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후기구석기시대 알타이 지역 돌날석기문화의 아시아 주변 지역으로의 확산 연구

        이헌종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4 유라시아문화 Vol.11 No.-

        알타이지역 EUP의 돌날석기문화는 40-30ka BP에 카라-봄 유형과 카라콜 유형이 공존하였으며, 각 유형의 유적들은 지역구분 없이 알타이 여러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이 지역의 돌날제작기술체계에는 ‘기원지 효과(origin effect)’에 따라 돌날을 떼기 위한 모든 범주의 기술적 속성이 반영되어 있다. 특히 시베리아와 주변 지역의 유적들에서는 시간적으로 대형돌날떼기법에서 중소형돌날떼기법으로 그 기술체계가 진화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알타이 지역은 대부분의 기술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 기술은 앞선 르발루아 기술에 기초하고 있으며 돌날을 떼는 기술로 전환되는 과정에 각각 영향을 주었다. 카라-봄 유형은 커다란 각주형의 몸돌을 활용한 돌날떼기법을 통하여 대형돌날로부터 중소형돌날에 이르는 여러 크기의 돌날을 떼는 박리전략을 포함하고 있으며 초대형돌날을 떼어내는 경향성을 갖고 있다. 카라콜 유형에서는 측면몸돌과 원추형 및 쐐기형몸돌이 중소형의 규모로 작아지면서 소형몸돌 혹은 세형몸돌로 그 기술이 확장되는 경향성을 갖는다. 하지만 양면박리 기반의 세형몸돌은 존재하지 않는다. 각 유형별 돌날몸돌의 크기는 중기구석기시대의 르발루아 몸돌의 크기와 깊은 연관이 있다. 물론 이 두 유형 모두 대형돌날몸돌이나 소형 혹은 세형돌날몸돌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그와 같은 경향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편년과 제작기술체계에 따르면 알타이 지역의 돌날떼기 기술은 40-30ka BP에 알타이 지역을 벗어나 초원지대를 따라 중부와 동부 시베리아로, 중앙아시아, 몽골, 내몽골 등 알타이 남부의 접경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이 지역의 대표적인 EUP유적들의 석기의 진화단계를 살펴보면 알타이 지역과 달리 돌날제작기술체계가 카라-봄 유형이 발전하거나 카라-봄 유형에서 카라콜 유형으로 단계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폭넓은 돌날 감쇄전략을 포괄한 [A 기술인자], 양면박리 기술이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B 기술인자], 다량의 돌날 및 세형돌날 소재가 필요한 경제적 요구가 있는 [환경인자]가 동시에 충족되어야 양면박리 기반의 세형돌날문화가 등장할 수 있다. 세형돌날문화 초기에 극동지역(셀렘자 후기구석기유적군)에서는 양면박리기반의 세형돌날문화가 정착했다면 알타이 지역 카라콜 유형에서 시작된 세형돌날기술은 돌날기술을 계승하여 알타이 지역 내(아누이 2유적)에서 뿐 아니라 몽골, 중앙아시아, 내몽골 일대의 쐐기형을 비롯해서 원추형, 각주형 등 세형돌날기술체계로 정착했을 가능성이 크다. The blade industry of Altai region largely consisted of Kara-Bom variant and Karakol variant coexisting between 40 and 30 ka, and relics of each type are distributed in various regions of Altai without regional distinction. The blade technological system in this region reflects all categories of technical elements for reducing the blade according to the ‘origin effect’. In particular, in sites in Siberia and contigeous regions, the technological system gradually evolves from large blade to middle and small blade reduction stratagy, but it is noteworthy that most technologies appear simultaneously in the Altai region. This technology is based on the succeeding Levallois technology and each influenced the transition to blade technology. The Kara-Bom variant includes reduction strategy, which flakes blades of various sizes from large blades to small and middle blades through blade production utilizing a large prismatic core, and has a tendency to remove very large blades. Producing these blades involves advanced technology that requires special skills in blade reduction technology. In the Karakol variant, it can be seen that the narrow faced core, conical core, wedge-shaped core that appear are reduced to small and medium-sized blades. This type shows the tendency of the technological system to produce small and medium-sized stone blades rather than large stone blades. Additionally, a microblade core based on bifacial flaking does not exist. The size of the blade core of each variant is closely related to the size of the Levallois core of the MP. Of course, this does not mean that both of these variants do not have large blade cores or small and microblade cores, but that they show the same tendency. According to chronology and blade production technology, this technology in the Altai region left the Altai region in 40-30 ka and spread along the steppe of central and eastern Siberia, and to the border areas of southern Altai, such as Central Asia, Mongolia, and Inner Mongolia. Looking at the evolutionary stages of stone tools in representative EUP sites such as the Tolbor site in Mongolia, the Obi-Rakhmat and Ushbulak sites in Central Asia, the Shuidongou site in Inner Mongolia and the Suyanggae site in Korea, including the Siberian steppe, we can see that, unlike the Altai region, the stone blade production technology system tends to appear in stages from the Kara-Bom type to the Karakol type. This observation is no different from that of Zwins and other scholars who have different views on the origin theory of blade industry in the Altai. This archaeological evidence of the spread of stone tool culture will be important data in understanding the migration flow of the Denisovan(Homo sapiens altaiensis). Meanwhile, the research results so far are clear that these two variants of blade industry have spread to various regions of North Asia and Northeast Asia, but they only confirm fragmented information centered on major sites. Among the blade technologies of the Karakol variant, it was confirmed that the microblade core was manufactured. However, it is questionable how this technology evolved into a systematic microblade technology based on the bifacial flaking found in the Selemdja Upper Paleolithic complex(27ka BP). A microblade industry based on the bifacial technique can emerge only when [Technical Factor A] encompassing a wide range of blade reduction strategies, [Technical Factor B] where the bifacial technique is universally used in tool manufacturing, and [Environmental Factor] where there is an economic need for a large number of blades and microblades are simultaneously satisfied. Presumably, if the microblade industry based on the bifacial technique was initially established in the Far East, the microblade industry that started in the Altai region as the Anui 2 site is likely to have established itself as a microblade technological system such as the wedge type, conical type, and prismatic type in Mongolia, C...

      • KCI등재

        우리나라 돌날몸돌 제작기술체계의 특징과 변화 시고

        이헌종,이상석 한국구석기학회 2014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9

        Chronology of blade tool culture is examined through absolute dating, it is confirmed that it had been maintained for 20~15ka around 35ka in Korea. As for the raw material for the blade tools, the volcanic rocks ro sedimentary rocks were mainly used for tis manufacturing. The blade core confirmed at the site had passed through the core shaping process in order to detach blad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iking platform and the working face, the type of one striking platform-one working face is the most popular and the next is the type of 2 striking platform-1 working face. In the case of large blade core, the type of one striking platform-one working face is main techonological system, and the middle or small size blade core have various types of striking platform and working face.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blade core with blade tools, 2/3 length or whole length of blades were consecutively detached using hinging method on the basis of perpendicular flaking. And the straight blade received from this process use for the materials of tanged point and end scraper and others. It can be classified as two stages based on the change of blade core technical system. The 1st stage(35ka~30ka) is characterized mainly pebble tool tradition with small number of blade cores and blade tools without controled technological system, and it is belonged to Hopyeong-dong site and Chongok site. The 2nd stage(30~15ka) is the charaterized the typical blade tool technology, and it is included to Yongsan-dong site, Gorae-ri site, Jinguneul site, Juknae-ri site, Oji-ri site, Sinhwa-ri site, Jeongjang-ri site etc. 절대연대를 통해 살펴보면, 우리나라 돌날석기문화의 편년은, 35ka를 전후로 시작하여 20~15ka 어느 시기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석재는 화산암이나 퇴적암계의 암석이 주류를 이룬다. 유적에서 확인된 돌날몸돌을 타격면 및 작업면의 상관관계에 따르면, 1타격면 1작업면의 형태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은 2타격면·1작업면의 몸돌이다. 대형의 돌날몸돌일수록 1타격면 1작업면의 형태가 가장 많고, 중·소형의 돌날몸돌은 타격면과 작업면의 형태가 다양해진다. 돌날몸돌과 돌날을 복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수직박리를 기반한 hinging기법을 이용하여 2/3 혹은 전 길이의 돌날을 연속적으로 박리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비교적 곧은 돌날은 그런 돌날이 필요한 슴베찌르개와 끝날긁개 및 다른 돌날석기 제작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돌날석기 제작기법 변화는 크게 2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1기는 자갈돌석기전통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돌날석기관련 석기들과 몸돌이 공반되는 시기(35ka~30ka)이며, 호평동 유적과 촌곡 유적이 그에 해당된다. 2기는 전형적인 돌날석기 제작 기술체계를 잘 나타내주는 시기 (30~15ka)로서 용산동 유적, 고례리 유적, 진그늘 유적, 죽내리 유적, 오지리 유적, 신화리 유적, 정장리 유적 등이 이에 해당된다.

      • KCI등재

        시베리아와 그 주변지역 돌날석기문화의 기원과 확산에 대한 새로운 관점

        이헌종,손동혁,이상석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8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2 No.1

        Based on the new archeological specimens in Siberia and the surrounding areas, the research trends and new hypotheses of the blade industry have been examined. As the result, some of the hypotheses already suggested are considered to be reexamined. First of all, the new data on the various aspects of the blade industry,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Out of Africa” theory, draw our attention. This is because they show that many remains from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middle and the upper paleolithic have been found not only in Siberia but in Mongolia and Central Asia as well. Especially, the artifacts of Tolbor in Mongolia region and those of Obi-Rakhmat in Central Asia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in terms of the chronology and characteristics of initial upper paleolithic. It is worth noticing that the chronological record of Obi-Rakhmat remains sets an upper limit in 85ka. Moreover, the fact that the existing Kara Bom and Karakol variant don’t always apply to this region should not be overlooked as well. Another important point of this study is that the origin of the microblade industry should be verified based on the diversity of the blade industry. In other words, the remains from the blade industry in Siberia and the surrounding areas are associated with small-sized blades and unsystematic microblades, regardless of Karakol variant. If we define these cores as microblade cores, they may cause some confusion in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with other blades from the period when microblade industry spread out, which are found all over Northeast Asia from about its 27ka and have systematic detaching technique. Therefore, there is still little evidence to make close connection between unsystematic microblade core and other systematic microblade cores in terms of technical system. Meanwhile, it is a remarkable technological shift that the blade tool group of Karakol variant adopted a lithic technology, which was the similar approach that the middle and small-sized blade cores of 1 striking platform 1 working face and those of 2 striking plaform and 1 working face took. Along with such changes, more systematic studies are required to find out if the unsystematic microblade cores and small-sized blades would appear. Even though being a few, such unsystematic microblade cores have been consistently found in the remains from 30-40ka. Also, because the timing difference between the systematic microblade cores and unsystematic ones has been gradually decreased,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e remains which may help us to find out the technological change at that time would be soon discovered. The fact that they used bifacial technique as a core not a tool, which brought the systematization of technology, is the key of the technological change. 아프리카 기원설과 다른 돌날석기문화의 다양성 측면에서의 새로운 자 료들은 최근 연구 성과로 확인되었다. 시베리아와 몽골과 중앙아시아의 여러 유적에서 중기-후기구석기시대의 과도기에 해당하는 여러 유적들이 이에 해당한다. 특히 몽골지역의 톨보르유적군과 중앙아시아의 오비-라흐 마트유적은 편년과 성격 설정에 있어 신중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세형돌날문화 기원에 대해 돌날석기문화의 다양성을 통해서 확인할 필 요가 있다. 시베리아와 그 주변 지역의 전형적인 돌날문화유적에서 카라콜 유형 여부와 상관없이 소형돌날과 비체계화된 세형몸돌들이 공반된다. 이 몸돌들은 세형몸돌로 규정할 경우 약 27ka부터 동북아시아 전역에서 확인 되는 체계화된 박리체계를 갖고 있는 세형돌날문화의 확산기의 몸돌들과 의 관계 설정에 많은 혼돈을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술체계적 측면에서 여전히 이 비체계화된 세형몸돌과 체계화된 몸돌과의 기술적 연 관성을 직접 연결시킬만한 근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한편 카라콜유형의 석기군이 돌날석기문화가 정착되어가며 중소형의 1타격면·1작업면의 몸돌과 2타격면·1작업면의 몸돌들과 같이 기술적으 로 중소형돌날을 전략적으로 떼어내는 방식의 기술이 확대되는 것은 주 목할 만한 기술 변화이다. 변화의 맥락에서 비체계화된 세형몸돌과 소 형돌날들이 등장하는 것은 아닌지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 다. 특히 이런 비체계화된 세형몸돌들이 소량이지만 30-40ka의 유적들 에서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 비체계화된 세형몸돌과 체계화된 세형몸돌 간의 시간적 차이가 줄어드는 양상을 보인다. 그 기술변화의 중심에는 기술의 체계화를 가져온 양면박리기술을 석기로가 아니라 몸 돌로 활용하는 데에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후기구석기문화 ‘공존모델’의 특징과 문화복잡성 연구

        이헌종(Lee, Heon-jong) 한국구석기학회 2015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2

        The flake tool industry with heavy weight tools, based on the Pebble Tool tradition from the Middle Paleolithic and the blade tool industry co-existed around 40ka. Main artifacts are persisted such as pebble tools. However technological features had changed more delicate flaking and retouching for making not only heavy weight tools but flake tools. Preparation of cores are also more advanced such as preparation of striking platform, rejuvenating process on the frontal part and corner of striking platform of cores for the more elongated flakes. On the technological contexts, it is suggested that the blade technology had given strong influence on the technological choices of the pebble-tool makers. And, flake tool industry characterized by the various flake tool assemblage which adopted the new lithic raw material and flaking technique has appeared. Around 40ka the blade tool industry was settled in Korea, and this made it spread into the Korean Peninsula until 15ka. and Microblade Culture had been gradually started from 25,000 B.P. and continued to the beginning of Neolithic. After the 15ka bifacial leaf shaped spear head and arrow head were an important stone tools to designate its time. Otherwise microlizational cognition of microblade industry has an effect to appear unique type small flake tool industry such as Hwajeongdong site. Therefore four Culture Lines shows the complexity reacting various cultural elements from around 45ka B.C. to the end of Upper Paleolithic in Korea. Especially There are three cultural lines during 40ka-25ka B.C. and whole lines co-existed during 25-15ka B.C. According to this situation Korean Upper Paleolithic should not interpreted by unilinear evolutionism. Four culture line was coexisted each time ranges and partially there are possible to exist technological hybridization between the industries. Korean Upper Paleolithic has variation through the concept coexistence model based on the period and cultural complexity system. 우리나라의 후기구석기시대에는 중기구석기시대 이래로 몸돌석기를 포함한 격지석기전통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40ka 전후에 돌날석기를 기반한 후기구석기시대 문화가 공존하기 시작하였다. 돌날석기문화는 2단계를 거쳐 후기구석기시대의 최말기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다. 한편 몸돌석기를 포함한 격지석기전통의 유적들의 일부는 돌날석기문화의 영향을 받아 또 다른 형태의 후기구석기시대 문화의 한 유형을 만들어 내었다. 자갈 돌석기전통의 석기문화에 종장격지를 생산하는 몸돌의 등장과 그 기술체계를 예로 들 수 있다. 돌날석기문화가 우리나라에 정착이 가능했던 것은 돌날의 기술체계의 적용이 가능한 석재 산지의 발견과 깊은 연관이 있으며, 수양개 VI지구는 그 대표적인 사례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돌날석기문화는 석재의 안정적 지원을 받는 곳에서는 다른 석기문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 석기제작체계를 유지하였다. 한편 새로운 석재에 대한 인식은 격지석기 전통에도 영향을 주어 기존의 몸돌석기를 포함한 격지석기전통의 또 다른 갈래로 나타나게 되었다. 새로운 석재의 범위에는 항상 좋은 석재 뿐 아니라 육성암계 맥석영을 활용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돌날석기문화가 후기 구석기시대 최말기까지 지속되고 있을 때 세형돌날문화의 한반도로의 이주가 25ka 전후에 있었고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를 넘어 초기 신석기시대까지 그 문화적 속성을 이어갔다. 한편 세형돌날문화의 소형화 인식은 격지석기를 다루는 인식에도 영향을 주어 화정동유적과 같은 독특한 유형의 격지석기들을 제작하는 경우도 나타 났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후기구석기문화는 단선적으로 해석할 수 없으며 네 문화갈래가 한반도 내에 공존 하며 석기문화 사이의 기술적 융합이 부분적이라도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후기구석기 문화는 위의 시간적 공존모델과 문화복잡성의 관점에서 보아야 하는 다양성을 갖고 있다.

      • KCI등재

        라샨하드 유적과 몽골 동부의 이른 시기 돌날석기 공작

        이선복(Seon-bok Yi) 한국구석기학회 2013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8

        라샨하드 유적은 몽골 동부지역의 대표적 구석기시대 유적이다. 이곳에서는 특히 1980년을 전후해 그 주요 부분이 조사되었으나, 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지극히 간략한 내용만이 알려졌다. 따라서 몽골 동부지역의 구석기에 대한 정보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는 형편이다. 서울대학교 박물관과 몽골 과학원 고고학연구소가 합동으로 2010년과 2011년에 실시한 조사에서는 퇴적층의 상당한 부분이 동물에 의한 굴 파기 등의 생물학적 요인으로 심하게 교란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수습 유물의 특징으로 미루 어볼 때 퇴적층이 긴 시간에 걸쳐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지만, 이러한 교란으로 인해 문화층의 구별이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물의 변화 양상은 판단하기 어렵다. 발굴은 지표에서 1.5m 내외까지 이루어졌고 퇴적층은 그 아래로도 이어지는데, 발굴 부분의 가장 아래에서는 낙반으로 후대에 동물이 훼손하지 못한 구역이 확인되었다. 이 파괴를 면한 퇴적층에서는 돌날 석기 공작의 특징을 보여주는 석기가 수습되었 고, 함께 발견된 동물 뼈에서는 약 4만 년 전의 방사성탄소연대가 얻어졌다. 이와 유사한 석기공작은 몽골 서북부 오르혼 강 유역 및 중국 내몽고와 영하에서도 발견되고 있는바, MIS 3 단계에 동북아시아 내륙 지방에서는 돌날석기 공작이 광범위하게 분포하였음을 시사해준다. Rashaan Khad is perhaps the only palaeolithic site so far known in eastern Mongolia, but we know little about its stratigraphy and lithic industry. In 2011 and 2012, a joint Mongolian-Korean team from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Mongolian Academy of Sciences and the Seoul Natonal University tested the site. It was revealed that the bulk of the deposit had been destroyed by various biological agents, particularly by burrowing animals. Only the small portion of the lowermost part of the excavated deposit escaped such wholesale destruction where stone tools made on blades were recovered. C-14 dates obtained from faunal remains suggest an age of ca. 40 ka. Artifacts of similar nature are known from the Orkhon River basin in northwestern Mongolia. Also, it may well be that the sites of Jinsitai in Inner Mongolia and Shuidonggou in Ningxia, China, also share similar materials. Reduction sequence related to blade production at these sites is not clear yet. However, when taken together, it appears that blade production had been widely adopted in inner parts of Northeast Asia prior to ca. 30 ka.

      • Integrated approach for rotor blade manufacturing cost estimate

        Lin, Than,Lee, Jae-Woo,Lwin, Tun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2011 Aircraft engineering and aerospace technology Vol.83 No.4

        <B>Purpose</B>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integrated model for composite rotor blade manufacturing cost estimates at the conceptual design stage. The integrated model seeks to provide a rapid and dynamic feedback based on evaluating the manufacturing cost estimate for a new product design at the conceptual design stage. This paper describes the automated estimating process for design to manufacturing cost of composite rotor blade. <B>Design/methodology/approach</B> - An integrated approach is implemented for evaluating the manufacturing cost estimates. The paper develops each module of the computer-aided parametric model generation, time estimation models for composite manufacturing processes and decision support system. Finally, process flow data integration is done for all the modules. An example for a complicated geometric rotor blade is shown in this research paper. The results are compared in different design parameters and discussed. <B>Findings</B> - The data integration for this approach was built by using ModelCenter<SUP>®</SUP> software. It is easier and more robust to apply than the other proposed methods. The selection of design, material and manufacturing parameters is achieved by integrated model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B>Practical implications</B> - This paper provides an integrated concurrent approach for manufacturing cost evaluation of composite rotor blade. Manufacturing factors could be considered at the early stage of product development phase. <B>Originality/value</B> - This paper suggests an effective and efficient way of evaluating the manufacturing cost at the conceptual stage of the design process. The concurrent engineering and integrated product process development approaches were addressed.

      • KCI등재

        중부지방 구석기공작의 지역성 고찰

        이정철(Lee, Jungchul) 중부고고학회 2018 고고학 Vol.17 No.2

        In order to understand regionality of the Paleolithic industry in Central Korea, it was divided into 6 areas mainly in the river system. After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the stone industry and stratigraphic chronology by area, the spatiotemporal regionality was examined through comparison. As a result, the beginning of the Paleolithic in the lowest C layer has a regional time difference. The hand-axes classified as large tools are concentrated in the river area of Youngdong, the Bukhan river area, the main stream of Han river area, the Imjin-hantan river area. The chopper-chopping tools are concentrated in the Namhan river area. In particular, the morphological technique of hand-axes in the Imjin-hantan river area and main stream of Han river area has many types and skillful process than other areas. In addition, the Imjin-hantan river area and the Bukhan river area show differences in stone industry between the sites of main stream and the branch of stream. In the B2 lay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occupancy of large and small tools between the areas. The technical transfiguration of hand-axes is observed in the Imjin-hantan river area and main stream of Han river area. End-scrapers are concentrated in the sites of the river area of Youngdong, the Anseongcheon area, the Bukhan river area and the branch of Namhan river area. In the B1 layer, the large tools are decreasing and small tools are increasing rapidly. However, there is little change in the Bukhan river area and decline of large tools is unclear in the river area of Youngdong and the Anseongcheon area. The hand-axes are concentrated in the some sites of the Anseongcheon area, the river area of Youngdong and the Bukhan river area. The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 appear sequentially in all areas except Anseongcheon area and river area of Youngdong. In the case of blade technique, there is a very difference in appearance by region. But the case of micro-blade technique,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in appearance by region. Also, quartz-quartzite small tools have been miniaturized in the latter period except the river area of Youngdong and the Anseongcheon area. In the A layer, which is the top layer, except for the Anseongcheon area, quartz-quartzite small tools are miniaturized obviously. In the B1 layer, the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 are maintained according to the area, but the blade technique is cut off in the main stream of Han river area and the micro-blade technique is appearance in the river area of Youngdong. Meanwhile, new tools such as arrowheads and stone axes continuing to the Neolithic Age are confirmed in the river area of Youngdong and the Imjin-hantan river area. This difference in spatiotemporal regionality can be attributed to the selection and acquisition of raw materials used in stone tools making and the function of the sites. However, differences in the stone industry are also observed within the same area, it should be avoided to simply understand the stone Industry from the Paleolithic. 중부지방의 구석기 유적을 수계망에 따라 영동하천, 북한강, 남한강, 한강본류, 임진-한탄강, 안성천의 6개 권역으로 구분한 후, 기존 연구 가설을 기반으로 각 권역 내 석기공작의 전개와 층서 편년을 파악하고, 비교를 실시하여 중부지방 구석기공작의 지역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최하층인 C퇴적층에서 구석기시대의 시작은 권역간 시간적 차이가 있으며, 대형석기인 주먹도끼류는 영동하천권역, 북한강권역, 한강본류권역, 임진-한탄강권역, 찍개류는 남한강권역에 집중된다. 특히 임진-한탄강권역과 한강본류권역의 주먹도끼류는 타 권역에 비해 기술형태적으로 여러 형식이 존재하며 일부 숙련된 공정이 나타난다. 이밖에 임진-한탄강권역과 북한강권역에서는 대하천과 지류하천에 위치하는 유적간 석기공작의 차이가 보인다. B2퇴적층에서는 권역간 대형 및 소형 석기의 점유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임진-한탄강권역과 한강본류권역에서는 주먹도끼류의 기술 변용이 관찰되며, 밀개는 남한강권역의 지류와 북한강권역, 영동하천권역, 안성천권역의 일부 유적에 집중된다. B1퇴적층에서는 대형석기가 감소하고 소형석기가 급증하지만, 북한강권역에서는 그 변화가 거의 없고, 영동하천권역과 안성천권역에서는 대형석기의 감소가 불분명하다. 대형석기 중 주먹도끼류는 안성천권역, 북한강권역, 영동하천권역의 지류하천에 위치하는 일부 유적에만 집중된다. 돌날 및 좀돌날 기법은 안성천권역과 영동하천권역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순차적으로 나타난다. 돌날 기법의 경우 권역별 출현 시기의 차이가 큰 편이나 좀돌날 기법은 시기 차이가 적다. 또한 석영계 소형석기는 영동하천권역과 안성천권역을 제외하고는 후반부에 소형화되고 있다. 최상층인 A퇴적층에서는 안성천권역을 제외하면 석영계 소형석기의 소형화가 뚜렷하며, B1퇴적층에서 출현한 돌날 및 좀돌날 기법은 권역에 따라 유지되지만 한강본류권역에서는 돌날 기법이 보이지 않으며, 영동하천권역에서는 좀돌날 기법이 뒤늦게 나타난다. 한편 신석기시대까지 연속되는 화살촉, 석부 등의 새로운 석기가 영동하천권역과 임진-한탄강권역을 중심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시공간적인 지역성의 차이는 주로 석기제작에 이용하는 돌감의 선별과 취득, 유적의 기능 등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동일 권역 내에서도 석기공작의 차이가 관찰되므로 구석기시대의 석기공작을 단순히 이해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 KCI등재

        우리나라의 돌날과 세형돌날문화의 기원과 확산 연구

        이헌종(Heonjong Lee) 한국구석기학회 2015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1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돌날석기군이 확인된 곳은 수양개유적 Ⅵ지구 3문화층이다. 이 유적의 절대연대는 우리나라의 돌날문화가 4만년 전후에 시작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중소형 돌날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 면서 비체계화된 세형몸돌이 출토되는 이 유적은 알타이의 카라콜 유형과 비견된다. 우리나라 돌날문화 1기 (40~30ka)는 역시 10cm 미만의 중소형돌날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석기제작전통을 갖고 있다. 돌날문화 2기 (29~15ka)에는 체계화된 돌날제작기법들이 잘 나타나며 석기제작과정에서 나타나는 기술격지들도 함께 공반 한다. 이 시기에는 고례리와 같은 대형돌날떼기법과 40ka부터 지속되는 중소형돌날떼기법이 함께 공존한다. 이주의 산물인 이 돌날문화는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되어 세형돌날문화기와 공존하여 15ka까지 이어진다. 아직 까지 우리나라에서 세형돌날문화가 돌날문화를 대체했다거나 혹은 돌날문화로부터 자발생적으로 세형돌날문 화로 기술적인 변화를 거쳤다는 증거는 없다. 시베리아와 극동지역에서 체계화된 양면박리체계를 기반한 세형 돌날문화는 아무르강의 셀렘자 후기구석기문화의 유적군(27-10ka)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 세형돌날문 화는 대체로 25ka에 시작된다. 다층위의 셀렘자유적군을 비롯해서 극동지역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후기구석기 최말기의 몸돌제작기법은 양면박리체계로부터 격지나 소형 자갈들을 활용해서 간단한 조정을 통해 세형몸돌을 조성하는 단계로 변화한다. 기술형태적 다양성도 확대되었다. 시베리아와 극동지역의 초원지대에 넓게 확산된 사냥도구는 양면박리체계를 기반한 잎형찌르개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주요 사냥도구로 세형돌날을 끼워 만든 결합식사냥도구와 함께 슴베찌르개가 널리 사용된다. 후기구석기 최말기에 접어들면서 잎형찌르개와 소형 화살촉 등 다양한 형태의 양면박리원칙의 사냥도구들이 폭넓게 나타난다. 이러한 기술형태적 특징은 제주도의 고산리유적과 같이 신석기 초창기의 석기문화로 이어진다. Suyanggae Loc. 6, 3 rd cultural layer is oldest blade industry in Korea. Absolute dating data of this site show that blade industry(BI) started around 40ka. The site showed unsystematic microblade technique with middle and small size blade is similar them of Karakol variant in Altai mountain region. BI stage 1(40~30ka) is representative stone tool making tradition based on the blade and bladelet less than 10 cm. BI stage 2(29~15ka) is representative systematic blade technique with various technical flakes. There are two different variants of technical features. First variant is large blade technique such as Koreri site and second variant is middle and small blade technique of other many sites. Blade tool industry as a result of migration widely distributed and coexisted with microblade industry until 15ka in Korea. We have no any evidence replaced from BI and technologically change by itself from BI, too. Microblade industry(MI), based on the systematic bifacial flaking system in Siberia and Far East identified at the Selemdja Upper Paleolithic complex(27ka-10ka) in Amur river basin. Korean MI was started from 25ka. Shaping technique of Microblade core changed from bifacial tecnique to simple flaking technique using flake and small pebble in Far Eastern region in the end of UP. Techno-typological diversity also was expended. Hunting tool widely spreaded in steppe region of Siberia and Far Eastern area is leaf shaped point based on the bifacial technique. However tanged point was widely used with composite tool in Korea. Former type bifacial technique was used in the end of UP in Korea, such as leaf shape point and small arrow head based on the bifacial technique. This techno-typological characteristics persisted the first period of Neolithic, Gosanri site in Jeju island.

      • 발전용 가스터빈 블레이드 수명 평가를 위한 열 피로 시험설비

        송인환(Inhwan Song),정진성(Jinesung Jeong),강연관(Yeonkwan Kang),김영대(Youngdae Kim),방명환(Myeonghwan Bang),양지효(Jihyo Yang) 대한기계학회 202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2 No.11

        The recent fatigue failure on gas turbine blades caused by thermal fatigue is major issue when the gas turbines start-up and shut down frequently to keep balancing the grid as the power generation using renewable energy increases. The present study concentrates on evaluating the thermal fatigue life of blade simulating start-up and shut down of actual gas turbine operation. The experimental model of this study is actual 1<SUP>st</SUP> stage blades of industrial gas turbine, which are manufactured including internal cooling passages and film cooling and tip holes. The material of blades is IN738LC. A cooling air into turbine blade is provided from compressor during test to mimic the actual gas turbine operation. The thermocouples are installed at inlet and outlet of test section, and they are also attached on blade surface to measure temperature on blade surface. The heat load and total number of cycles for thermal fatigue test are calculated using lumped capacity method considering internal cooling passages of blade and Coffin-Manson equation about low cycle fatigue test result of the IN738LC. The heat load cycle and temperature measured from installed thermocouples show that present test facility for thermal fatigue of gas turbine blades are reliable.

      • 발전용 가스터빈 블레이드 수명 평가를 위한 열 피로 시험설비

        송인환(Inhwan Song),정진성(Jinesung Jeong),강연관(Yeonkwan Kang),김영대(Youngdae Kim),방명환(Myeonghwan Bang),양지효(Jihyo Yang) 대한기계학회 202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2 No.11

        The recent fatigue failure on gas turbine blades caused by thermal fatigue is major issue when the gas turbines start-up and shut down frequently to keep balancing the grid as the power generation using renewable energy increases. The present study concentrates on evaluating the thermal fatigue life of blade simulating start-up and shut down of actual gas turbine operation. The experimental model of this study is actual 1<SUP>st</SUP> stage blades of industrial gas turbine, which are manufactured including internal cooling passages and film cooling and tip holes. The material of blades is IN738LC. A cooling air into turbine blade is provided from compressor during test to mimic the actual gas turbine operation. The thermocouples are installed at inlet and outlet of test section, and they are also attached on blade surface to measure temperature on blade surface. The heat load and total number of cycles for thermal fatigue test are calculated using lumped capacity method considering internal cooling passages of blade and Coffin-Manson equation about low cycle fatigue test result of the IN738LC. The heat load cycle and temperature measured from installed thermocouples show that present test facility for thermal fatigue of gas turbine blades are rel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