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보험법과 사회연대 원리

        장승혁(Jang, Seunghyuk) 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17 사회보장법학 Vol.6 No.1

        Social solidarity is the product of the recognition about social risks as well as the collective correspondence against it. ‘Solidum’ in Roman law era means the duty for all and joint responsibility. Solidarity has evloved with various meanings in the area of Solidarism in France, labour movement and catholic. Social solidarity has been institutionalized into social insurance in the 19th century in Germany, France and England. The structural features of social insurance reflects the principle of social solidarity. First of all, social solidarity is based on the universalism because it applies to the citizens in the specific country. Social solidarity forms the compulsory social insurance which reflects the collectivism of social solidarity. Social solidarity also meets the normal needs of the insured in social risks. The contribution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the insured"s income comprises the prerequisite of the payment based on the normal needs. It means the interchangeability between the need and the income of the insured. The autonomy of the insured in the social insurance is related to the procedural justice and the legal control against the insurer. Next, This thesis of a doctorate evaluates the Korean social insurance in terms of the universal appliance, the collective responsibility, the payment based on the normal needs, the contribution propotional to the amount of the insured’s income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insured which not only constitute the legal component of social solidarity but also the legal structure of social insur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Korean social insurance remains the low level of these all factors. Finally, I try to make a suggestion about the legal meaning of social solidarity based on the previous historical evolvement of social solidarity, the legal component of social solidarity and the legal structure of social insurance. The central components of social solidarity are ‘universalism, collectivism and reciprocity’. In this respect the legal concept of social solidarity in social insurance is ‘the collective responsibility to guarantee all citizen’s normal livings’. Social solidarity requires the ‘Solidarity Community’ which guarantee all citizen’s needs in social insurance. In Solidarity Community the insured are forced to fulfill the obligation of solidarity which means the application for compulsory insurance as well as the payment of the premium. In other way the insured have the right about the benefits to satisfy his or her normal needs based on social solidarity in this Community. It could be called ‘The right to solidarity for coexistence’.

      • KCI등재

        뒤르켐의 사회적 연대와 사회화 다시 읽기: 교육학적 해석과 수용의 문제

        김천기 교육종합연구원 2017 교육종합연구 Vol.15 No.4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erive the meaning of Durkheim's socialization concept in the present neoliberal age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socialization theory of Durkheim.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ocialization theory presented in 『Education and Sociology』, in the light of his other works and discussed how to be corrected or supplemented. From this point of view, I tried to critically analyze how Durkheim's socialization is interpreted and accepted in educational ter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presented the key elements for school socialization in the neoliberal era and suggested the task of school socializ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understanding of negative humanity in Durkheim's socialization debate. School socialization should be based on a moral individualism that emphasizes the dignity of individuals. Second, the meaning of 'society' should be clearly conceptualized in Durkheim's socialization. School socialization shoul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cooperative and moral community, not a reproduction of a marketed society. Third, the human subject 's activeness and autonomous will should b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solidarity form. School socialization should promote student human rights, which means respect for individualization from collective consciousness for mechanical solidarity. Fourth, socialization for organic solidarity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socialization for forming selfish and utilitarian human being of neoliberal society. School socialization should be positioned as resistance socialization against neoliberal socialization.

      • KCI등재

        마을행동, 사회적 연대의 민속적 배치와 생성

        이영배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인문학연구 Vol.0 No.35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possibility of folk study which can aggressively cope with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of modern Korean society, for which the endeavor was put into so as to create the conception with which a social solidarity can be materialized in any folk studies and that was applied as a link to presentation of a model of folk knowledge for the social solidarity. Tha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rection for creating folk knowledge or realizing opportunities for discussion as a theoretical cause on the reality. In this study, the inducement of the concept appropriate for study was more necessary than anything else for the approach to the new emergence of new folk corresponding to major problems in modern society and the analysis of its meaning. In other words, the issue of how to set the codes for creation and interpretation of folk knowledge came to the fore. For its resolution it was indispensible to analyze the meanings of diverse cases on folk phenomena, which means it was necessary to carry out another research where any studies on the meaning and value of folk were recognized again along with its relevance to the structure of modern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for the designing of folk-knowledge theory aimed at stronger social solidarity, it was needed to newly analyze the social properties and meanings that folk or folk knowledge has. Along with the progress of these researches, it became possible for the role and status of folk knowledge to be inquired into and ultimately the character and theoretical model of folk knowledge for social solidarity could be established. In discussion for social solidarity of folk knowledge was planned, for which attention was paid to “Emergence or Return of Village” shared widely as modern version of folk so that it might be a concrete research subject. And then this phenomenon was conceptualized as “Village Action(alternative community movement or making village community)” for more progress of discussion. Thirty cases of village action, which are currently more active in concrete research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analysis was focused on the appreciation of character and status of the village action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Korean Community. The village action village researches paid lots of attention is a repre sentative social phenomenon that social minorities are resolving their problems in an autonomous and alternative way, which is a very folk phenomenon in that it is based on village communities. Therefore, it is very reasonable that those village communities have been major study objects so that the role and status of folk knowledge may be discussed in modern Korean society. Village Action is not only a research object effective for establishment of cross-sectional relation between folk knowledge and social practice but also a key research field enabling folk knowledge to come up with a new pattern of social connectivity. Accordingly, for any discussion of the role and status of folk knowledge which is a problematic phenomenon in minority groups in modern Korean society, it was indispensible to structurally analyze the terrain of study on village action. The character of ‘Village Action’ can be appreci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ts position in social structure, where, of course, the social structure interlocked with the nation along with the implication of ideological quality, power and dominant value. Accordingly, raising a question about village action and social structure is an ultimate core to appreciating the functional relation between folk knowledge and structure of modern Korean society. Based on such structural analyses, the role and status of folk knowledge for social solidarity could be determined. 최근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마을공동체 운동과 그 연구 동향을 조망할 때, 마을에 대한 정의는 새로운 의미를 더해가고 있다. 현대 한국사회에서 마을은 소수자들의 공동체로서 일종의 대안사회를 지향하는 사회적 연대와 실험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민속적 정의의 현대적 변용임과 동시에, 그 사회적 속성의 발현이라는 점에서 현대 한국사회에서 민속지식의 생성과 관련된다. 즉 현대 민속지식의 생성으로서 마을공동체의 새로운 실험은 마을에서 마을 아닌 것을 발견하고, 그것을 마을과 접속시켜 재정의해가면서 사회구조 속에서 배태되는 문제 상황과 마주치면서 그 실천적 성격을 강화해나가고 있다. 그간의 민속지식 분야에서는 민속적인 것의 형태에 집중하여 현대 한국 사회에서 민속의 전승과 존재 양상을 파악하고 그 의미와 가치를 규명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왔다. 그런데 그와 같은 접근 속에서는 근본적으로 새롭게 출현하고 있는 행동들과 접속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그 행동들이 동시대적 민속의 재현이라는 점을 포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형태에 집중해온 그 인식관심에 근본적인 전환이 필요하다. 즉 ‘형태의 행동’이 아닌 ‘행동의 형태’에 대한 관심과 그 개념의 창안과 규정이 요구된다. 마을행동에서 유의미한 민속적 성격과 위상은 다양한 소수성의 발현과 전개 행동 속에서 공감과 연대를 중시하며 타자와 결속하는 공동체 운동이라는 점에 있다. 민속의 새로운 배치와 생성으로서 새로운 의미를 창조해가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민속지식의 새로운 국면을 열어가고 있다. 민속지식에 집합적으로 체현되어 있는 감수성에는 공감과 연대의 능력이 잠재해 있다. 민속지식의 이 잠재적 능력이 현대 한국사회의 조건 속에서 마을행동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마을행동은 현대 한국사회에서 재현되고 있는 민속적 행동의 형태이자 새로운 배치인 것이다.

      • KCI등재

        연대의 가능성과 인간의 의무

        김용해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7 생명연구 Vol.46 No.-

        Solidarity (Solidaritaet, solidaritas) generally means an attitude or activity for the purpose of a community as a whole or for that of a worthy person or persons acting within their legal rights who are threatened.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we look at how the concept of solidarity has been used and developed historically in the traditions of Korea and Germany. In the second part, we use Bayertz ' writings, systematically to classify areas where the concept of solidarity is used and examines the possibilities of today’s solidarity. Bayertz considers these days’ culture as an individualist culture that prioritizes one’s own interests and values, and he uses sociological methodologies to examine areas of society and try to understand it phenomenologically. Bayertz divides the solidarity into four uses: 1. moral philosophical-metaphysical concept of solidarity, 2. solidarity as social unity, 3. solidarity as means and purpose of liberation struggle, 4.solidarity of welfare states. I would like to review Bayertz’s four conceptions of solidarity and its possibility. According to him, solidarity, which has meaningful effects still in the modern society presupposed by selfish human beings, is the "organic solidarity" of Duerkheim and the revolte solidarity of Camus. Part 2 sheds light on the limitations of Bayertz’ ideas and suggests that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must be supplemented by ethical and metaphysical human understanding. In the conclusion, we present an alternative viewpoint, that of Catholic social theory concerning the pursuit of personal dignity, solidarity, and subsidiarity in an integrated view in terms of metaphysics, history, ethics, and politics. The conclusion will present the basis of the proposition that solidarity is a duty of humanity and a mission of Christianity. 연대solidarity(Solidaritaet, solidaritas)는 일반적으로공동체의 목적을 위해, 혹은 위협에 처해 있고 동시에가치 있고 적법한 것으로 보이는 타인의 목적을 위해 자신을 투신할 준비가 되어 있는 태도나 활동을 의미한다. 우선 연대개념이 한국과 독일의 역사와 전통 안에서어떻게 사용되었고 발전되었는지 살핀다(II장). III장에서는 체계적으로 연대개념이 소환된 영역들을 분류하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연대 가능성이 높은 장소는 어디인지바이예르츠(K. Bayertz)의 글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그는현대를 자신의 이익과 가치를 우선시 하는 개인주의 문화로 보고, 사회를 현상적으로 파악하는 사회학적 방법론을 가지고 영역들을 검토하고 있다. 바이예르츠는 1. 도덕철학적-형이상학적 개념으로서의 연대, 2. 사회적 통합으로서의 연대, 3. 해방투쟁의 수단과 목적으로서의 연대, 4. 복지국가의 연대 등 네 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고있다. 그에 의하면 이기적 인간을 전제로 하는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의미 있는 효력을 발생하는 연대성은 뒤르켕이 지적한 ‘유기적 연대’와 생태, 여성, 장애인, 동성애자 등 역사적 진보와 해방을 기다리며 저항하는 까뮈의 ‘저항연대’ 정도이다. III장 소결(4)에서는 Bayertz의 한계를 지적하고 윤리학적, 형이상학적 인간 이해로 연대가능성을 보충해야 한다는 점을 밝힌다. IV장 결론부분에서 연대 가능성을 형이상학, 역사학, 윤리학, 정치학 등통합적 시각에서 인격성, 연대성, 보조성을 추구하는 가톨릭 사회론의 입장을 중심으로 대안으로 제시한다. 이를 통해 연대는 사회적 본성을 지닌 인간의 의무이자 특히 종교공동체, 특히 그리스도교의 사명이라는 점이 부각될 것이다.

      • KCI등재

        연금제도와 사회적 연대

        박만섭 ( Man Seop Park ),연제호 ( Je Ho Yeon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5 한국사회 Vol.16 No.2

        복지프로그램 개혁의 틀 하에서 세계은행이 제시하는 연금개혁의 주요 내용은 바로 부과방식 연금제도의 적립식 연금제도로의 변화와 사적 연금 역할의 증대이다. 이 논문은 부과방식과 적립식 연금제도가 사회적 연대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고찰한다. 근대적 연대는 인민주권으로서의 근대적 민주주의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데 이의 실현은 두 가지 현실적 문제에 직면한다. 독자적 개인들을 어떻게 무정부주의적이지 않은 관계로 포섭시킬 것인지, 자본주의의 확산과 사회의 기능적 분화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배제의 증가를 어떻게 감축시킬 것인지가 바로 그러한 문제들이다. 이의 해결은 근대 헌정국가 틀 하에서의 사회복지국가의 존재를 전제로 한다. 어떠한 복지제도가 사회적 연대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배제, 즉 사회의 프롤레타리아화를 감소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 운영에 있어서의 사회적 약자들의 정치적 참여를 가능토록 해야 한다. 제도의 특성상 두 가지 측면 모두에서 부과방식이 적립식 연금제도보다 더 우수하다. 특정 기간 세대 간 소득 이전에 기반하는 부과방식 하에서는 개인의 연금의 시장 의존성이 약화된다. 반면 적립식 하에서 개인의 연금은 스스로의 연기금을 매개로 하는 스스로의 저축에 기반하고 연기금은 금융시장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시장의존성이 더욱 크다. 또한 연기금은 역사적으로 사회적 배제의 증가를 낳았던 신자유주의적 금융화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즉, 부과방식이 적립식 연금제도에 비해 사회적 배제의 감소에 더욱 효과적이다. 부과방식 연금제도는 궁극적으로 정치적 의사결정에 의존적이므로 중요한 결정에 있어 개인들의 민주적, 정치적 참여가 가능하다. 이 때문에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는 여지가 커진다. 적립식 연금제도 하에서는 연기금의 운영이 소수의 투자전문가에게 위임되고 수익률이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되기 때문에 연금제도에 대한 민주적 통제가 약화된다. 또한 적립식 연금제도 하에서 개인들이 스스로를 (금융)투자자로 동일시하는 주체화 과정이 발생하여 연금에 대한 민주적 통제에 대한 개인들의 관심이 더욱 감소할 것이다. 이 때문에 연금제도가 사회적 배제를 방지하는 역할이 약화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의 프롤레타리아화의 방지, 제도와 민주주의와의 연관성 모두에 있어 부과방식이 적립식 연금제도보다 더욱 우수한 결과를 낳을 수 있는 제도이므로 전자가 사회적 연대 Pension reform proposed by the World Bank under the rubric of reforming the state welfare program consists mainly of change from the Pay-As-You-Go (PAYG) system to the Funded pension system and the increased role of private pensions.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two different pension systems will affect social solidarity. Modern solidarity is closely related to modern democracy as people’s sovereignty, and its realization is faced with two problems in reality: how to comprise individuals in a non-anarchistic way and how to decrease social exclusions which are on the increase due to the spread of capitalism and the functional diversification of the society.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a social welfare state in the modern constitutional framework. That is, a welfare system can promote social solidarity by decreasing social exclusions, which is to say to decrease the proletarianization of the society, and by making possible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both of the above aspects, the PAYG system is superior to the Funded system. The PAYG system, which is based on income transfer between successive generations, has the effect of weakening the dependence of an individual’s pensions on the market; the opposite is the case for the Funded system. Also, the PAYG system has wider room for individuals’ participation in the political processes, as the working of pension in this case ultimately hinges upon political decisions; in contrast, the Funded system, where funds are managed by a few specialists and the rate of return is the highest concern, weakens democratic controls of the pension system. All in all, the PAYG system seems more appropriate to the fundamental aim of the welfare state, which is nothing but to increase social solidarity.

      • KCI등재

        사회적 경제 법제의 현황과 그 입법적 과제

        강희원(Kang, Hee-Won) 경희법학연구소 2015 경희법학 Vol.50 No.1

        한국은 제2차 세계대전 후 일본식민지배로부터 독립한 후 반세기라는 짧은 기간 내에 세계자본주의 역사에서 보기 드물 정도로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여 세계자본주의체제의핵심부로 진입했다. 그렇지만 한국자본주의체제는 대기업 중심의 수출일변도에 의한 성장한계 · 실업자의 양산 · 빈부의 양극화 · 급속한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생산인구의 감소 등 선진자본주의국가보다 더 심각한 다층적인 구조적 모순에 직면하고 있으며, 특히 1990년대말에는 외환위기이라는 소용돌이에 빠져 IMF에 의한 경제적 신탁통치까지 받게 되었다. IMF의 조언에 기하여 신자유주의적 방식으로 외환위기를 어느 정도 극복해가고 있었다고 생각했었는데, 2007년의 이른바 서브프라임(subprime: 비우량주택담보대출) 금융사건을 계기로 촉발된 아메리카합중국발(發)세계자본주의의 위기적 격랑이 밀려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또다시 양극화가 더욱더 심화되고 더 이상 기존의 자본주의적 기업중심으로는 복지와 일자리를 창출하기 어렵다는 판단 하에 시민사회부문에서 뿐만 아니라 정치인들까지 사회적 경제에 관심을 보이면서 범정부적 차원에서 그 도입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제 사회적 경제의 활성화라는 전략과 관련해서는 여당과 야당은 그 입장에 있어 차이는 있지만 사회적경제법안의 마련에서 서로 경쟁하는 양상까지 보이고 있다. 여당은 2014년 4월 10일 사회적경제기본법 초안을 마련하여 공청회를 개최하며 사회적경제기본법의 입법화를 추진하였고 야당도 같은 해 8월부터 공청회를 이어가며 사회적경제기본법 제정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다. 이러한 태도는 이른바 사회적 경제의 활성화가 국가 주도적으로 급속하게 추진되었던 한국자본주의체제가 직면하고 있는 사회적·경제적·문화적 위기문제를 어느 정도 완화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이 전제되어 있다. 생활세계가 근대 이후부터 국가섹터와 시장섹터에 의해 식민화되어 정형화되고 그것의 나머지부분의 기능이 경시되거나 무시되는 과정이 가속화되어 왔다. 근래에 부각되고 있는 사회적경제론 내지 제3섹터론은 근대 이후 자본주의의 전개과정에서 국가와 시장에 의해 그 기능이 경시되고 억압되어온 생활세계 속의 자연적 연대를 사회적 연대로 재활성화해서 복권시키는 과정에 관한 논의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경제를 제도화하려고 하는경우에도 우리 공동체 내에 잠재해 있는 자연적 연대를 재인식하여 사회적 연대로 재활성화하기 위해서 외국의 제도를 무조건적으로 도입하기 보다는 우리 사회의 실정에 맞게 변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외국의 경험과 제도는 우리에게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테면, 스웨덴을 모델로 도입하는 경우는「민주적 관료국가」와 사회적 민주적인 정권이 그 전제로 되어야 할 것이고, 도이칠란트를 모델로 하는 경우에는 강력한 직능대표단체를 어느 정도 확립하는 것이 요청되며, 유나이티드킹덤(영국)을 모델로 도입하는 경우에는 보 편주의적 이념과 지역권에 있어서 자립성 및 공동체에 기반하고 있는 자주적 이니셔티브가 필요로 될 것이다. 프랑스나 이탈리아를 모델로 해서 구축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우리 사회에 노동을 중시하는 사회주의적 전통의 결여를 어떻게 보완할 수 있을 지를 먼저 생각해보아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어떠한 조건하에 국가, 지역, 지방, 비영리 협동섹터의 상호보완성과 협동이 잘 기능할 수 있는지를 세심하게 고민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인간존중 분위기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비영리 협동섹터의 발전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공적 섹터,민간섹터, 비영리 협동섹터에 있어서 새로운 「사회적 공통익(共通益)」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각 당사자가 구래(舊來)의 입장에 고집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도전에 향하여 함께 일보라도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절실하다. 위와 같은 종합적인 인식 하에 사회적경제기본법이 설계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한국의 경우 사회적경제 전영역을 구조화하고 체계화하는 기본법을 그것도 국가가 주도적으로 제정하기에 그 시기가 성숙했다고 말하기 어렵다. 게다가 국가에 의한 사회적 기본법의 제정은 사회적 경제에 대한 법인(法認)이자 사회적 경제영역의 법화(法化, Verrechtlichung)이다. 이 것은 궁극적으로 사회적 경제가 국가체계내화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는데, 보는 입장에 따라서는 사회적 경제에 대한 과도한 법제는 국가섹터 또는 시장섹터를 위한 사회적 경제의 자율성의 제한 내지 부정이라고도 극단적으로 말할 수 있다. 그래서 현대적 시민사회가 제대로 성숙되지 않은 상황에서 마치 사회적 경제를 위한 시민적 역량이 충분한 것 같이 진정한 의미에 있어서 사회적기본법을 제정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제대로 작동할 수 없을것 In the late 20’s century, it was stated to seek for a new way of solving the structural imbalance of global capitalism by self-examination within the system. That was a new movement which is as good as the new understanding in the social economy or solidarity economy. The social economy or the 3rd sector is a social alliance voluntarily established by its member; an area of natural alliance authentic to a community rediscovered and revitalized; and a condition of the humanization of society based on materialization of capitalist market economy. In Korea also, the government-wide interest in social economy is growing, with regard to the possible prevention of social bi-polarization, provision of welfare and creation of jobs. Recently, the discussion on establishing a framework act started, for example,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respectively drafted the social economy framework acts and held public hearings. In this article, some issues related with the legal supporting system for social economy and it’s social-political problems are treated de lege ferenda quite generally, especially focused on the present talks about legislation of the social economy framework act. Currently, the Korean social economy related legislation in flooded with individually segmented laws. That is a typical example of cooperatives related legislations and legislation of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Such as the current legislative situation is quite Inefficient for drawing forth productive energies of social economy. A systematic approach is keenly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s. The another such Legislation of a well-designed framework act on social economy could be a better solution for growing korean social economy. That would be ruined such as a rooftop-law on law if we aren t careful. The framework act on social economy must be able to function as the real basic law for social economy; suggest the system, policy, ideology and direction on the social economy and propose a specific arrangement, as well at the national level; be given a superior status and lead other laws and administrative arrangement as the mother law. It is most important to clarify such core issues as below by establishing the Framework Act on Social Economy(the “Act”). - Purpose and time of establishment of th Act - Structure and system of the Act - Ideology and principles of the Act - Target and scope of the Act - Weights of Market and non-market segments under the social economy and their harmony - Principal agents who will establish basic policies related to, and organizations in charge of the social economy - Establishment of financial foundation suitable to the social economy - Design of legal entity suitable to the social economy - Other issues related to the social economy, such as its promotion and training thereon On the other hand there will need to pay attention to situation that the establishment of social framework act by the state not only a legal recognition of the social economy but also the juridification(in german, “Verrechtlichung”) thereof. It means ultimately the incorporation of social economy into the State-sector. However the vigilance must be exercised, so that the autonomy of social economy in the state or market sector will not be limited or denied by the excessive legislation. As the current Korean civil society has not fully grown up to be capable of leading the social economy, the hasty and regulatory legislation of Framework Act on Social Economy be checked, so that it will not become a pseudo-Act that mass-produces a government-made untrue social economy under a unilateral leadership by the state.

      • KCI등재

        기능적 분화와 사회 연대

        고봉진 한국법철학회 2022 법철학연구 Vol.25 No.1

        Capitalism today has superseded caste system of the past, and capital has risen to a position comparable to that of status. The division of labor according to function seemed to replace status, but as capital soon rose to the position occupied by status, division of labor became the dependent variable. In the change from a social class society to a capitalist society, I find the reasons why Adam Smith’s theory of division of labor succeeded and Durkheim’s theory of division of labor failed. In modern society, ‘function’ becomes more important. In the transition from the social class society to the capitalist society, the function seemed to be fully functioning. It even appears as if identity has been replaced by a function. Capitalism deviated from the framework of class society, and functions were liberated from being subordinated to class. The power of capital triumphed over the power of status. But capital itself is becoming an identity. Capital becomes a new identity and subordinates functions. An economy liberated from status was expected to usher in an era of genuine individuals, but individuals soon became subordinate to capital. In modern society, ‘function’ is more important, but the logic of capital is embedded within it. It’s hard to see it as a true functional superiority.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true functional differentiation. I demand that social theory be standardized in a way that limits the influence of capital on the economic system and reduces the influence of capital on other functional systems. Taking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concept means that functional differentiation is not realized properly in reality due to ‘the totality of capitalism’. While insisting on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task’, the author also insists on the differentiation of systems oriented toward social solidarity. Two points should be mentioned here. First, even if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task’ is elicited, the social solidarity effect is not fully achieved through this alone. In fact, it must be a very difficult task to derive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task’. This is because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task’ aims to dismantle ‘the totality of capitalism’ Second, for this reason, in addition to setting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task’, it is thought that various devices oriented toward social solidarity are needed. The normative language of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is still valid, and the voice of human beings for social solidarity must be raised. Where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are violated and social solidarity cannot be expected within the system,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of the socially weak is important. Although I argue for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concept/ normative task’, I do not think this is the only solution. In resolving social problems, I emphasize that no solution can ignore ‘functional differentiation’ in modern society, and that ‘functional differentiation’ should be set as a normative concept rather than a factual concept to present a solution. Nevertheless, there are clearly areas that cannot be covered by ‘functional differentiation’, which means that concepts such as human dignity, human rights, and struggle for recognition have a strong effect on our normative pathos. 오늘날 자본주의는 이전의 신분주의를 대체했으며, 자본은 신분에 버금가는 위치에 올라섰다. 기능에 따른 분업이 신분을 대체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자본이 이내 신분이 차지했던 위치에 올라섬으로써 기능에 따른 분업은 그 종속변수가 되었다. 신분사회에서 자본주의 사회로의 변화에서 필자는 애덤 스미스의 분업론이 성공하고 뒤르켐의 분업론이 실패한 이유를 찾는다. 현대사회로 갈수록 ‘기능’은 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신분사회에서 자본주의 사회로의 변화 속에서 기능은 그야말로 제 기능을 발휘하는 것처럼 보였다. 신분이 기능으로 대체된 것처럼 보이기까지 한다. 자본주의는 신분사회의 틀을 벗어났고, 기능은 신분에 종속되는 것에서 해방되었다. 자본의 힘은 신분의 힘을 이겼다. 하지만 자본 스스로 신분이 되고 있다. 자본은 새로운 신분이 되어 기능을 종속시킨다. 신분에서 해방된 경제는 진정한 개인의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했지만, 개인은 이내 자본에 종속되었다. 현대사회로 갈수록 ‘기능’이 중요시되나, 그 내면에는 자본의 논리가 내재해 있다. 진정한 기능 우위라고 보기 어렵다. 진정한 기능적 분화라고 보기 어렵다. 필자는 자본의 영향력을 경제체계에 제한하고, 정치, 학문, 예술 등 다른 기능체계에 미치는 자본의 영향력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사회이론을 규범화할 것을 주문한다. ‘기능적 분화’를 규범적 개념으로 삼았다는 것은 기능적 분화가 ‘자본주의의 총체성’에 의해 현실에서는 제대로 실현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필자는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주장하면서, 사회 연대를 지향하는 체계의 분화도 주장한다. 여기서 두 가지 점을 언급해야 하는데, 첫째는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이끌어낸다고 해도, 이것만으로 사회 연대 효과가 온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사실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이끌어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임에 틀림없다.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는 ‘자본주의의 총체성’의 해체를 목표하기 때문이다. 둘째, 그렇기에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설정하는 것 외에도, 사회 연대를 지향하는 여러 장치들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인간존엄, 인권의 규범적 언어가 여전히 유효하며, 사회 연대를 주장하는 인간의 목소리가 높아져야 한다. 인간존엄과 인권이 침해되고, 사회 연대를 체계 내에서 기대하기 어려운 곳에는 사회적 약자의 인정투쟁이 중요하다. 필자는 ‘규범적 개념/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주장하지만, 이것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필자는 사회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현대사회에서는 어떤 해결책도 ‘기능적 분화’를 도외시할 수 없으며, ‘기능적 분화’를 사실적 개념을 넘어 규범적 개념으로 설정해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럼에도 ‘기능적 분화’로 포섭할 수 없는 영역이 분명 존재하며, 이는 인간존엄, 인권, 인정투쟁과 같은 개념들이 우리의 규범적 파토스에 강력한 효력을 발휘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사회적 연대 담론의 구조와 시민문화

        강수택(Kang Soo-Taek)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6

        이 논문은 1980년대 말 이후 국내에서 제기되어온 사회적 연대 담론의 성격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이것이 시민문화에 대해 제시하는 함의를 찾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그동안 제기되어온 사회적 연대 담론을 전근대적 연대 담론, 사회 운동론적 연대 담론, 사회 통합론적 연대 담론의 세 범주로 나누고 이들 각각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의 도구로서는 필자가 다른 글에서 제시한 바 있는 사회적 연대의 유형론과 시민문화 유형론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한편으로는 사회 운동론적 연대 담론 가운데 도덕적 연대를 나타내면서 성찰적 연대를 추구하는 시민운동 관련 연대 담론과,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 통합론적 연대 담론 가운데 합리적 대화 및 토론을 통한 공공선 추구를 특별히 중요시하는 시민공동체론 관련 연대담론이, 건강하고 성숙한 시민문화 형성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Korean discourses on social solidarity since the late 1980s and presenting the implications of this result of analysis for the civic culture in Korean society. The discourses will b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the discourses on pre-modern social solidarity, the discourses on the social solidarity for social movement, and the discourses on the social solidarity for social integration. In order to analyze them, I made use of the typologies both of social solidarity and of civic culture.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following two kinds of solidarity discourses are the most appropriate ones for constructing the healthy and mature civic culture: first, the discourses concerning the civil movement which rest on moral solidarity and pursue reflexive solidarity. Second, the discourses concerning the civil community which highly value the pursuit of public good through rational dialogues and discussions.

      • KCI등재

        한국사회 갈등구조와 민주적 연대

        김원식(Kim Woen-Sick)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0 사회와 철학 Vol.0 No.19

        현재 우리 사회는 가속적 지구화 추세 속에서 다양한 복합적 사회 갈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회적 통합 능력과 연대는 급속히 훼손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의 금융위기 이후 더욱 가속화 되고 있는 중산층의 붕괴와 빈곤층의 확대는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으며, 시장중심의 경쟁과 효율성 논리의 강화는 사회문화적 삶에 대한 물화를 야기하고, 왜곡된 문화 질서는 다양한 소수자에 대한 무시를 산출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기층적인 사회적 삶의 조건에서 나타나는 변화 양상들이 우리 사회의 고유한 기존 갈등구조들과 결합되면서, 우리 사회는 오늘날 ‘압축갈등’ 사회의 양상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복합적 갈등구조를 해명하고, 이에 기초하여 우리 사회의 ‘민주적 연대’를 촉진하는 방향과 과제들을 검토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이글은 먼저 우리가 지향하는 민주적인 사회적 연대란 무엇인가에 대한 개념적 고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에 기초하여 이러한 민주적 연대를 훼손하는 사회적 부정의와 그에 대한 사회적 저항과 갈등 양상들에 대해서 먼저 이론적 측면에서 검토할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작업을 토대로 경제적 불평등, 문화적 무시, 삶의 물화라는 구별에 입각하여 우리 사회의 구체적 사회 갈등 양상들에 대해서 검토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작업의 의미를 밝히고, 우리 사회의 구조적 갈등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향과 과제들을 검토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먼저 우리 사회의 갈등요인들을 범주적으로 구별하고, 이러한 갈등들이 현재의 사회변동 추세와 어떤 연관 하에 있는지, 그리고 무엇이 사회구조적인 근본적 갈등요인들인 지를 식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서 이러한 작업은 오늘날 다양한 사회적 저항들이 연대할 수 있는 지점들을 모색하는 데에도 역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 our society complex social conflicts are emerging in the context of accelerating globalization, so the capacity of social integration and the solidarity are diminishing rapidly. The fall of the middle class and the expansion of the poor are deepening a maldistribution, the strengthening of the logic of competition and efficacy are bringing about a reification of life, and a distorted culture is causing a disrespect to the minority.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conflict structure of our society and to suggest the orientation and the tasks for strengthening democratic social solidarity. For this aim, firstly, I examined the concept of democratic solidarity. Based on it, I explained the concept of social injustices, which destruct social solidarity, and the struggles for overcoming these injustices in the theoretical dimension. Secondly, based on the conceptual distinction of economic maldistribution, cultural disrespect and reification of life, I surveyed the concrete modes of social conflicts of our society. Finally, I explained the meanings of this work and suggested the principal tasks for overcoming our social conflicts. This work can contribute to distinguishing the causes of social conflicts categorically,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se conflicts of our society and the general trends of changes in contemporary societies, and showing the fundamental causes of social conflicts. Further, this work can contribute to the solidarity of plural social protests in our society.

      • KCI등재

        남북한 사회통합 - 노동시장과 사회적 안전망 관련법의 통합을 중심으로

        이호근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7 동북아법연구 Vol.10 No.3

        남북한 ‘사회통합’은 남북한 간 통합의 핵심 ‘이유’이자 동시에 가장 달성하기 어려운 궁극적인 ‘목표’라 할 수 있다.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온 남북한 간 적대적 대립과 대치의 상황이 향후 어떠한 변화와 도전에 처할지는 전망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남북한 사회통합의 가능성과 방안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 그간 ‘체제’통합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남북한 통합논의와 달리, 사실 ‘가치’통합과 ‘사회적’ 통합이 전제되지 않는 한 진정한 통합이라고 할 수 없다는 점에서 사회통합은 통합논의의 핵심에 서 있다. 1990년대 이후 남북한 사회통합에 대한 논의는 1990-1997년까지 냉전종결과 동서독 통일 등 외부환경의 변화 속에 1992년 남북기본합의서 체결과 그 이후의 제1시기, 그리고 그 다음 1998~2007년까지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를 거치며 이른바 햇볕정책시기 통합에 대한 기대와 논의가 일정한 양적·질적 확대의 단계를 거친 제2시기, 이후 2008~2017년 현재 다시 북한의 핵과 장거리 미사일 실험 등 남북한 대립과 갈등이 심화되며 결국 2016년 2월 개성공단 폐쇄로 이어져 현재에 이르고 있는 제3시기로 구분된다고 본다. 남북한 통합에 대한 논의도 현재에는 2000년대 중반이후 증가한 ‘탈북민의 남한사회에의 통합’이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주요 논의의 방향과 내용이 변화해 왔다고 본다. 논문은 궁극적으로 체제가 상이한 남북한의 사회통합은 우선 경제 질서와 노동시장의 형성과 사회적 안전망의 구축이 결국 ‘수정시장경제’ 기반 위에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남북한 사회통합 시 예상되는 사회국가와 ‘사회적 연대성’ 원칙하에 사회보장·사회복지의 기본원리를 검토한다. 아울러, 노동시장의 형성과 준수되어야 할 기본원리를 검토한다. 그리고 사회적 안정망관련 급여의 대상 및 계상방법, 급여의 종류 및 급여의 수준과 지급기간, 재정부담 방식 등의 필요한 통합적 기반을 순차적으로 검토한다. 동시에, 논문은 현실적인 차원에서 남북한 사회통합을 위하여 우선 남한 내 탈북민의 성공적인 사회통합의 기반을 마련하고, 그 다음 남북한 취약계층에 대한 과도기의 긴급구호 및 관련 재원을 마련하며, 그리고 제도적으로 유사성이 높은 부분부터 단계적인 통합노력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Social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the ‘key motivation’ for the integration of two different systems and most difficult ‘untimate purpose’ to achieve. Beside the discussion on the so-called system-integration (political and economical), any unification could not be the genuine one without ‘value inte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Periodically, the debate on the social integration since the early 1990s, it could be devided in three times. The first one was the period between the end of cold war, the historical german unification and the ‘Basic Agreement between two Koreas 1992’ and thereafter until 1997. The second one was the expansion time of exchange cooperation, in which the Kim Dae-Jung and Noh Moo-Hyun governments began to initiate the reconciliation under the so-called “Sunshine Policy” or “Engagement Policy” against the formerly confrontation policy between two Koreas. The third one is the returned age of conflict and confrontation due to the repeated tests of nuclear and inter-continental missiles at the side of North Korea, which resulted into the frustrating shutdown of the Kaesung Industrial Complex. The important issue in Korea has been the urgent integration of the increasing refugees from North Korea into the South Korean Society, instead of the social integration between two Koreas. The article prospects the future of social integration of the two different systems on the making of labour market and the building of social safety net under the ‘revised market economy’. Especially, it stresses on the making of ‘social state’ or ‘welfare state’ under the principle of strong ‘social solidarity’. At the same time, the article examines the basic principles to be kept in the labour market.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hecked up such as the object of social benefit and its proper level, the forms of benefits and their durations, including the method of accounting and the delivery system of social services etc. In conclusion, the article emphasizes first the integration of the refugees into the south korean society, secondly, the emergency relief system and building of financial funds for the socially vulnerable groups, finally the ‘gradual’ approach from the relatively similar spheres to the most difficult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