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민연금제도에서 나타나는 젠더 차이에 대한 연구

        류연규(Ryu Yunkyu),황정임(Hwang Jungim) 한국여성학회 2008 한국여성학 Vol.24 No.2

        본 연구는 국민연금제도에서 나타나는 젠더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시뮬레이션 모델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기초노령연금과 보편적 기초연금 등 여성 연금수급권 확대와 관련된 다양한 개선방안들의 여성 노후소득보장 적절성을 진단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평균임금과 기여기간이 상대적으로 낮은 여성은 기초노령연금을 받는 수급자보다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가 아닌 연금수급자일 경우 개정 전 국민연금보다 급여액이 훨씬 낮아졌고, 현재 우리나라 노동시장 특성을 감안했을 때 다양한 기초연금 제도 적용시 기초연금 급여 비율이 높아질수록 여성 노후 소득 보장에 더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성의 임금 또는 고용기간을 남성과 통일하게 가정하고 분석한 결과에서는 다양한 기초연금 형태를 적용할 때보다 국민연금 급여 수준이 높았는데, 이는 여성의 노동시장 상황이 좋아질수록 기초연금의 소득대체율이 그리 높지 않아도 남성 연금 급여액 수준의 급여액을 보장해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55세-59세 국민연금 가입자 DB 평균사례 분석을 통해서도 연금 수급 연령에 가까운 여성 노인들의 연금 급여를 통한 노후소득보장이 어렵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여성과 남성의 노동시장 상황의 차이를 최소화했을 때 연금 급여의 차이가 감소한다는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연금제도 변화를 통한 급여 향상 노력뿐만 아니라 임금, 고용경력 단절 등 노동시장의 차별적인 상황을 개선하는 노력도 여성의 노후소득 적절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재 가입자 중 연금 수급개시 연령에 가까운 집단 특히 충분한 연금 급여 수준을 보장하기 어려운 여성 가입자나 지역 납부 예외 가입자에게는 기초노령연금 급여의 향상 또는 보충적인 소득보장 수단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gender differences in National Pension benefit and the differences of various basic pension benefits which women will get in old age by simulation modeling analysis to see if women's pension benefit is adequate for women's old age income securit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women, who work for lower wage and shorter periods than men and are not basic old age pension beneficiary, gets lower benefit compared to prior National Pension System benefits. Secondly, women get more pension benefits as the ratio of basic pension benefits is higher. Thirdly, women can get more benefits if their working condition (wage and career) is as good as that of men. In such a case, the ratio of basic pension benefit is not such a decisive factor for women's old age income security. We can infer that it's required for women's old age income security and gender equity to improve not only national pension system but also working condition.

      • 국민연금의 주요 목표 간 관계와 개선에 대한 고찰

        김성숙 ( Seong Sook Kim ) 한국연금학회 2011 연금연구 Vol.1 No.1

        국민연금은 제도 본연의 목적인 국민소득보장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많은 국민이 연금수급권을 획득하도록 해야 하고 급여수준의 적절성도 확보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소득활동을 해야 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는 사회보험방식으로 운영되므로 실제로는 가입대상연령계층의 상당수가제도 적용에서 제외됨으로써 향후 연금수급권 확보가 어렵다. 두 차례의 제도개혁으로 상당히 훼손된 급여수준의 적절성은 평균 연금액을 가능한 한 높이도록 노력하는 동시에, 다층소득보장체계의 발전을 통하여 확보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한편 급속한 고령화로 인하여 현행 제도를 향후 그대로 유지하면 후세대 부담이 상당히 커질 것으로 보이며 장기적으로 재정도 불안정해 질 것이다. 따라서 제도의 장기지속을 위해서는 세대 간 부담의 형평성과 장기 재정안정화도 필요하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국민연금에 있어서 제도 적용의 보편성 및 적절한 급여수준 확보라는 목표는 뒤의 세대 간 부담의 형평성 확보 및 장기 재정안정화라는 목표와 갈등관계라고 할 수 있고 한꺼번에 달성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 네 가지 목표는 사회적 합의과정을 통하여 일정 수준에서 타협하고 조정할 필요가 있다. 단, 국민연금제도 존립의 목적인 최대한 많은 국민에 대한 적절한 급여지급은 달성되도록 노력해야 하는 일차적 목표이다. To achieve the income security, the major purpose of the National Pension, people should acquire as many pension rights as possible and get adequate level of benefits. However, the National Pension is a social insurance program which people can receive benefits only when they fulfill the qualifying years for the benefit previously set. Therefore, in reality, the considerable number of the age cohorts being applied to the scheme will not get the pension. Although the adequacy of benefit in National Pension has been deteriorated through two pension reforms, the continuous effort should be made in order to increase the average amount of pension. This can be also attain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ulti-pillar income security system. Meanwhile, the rapid ageing will burden the future generations if the present scheme is maintained as it is, threatening its long-term financial st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quity of bearing burdens between generations to sustain the scheme for a long time. However, the former two goals-the universal coverage of the National Pension and the adequate level of benefit-can make conflict with the latter two-the better equity between generations and the long-term financial stability. These four goals in the National Pension should be reconciliated and adjusted at a certain level through social consensus, to match unlimited individual desires with limited social resources.

      • KCI등재

        장애인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와 평등

        김희성 한국사회법학회 2020 社會法硏究 Vol.0 No.40

        이 글에서는 평등 개념이 장애인에 대한 급부의 적정성을 측정하는 객관적인 지표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해 검토한다. 장애인은 자신이 원하는 삶을 추구하고, 그 실현을 위해 평등권과 차별금지법을 통해서 사회보장급부를 요구할 수 있다. 특히 정당한 편의제공은 장애인이 주관적인 생활수요에 의해서 또는 그것이 충족되지 않는 것을 피침해이익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요구할 수 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은 그 가능성을 높인다고 생각된다. 장애인과 그 지원자는 장애인의 생활・ 경제수요가 충족되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이 법에 근거해 요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장애인과 그 지원자가 생각하고 있는 수준의 사회복지서비스와 그에 필요한 비용에 대해서 공통의 인식이 있는 것은 아니어서 그와 같은 사회복지서비스를 지급하기로 동의가 이루어졌다고는 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이익의 대립에 대해서 평등은 적당한 타협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인가를 검토・분석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자 필요성이다. 평등은 그 온건한 표정의 뒷모습에 다른 얼굴(주관성, 임의성, 자의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평등의 성격은 외국판례를 검토해 보면, 특정 수요에 대한 과대평가와 과소평가를 낳고 있고 더욱이 수요에 대한 평가를 다른 이익과 비교 형량하지 않고 보호하는 문제점이 있다. 현실에서 평등은 급부의 적정성을 담보하는 객관적 지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평등의 주관적인 성격은 개인의 선(善)의 추구라는 의미에서는 긍정적인 성질을 가지는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평등이 이러한 성격에 근거한 분배를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자원의 분배가 공정한 것이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공정한 자원의 분배와 장애인의 주체적 생활 수요(needs)라는 2개의 요청을 충족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시론은 각 지역사회의 재정능력과 사회적 자원의 범위 내에서 개인의 후생복지의 최대화를 목표로 하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concept of equality can be an objective indicator for measurement of the adequacy of benefits for disabled persons. Disabled persons can pursue the life they want and demand social security benefits through their rights to equality and anti-discrimination laws. In particular, rational consideration can be demanded by disabled persons by claiming that their needs for subjective life that have not been satisfied are infringed interests.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Etc.’, which is currently in operation, is thought to raise the possibility. For the state, local governments, and employers, this act provides that 「This act prohibits discrimination for the reason of disabilities in all living territories and effectively remedies for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ose who have been discriminated for the reason of disabilities, thereby (Article 1), nobody should be discriminated for the reason of disabilities, past records of disabilities, or being suspected of having disabilities(Article 7)」 and disabled persons and their supporters expect that demanding social welfare services that satisfy the living and economic needs of disabled persons would become possible based on these provisions. However, since there is no common perception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t the level thought by disabled persons and their supporters, it cannot be said that it has been agreed to provide such social welfare servic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analyze whether equality can present an appropriate point of compromise for the conflict of interests as such. The question of this study was about whether the concept of equality could be an objective indicator to measure the adequacy of benefits for disabled persons. Equality has different faces (subjectivity, voluntariness, and arbitrariness) behind the moderate expression. The nature of equality as such leads to overestimation and underestimation of certain needs as far as precedents are concerned, and furthermore, there are cases where the needs are protected without considering the evaluation of needs in comparison with other interests. With regard to the present condition, it can be said that equality has not become an objective indicator that guarantees the adequacy of benefits. However, the subjective nature of equality can be evaluated as having a positive nature in the sense of pursuing personal goodness. In order for equality to justify distribution based on such a nature, it is thought that the distribution of resources should be fair. However, in the discussion of distributive justice in legal philosophy, the present condition cannot be said to be successful in simultaneously satisfying individuals' pursuit of goodness and fair distribution of resources. Therefore, in this study, as a contemporary opinion, a method to satisfy the two demands through discussion in community was presented. However, the above contemporary opinion aims to maximize the welfare of individuals within the range of the financial ability or social resources of each community. Although it might have become a different story from the discussion of equality before we know, it may be an approach to the original posture of equality.

      • 지역 의원 의료장비운영에 따른 적정성 평가

        원도연,김선칠,박창희,Won, Do-Yeon,Kim, Seon-Chil,Park, Chang-Hee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 2011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Vol.13 No.2

        Due to the increasing quantity of health services demand a wide range of growing medical markets and hospital through advanced, diversification can meet the needs of the patient. This hospital is having the introduction of expensive medical equipment. Because of this, hospitals are struggling to operate the hospital management. Therefore, when operating at the hospital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interests of medical equipment through the analysis is directly related to hospital operations. CT study of the local clinics, or CR 40 where members of the medical equipment with 54 points against selected practitioners and hospital visits and interviews to investigate the expected benefits of each of the members raised an average of seven months to identify revenue performance caused by interests. Raised against the expected benefits resulting benefits to the overall average 87.43% did not meet the expected benefits. The hospital plans to introduce future when reviewing the medical equipmen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quipment requires a more solid plan, and whether the plan is properly implemented will be needed for the institutional verification capabilities.

      • KCI등재후보

        The Current Situation of Retirement Income Provisions in Japan: Social Security Pension Schemes and Corporate Pension Plans

        Junichi Sakamoto 한국사회복지학회 2009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Vol.3 No.2

        Japan has been faced with rapid population ageing for decades. This has continuously reduced thelevel of social security pension benefits. Based on this it is often said that corporate pension plansshould play a wider role forward in providing retirement benefits. However, we also have to knowthat there is a limit to what corporate pension plans can do in place of the social security pensionschemes. In this paper we extract lessons from the history of social security pension schemes in ourcountry and try to define the roles of corporate pension plans and social security pension schemes. In conclusion we should keep adequacy of social security pension benefits even if the contributionrate becomes a bit higher. Corporate pension plans just enrich people’s life in retirement. We haveto remember that corporate pension plans were not certain means for reducing the poverty in oldage and that for this reason social security pension schemes by social insurance were invented.

      • KCI등재

        국민연금의 개혁방안 - 모수개혁과 구조개혁 -

        최병호,강성호 한국재정정책학회 2023 財政政策論集 Vol.25 No.3

        현재의 국민연금제도는 재정적으로 지속가능하지 않고, 연금수급의 사각지대가 넓을 뿐만 아니라 적절한 급여수준을 보장하지 못해 제도 개혁이 불가피하다. 재정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익비 분석을, 급여적정성 평가를 위해 소득대체율분석을 수행하였다. 사각지대 분석은 질적으로 접근하였다. 개혁방안으로 모수개혁과 구조개혁 두 가지 방안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구조개혁안이 재정지속성과 급여적정성, 사각지대의 완화에 우월한 방안으로 판단되지만 사회적 타협을끌어내기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모수개혁안은 제도발전의 역사성을 존중하여 현실수용성이 비교적 높지만 재정지속성 확보를 위한 부단한 개혁의 갈등을 야기할 것이다. 현실적으로는 두 가지 개혁안 중에서 국민적 수용성이 높은 대안을중심으로 개혁의 첫 걸음을 떼야 할 것이다. The current national pension system is not financially sustainable, has a wide blind spot in pension recipients, and does not guarantee an appropriate level of benefits, so system reform is inevitable. As a reform plan, two measures were proposed: parametric reform and structural reform. In order to evaluate both reform plans, the fiscal sustainability was measured by the benefits-cost ratio, and the appropriateness of benefits were presented as the income replacement rates. Blind spot was approached qualitatively.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parametric reform proposal is a gradual and rather highly acceptable to people that respects the historicity of institutional development, but it causes constant reform conflicts to secure fiscal sustainability. On the other hand, structural reform proposal is not easy to draw social compromise, but it would be a superior way to achieve fiscal sustainability, benefits adequacy, and minimizing blind spots.

      • KCI등재

        연구논문 : 공무원연금추계를 바탕으로 살펴본 공무원연금 지속가능성과 개혁방향

        박유성 ( You Sung Park ),정민열 ( Min-yeol Jeo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5 조사연구 Vol.16 No.2

        공무원연금제도를 반영한 연금수리적 추계방법으로 공무원연금을 추계하여 공무원연금의 지속가능성과 세대 내, 세대 간, 그리고 계층 간 연금 수급의 공정성을 점검하고 진단한다. 공무원연금의 현행제도를 지속할 경우,2015년 기준가치로 2020년 32조, 2050년 582조, 2080년 1,699조원의 누적적자를 기록하게 되어 공무원연금의 지속가능성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공무원연금의 개혁방향으로 제시된 여당의 안은 제도의 미비와 부정확성으로 인해 2015년까지의 모든 재직자는 역차별을 받게 되고 2030년 초까지 오히려 현행의 재정적자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추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무원연금 재정적자의 주요인인 고령화현상의 부담을 공무원연금가 입자와 수급자가 자동으로 반분하는 새로운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이 개혁안은 현행의 재정수지적자를 2020년에는 40%를 줄이고, 2050년에는 55%,2080년에는 77%까지 줄이는 기대 이상의 효과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정수준의 노후소득을 보장하고 세대 간 공정성을 평가하는 후세대로의 부담전가량도 여당 안보다 적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소득계층 간 연금수 급액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소득재분배 기능을 가진 개혁안을 제시하고 그 효과 또한 점검한다. An actuarial projection model, which intactly reflects the pension system, is used to project the pension provision of public officials in Korea and to examine financial sustainability, both intra- and intergenerational fairness, and the adequacy of social strata in terms of income in retirement. The financial sustainability might be impossible without pension reforms as the public cumulativedeficits, due to increasing future pension entitlements, could reach at 28 trillion won in 2020, 414 trillion won in 2050, and 1,433 trillion won in 2090, based on year 2015 real price. The ruling party recently presented its own pension reforms of public officials but, unfortunately, its reforms were inaccurately and erroneously designed, bringing to more benefit cuts in the current employees than the new employees and resulting in more serious budget deficit than the current pension system. The benefit/cost ratios between public officials pension that are linking the entitlements directly to the evolution of life expectancy and show the effect of the reforms for fiscal consolidation. The reforms reduce the public deficit to 50% in 2020, 60% in 2060, and 80% in 2080, relative to the expected deficit of the current pension system. The reforms are also designed to give the pensioners an adequate income in old age and to have lower life transf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lifetime value of benefits and the total lifetime value of contributions, than the reforms of the ruling party. In addition, we also discuss the reforms that have a distributional function for different earning levels.

      • KCI등재

        국민연금 장애연금의 급여적정성 개선에 관한 연구

        정인영,정준영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3 사회복지정책 Vol.50 No.4

        본 연구는 국민연금 장애연금의 급여적정성을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분석하고 실효성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장애연금의 소득대체율 수준은 ILO 등 국제기구의 공적연금 장애급여 최저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ILO에서는 노령연금과 장애연금의 급여수준을 동일하게 설정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노령연금과 장애연금의 급여수준 격차는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셋째, 기준중위소득 30%, 최저임금, 국민연금 A값 등의 비교값 대비 장애연금 평균급여액 비율은 갈수록 하락 추세이다. 넷째, 우리나라 장애연금의 급여산정방식은 발생급여방식과 예상급여방식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방식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연금의 급여수준 적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애등급에 따른장애연금 지급률을 현행 60∼100%에서 80∼120%로 인상하는 방안과 의제가입기간을 20년에서30년으로 상향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방안들이 재정에 미치는 영향과 장애연금 수급자의 월평균급여액 변화 전망에 대해 살펴보았다.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d in-depth analyze the benefit adequacy of the National Pension Disability Pension and suggest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come replacement rate level of Korea’s Disability Pension does not meet the minimum standards for public pension disability benefit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ILO. Second, the ILO recommends setting the benefit levels of Old-Age Pension and Disability Pension to be the same, but the gap in benefit levels between the Old-Age Pension and Disability Pension in Korea is widening. Third, the ratio of the average Disability Pension benefit compared to comparative values such as 30% of the standard median income, minimum wage, and National Pension A-value is trending downward. Fourth, Korea’s Disability Pension benefit calculation method is a hybrid method that combines the accrued benefit method and the projected benefit method. Accordingly,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the adequacy of the Disability Pension benefit level, the study proposed measures to increase the Disability Pension benefit rate according to disability grade from the current 60 to 100% to 80 to 120% and to increase the subscription period from 20 to 30 years. It also looked at the financial impact of these measures.

      • KCI등재

        공적연금의 급여 적정성 및 형평성 비교연구

        권혁창 ( Kwon Hyeok Chang ),정인영 ( Jung Inyou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24 사회보장연구 Vol.40 No.2

        본 연구는 국민연금과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의 급여 산식을 비교하는 방식을 활용하여 공적연금의 급여 적정성 및 형평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직역연금의 급여수준은 큰 문제가 되지 않고 있으나, 국민연금의 경우 급여적정성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둘째, 기초연금과 공무원·사학연금의 소득재분배 적용비율을 고려한 공적연금의 급여 형평성 분석결과 공무원·사학연금 수급자는 기초연금을 수급하는 국민연금 수급자에 비해 최소 1.31배~최대 2.64배 많은 연금을 수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공적연금제도 간 격차 완화와 형평성 제고 및 일반 국민들의 적정한 노후소득보장을 위해 국민연금의 가입기간 확대 및 실질소득대체율 제고 방안 검토, 기준소득월액 상한액 조정 검토 등 국민연금의 실질적인 노후소득보장 강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민연금 개혁과 동시에 국민연금과 특수직역연금의 급여 형평성을 도모하고, 공적연금제도 간 불공평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benefit equity of public pension by comparing the benefit formulas of National Pension (NP),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GEP), Teachers’ Pension (TP) and Military Pension (M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special occupational pension schemes, benefit adequacy is rarely an issue, but in the case of NP, controversy over adequacy continues.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benefit equity of public pension considering Basic Pension and the income redistribution application ratio of GEP and TP, it was found that recipients of the GEP and TP receive at least 1.32 times and up to 2.64 times more pension than NP recipients who receive Basic Pen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suggeste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benefit adequacy and equity of NP, expand the contribution period, improve the real replacement rate, and review the adjustment of the upper limit of the standard monthly income.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consider ways to promote benefit fairness between the NP and Special Occupational Pension and to resolve unfairness between public pension schemes.

      • KCI등재

        국민연금 수급률과 급여 수준의 적정성: 성별 및 출생코호트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정림 ( Jeong Lim Han ),우해봉 ( Hae Bong Woo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4 사회보장연구 Vol.30 No.2

        국민연금 수급률과 급여 수준을 분리해서 검토한 선행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국민 연금 사각지대와 급여 수준의 적정성 문제를 통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또한 국민연금 DB의 실제 가입 이력을 활용함으로써 분석의 정확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국민연금 가입이력이 없는 개인들을 분석에 포함시킴으로써 분석 결과의 대표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성별 및 출생코호트별로 국민연금 수급률과 급여 수준에 있어서 상당한 변이가 존재함을 보여 주고 있다. 초기 출생코호트의 경우 국민연금 수급률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데, 특히 여성의 국민연금 사각지대 규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1970년대 이후 출생자의 경우 전반적으로 국민연금 수급률이 상당히 높게 형성됨으로써 국민연금 사각지대 대신 급여 수준의 적정성 문제가 보다 중 요한 이슈가 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분석 결과는 또한 현 국민연금제도가 노후소득보장 수준의 불충분성 그리고 불균형한 수급-부담 구조에 기인한 장기 재정 불안정이라는 이중적 도전에 직면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In addition to investigating both the take-up and benefit adequacy of the Korean national pension program, this study improves the accuracy and representativeness of results by using a sample from the Korean National Pension Database combined with a sample of cohort members without contribution histories at baseline. This study finds substantial variation in take-up and benefit level across gender and birth cohorts. The data indicate that take-up rates remain low among those born in earlier cohorts, in particular women. However, cohort members born after 1970s show much higher take-up rates, indicating that benefit adequacy could be a more fundamental issue in old-age income security. Final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Korean national pension program faces the dual challenge of benefit inadequacy and long-term fiscal instability due to the unbalanced contribution-benefit structure combined with fast population 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