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법개정에 대한 민법개정안연구회의 의견

        송덕수 한국민사법학회 2008 民事法學 Vol.43 No.1

        1999.2.5., Ministry of Justice organized Special Committee for a Revised Bill of the Civil Code and delegated authority of making a revised bill of the Civil Code to the committee. And 2001.11.16., the committee announced a revised bill of the Civil Code. After the revised bill was announced, a lot of critical views were raised. And the [Civil Code Amendment Research Society]'s [Written Opinion about the Revised Bill of the Civil Code] is taking the initiative. Civil Code Amendment Research Society has 33 leading professors in order to study about the revised bill. The research society had the members give their opinion about each article of the revised bill. And the collection of the opinions is the book [Written Opinion about the Revised Bill of the Civil Code]. Written Opinion about the Revised Bill of the Civil Code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one is reviews on each revised article, and second one is the members' papers about the problem of the revised bill of the Civil Code. According to the book, members of the research society are concerned about Ministry of Justice's amendment order and suggesting better method. Since the book includes members' opinions(mainly critical) about each article of the revised bill, it will be helpful for Ministry of Justice to prepare Civil Code amendment.

      • KCI등재

        작위와 부작위 간 공소장변경의 한계 및 필요성 연구

        이종수 ( Lee Jong-soo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0 비교형사법연구 Vol.22 No.1

        검사는 공소사실을 특정하여 공소를 제기해야 하는데, 형사소송법 제298조에 따라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공소장변경이 가능하다. 공소장변경과 관련하여서는 공소장변경의 한계로서 ‘공소사실의 동일성’의 의미, 공소장변경의 한계를 둘러싸고는 다수의 판례와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작위와 부작위 간 공소장변경에 대하여는 실무상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많지 않았다. 작위와 부작위 간 공소장변경과 관련하여서는 먼저, 작위와 부작위의 구별기준이 문제되는데, 대법원은 작위와 부작위의 구별이 문제되는 경우 원칙적으로 작위로 보아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형법상 작위와 부작위는 행위 자체가 아닌 구성요건 해당 여부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는 점에서 규범적인 평가를 통해 구별해야 한다. 그렇다면, 작위범으로 기소한 공소사실을 부작위로 변경할 경우 공소장 변경이 가능한가? 공소장변경은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해하지 않는 한도에서 가능한데, ‘기본적 사실동일설’에 의할 때, 작위와 부작위는 동일한 범행 방법 내지 행태를 두고 법적인 평가 기준을 달리 보는 것에 불과하므로, 공소사실의 동일성 자체는 인정된다고 볼 여지가 크다. 보다 중요한 문제는, 작위의 범죄사실을 부작위로 인정함에 있어 공소장변경의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되는지 여부이다. 대법원은 축소사실을 인정하는 경우나, 법률적 평가만을 달리하는 경우에는 공소장변경이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인데, ‘보라매병원’ 사건에서 항소심은 공소장변경 없이 작위범을 부작위범으로 인정했다고 하더라도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에 실질적인 불이익을 초래할 염려가 없어 위법하지 않다고 판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부작위가 갖는 독자적인 형법적 의미 및 ‘보증인지위’와 ‘행위정형의 동가치성’이라는 추가 구성요건을 요구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작위의 공소사실을 공소장변경 없이 부작위로 인정하는 것은 피고인의 방어권을 지나치게 제약하여 법치국가적 측면에서 허용된다고 보기 어렵다. The prosecutor must specify the facts when prosecuting, and can amend the Bill of indictment only when the identity of the facts charged is not disturbed. Regarding the amendments to bill of indictment,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about the meaning of the ‘identity of the facts charged is not disturbed’ and the necessity of the amendments to bill of indictment, however, there was very little research about the amendments to bill of indictment between commission and omission. Regarding the amendments to bill of indictment between commission and omissi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ommission and omission is a problem.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when distinguishing between the commission and omission, it is the principle that presume as the commission. However, the commission and omission should be viewed as matters of legal evaluation, not acts. Then, is it possible to amend the bill of indictment if the prosecutor change the facts of commission to omission? The amendments to bill of indictment can only be made if the basic facts are same, so in this case, prosecutors can amend the bill of indictments. The more important question is whether or not to amend the bill of indictment when the court admits the criminal fact by omission.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it is not necessary to amend the bill of indictment if it admits the reduction or makes a different legal evaluation. The Seoul High Court ruled that if the defendant’s defense is not impaired, it is okay to accept the act as a omission without amend the bill. however, given the criminal meaning of omissions and the additional requirements for omissions, recognition of facts as omissions without the amendments to bill of indictment is not permissible in terms of the rule of law.

      • KCI등재

        국회법상 위원회의 법안심의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철호 한국입법학회 2012 입법학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국회법상 위원회의 심의제도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해서 검 토한 논문이다. 제2장에서는 2012년 5월 개정된 국회법상 국회의장의 직권상정에 관한 요건을 엄격하게 한 내용과 위원회에서의 법안의 심의제도로서 패스트 트랙이라고 불리는 의안자동상정제도 등을 설명하였고, 이어서 국회법상 위원회심사제도의 문제점으로 1. 상임위원회의 잦은 변동, 2. 상임위원회심사법률안의 본회의 가결율, 3. 위원회단 계에서의 법률안심사의 지연, 4. 상임위원회에서의 입법절차 위반과 이에 대한 사법 적 통제 및 국회의 자율성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제3장에서 위원회의 법률안심의제 도의 개선방안으로서 1. 상임위원회의 전문성 및 공정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 2. 위원회심사배제동의(Discharge Petition)제도, 3. 위원회 중간보고 제도, 4. 위원회의 법률안심사의 투명성확보를 위한 공청회 및 청문회제도 개선, 5. 입법예고제도의 개 선-가칭 입법절차에 관한 법률안의 도입 검토-, 6. 위헌결정을 받은 법률의 개정을 위한 위원회법률안심사제도의 개선, 7. 입법영향평가제도의 도입, 8. 관련위원회 회 부제도(복수회부, 순차회부)와 특별위원회와의 협의 관계 활성화, 9. 소위원회 활성 화, 10. 위원회의 행정입법에 대한 통제, 11. 수정안 개선방안, 12. 지방분권관련 특 별위원회 설치에 관한 제언 등을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제4절 결론에서는 국회 상임위원회를 포함한 입법과정에 대한 제도개선의 필요성이 엄존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하여 본 논문은 국회선진화법의 내용중 상임위원회의 법률안심사와 관련이 있 는 내용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나아가 그 외 상임위원회에서의 법률안심사의 문제점 과 개선방안에 대해서 문헌적 비교방법을 통해 검토하였다. This study reviews the issues in Standing Committee Bill Deliberation System in National Assembly Act and suggests improvement on those. In Chapter I, Introduction, reinforced requirement for bill introduction by the authority of National Assembly Chairman and Fast-track System are described. They are the major content in the National Assembly Act recently revised. The requirement for bill introduction by the authority of National Assembly Chairman is limited to; ① when there is natural disaster, ② when there is war, incident or other emergency of country, and, ③ when National Assembly Chairman and representatives of each negotiation body in National Assembly have agreed. A bill can be designated for Fast-track System when; ① majority of incumbent Assembly members or incumbent committee members move the designation of a bill to be handled by Fast-track System by signature, and, ② Standing Committee Chairman or National Assembly Chairman put the motion to secret voting and three-fifths of incumbent Assembly members or incumbent committee members vote for it. If a bill has been designated as a Fast-track System bill and it has been pending for 180 days at Standing Committee and 90 days at Legislation-Judiciary Committee since the designation-requested date, the bill automatically pass the committee. In Chapter II, the issues in Standing Committee bill deliberation system are described as following. 1. In National Assembly, Standing Committee practically deliberates bills; however, National Assembly members move Standing Committee too frequently and they cannot build expertise to work in certain Standing Committee. 2. When National Assembly Standing Committee deliberates enactment bill or full-amendment bill, it is mandatory to hold public hearing or general hearing; however, the recent revision stipulates that public hearing or general hearing can be omitted, if the committee specifically resolved to omit it. In Chapter III, improvement suggestions on bill deliberation system of committee are given. 1. It is suggested to introduce the Discharge Petition System in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legislation procedure. In this system, if a committee has a bill pending for 30 days or more during the House term, the deliberation right of committee is revoked by the signature of 218 representatives, which is the majority of incumbent representatives of House. 2. It is suggested to remove the conditional clause in National Assembly Act Article 58-6 stating omission of public hearing. Public hearing is essential when deliberating enactment bill or full-amendment bill. 3. It is suggested to enforce legislation impact evaluation on the bills submitted by National Assembly members. 4. It is suggested to reinforce control on the administrative legislation of Standing Committee. Matters related to decentralization are suggested not to be handled by Standing Committee, which is the counterpart of central government. It is suggested to create Decentralization Special Committee and have it to handle matters related to decentralization en bloc in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way.

      • KCI등재

        국회의원 투표 행태 분석: 지방교육자치 관련 법안을 중심으로

        가상준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09 의정연구 Vol.15 No.2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what factors have an effect on congressional voting behaviors. In particular, the study closely investigates the Whole Reform Bill on the Law of Local Educational Self-Governing because the bill attracts a lot of attentions. Above all, the bill contains direct election of superintendents of educational affairs and members of a board of education. Likewise, the education committee is converted into a standing committee of the local assembly due to the passage of the bill. The reason the study mainly focuses on the bill is because in general, bills on the floor are approved with significant high in favor; however, the bill was passed with opposition. The study examines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legislators’ voting decision.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ruling part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assing the bill. Also, the results exhibit that legislators with high careers and proportional members were in favor of the bill compared with other legislators. Although the study examined only particular bill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it gave an opportunity to look at voting behaviors of legislators. Hopefully,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congressional voting behaviors. 본 연구는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법률안(대안)에 대한 국회의 표결에 있어 국회의원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법률안(대안)이 관심을 끄는 것은 교육감과 교육위원에 대한 직접 선거 및 교육위원회 시·도의회 상임위원회 전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법안은 위원회 이름으로 발의된 법안이며 특정 정당 및 지역의 반대가 있었던 법안이 아님에도 이에 대한 수정안이 제출되었고, 국회에서 통과된 다른 법안과 달리 반대표가 상대적으로 많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의원들의 투표는 무엇에 영향을 받았는지 분석을 시도하였다. 투표행태 분석을 통해 법안의 통과에 있어 중요한 것은 교섭단체 간 합의며, 특히 국회 다수당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석을 통해 의정경험이 많은 의원과 비례대표 의원들은 교섭단체 간 합의된 법안에 좀 더 순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자투표제 실시 이후 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의원들의 투표행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국회의원 투표 행태 분석: 지방교육자치 관련 법안을 중심으로

        가상준 ( Sang Joon Ka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09 의정연구 Vol.28 No.-

        본 연구는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법률안(대안)에 대한 국회의 표결에 있어 국회의원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법률안(대안)이 관심을 끄는 것은 교육감과 교육위원에 대한 직접 선거 및 교육위원회 시·도의회 상임위원회 전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법안은 위원회 이름으로 발의된 법안이며 특정 정당 및 지역의 반대가 있었던 법안이 아님에도 이에 대한 수정안이 제출되었고, 국회에서 통과된 다른 법안과 달리 반대표가 상대적으로 많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의원들의 투표는 무엇에 영향을 받았는지 분석을 시도하였다. 투표행태 분석을 통해 법안의 통과에 있어 중요한 것은 교섭단체 간 합의며, 특히 국회 다수당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석을 통해 의정경험이 많은 의원과 비례대표의원들은 교섭단체 간 합의된 법안에 좀 더 순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자투표제 실시 이후 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의원들의 투표행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what factors have an effect on congressional voting behaviors. In particular, the study closely investigates the Whole Reform Bill on the Law of Local Educational Self-Governing because the bill attracts a lot of attentions. Above all, the bill contains direct election of superintendents of educational affairs and members of a board of education. Likewise, the education committee is converted into a standing committee of the local assembly due to the passage of the bill. The reason the study mainly focuses on the bill is because in general, bills on the floor are approved with significant high in favor; however, the bill was passed with opposition. The study examines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legislators` voting decision.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ruling part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assing the bill. Also, the results exhibit that legislators with high careers and proportional members were in favor of the bill compared with other legislators. Although the study examined only particular bill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it gave an opportunity to look at voting behaviors of legislators. Hopefully,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congressional voting behaviors.

      • KCI등재

        2018년 헌법 개정안에 대한 재정법적 일고찰

        전주열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울법학 Vol.28 No.4

        In March 2018, a constitutional amendment bill was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and discussions on constitutional amendment were actively conducted.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discuss what our society should stipulate in the Constitution today. Among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there were not a few issues that our society did not collect enough will to agree on. The same applies to matters related to “finance”. The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 in 2018 made the main agenda of giving a legal form to the budget on finance. The agenda itself, which is the legal form of the budget, does not mean little. However, there are various issues that have been raised on the constitutional agenda regarding finance. In particular, the mandat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on budget and finance should be regulated constitutionally. Discussing budget legalism presupposes changing the allocation of roles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In other words, a review on the allocation of the roles of power institutions in the budget should be carried out together. Based on these issues,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financial matters contained in the 2018 Constitutional Amendment. Subsequently, the agenda that our society should establish in the Constitution regarding finance was presented. 2018년 3월 헌법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됨으로써 헌법 개정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오늘날 우리 사회가 헌법으로 정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논의할 수 있었다. 헌법적 규정 사항들 중에는 우리 사회가 하나의 안에 합의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뜻을 모으지 못한 쟁점들이 적지 않았다. ‘재정’에 관한 사항도 그러하다. 2018년 헌법 개정안은 재정에 관해 ‘예산법률주의’를 주된 의제로 삼았다. 예산의 형식을 법률로 바꾸는 것 자체의 의미가 작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동안 재정에 관하여 헌법적 의제로 제기되었던 사항들은 예산의 법률 형식 문제 외에도 다양하다. 특히 예산과 재정에 관한 국회와 정부 간 권한 관계가 헌법적으로 규율되어야 한다. 재정을 헌법적 가치에 맞게 운용하기 위해 예산법률주의가 논의되는 이유는 이를 통해 국회와 정부 간 역할 배분을 변경할 수 있다고 전제하기 때문이다. 즉 예산법률주의의 도입 여부와 함께 예산에 관한 권력 기관의 역할 배분에 관한 검토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2018년 헌법 개정안에 담긴 재정에 관한 사항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어서 우리 사회가 재정에 관하여 헌법으로 정해야 할 의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개헌논의에서의 시사점 도출을 위한, 대한민국 경제헌법 개정사 일고(一考) ―1962년 헌법부터 현행 헌법까지의 분석을 중심으로―

        임효준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9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5 No.-

        This study looks through the amendment history of economy clauses(Article 119-Article 127) in Korean Constitution from Constitution of 1962 to Current Constitution, and after that, derives implications to ongoing discussion on constitutional amendment, especially the “March 2018 bill” proposed by Korean President Moon. The followings are several main points. First, unlike those of other countries, in Constitution of Korea, there is separate chapter concerning “economy.” However, there have been few discussions whether the economy clauses need to be maintained or not. We should reconsider the economy clauses are necessary up to the present time. Second, the clauses which were established by the influence of periodical background continuously remain, like Article 120, Article 122, Article 123 concerning “Saemaeul Movement”, “5-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and Article 121 concerning “farmland reform.” We should reexamine the content and the necessity of those clauses in a way of looking back on the past. Third, meaningful discussions have not been reflected enough. We should recognized that there were 3 conflicting opinions on introducing “consumer protection movement” clauses and that the characteristic and the structure of Presidential Advisory Council for Science and Technology has been sidetracked compared to beginning discussion on introducing that organization. Fourth, the regulation and control of the state has been strengthened. This point can be derived from the contrast of Article 119 (1) and (2), the reinforcement of “public concept of land ownership”, and the expansion of regulation object of Article 123. We should review the necessity of keeping the strengthened regulations. 이번 연구에서는 헌법 경제조항(제119조-제127조)과 관련하여, 현행 헌법과 유사한 틀을 갖추기 시작했던 1962년 헌법부터 현행 헌법에 이르기까지의 조항별 개정사를 살펴보고, 현재 진행 중인 개헌논의에의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주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헌법에 경제조항을 두는 것은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굉장히 독특한 특징임에도 1962년 개헌 이후 존치여부에 관한 논의는 거의 없었다. 현재도 과연 이들 조항들을 별도로 둘 필요가 있는지에 대해서부터 근본적인 재고민을 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시대적 배경의 잔재 조항들이 한번 만들어지고 나면 계속해 존치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새마을운동 및 5개년계획과 관련된 제120조 제2항, 제122조, 제123조, 또 농지개혁사업과 관련된 제121조 등에 대해 현 시점에서 해당 조항들을 도입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연관 짓는 방식으로 재성찰해 보고, 존속 필요성에 대한 검토를 요한다고 하겠다. 셋째, 의미 있는 개헌 논의들이 반영되어 오고 있지 못하였다. 소비자보호운동에 관한 제124조의 경우 1980년 도입 당시 3가지 견해가 대립되고 있었음을, ‘과학기술’에 관한 ‘대통령 자문기구’로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규정하고 있는 제127조 역시 도입 논의와 비교하여 기구의 성격 및 조직이 변질되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국가의 규제․조정이 강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제119조 제1항 및 제2항 개정 내용 대비, 제122조의 토지 공개념 강화, 제123조 규율대상의 점진적 확대 등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데, 강화된 규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지에 관한 고찰이 있어야 하겠다.

      • KCI등재후보

        건강가정기본법 개정안에 스며있는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적 고찰

        현숙경 ( Hyun¸ Sookkyong ) 한국교회법학회 2021 교회와 법 Vol.8 No.1

        남인순 의원과 정춘숙 의원이 각각 2020년 9월과 2020년 11월에 발의한 건강가정기본법률안 일부개정안은 기존의 건강가정기본법률안을 전면 개정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개정안은 “가족”의 정의규정, “태아의 건강보장” 표현(제8조 제2항), 그리고 가족해체 예방 규정(제9조)이 삭제되었다. 또한 “민주적이고 평등한” 가족 구성원의 관계를 강조하며 가족 중심이 아닌 여성 중심적으로 개정안의 방향을 완전히 바꿔놓고 있다. 즉, 개정 시도의 저변에는 이 사회를 지탱하고 있는 가족 제도에 대한 거부감이 깔려있으며 이는 급진 페미니즘 사상에 근거하고 있다. 가족은 여성의 억압과 착취의 근원지라고 여기는 서구의 급진 페미니즘에 뿌리를 두고 있는 한국 페미니스트들은 건강가정기본법은 가부장제를 강화시키는 법안이라고 주장하며 개정안을 통해 가부장제를 타파하고자 하는 페미니즘적 관점을 관철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개정안을 통한 가부장제 타파 전략을 두 가지로 정리 해 볼 수 있다. 첫 번째 전략은 가정 내의 성별 불평등 요소를 완전히 제거하고 생물학적인 차이와 질서를 무시한 절대적이고 결과적인 평등을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를 포용한다는 명목으로 도덕적 가치와 보편적 규범에 어긋나는 공동체(동거 커플, 동성 커플, 비혼 출산 가구 등)까지 포용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런 페미니즘적 발상은 이번 개정안의 “가족” 개념규정 전면 삭제를 통해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가정에 대한 사회의 보호를 위해 제정된 기본법에서의 “가족”의 개념규정 삭제는 단순한 삭제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그들은 급변하는 시대에 대한 대응으로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수용한다는 명목으로 기본질서와 도덕규범을 와해시키는 극단적인 변화에 대한 요구의 표명인 것이며 전통적 가정의 테두리를 와해시키고자하는 급진 페미니즘 이념 실현의 표현인 것이다. 그러나 사회가 무질서와 혼돈으로 치닫고 있는 이 때에 가정의 건강성과 중요성은 더욱 더 강조되어야 한다. 배려와 사랑, 헌신과 책임으로 안정감을 제공하고 보호의 든든한 울타리가 되어주는 가정이 어느 때 보다 더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며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한 방안으로 제정된 건강가정기본법은 결코 편향적인 이념실현의 장으로 전락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The Amendments of Healthy Family Act Bill proposed by Rep. Nam, In-soon and Rep. Chung, Chun-sook in September 2020 and November 2020, respectively, are intended to completely revise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Healthy Family Act. The definition of "family", the expression of "fetal health" (Article 8 (2)), and the regulations for the prevention of family dissolution (Article 9) were deleted in the amendment bills. They also emphasize the relationship of "democratic and equal" family members, completel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Act from being family-oriented to being feminist-oriented. In other words, underneath the attempt for the amendments lie a radical feminist resistance to the family system that supports this society. Korean feminists, rooted in Western radical feminism, who regard the family as the source of women's oppression and exploitation, are trying to break down the patriarchy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Act. Two strategies to break down the patriarchy system in the Amendments can be summed as follows. The first strategy is to completely eliminate gender inequalities in the home and realize the absolute equity, ignoring biological differences and order, and the second is to embrace the communities(such as cohabiting couples, same-sex couples, single-sex families, etc.) that run counter to moral values and universal norms in the name of embracing "diverse types of families." This feminist idea is also evident through the removal of the definition of "family" in the Amendments. The deletion of the definition of "family" means much more than a simple deletion; firstly, it denotes a call to undermine the basic social order and moral norms in response to the rapid changes in the society, and secondly, to realize the radical feminist ideology that seek to undermine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families. However, the health and importance of families should be emphasized even more at a time when society is moving toward disorder and chaos. Families that provide stability with consideration, love, commitment and responsibility are more desperately needed than ever, and the Healthy Family Act originally established in order to address these social needs should never be reduced to a site of biased ideological realization.

      • KCI등재

        OTT 시대에 영상저작물에 대한 추가 보상청구권에 관한 고찰 - 저작권법 의원법률안 및 해외 입법례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

        한지영 한국지식재산학회 2023 産業財産權 Vol.- No.75

        Recently, K-Wave contents have been a great commercial success worldwide through an OTT platform such as Netflix. In particular, in the digital era, domestic OTT platform operators such as tving and Waave are unable to avoid operating losses on OTT platforms, while Netflix is making huge profits by aggressively operating. Under the background, legislation has been proposed to grant a right for additional remuneration to authors of cinematographic works according to the revised copyright law and the legislative bill.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provisions regarding cinematographic works (Article 99 to Article 101 of the Act), the current copyright law focuses on the exercise of the copyright of cinematographic works. However, the current copyright law does not stipulate who the author of a cinematographic work is, and it is explained that special provisions for cinematographic work are introduced in place to smoothly exercise the copyright of the cinematographic work as a joint work. In this regard, the legislator's copyright law amendment bill explicitly stipulates who the author is, and in this study, overseas legislative cases for authors of cinematographic works were compared to the copyright law amendment bill. In addition, when comparing copyright law amendments with overseas legislation whether they would grant additional compensation claims to authors of cinematographic works or not, It was confirmed that some countries have a legislative attitude for additional remuneration to authors of cinematographic works for copyright-related laws or practices.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problems of the copyright law amendment bill, critically examines the arguments of opponents of the introduction of an additional remuneration system to authors of cinematographic works, and considers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dditional remuneration to authors of cinematographic works by supplementing the contents of the copyright law amendment bill.

      • KCI등재

        혼인과 가족생활에 관한 소고 - 헌법재판소 결정과 헌법 개정 논의를 중심으로 -

        엄주희 ( Juhee Eom ) 연세법학회 2019 연세법학 Vol.33 No.-

        The meaning of the provisions on marriage and family life in the Constitution is to institutionalize the protection of the minimum community of society with the couple and children as members and to guarantee basic rights entrusted to the married family. This article examines how rules of marriage and family have been developed in the history of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since the Korean first Constitution, and examined the concept of marriage and family life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se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Constitution and the law. In addition, from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bill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association in 2006 to that in 2018, how regulations of marriage and family life are being dealt with were examined in the process of revising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stitutional Court's rulings and discussions on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marriage and family life is the regime which internalize the value of individual dignity, autonomy, and equality and provide a basis for institutional guarantee for children’s protection, education and custody. Family life is not only centered on equal couples, but also children’s support and education is one of the core contents of family life. The decis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have continued to identify individual dignity and equality in the sense of marriage and family life, and presented standards for ethical and moral notions of universal relevance that include cultural phenomena and customary lifestyles. It also expresses the value of good moral and monogamous marriage system maintenance and extends the rights and meaning of children's education in family life. As an attempt to amend the Constitution, it is proposed to revise the equality of both sexes as “gender equality” since 2011 because it is the cornerstone for accepting the form of a new family such as same-sex marriage.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clare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marriage and family system under the constituent power has been changed as the changes of the constitutional meaning from equality of both sexes to gender equality. Therefore, in order to change the traditional constitutional values, the procedural legitimacy of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according to the consensus of the whole nation,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