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본 청소년기 아버지 사별 경험이 성인여성의 성장에 미친 영향

        김순례,김병석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adult women who overcame lost their fathers during the adolescence understand in depth by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the bereavement experiences using narrative inquiry. To do this, the narrative data of three participants were reconstructed into a narrative exploration space consisting of the temporal, social, and place dimensions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06). As result, the bereavement experiences have led them to develop three life strategies for survival; ‘active taking over caring roles’, ‘maintaining voluntarily structured frameworks’, and ‘bearing the difficulties throughly and calmly’. The six impacts of the bereavement on their lives were as follows; 1) They realized that their childhood personalities were developed through their relationship with father 2) They lived with an impressive memory of their father, 3) They had to accept and endure lives without fathers by their own efforts 4) They choose male partners based upon the imprinted father’s images 5) They lived with the replaced images of fathers 6) They could realized who they were through the stories concerning their fathers. The participants could identify the meanings of the bereavement experiences in their lives during the course of the narrative study as follows; They have tried to overcome economic, emotional, and social difficulties by their own efforts and to support for family members while supporting themselves. They have also protected themselves by break off relationships with paternal relatives, minimized social networks, and chose spouses unlike their fathers who died early. They have overcome the impacts of the fathers’ deaths by tolerating fear, anxiety, sadness and guilt in their own way and idealizing their fathers to whom they wished to attach. In this way, they could reconstruct their identity through the narratives they produced regarding their lives after losing fathers, and thereby could recognize that their personalities were developed with the disciplines and nurturing by their fathers in childhood. They also could confirm identify their fathers loved them and change fathers’ negative images into the positive ones, which allowed them to improve their capacities to understand self and other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questions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에 아버지를 사별한 성인여성 3인의 내러티브를 통해 사별 경험을 재구성하여 그들에게 사별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Clandinin 과 Connelly(2006)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에 따라 연구참여자의 경험과 의미를 시간․사회․장소의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공간으로 재구성하였다. 이들은 사별 경험을 ‘돌보는 역할의 책임을 의무화함’, ‘스스로 만든 틀에 갇혀 얽매임’, ‘철저하고 냉정하게 버텨냄’으로 감당하고 있었다. 아버지 사별로 인해 연구참여자들의 삶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이 6가지로 나타났다. 이들은 ‘아버지와의 관계를 통해 어린 시절 성격이 형성’되었고, ‘아버지와의 인상적인 추억’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었으며, ‘아버지의 사별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수용하였다. 더 나아가 이들은 ‘각인된 아버지상이 남성을 선택하는 기준’이 되었고, ‘대체된 아버지의 이미지’를 가지고 살았으며, ‘아버지 이야기를 통해 자기를 자각’하게 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내러티브 탐구과정을 거쳐 청소년기 아버지 사별 경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삶의 의미를 확인하였다. 이들은 아버지 상실의 영향으로 경제․정서․사회적 어려움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극복하였고, 시공간을 가족들에게 양보하였으며, 가족을 원조함으로써 ‘홀로서기의 강화’된 삶을 살아왔다. 이후 연구참여자들은 자기를 보호하기 위해 ‘친가와의 관계를 단절’하였고 ‘사회적 관계망을 축소’하였으며, ‘아버지와 반대되는 남성을 배우자로 선택’하였다. 이들은 공포감, 불안감, 슬픔, 죄책감의 고통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감내하였고, 아버지의 이미지를 미화하여 결핍된 애착 대상에 대한 ‘회복적 애도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사별을 극복하였다. 이들은 또한 아버지 부재를 통해 ‘자아 정체성’을 새롭게 재구성하여 ‘어린 시절 아버지의 훈육과 양육’으로 ‘자기 인성이 형성’되었음을 자각하였다. 그리고 ‘아버지에게 사랑받은 존재’였음을 확인하였고 ‘부정적이었던 아버지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 과제에 대하여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기 아버지와 사별이 성장과정과 성인기 삶에 미치는 영향 : van-Manen의 체험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김경희(Kyunghee Kim),유지영(Jiyoung Lyu),임선영(Sunyoung 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4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아버지의 죽음은 청소년기 성장과정은 물론이고 성인기의 삶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기에 경험한 아버지의 죽음을 청소년기와 성인기를 포함하여 삶의 전체 과정에서 조망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번 연구는 청소년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성인의 경험에 드러난 아버지 죽음의 의미와 본질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청소년기에 아버지와 사별한 성인 9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밴 매넌의 체험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분석한 결과, 청소년기에 아버지의 죽음을 겪은 성인의 경험은 247개의 개별주제, 45개의 드러난 주제, 20개의 본질적 주제로 나타났다. 이렇게 도출된 경험을 밴 매넌이 실존적 탐구의 길잡이로 제시했던 4개의 근본적 실존체(시간성, 몸성, 관계성, 공간성) 차원에서 재배열하였고, 연구결과를 통해 개별적이면서 공통적인 아버지 사별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한 어른아이 현상, 무죄한 죄인이라는 인식과 스스로 떠맡은 과도한 책임, 침묵의 배려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Experiencing father’s death in adolescence may have an impact on not only growing process but also the life as an adult. Therefore, it would be meaningful to look into the impact of father’s death in adolescence across the entire life cycle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essence of father’s death which were revealed through experience of as an adult whose father passed away during his/her adolesc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participants, experiencing father’s death during adolescence.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van-Manen′s method for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and 247 individual themes, 45 revealed themes, and 20 essential themes were drawn. The findings were rearranged into four fundamental existentials of lived body, lived space, lived time, and lived human relation. The meaning and essence that was personal and common at the same time were revealed from each participant’s experience. As key findings, it was discussed on being adultized children, recognizing them as innocent sinners and excessive responsibility, and consideration of silence.

      • KCI등재

        청소년기에 아버지가 살해당한 성인여성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경희(Kyunghee Kim),유지영(Jiyoung Lyu)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4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아버지가 살해당한 성인여성의 삶의 이야기를 내러티브 탐구방법, 특히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3차원 내러티브 공간 탐구로 접근하여 살펴보았다. 자료는 연구참여자와 일대일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수집했으며,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타의에 의해 하늘이 무너지자, 자신도 무너져 내림’, ‘대들보가 없어진 자리에 서까래로서의 고통’, ‘소공녀에서 천덕꾸러기 신데렐라로 추락’, ‘보호와 구속의 이중구조 집성촌(集姓村)’, ‘문중(門中)의 자녀로서 전통적 가치관의 학습’, ‘현대판 열녀를 만들기 위한 남성들의 접근 차단과 어머니에 대한 양가감정’, ‘고통의 보편성을 깨달은 가람(伽藍)’, ‘삶의 보상으로써 남편과 시선의 권력에 노출된 층층시하의 시집살이’, ‘가족의 그늘이 된 나무가 고목으로 퇴색되어감’, ‘꽉 조인 삶의 나사 풀기’, ‘폐허의 복원’이라는 11개의 의미주제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건강한 애도, 자기만의 애도 의례 구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life of an adult woman who experienced murder of her farther in adolescence, using a three-dimensional space narrative inquiry framework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00).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 According to the data, 11 subjects were identified: ‘her own self collapses as the sky falls ’, ‘having pain as a rafter to substitute where the beam is gone’, ‘falling from a little princess to an outcast like Cinderella’, ‘Jipseongchon as a dual structure of protection and restraint’, ‘learning traditional values as a child of the family’, ‘blocking other men’s access to mother and ambivalent feelings towards mother’, ‘realizing the universality of pain’, ‘having a husband as a reward for life and marriage life exposed to the power of gaze’, ‘the tree fading from a family shelter into an old tree’, ‘unscrewing a tight life’ and ‘restoring a destroyed house’.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 was made on healthy mourning and constructing morning ritual of one’s 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