        김기훈,김문태 대한경영정보학회 2018 경영과 정보연구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mage of brand origin on brand related variables in the formation of attitude or loyalty of global brand, We tried to identify more influential relationships through sub-variables such as brand familiarity, brand identification, and brand attitude.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results and implications. It is shown that the manufacturing ability image has no direct effect on brand identification, but the general image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brand identification.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apability image and general image of brand origin have indirect effects on brand familiarity through brand identification without directly affecting brand familiarity. In addition,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be more familiar with brands that they think are consistent with their own images, maintain a good attitude, and be more likely to be loyal to brands. Brand familia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but not on brand loyalty. Familiarity showed a positive attitude, but it did not necessarily lead to strong repeat purchase or purchase. 본 연구는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기반의 평가를 중심으로 글로벌 브랜드의 태도나 충성도의 형성에 있어 브랜드 원산지의 이미지가 브랜드 관련 변수들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연구로 브랜드 원산지 이미지가 브랜드 충성도 및 브랜드 자산 등으로 바로 영향을 미치는 모델을 벗어나서 브랜드친숙도, 브랜드 동일시, 브랜드 태도 등과 같은 하위의 변수들을 통해서 더욱 자세한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제조능력 이미지는 브랜드 동일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이미지는 브랜드 동일시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원산지의 제조능력 이미지와 일반적 이미지는 브랜드 친숙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고 브랜드 동일시를 통해 브랜드 친숙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은 자신의 이미지와 일치한다고 생각하는 브랜드일수록 더욱 친숙함을 느끼고 좋은 태도를 견지하며 브랜드에 충성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브랜드 친숙도는 브랜드 태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브랜드 충성도까지 이어지지 못하는 것으로나타났는데 친숙하다는 것이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게 하지만 반드시 강한 반복구매나 구매의도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외식기업의 모브랜드와 확장브랜드간의 상호작용 연구 - 브랜드 친숙도와 지각된 적합성을 중심으로 -

        이정탁,한경수 한국관광학회 2015 관광학연구 Vol.39 No.8

        This study aims to find the interaction between parent brand and extended brand, using Category Extension that is appropriate for food service. Study 1 focuses on how the parent brand affects the extended brand. To be more specific, 2X2 between subject design is set with the information of parent brand (exist/non-exist) and brand familiarity (high/low) as treatm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purchase intention. Study 2 focuses on how the extended brand affects the parent brand. To be more specific, 2X2 within subject design is set with the brand familiarity (high/low) and perceived fit (high/low) as treatm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purchase intention. Since the purchase intention are increased by utilizing parent brand’s information to the extended brand with low brand familiarity, introducing parent brand’s information on behalf of the new extended brand will bring positive results. This study reviews the influence of relationship variables of brand extension strategy from a food service company point of view. This is significant in providing a positive data base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brand extension strategy based on academic research. 본 연구는 브랜드 확장 중 외식의 상황에 알맞은 제품 카테고리 확장에서의 모브랜드와 확장브랜드간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모브랜드가 확장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x2 집단 간 실험설계로 모브랜드의 정보(유/무)와 브랜드 친숙도(고/저)를 처치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소비자반응을 구매의도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확장브랜드가 모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x2 집단 내 실험설계로 브랜드친숙(고/저)와 지각된 적합성(고/저)을 처치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소비자반응을 구매의도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이에 시사점을 제시하면 브랜드 친숙도 정도에 따른 차별적 마케팅 수립이 필요하다. 브랜드 친숙도가 낮은 확장브랜드의 경우는 모브랜드의 정보를 제시하면 구매의도가 상승하는 결과를 보이므로, 향후 새로운 확장브랜드를 도입하는데 있어서 모브랜드의 정보를 함께 이용하면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외식기업 관점에서 브랜드 확장전략에 영향관계 변수를 파악하고, 브랜드 친숙도와 지각된 적합성에 따른 모브랜드와 확장브랜드 각각의 마케팅전략을 제시하여, 효과적인 브랜드 확장전략의 근거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큰 의의를 가진다.

      •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친숙도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 Chen Zhijia ),김문홍 ( Kim Moon-hong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6 유통정보학회지 Vol.19 No.5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that will affect the customer purchase intention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nsumption and marketing management. Therefore, further investigation in this study to determine which factors will affect and how to affect consumer purchase intention has significant mean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 this paper, we chose 318 consumers as the research object, examine the influence between brand communication and consumer purchase intention on the real brand - Huawei, and also based on the theory of brand related and social exchange,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transfer mechanism between brand communication and consumer purchase intention, as well as the regulating mechanism of consumer brand familiarity.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brand communication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Consumer brand trust has mediating effect between brand communication and consumer purchase intention; Consumer brand familiarity has regulating effect between brand communication and brand trust; Consumer with high brand familiarity, consumer brand trust has stronger mediating effect between brand communication and purchase intention.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brand communication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 view of brand communication, firstly, expand our understanding of how brand communication can affect consumer purchase intention; secondly, explore the intermediary effect of brand trust between brand communica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irdly, it analyzes the regulating effect of brand familiarity among brand communication and brand trust; and finally, brand familiarity will enhance the mediating effect of consumer trust between brand communica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se research findings will develop and improve the relevant theories of personal consumption and consumption management.

      • KCI등재후보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가 브랜드 친숙성에 미치는 영향

        송균석(Song Kyun-seok),남윤형(Nam Yoon-hyung) 한국상품학회 2006 商品學硏究 Vol.24 No.2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components of brand equity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brand equity components on the brand familiarity. This research proposed 6 hypotheses on 6 latent variables about brand equity and brand familiarity, and tes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ults are that brand awarenes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brand association and perceived quality and perceived quali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association. Also, both brand association and perceived quality related with brand loyalty, and brand loyal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familiarity.

      • KCI등재

        아웃도어 스포츠브랜드에서 브랜드 친숙도와 광고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에 관한 연구

        최지은,김일,황선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3

        최근 아웃도어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아웃도어 웨어 브랜드 마켓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고, 또한 친숙도가 높은 브랜드와 낮은 브랜드 모두 동일한 광고 유형은 연예인을 모델로 기용하는 광고 전략으로 채택하고 있다. 브랜드 친숙도에 따라 광고 유형을 이미지광고와 정보 전달 광고로 나눈 후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를 측정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검증 하여 효과적인 광고 유형을 제시함으로써 광고 전략에 구축 시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패션에 관심 있는 20-30세대의 남,녀 대학생 및 대학원생 347명을 피험자를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측정 도구로는 SPSS Ver. 20.0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브랜드 친숙도에 따라 광고 유형별 광고 효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친숙도가 높은 브랜드는 이미지 광고가 효과적이며, 친숙도가 낮은 브랜드는 두 개의 광고 유형의 광고효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친숙도에 따라 광고 유형별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는 서로 차이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브랜드 친숙도에 따라 효과적인 광고 유형을 제시함과 동시에 아웃도어 브랜드를 생산하는 기업의 마케팅적 측면에서 광고 전략 수립 시 도움을 줄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As the population who enjoy outdoor sports increases, the outdoor ware brand market has been expanded. The brand with high familiarity and brand with low familiarity adopt the same type of ads, that is, the ads strategy of employing entertainers as model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ads effects and to present effective type of ads by separating type of ads into image ads and information delivery ads depending on brand familiarity and measuring ads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reby helping to build ads strategy.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347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20~ 30’s who are interested in fashion. SPSS Ver. 20.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s measurement tools.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ads per type of ads depending on brand familiarity, the brand with high familiarity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with image ads, and brand with low familiarity showed no difference in effects of ads between two types of ads. Ads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proven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familiar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help in establishing ads strategy in terms of marketing of company who produces outdoor brand while presenting effective type of ads per familiarity of brand.

      • KCI등재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친숙도 및 브랜드-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고서진(Ko Sujin),이루리(Lee Luri) 한국상품학회 2017 商品學硏究 Vol.35 No.3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친숙도와 브랜드-자아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커피전문점은 소비자들의 이용 빈도가 높은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비교적 단기간에 친숙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브랜드 친숙도는 브랜드에 대한 애착 등 긍정적인 정서 형성을 위한 전제로 작용할 수 있는 동시에 브랜드 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므로, 커피전문점에 대한 브랜드 친숙도가 브랜드-자아 이미지 일치성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친숙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친숙도는 브랜드-자아 이미지 일치성을 매개로 하여 브랜드 충성도에 간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친숙도와 브랜드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후자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련 분야의 학문적 이해를 증진시키고 보다 효과적인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전략 수립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and familiarity and brand-self image congruity of franchise coffee shops on brand loyalty. Consumers are relatively quickly familiar with the franchise coffee brand which they use since it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consumed services in everyday life. As brand familiarity directly influences brand loyalty as well as positively affects consumers emotion such as brand attachment, this paper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effect of brand familiarity on brand-self image congruity and brand loyalty in the franchise coffee service industry. The results show that brand familiarity directly influence brand loyalty as well as it indirectly affects brand loyalty thru brand-self image congruity. In addition, Brand-self image congruity positively influence brand loyalty and this effect was stronger than the direct effect of brand familiarity on brand loyalty. This study contributes to extend an academic understanding in the field of brand management and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to help marketing practitioners manage their brand more effectively.

      • KCI등재

        자기해석 유형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정윤(Jungyun Kang),이철성(Chul Sung Lee),이호배(Hobae Lee)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6 연세경영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소비자의 자기해석 유형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브랜드 캐릭터의 선호도, 이미지 적합성, 그리고 캐릭터 친숙성의 매개적 과정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즉 브랜드 캐릭터와 제품과의 이미지 적합성이 자기해석유형과 브랜드 캐릭터 선호도간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제품 친숙성이 브랜드 캐릭터 선호도와 브랜드 태도간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그림 1] 참조). 구체적으로는 자기해석 유형 → 브랜드와 캐릭터 간 이미지 적합성 → 캐릭터 선호도 → 캐릭터 친숙성 → 브랜드 태도로 이어지는 경로를 살펴보았다. 소비자의 자기해석 유형은 독립적 자기해석과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으로 구분하고, 인지도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제품들의 브랜드 캐릭터를 활용하여 소비자의 자기해석 유형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캐릭터의 매개적 과정을 통해서 확인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낸 연구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성향의 소비자는 독립적 자기해석 성향의 소비자보다 브랜드 캐릭터를 활용하는 브랜드에 대해서 더욱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하였다. 둘째,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성향의 소비자는 독립적 자기해석 성향의 소비자보다 브랜드와 캐릭터간의 이미지 적합성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 브랜드와 캐릭터간의 이미지 적합성은 브랜드 캐릭터에 대한 선호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캐릭터에 대한 선호도는 캐릭터 친숙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캐릭터 친숙성은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analyzes how consumers’ self-construal has effects on brand character preference and brand attitude. Consumers’ self-construal types are divided into two types -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as for objects for this research, brand characters which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product familiarity are used to look into brand character preference and brand attitude.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veal the mediating role of brand character preference between self-construal types and brand attitudes. This research als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image congruence between self-construal types and brand character preference and the mediating role of character familiarity between brand character preference and brand attitudes.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show as follow.; First, consumers with highly develope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brand using characters than consumers with highly developed independent self-construal. Second, consumers with highly develope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build more positive image congruence than consumers with highly developed independent selfconstrual. Third, image congruence has positive influence on brand character preference. Fourth, brand character preference has positive influence on character familiarity. Lastly, character familiarity has positive influence on brand attitudes.

      • KCI등재

        Effects of brand familiarity and brand loyalty on imagery elaboration in online apparel shopping

        Ui-Jeen Yu,조은주,Kim K. P. Johnson 한국마케팅과학회 2017 Journal of Global Fashion Marketing Vol.8 No.3

        Consumers tend to imagine product features, functions, or usage that they have learned from previous exposure to and experiences with brands, especially when they engage in online apparel shopping. Prior brand-related factors, such as brand familiarity and brand loyalty, may infl uence imagery elaboration – the activation of stored information in the production of mental images beyond that provided by the stimulus – evoked through virtual product experience tools with online apparel websit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examine how brand familiarity and brand loyalty impact imagery elaboration at online apparel websites and consequently infl uence attitudinal and behavioral intention relative to the brand. Utilizing MacInnis and Joworski’s model of brand attitude formation, a conceptual model was developed. Using an Internet-based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403 undergraduates at a Midwestern university in the US. Results indicated participants familiar with, and loyal to, a brand engaged in greater imagery elaboration as evoked through virtual product experiences, resulting in positive brand attitudes and online purchase intention.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to highlight the important roles of brand familiarity and brand loyalty on imagery elaboration, brand attitudes, and online purchase inten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