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화사실인지정도와 노화불안에 대한 연구

        김화선,양정남,최은정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aging anxiety, knowledge about aging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aging anxiety. For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Aging Anxiety Scale: AAS from Lasher & Faulkender (1993) and Kyung san scale, knowledge of aging.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35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from Gwangju and Junnam area. The data was analysis 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the participants for knowledge on aging was 58.9% The participants were an adult group whose score was lower than the social workers(65.3%) and nurses group(65.5%). Second, the average score of the participants for aging anxiety was 2.80 out of 5.00. The sub score shows that fear of elderly among participants was 2.77, fear of loss was 3.11, fear of psychological instability was 2.2, fear of physical appearance was 2.98. Third, the result showed that differences between aging anxie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s that sex, age, level of education, education on aging, volunteering experience of working with elderly. Fourth,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ging anxiety and knowledge on aging. This fact implied that the greater ones knowledge on aging the lower the aging anxiety. Fifth, this study showed that knowledge on aging and volunteering experience working with elderly was a most influential factor towards participant's anxiety about aging. In conclusion, an integrated education programmes which included lectures and volunteer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anxiety about aging and improve quality of elderly care.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자의 노화불안 수준과 노화사실인지정도를 파악하여,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광주 ․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과 일반성인 335명으로, 수집된 질문지 중 31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Lasher & Faulkender(1993)의 노화불안 척도(Aging Anxiety Scale: AAS)의 20문항 중 19문항과 윤진 ․ 조석미(1982)의 경산노화사실인지척도 24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대상자의 노화사실 인지정도의 정답률은 58.9%로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사회복지사(65.3%), 간호사(65.0%)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노화불안은 5점 만점 척도에서 2.80점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별로는 노인에 대한 두려움이 2.77점,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 3.11점, 심리적 불안정이 2.20점, 신체적 외모에 대한 두려움이 2.98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화불안의 차이는 성별, 연령, 학력, 노인복지 관련 과목 이수경험, 향후 노인관련 업무 희망 여부, 노인대상 자원봉사 경험 유무에 따라 총노화불안이나 하위영역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노화사실인지정도와 노화불안 사이에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이를 통해서 노화사실인지정도가 높을수록 노화불안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노화사실인지정도와 자원봉사경험이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화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화사실인지 교육의 필요성과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논의를 시도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욱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6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on anxiety about ag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775 undergraduate students attending 5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y were interview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 The research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Semantic Differential Scale developed by Sanders et al., and Anxiety about Aging Scale developed by Lasher and Faulkender, and several socio-demographic and aging related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was 3.88/7 and anxiety about aging was 2.90/5. Seco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confirmed that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influenced anxiety about aging. The strongest predictor influencing anxiety about aging wa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followed by mental health status, quality of living and contacting with the elderly, age, sex, accounting 31.9% of the variance of anxiety about aging. Implications for policy,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for increas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reducing anxiety about aging were further discussed. 이 연구는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화불안의 수준을 파악하고, 노인에 대한 태도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지역의 5개 대학 학부생 775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SPSS 2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노인에 대한 태도는 Sanders 등(1984)의 의미분화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노화불안은 Lasher와 Faulkender(1993)의 노화불안척도(Anxiety about Aging Scale), 그리고 인구사회적 및 노인관련경험을 묻는 문항으로 연구도구를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7점 척도에서 3.88점, 노화불안은 5점 척도에서 2.90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수록 노화불안은 높게 나타났고,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요인이었다. 이어서 정신건강수준이 나쁠수록, 노인과 동거 및 교류 경험의 질이 나쁠수록, 연령이 적을수록, 여성일수록 노화불안이 높게 나타났고, 회귀모형은 노화불안 변량의 31.9%를 설명해 주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유도하고, 노화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 및 실천방안, 그리고 후속연구에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양기대와 정책신뢰가 중고령자의 노후불안에 미치는 영향: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정주희,정순둘 한국노년학회 2023 한국노년학 Vol.43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upport Expectation and Policy Trust on Anxiety about aging in middle-aged adul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reparation for old age. In the process, the importance of the economic domain was emphasized as one aspect of Anxiety about aging, and the measurement tool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include questions about it. For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middle-aged between the ages of 45 and 64 all over the country, and the data of 558 people who completed the survey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upport Expec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nxiety about aging, and Policy Trust had a negative effect on it. Preparation for old age has a negative effect on Anxiety about aging, and Support Expectation and Policy Trust both have an indirect effect on Anxiety about aging through Preparation for old age. In order to reduce anxiety about aging,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olicy that can secure reliability and effectiveness by collecting diverse opinions from policy targets and fully understanding practical needs. In addition, various programs and services should be prepared to provid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will help the middle-aged prepare for old age.

      • KCI등재

        대학생의 노화불안과 효 의식 연구 - 한ㆍ일간 비교를 중심으로 -

        장현숙,김진욱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1

        본 논문은 한․일간 대학생의 노화불안과 효 의식에 대한 인식조사 및 분석결과와 그 영향요인에 대해 실증분석방법을 활용한 비교연구이다. 설문조사는 2014년 7월부터 약 4개월에 거쳐 거주지역인 대전 및 충남지역과 일본의 구마모토현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과 일본에서 수집된 자료 중 총588부에 대해 SPSS PC+(Ver. 22)를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에서 사용한 분석도구는 Lasher & Faulkender(1993)가 개발한 Anxiety about Aging Scale(AAS) 노화불안척도와 Ho.D(1994)가 개발하고 Unger, Ritt-Olson, Teran, Huang, Hoffman & Palmer(2002)에 의해 수정된 Filial Piety Scale로 효 의식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일 대학생의 노화불안은 5점 척도 기준으로 2.89점과 2.87점으로 양국 대학생들은 전체적으로 노화불안을 인식하고 있었다. 한국은 여학생과 나이가 어릴수록 노화불안을 더 느꼈지만 일본은 인구사회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노화불안의 하위요인 중에서 양국 대학생은 상실에 대한 두려움 요인점수가 높았다. 둘째, 한일간 효 의식은 3.47점과 2.97점에서 차이를 보여 한국대학생들이 중간 값 이상으로 일본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국은 나이가 많은 학생과 형제자매의 수가 많은 학생이 효의식이 높았지만, 일본은 상대적으로 어릴수록 효 의식이 높았다. 셋째, 노화불안과 효 의식 간 상관관계는 일본의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다. 노화불안 영향변인으로 한국은 주관적 경제수준 하나인 반면에, 일본은 주관적 경제수준과 효 의식이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은 한․일간 노화불안과 효 의식에 대해 최초로 비교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지만, 노화불안의 해소와 효 의식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법에 대해서는 향후 과제로 남겨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undergraduate students anxiety about aging and filial piety between the Korean and Japan students. Anxiety about aging and filial piety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o understand as the population ages. The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339 undergraduate students of a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and Chungcheong-Do. The Japan data were collected from 249 undergraduate students of a university located in Kumamotohyun. They were interview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of SPSS 22.0. The research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Anxiety about Aging Scale developed by Lasher and Faulkender(1993) and Filial Piety Scale developed by Ho(1994) and modified by Umger, Ritt-Olson, Teran, Huang, Hoffman & Palmer(2002).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nxiety about aging for Korean students was 2.89/5 and for Japanese students was 2.87/5. The strongest factor influencing anxiety about aging was sex and age, that is anxiety about aging is higher female student who are younger. Second, the level of filial piety for Korean students was 3.47/5 and for Japan students was 2.97/5, resulting that the filial piety level of the Korean students were higher than that of Japanese students. The strongest factor influencing filial piety was age and brothers and sisters. Third,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he strongest predictor influencing aging anxiety was subjective economic status of household and filial piety in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사의 노화불안과 노인에 대한 태도

        박재숙,성희자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0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3 No.-

        고령화사회로 인한 노인복지 대상자의 증가로 지역사회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매우 관심 있는 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종합사회복지관과 노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를 예측할 수 있는 주요 변수로 노화불안에 대해 살펴보고, 노화불안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울산지역의 53개 종합복지관 부설 재가노인복지팀 및 노인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11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중립적이었으며 노화불안은 중간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 사회복지사의 노화불안은 노인에 대한 태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노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에 대한 불안이 높을수록 노인을 대하는 태도가 부정적이므로 이러한 것들이 노인복지서비스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ial worker's Attitude toward the Elderly related to Anxiety about aging.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19th to July 3rd in 2009. The respondents were 115 social worker in Daegu, Ulsan city and Gyeongsangbuk-Do area. The datas were analyzed with the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4.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social worker' average level of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as 78.73/140 point (SD=10.97), which was neutral. Second, In the range from 17 to 85, the social worker' level of anxiety about the aging was 45.26/85 point (SD=8.07), which was lower than medium level(51.00).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the anxiety about the aging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social worker's Attitude toward the Elderly. Forth, The anxiety about the aging affects significantly to the social worker's Attitude toward the Elderly (β=-.255).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ome suggestions on the political of the social work were presented, and it will contribute to exploration of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of social worker.

      • KCI등재

        중년기 성인의 부부친밀감과 노화불안과의 관계에서 자녀애착의 매개효과

        임재연,김지현 한국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6 No.4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rital intimacy and attachment toward children on anxiety about aging for middle-aged adults. For this research, the data from 364 people having a child were analyzed. The findings in the study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attachment avoidance to children and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anxiety about aging. Meanwhile, it was found that attachment avoidance to children positively correlates with anxiety toward aging. Additionally, attachment avoidance to children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anxiety toward aging. Findings in the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for middle-aged adults to develop intangible exchange resources(i.e. marital intimacy and attachment to children) to reduce anxiety toward aging and prepare their stable older age. 본 연구는 자녀가 있는 중년기 성인들의 부부친밀감, 자녀애착과 노화불안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교환이론에 의하면 부부간, 부모-자녀 간에 교환자원의 부족과 가치 저하로 노화불안이 경험된다. 노화불안은 노년층뿐 아니라 노년을 대비하는 중년층에서도 나타난다. 노년기 교환자원 부족과 가치 저하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요소가 부부친밀감과 자녀와의 애착이다. 다양한 관련 논의를 바탕으로 부부친밀감과 노화불안과의 관계를 자녀애착회피가 매개한다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중년기 성인 36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부친밀감은 자녀애착회피, 노화불안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자녀애착회피는 노화불안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부부친밀감과 노화불안과의 관계에서 자녀애착회피가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년기 성인의 부부친밀감이 노화불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동시에 부부친밀감이 자녀애착회피를 낮추어 간접적으로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노년기의 노화불안을 줄이며 안정적인 노년기의 삶을 준비하기 위해 중년기 성인으로 하여금 부부친밀감, 자녀애착을 잘 형성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용식(Yong-Shik Yoo)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생활 준비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성별, 연령, 건강상태, 월평균소득이 그리고 노후태도, 노후불안이 노후준비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자보다는 여자가,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그리고 노후태도가 높을수록, 노후불안이 낮을수록 노후준비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세대별 욕구와 특성에 맞는 노후준비 서비스가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노후태도를 높일 수 있는 의식변화와 단계별 노후생활 준비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노후불안을 낮출 수 있는 다양한 정신건강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baby boom generation’s preparation for old age, and based on that, it will provide foundational data to improve the baby boom generation’s preparation for life in old ag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with regard to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ir sex, age, health conditions, average monthly income, attitudes to old age, and anxiety about aging ma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preparation for old age. In other words,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age is higher in women than men, those who are older, those having better health conditions, those with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ose with better attitudes to old age, and those whose anxiety about aging is lower.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the paper intends to make the following political suggestions: first, it is needed to develop preparation for old age services appropriately for each generation’s needs and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for preparation for life in old age by steps and change their consciousness to enhance their attitudes to old age. Third, it is needed to develop and distribute a variety of mental health programs that can lower their anxiety about aging.

      • KCI우수등재

        노인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노화불안이 노인과의 시공간 공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지연(Jiyeon Lee),한경혜(Gyoung-Hae Han)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2

        이 연구는 노인과 시공간을 공유하는 것이 연령차별주의를 극복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노인을 위한 공간의 필요성 담론이 지속적으로 제기 되고 노인을 위한 공간이 실제로 만들어지고 있지만, 이는 오히려 노인들을 따로 구분 짓고 구획화하는 결과를 가져와 노인에 대한 배제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연령과 공간에 관한 논의를 할 때에는 다양한 연령이 함께 어울려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소통의 공간이 연령통합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연령차별주의는 노인과의 섞임을 피하도록 만들고 어렵게 하는 측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령차별주의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노인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노화불안이 노인과 시공간을 공유하는 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세대 간 접촉의 효과에 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자료를 활용하여 19세 이상 한국 성인남녀 1,535명의 표본을 분석하였다. 노인과 시공간을 함께하는 것에 대한 태도를 종속 변수로 하고, 연령차별주의의 인지적 측면인 노인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정서적 측면인 노화불안을 독립변수로, 노인과의 접촉 및 교류 경험을 조절변수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이 강할수록 노인과 시공간을 공유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노화불안이 심할수록 노인과 시공간을 공유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셋째, 노인과 일상적 접촉이나 친밀한 교류를 경험한 사람들은 노인과 접촉 기회가 없었거나 피상적 교류를 한 사람들에 비하여 노인과의 시공간 공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넷째, 노인과의 접촉 및 친밀한 교류의 경험은 노인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노인과의 시공간 공유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의 관련성을 완화시켰다. 본 연구는 전국 단위의 대표성 있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령차별주의와 노인과의 접촉 및 교류의 경험이 노인과의 시공간 공유 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노인과 공간에 대한 학문적인 이해를 넓히고, 연령통합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논의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uggests space and time sharing with the elderly as a potentially important way of overcoming ageism in Korean society. While the elderly can benefit from having a separate space designated for their own generation, such demarcated space could also separate and exclude the elderly from the rest of the society. Thus, an interactive public space, in which different generations interact, could serve an important role for the age integration. However, ageism embedded in Korean society may hinder successful integration. In this light,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negative stereotype towards the elderly and aging anxiety on Korean’s attitudes about sharing space and time with the elderly. We analyzed data from the 2012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n=1,535). The main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egative stereotype towards the elderl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negative attitudes about sharing space and time with the elderly. Second, aging anxiety wa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negative attitudes about sharing space and time with the elderly. Third, contact and interaction with the elderly, however, was positively related to positive attitudes about sharing space and time with the elderly. Additionally, contact and intimate interaction with the elderly ameliorated negative effects of negative stereotype towards the elderly.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the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an age-integrated space to operate effectively.

      • KCI등재후보

        오정희의 『동경』, 『얼굴』에 나타난 노년의 죽음 문제

        박선애 ( Sun Ae Park ),김정석 ( Cheong Seok Kim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科學硏究 Vol.31 No.-

        Talks and thoughts on death has been prohibited in the daily life of contemporary society. Such practice is not exceptional to the discourse of old age. Separated and excluded from the daily life is the idea of death, as with the case of being old today. The present study looks into how the death is conceived along with the old age, through the analysis of two novels ``The Bronze Mirror`` and ``The Face`` written by novelist Oh Jung Hee. The novels come from her memories on how her own parents led later life in loneliness and ill health till the death. The novels embodies writer`s view on how the elderly people relates their everyday life in the end to the death based on her own parents. The elderly people in the novels die lost their connection to the world expressing emotion of loneliness. Their attitude toward death somewhat differ by their age, health status, gender as well as their experience in other`s death in the past. It is hard to find that they understand their life and death as it is. They, noticing the shadow of death from the unbearable ennui of old age, are still excluded and separated from the social connection surrounding them. They fail in reaching to release their anxiety about death and understand it.

      • KCI등재

        수도권 중・고등학생들의 연령차별주의와 영향 요인

        황미영 한국법교육학회 2019 법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연령차별주의 실태와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소재 4개 중․고등학교 2학년 학생 총 4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고등학생들은 평균적으로 낮은 연령차별주의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중학생의 8.2%, 고등학생의 17.8%는 비교적 높은 연령차별적 태도를 보였다. 둘째, 개인 변인 측면에서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노인․노화 관련 지식이 적을수록, 노화 불안이 높을수록 연령차별주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과의 접촉 경험변인 중에서 노인 대상 봉사활동 경험이 있을수록, 노인과의 직접 접촉 친밀도가 높을수록, 긍정적 미디어 접촉이 많을수록, 부정적 미디어 접촉이 적을수록 청소년의 연령차별주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들이 노인 세대를 위협적이라고 인식할수록 연령차별주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연령차별주의 개선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먼저, 노인에 대해 부정적 태도가 증가하는 고등학교 이전에 교육적 개입을 통해 노인 및 노화와 관련된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고, 노화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시켜 줄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노인 대상 봉사활동 경험, 노인과의 직접 접촉의 질 제고, 미디어를 통한 노인과의 긍정적 접촉 경험 제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연령차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청․장년세대와 노인세대 간의 관계적 속성 역시 고려해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ageism in adolescents and examine factors affecting i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486 second-year students from four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As a result, firs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low ageism. However, 8.2%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17.8% of high school students showed relatively high ageist attitude. Second, in terms of individual variables, ageism of adolescents was higher in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less knowledge related to aging, and the higher the aging anxiety. Third, among the variables of contact experiences with the elderly, ageism in adolescents was lower as the volunteer experiences with the elderly, the higher the direct contact intimacy with the elderly, the more positive media contacts, and the less negative media contacts. Fourth, ageism in adolescents was higher when adolescents perceived the elderly as a threa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improving ageism in adolescent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and aging and to relieve vague anxiety about aging through educational interventions before high school, where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ncreases. Next, it is necessary to provide volunteer experiences, improve the quality of direct contact with the elderly, and provide positive contact experiences with the elderly through the media. Lastly, in order to understand ageism in adolescents, the relational attributes between the young and the old genera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