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등교사임용시험 “생물” 교과내용학 문항 평가내용요소별 분석- 2005,2014학년도를 중심으로

        안근재 ( Keun Jae Ahn ),오홍식 ( Hong Shik Oh ),강경희 ( Kyung Hee Ka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05학년도부터 2014학년도까지 중등교사임용시험의 생물 교과내용학 문항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틀은 「생물과 교과내용학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근거로 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평가영역과 평가내용요소의 빈도 분석에 따른 정량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생물 교과의 평가 영역과 평가 내용 요소는 타교과목에 비해 너무 세분화된 경향을 보였다. 출제 문항 분석 결과 생물과 분야별 출제 비중은 큰 차이를 나타내었고, 각 평가 내용 요소별 출제 빈도도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가 내용 요소들 중 57%만이 출제문항과 연계되어 출제 내용의 편중성을 보였다. 이는 중등교사임용시험에서 생물 교과내용학 문항들이 평가영역과 평가내용요소의 균형이라는 측면에서 효과적이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중등교사임용시험 생물 교과목에서 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출제 경향 분석을 토대로 평가 영역과 평가 내용 요소 선정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oblems related biology subject contents knowledg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conducted from the school years 2005 to 2014.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he quantitative method according to frequency analy-sis of evaluation scope and evaluation content item. The framework of analysis was based on the evaluation scope of the biology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evaluation contents item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evaluation scope of the biology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evaluation contents items were more divided than those of other subjec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atios of the contents covered in certification examination according to biology subject domains. Also the frequencies of issued the tests were showed 57% of evaluation contents items related to problems of the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was not effective in aspect of balance of evaluation scope and evaluation content item.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comprehensive reviewing about the evaluation scope of the biology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evaluation contents items in the basis of trend analysis in biology subject contents knowledge for secondary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 KCI등재

        교수 내용 지식(PCK)을 적용한 생물 교사 양성 교육과정 모형의 탐색과 생물 교육학 영역 및 과목의 분석

        조희형,고영자 韓國生物敎育學會 2008 생물교육 Vol.36 No.3

        Despite the rapidly growing body of research on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the research effort has mainly focused on describing the nature of PCK and its components. Consequently, the question: "What i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Lederman & Gess-Newsome, 1992, p. 16) remains unanswere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hree-fold: To operationally define PCK of biology teachers, to explore a PCK-based curricular model, and to analyze the major subject areas of biology education along with the textbooks related to each area. In this study, biology teachers' PCK was defined as the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s which are acquired through the major subjects required in curriculum of biology education and in the course of teaching experiences of biology, and which are subsequently used in their teaching of high school biology". Biology teachers' PCK was further characterized as consisting of two integrated and/or combined dimensions: Biology as subject matter and pedagogy. In this paper, the PCK is also referred to as biology education literacy. Also described in the paper are the PCK-based curricular model in biology teacher and the major subject areas which compose the curricular model.

      • KCI등재

        2014에서 2022까지 중등생물임용1차시험 교과교육학 영역 문항 분석: 과학 교수-학습의 이론과 실제를 중심으로

        홍준의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2 교육발전 Vol.42 No.2

        The primary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life science teachers can be considered as one way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part of teaching-learning dealing with science teaching-learning theory and teaching-learning model among subjects related to subject pedagogy from 2014 to 2022, when the primary examination for secondary biology recruitment changed from a multiple-choice selection method to a narrative-essay typ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imple knowledge evaluation was changed to an item evaluating the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for the overall class situation. Second, it is not limited to understanding science teaching-learning theories and models, but it is also showing a tendency to evaluate content knowledge related to life sciences that must be dealt with in class situations. Third, it is the most used in life science classes and the most frequently asked questions in the secondary biology recruitment exam is circular learning, and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circular learning, that is, the ability to organize classes for each situation, is a major evaluation factor. Fourth, the ability to apply various teaching-learning theories rather than emphasizing only specific teaching-learning theories or models is positioned as important. This suggests that understanding of various teaching-learning models dealt with in subject education and the ability to compose content are becoming important factors for evaluation. It is unique that several teaching-learning theories and models that have not been asked before are presented. 생명과학 교사를 선발하는 중등 생물임용시험은 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등생물임용 1차시험이 객관식 선발 방식에서 서술-논술형 선발방식으로 바뀐 2014년부터 2022년까지의 교과교육학관련 문항 중에서 과학 교수-학습 이론과 교수-학습 모형을 다룬 교수-학습의 실제 부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 지식 평가에서 전반적인 수업 상황에 대한 이론과 실제의 결합을 평가하는 문항으로 바뀌었다. 둘째, 과학 교수-학습 이론과 모형에 대한 이해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수업 상황에서 다루어야 하는 생명과학 관련 내용학 지식도 함께 평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셋째, 생명과학 수업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기도 하며 중등생물임용시험에서 가장 많이 출제되는 것은 순환학습이며 순환학습의 여러 유형별 특징에 대한 이해와 적용, 즉, 상+황별 수업 구성 역량이 주요 평가요인이 되고 있다. 넷째, 특정한 교수-학습 이론이나 모형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교수-학습 이론의 적용 능력이 중요한 의미로 자리잡고 있다. 교과교육학에서 다루는 여러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이해와 내용 구성 능력이 평가의 중요 사항이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기존에 출제되지 않았던 여러 교수-학습 이론과 모형이 출제된 것이 특이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