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商號續用 營業讓受人의 辨濟責任에 관한 상법 제42조의 解釋原理 : 判例의 外觀法理的 해석방법의 한계 및 機能論 관점에서 再構成

        김성탁 한국비교사법학회 2014 비교사법 Vol.21 No.3

        영업양수인이 양도인의 상호를 속용하는 경우에는 양도인의 영업상의 채무를 인수하지 않은 경우에도 양도인의 영업상 채권자에 대하여 양도인과 함께 변제책임을 지도록 규정하고 있는 상법 제42조의 해석원리에 관하여 국내의 판례와 다수설은 오랫동안 외관법리를 취하여 왔고, 이러한 분석의 틀에 기하여 동조의 적용요건을 적극적으로 구성하여 왔다. 그러나 이 글은 상법 제42조의 해석원리로 외관주의가 과연 적절한 것인가에 관하여 근본적으로 의문을 제기하고, 그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해석의 관점과 방법론을 동조의 기능론에 입각하여 모색하고자 하였다. 상법 제42조는 동조 제1항에서 책임요건을, 그리고 동조 제2항에서는 면책요건을 각각 객관화하여 정형적으로 규정함으로써, 영업양도계약으로부터 배제되어 있는 제3자인 채권자를 보호하는 한편, 양도인·양수인·양도인의 채권자간 이익의 조정과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이 동조에 부여되어 있다고 필자는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 기초하여 상법 제42조의 적용요건에 관하여 판례가 취하고 있는 해석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필자의 의견을 개진하였다. Korean Commercial Code(hereinafter ‘KCC’) §42 prescribes the liability of the purchase of business to the third parties for the business liability of the transferor in continuation of trade name under the old company and also with the possibility of exclusion of liability. The model law of this provision was Japanese Commercial Code §26(corresponding to the current §17) which was enacted referring to the German Commercial Code(HGB) §25. The clarification of the guiding principle of this system makes trouble. Most domestic scholars try to interpret the legal reasoning as typed appearance liability theory, mixing theories of appearance and liability fund, and the company continuation theory. However, none of the traditional theories is able to provide complete satisfaction. In any case, the legal liability of the acquisition in accordance with §42 is to be accepted as lex lata without bending means of the theories out. This paper develops the logic related to the KCC §42, and sets its sights on the basis of the functional analysis concerning the clause. The main purpose of KCC §42 is to make working as a mandatory norm of interest adjustment among transferor, transferee, and creditors, as well as to protect creditors in relation to transfers of business. By providing the transferee with a choice between liability assumption and disclaimer, KCC §42 is expected for the transferee to act as the key coordinator of interests by reflecting the possible liability cost to the contract negotiations between transferor and transferee, and as a result to achieve the goal of debtor protec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se normative functions of KCC §42, this paper supports the Supreme Court’s decisions which have shown to extend KCC §42 for the cases related to the continuation of business sign as well as trade name, investing the business in kind, and so on. Meanwhile, this paper also expresses criticism about the Supreme Court’s decision which requires the good faith of creditors.

      • KCI등재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상 중개플랫폼 책임 조항의 개선방안

        윤신승 한국경쟁법학회 2022 競爭法硏究 Vol.46 No.-

        Considering recent trends of product suppliers’ growing dependence on online platforms, consumers’ expectations for online platforms’ monitoring of suppliers, and EU’s legislative trends, the approach to consumer protection through online platform brokerage may still be effective, provided that the application of liability theory based upon platform operators’ influence on suppliers and reliance by consumers is desirable.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regrettable that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s revised bill mainly stipulates in terms of appearance liability, and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at certain indemnity provisions stipulated in the clauses based upon the appearance liability are not well harmonized with the theory of appearance liability.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whether to recognize the liability for all intermediary platforms in terms of guardianship or trust, or whether a provision should be established to recognize the liability only for certain business forms (e.g., open market) or platforms which is larger than certain size or holding certain market share or more that can be seen as particularly strong influence over suppliers.

      • KCI등재

        사용자책임에서 사무집행관련성의 판단 -비교법적 연구로부터의 시사-

        김형석 ( Hyoung Seok Kim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서울대학교 法學 Vol.53 No.2

        In this article the author attempts to clarify the meaning of in the course of employment in art, 756 of the Korean Civil Code which provides the employer`s vicarious liability. For this purpose he compares the case law and doctrine in Korea with those in Germany, France and England. From this analysis he propounds new criteria for the Korean law. It is submitted that the employer must be liable as far as the risk of torts increases with his assignment of a task to her employees. The same is also true when her employee uses his chance occasioned by his assignment and commits a tort even with a private motive. Based on these insights, this article approaches to the typical cases found in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suggests concretes criteria to each types, As a result of the typology it is shown that, even in case of the employee`s violence, sexual misconduct and theft, both the contractual contacts between the parties and the victim`s good faith play a important role in judging the course of employment.

      • KCI등재

        使用者責任과 求償權 및 逆求償權에 관한 考察

        이혜진(Lee Hye-Ji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東亞法學 Vol.- No.48

        Article 756 of Korean civil code prescribes that a person who employs another to carry out an undertaking shall be bound to make compensation for damages done to a third person by the employee in the course of the execution of the undertaking. And paragraph 3 of it gives the employer the right to obtain reimbursement from the employee. This paper explores several issues concerning the employer's liability in torts including the requisites to undertake the liability, the relation to the execution of the undertaking, the appearance theory and the restriction of exercising the employer's right of reimbursement from the employee, etc. And then this paper probes into the matter of the employee's right of indemnity from the employer(so-called “reverse indemnity”), namely whether the employee can exercises the right of reimbursement from the employer. There are pros and cons about it. I believe that the employee who compensated for damages, may have such a right from the employer as the case may be, judging from a standpoint of equity.

      • KCI등재
      • KCI등재

        명의대여로 빚어진 외관에 대한 신뢰의 보호

        이채진(Lee, Chae-Ji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8 江原法學 Vol.53 No.-

        상법상 명의대여란 타인에게 자기의 성명이나 상호를 사용하여 영업할 것을 허락하는 것을 의미한다. 명의차용자는 자신이 갖추지 못한 사회적 또는 영업상의 명성이나 신용을 타인으로부터 빌리기 위해 타인의 허락을 받아 명의를 사용한다. 명의대여자는 명의차용자가 수행하는 영업의 주체가 아니지만 상법은 명의대여로 만들어진 외관에 대한 신뢰를 보호하기 위해 명의대여자를 영업주로 오인하여 차용자와 거래한 제3자에 대하여 명의대여자가 차용자와 연대하여 책임을 부담한다고 규정한다. 종합가구회사는 사업 규모 및 영업범위 확장의 수단으로 인테리어 업체들과 대리점 계약을 체결한다. 인테리어 업체들은 종합가구회사와 대리점관계를 체결하여 대형 회사의 상호와 영업표지 사용권한과 해당 회사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주문권한을 획득함으로써 모객효과를 누린다. 종합가구회사는 대리점의 전시장 설치와 본사직영 전시장 이용, 다양한 영업채널을 통한 거래 알선, 영업담당인력의 교육, 영업을 위한 홍보 등의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대리점의 영업을 지원하고 이 과정에서 대리점 영업의 주체에 대한 소비자의 오인을 야기하는 외관이 형성된다. 상법 제24조는 명의차용자의 거래상대방이 명의대여로 창출된 외관을 신뢰할 때, 즉 명의대여자가 영업의 주체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경우에 명의대여자의 책임을 인정한다. 대리점이 종합가구회사와는 독립적으로 영업을 수행하는 주체이므로 소비자가 영업의 주체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볼 수도 있으나, 일반 소비자는 대형 종합가구회사의 명성과 신용에 의존하여 거래할 대리점을 선정하고, 많은 경우 대리점이 종합가구회사와 ‘대리점 관계’를 형성한 자임을 인지하지 못한채 거래하며, ‘대리점’이라는 사실을 인지했다 하더라도 법률적으로 그것이 어떤의미인지 알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종합가구회사를 영업주체로 오인할 가능성이 높다. 외관신뢰는 상인사이의 거래에서 뿐만 아니라 상인과 비상인 사이의 거래에서도 존재하는데, 상인에 비해 비상인은 거래에 대한 전문성과 협상력이 부족한 점, 갈수록 외관에 의한 상거래가 증가하는 점을 고려하면 상인-비상인 간 공정한 거래수행과 궁극적으로 왕성한 상거래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특히 비상인의 신뢰를 더 강하게 보호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명의대여자의 면책요건으로 작동하는 거래상대방의 악의는 엄격하게 해석하여 극히 예외적으로만 거래상대방의 악의 또는 그에 버금가는 심각한 과실 여부가 인정될 수 있도록 명의대여자 책임 규정을 적용해야 한다. In the context of commercial laws, to lend trade names means allowing other person to use the lender’s name or trade name to carry on the borrower’s business. A person borrows other person’s name or trade name to use the person’s social and business-related reputation. Although the lender is not the owner of the business operated by the borrower, the Commercial Act provides that he is liable for it jointly and severally with the borrower in order to protect the trust of the third-party who transacted with the borrower because he/she believed that the transaction belongs to the lender. Total home furnishing companies make agency contracts with small-sized home interior business with the purpose of expanding the size and scope of their businesses. Once small interior businesses become authorized agencies of the companies, they can easily attracts customers. For entering into agency relation with the company give them the right to use the company’s trade name and business signs that are widely known and to order products manufactured by the company. The company supports agency’s business by aiding their setting up a showroom, allowing them to use the company’s exhibition center, assigning customers to agencies through TV home shopping programs or the cybermall run by the company, educating agency’s employees, and putting advertisements and various sales events, all of which form appearance that is likely to cause customer’s misunderstanding that the individual agency’s business belongs to the company. Article 24 of the Commercial Act stipulates that the lender is liable when the third-party get the misconception on the owner of the business from the appearance made by the lending of trade names. Even though an agency independently run its own business, it is highly likely that customers get such misconception in that they select an agency as their contract opponent because the agency is authorized by a famous home furnishing company; in many cases they do not recognize that their counterpart is an agent; or they do not have enough legal knowledge that enable them to figure out what an agent means in legal terms. Transactions based on the trust in the appearance made by lending trade names, especially between a merchant and a non-merchant customer, is on steady increase. A non-merchant customer lacks expertise needed for making a transaction. In such situation, it is needed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the non-merchant third-party’s trust in appearance made by the lending of trade names and it corresponds to the purpose of the Article 24. For that purpose, the third party’s knowledge as to the owner of business, which discharges the lender from the his/her liability as to borrower’s business, should be rarely acknowledged.

      • KCI등재
      • KCI등재

        지명채권양도에서 채무자의 이의보류 없는 승낙에 의한 항변차단

        이동진 한국재산법학회 2019 재산법연구 Vol.36 No.3

        According to article 451 (1) of the Korean Civil Code, a debtor who accepted the assignment of his/her debt without reservation cannot oppose his/her defence from the relationship with assignor against the assignee. This article has been a puzzle in literature because it attributes mere an ommission of a manifestation of reservation too strong effect for the assignee to bar the debtor to raise defence, which seems to contradict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law of assignment. Thus, literature has endeavored to limit the applicability of the abovementioned article. The problem is that the literature has tried to achieve this result mainly by imposing subjective requirement on the assignee. The reasonable limit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the abovementioned article cannot be achieved merely by adding subjective requirement on the assignee. It should be supplemented by restricting the scope of defence which can be barred by the abovementioned article as well as by imposing subjective requirement on the debtor accepting without reservation. Also, an extensive interpretation of “reservation” is needed. All these correspond not only to the development of the case law in the Korean Supreme Court but also to the interpretations in many other jurisdictions. 민법 제451조 제1항 본문은 채권양도에서 채무자의 이의보류 없는 승낙에 항변차단의 효과를 부여한다. 이 규정은 채무자의 단순한 부작위에 과도한 효과를 부여하여 그 정당성과 해석상 제한방법을 둘러싸고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그 동안의 논의는 주로 양수인 측의 인식 내지 인식가능성을 통한 제한에 집중되어 있었다. 반면 판례는 이 규정에 의하여 차단되는 항변의 범위와 채무자 측의 인식 내지 인식가능성, 이의보류의 확장 등 다양한 제한방법을 함께 발전시켜왔다. 민법 제451조 제1항의 입법연혁과 그 이론적 근거에 비추어볼 때 채권전부의 존부에 영향을 주는 사유와 형성권의 행사로 같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사유는, 승낙 당시 이미 존재한 이상, 승낙에 의하여 차단된다고 볼 수 있다. 그 외의 사유는 채무자에 의하여 항변부존재에 대한 구체적 신뢰가 야기되었는지 여부를 따져야 하고, 채무자가 중대한 과실 없이 알지 못한 항변과 양수인이 알았거나 중대한 과실로 알지 못한 항변은 이의를 보류하지 아니하여도 양수인에게 대항할 수 있으며, 항변을 보류하지 아니하였어도 달리 승낙에 항변에 관한 신뢰를 배제하는 취지가 드러나거나 기타 그러한 사정이 있다면 이의보류가 있다고 보아 민법 제451조 제1항 본문의 적용을 제한함이 타당하다. 이는 결론에 있어 판례 및 비교법적 고찰의 결과와도 광범위하게 일치한다. 다만 법문과 상당한 거리가 있음은 부정하기 어려운데, 궁극적으로는 입법에 의하여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직장 내 성희롱과 사무집행관련성

        윤우일(Yoon, Woo-Il) 경희법학연구소 2021 경희법학 Vol.56 No.4

        민법 제756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피용자가 그 사무집행에 관하여 제3자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그러나 피용자 개인의 성적 일탈로 볼 수도 있는 직장 내 성희롱의 경우에는 민법 제756조 사용자책임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는 ‘사무집행관련성’을 인정받기 쉽지 않았다. 직장 내 성희롱의 해악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어가면서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에 직장 내 성희롱 금지규정이 도입되고 직장 내 성희롱 예방이나 사후조치 관련 규정들이 강화되어가면서 법원은 성희롱에 대한 사무집행관련성 인정범위의 확대를 통해 성희롱에 대한 사용자책임을 인정하는 사례를 점차 축적해왔다.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해 사용자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사무집행관련성’이 주요쟁점이 되는데 최근 법원은 직장 내 성희롱 사건의 ‘사무집행관련성’에 대해 상당히 진보적인 판결을 내리고 있다. 피해자 보호의 관점에서 피용자를 통해 활동영역을 확장하고 이익을 추구하는 사용자에게 업무영역에서 발생하는 손해에 대한 책임을 넓게 인정할 필요성이 있기는 하나, 직장 내 성희롱 중 업무집행과 연결짓기 어려운 성희롱에 대해 지나치게 넓은 민법 제756조의 사용자책임을 인정하거나 성희롱예방이나 사후조치를 면밀히 이행한 사용자의 경우 면책의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고는 미연방대법원의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한 사용자책임 인정기준과 최근 직장 내 성희롱에 관한 우리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면서 성희롱과 사무집햅관련성에 대한 유익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According to Article 756 of the Civil Act, the employer is responsible for compensating for the damage if the employee inflicts damage to a third party regarding the execution of the affairs. However, in the case of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it was difficult to recognize the “acting in the scope of their employment,” making it difficult to recognize the responsibility of the employer. However, as social consensus was formed on the harmful effects of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regulations on workplace sexual harassment were introduced in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And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Act, and accordingly, courts have gradually recognized employer responsibility for sexual harassment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ir employment. In the case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in order to hold the employer responsible, “acting in the scope of their employment” is the main issue, and recently, courts have made quite progressive judgments on workplace sexual harassment cases. If an employee inflicts damage to another person during his/her work,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employer s responsibility for damages caused by the employee in the employer s work area, as it is fair for the employer seeking profits to bear the damage of others. However, even though workplace harassment has a significant vulnerability to acting in the scope of their employment, I don t think it is desirable to admit too wide user responsibility or not to admit user immunit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obtain useful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acting in the scope of their employment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