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극의 신호강도가 주의 깜박임 현상에 미치는 영향

        어강용,주성준,정상철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5 No.3

        The attentional blink (AB) is a high-level phenomenon that is known to occur due to capacity limitations in memory or limited resources in attention. Recent studies, however, have shown that low-level visual features such as the bottom-up saliency of a stimulus can also influence the AB.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an attentional cascade model which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both working memory and bottom-up saliency will influence the AB. More specifically, we manipulated the signal strength, one of low-level features, of the second target (T2) and investigated its effect on the AB. In Experiment 1, we were able to observe that a simple orientation detection task produced the AB, suggesting that the AB can occur even for simple orientation stimuli. In Experiment 2, it was observed that the amount of the AB was modulated by the signal strength of T2 both in the orientation detection task (Experiment 2-1) and in the digit detection task (Experiment 2-2).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AB can be regulated by the signal strength of T2. Furthermore, the result for which the effect of the AB varies depending on the signal strength of T2 supports the validity of the attentional cascade model. 주의 깜박임 현상은 기억 혹은 주의의 용량 제한 때문에 발생하는 상위 영역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의 주의 깜박임 연구들은 자극의 현저성과 같은 하위 영역 특징 또한 주의 깜박임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작업기억 용량 제한뿐만 아니라 자극의 하위 영역 특징도 주의 깜박임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의 단계 모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하위 영역의 특징들 중 T2의 신호 강도를 조절하여 주의 깜박임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 1에서는 단순한 방위 탐지 과제도 주의 깜박임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험 2에서는 방위 탐지 과제(실험 2-1)와 숫자 탐지 과제(실험 2-2)를 사용하여 T2의 신호 강도가 주의 깜박임 정도를 변화시킴을 관찰하였다. T2의 신호 강도에 따라 주의 깜박임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하위 영역 특징도 주의 깜박임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의 단계 모델을 지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