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방세법상 통합된 취득세에 관한 연구

        구성권 한국조세법학회 2019 조세논총 Vol.4 No.4

        The revised local tax law incorporated the acquisition-related portion of the registration tax to reconcile double taxation on the same tax source. Especially in order to prevent the taxpayer from paying additional taxes, the combined acquisition tax rate was maintained by simply adding (old) acquisition tax and (old) registration tax. However, in the tax rat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tax rate in certain cases because it is a simple summation form, rather than integration. In particular, regarding the taxation and tax rates of acquisition tax under the revised local tax law, the legislator's intention for consolidation is not properly reflected. There are a number of regulations in the revised local tax law and rural special taxation act that provide tax rates and amounts corresponding to the (old) acquisition tax and the (old) registration tax.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old) acquisition tax and the (old) registration tax,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cquisition tax rate became complicated by the simple addition of various tax rate systems of the registration tax.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clarify that the provisions of the acquisition tax stipulate an independent detail and to delete or correct the system, phrases and expressions that the (old) registration tax part is summed up.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ways to simplify the acquisition tax rate and to clearly distinguish the taxable status of acquisition tax from registration license tax. In addition, if the current local tax law system is to be maintained, it is deemed necessary to repair the subject of the acquisition tax special tax rate provided in article 15, paragraph 2 of the local tax law. 개정 지방세법은 동일한 세원에 대한 중복과세를 정비하기 위하여 등록세 중 취득과 관련된 부분을 취득세와 통합하였다. 다만, 납세의무자의 추가적인 조세부담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합된 취득세의 세율은 (구)취득세와 (구)등록세를 단순 합산하여 기존의 세율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세율에 있어서는 통합이 아닌 단순 합산 형태를 취함에 따라 특정한 사안의 경우 세율 적용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개정 지방세법상 통합 취득세는 형식상 (구)취득세와 (구)등록세를 합해 놓은 것일 뿐 실제 세율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구)취득세 부분과 (구)등록세 부분을 별도로 감안해야 하는 것이 아닌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법원은 개정 지방세법의 취득세를 (구)취득세 부분과 (구)등록세 부분이 별도로 구분되어 합산된 것이 아니라 완전한 형태의 통합으로 파악하고 있다. 하지만 개정 지방세법상 취득세의 과세대상 및 세율과 관련하여서는 통합에 대한 이러한 취지가 제대로 반영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개정 지방세법 및 농어촌특별세법에는 (구)취득세와 (구)등록세에 해당하는 세율 및 금액을 예정하고 있는 규정이 다수 존재한다. 또한 (구)취득세와 (구)등록세의 통합 과정에서 등록세의 다양한 세율체계의 단순합산으로 취득세 세율이 복잡해지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지방세법상 취득세 조항과 관련하여서는 하나의 독자적인 세목을 규정한 것임을 분명히 하는 동시에, (구)등록세 부분이 합산된 것임을 내포하는 지방세법의 체계나 문구 및 표현방식은 이를 삭제하거나 바로 잡는 노력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취득세 세율을 단순화할 수 있는 방안과 취득세와 등록면허세의 과세대상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현행 지방세법 체계를 계속해서 유지하고자 한다면 지방세법 제15조 제2항에 규정된 취득세 특례 세율의 적용대상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부동산 관련 소송에서 소유권 취득사실이 다투어진 경우의 사실상 취득일-대법원 2021. 5. 27. 선고 2017두56032 판결을 중심으로-

        길용원,최명순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22 집합건물법학 Vol.43 No.-

        Tax law concerned is basically a relationship in which the state demands taxpayers a monetary benefit called tax. For this reason, the judicial principle works strongly. Judicial acts and transactions and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ax laws are closely related. However, after the tax legal relations are established and finalized, the taxation agency's valuation right is reserved, especially in the finalization, so the taxation authority has the right to self-execute in order to secure the finalized tax claims. It grants privileges such as monitoring and supervision rights. In this respect, there is a debate to clarify the degree of intervention of judicial provisions in tax law relations. Actual tax law may use the same term but interpret and apply it with different standards from civil law. Typical examples are "acquisition" under the Local Tax Law and "acquisition" under the Civil Code. The issue on this subject is also based on this. The object of acquisition under the acquisition tax is the ownership of the taxable property. Therefore, in the judiciary, in order to become a property subject to acquisition tax, it is necessary to have requirements such as registration / registration and delivery, but the Local Tax Law that stipulates the taxation requirements for acquisition tax is based on Article 186 of the Civil Code. In addition to the acquisition of ownership, de facto acquisition is also included in the subject of acquisition tax. The "de facto acquisition" of real estate means that even if the real estate is not registered under the Civil Code, in the case of buying and selling, the purchaser can acquire the ownership and use and profit the real estate at any time after the payment of the price etc. is completed. Recently, the Supreme Court has decided whether or not the acquisition time will be effectively changed if the ownership is disputed in a real estate-related lawsuit. In conclusion, after the acquisition was virtually made by the Local Tax Law and the acquisition time came, I saw that the acquisition time would not be changed when the relevant proceeding was finalized just because a proceeding was filed to dispute the acquisition. Considering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concept of acquisition in the Local Tax Law, I think it is a valid judgment.

      • KCI등재

        지방세법상 취득세의 취득개념과 과세물건에 관한 연구

        김태호 한국세무학회 2008 세무학 연구 Vol.25 No.3

        Acquisition tax is the one which is imposed on the acquisition of the properties resulted from the typical contract or non-typical one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tract liberty. But there have not been enough researches to accurately explain and interpret the stipulation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the properties in the Local Tax Act. In the practical administrative fields, many opinions have been trying to explain the concept of the acquisition by taking that of Japanese Local Tax Act as an example. But those opinions might be a little confusing approach, because there is a big gap between the Japanese legal framework and the Korean one. Accordingly, we have to interpret the stipulations on the definition of acquisition deeply based on the our own legal theory and the judicial precedents accumulated for many decades. As a result, we get to have two different views on the acquisition in Local Tax Act such as the formal acquisition and the substantial acquisition. According to formal acquisition view, the acquisition might be defined as the transferring of real estate based on the legal transaction facts as well as legal registration actions on public ledger whereas the acquisition can be defined as the transferring of real estate based on the economic substance such as the payment of purchasing price or the conclusion of parties's negotiation on transferring of real estate. The concept of acquisition is more basic concept on which the taxable object should be based in acquisition tax, so we can draw the concept of acquisition from analyzing the various taxable objects. As a whole, we can define the tax target as the presumptive target such as buildings and automobiles on which the tax might be imposed and we can explain the taxable object as the substantial actions or facts which are representing the ability to take tax burden. From the context of the taxable object mentioned above, we can find that the formal acquisition view is the more useful to explain the concept of acquisition than the substantial view because we could find no stipulations on the substantial acquisition concept in Local Tax Act and acquisition tax is a kind of tax that can be imposed on the transferring of real estate where we does not need to take the substantial factors into consideration. But to all types of acquisitions, if we pushed the formal acquisition views to be accepted without any exceptions, there might be some irrational results. So we can adopt the some exceptive clauses to give tax exclusions if the legal transferring contract might be cancelled within 2 years from the date of contract conclusion like German legislation example. 취득세는 계약자유의 원칙에 의해 형성되는 전형·비전형의 모든 계약관계나 사실행위 등의 원인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재산의 취득을 대상으로 하여 과세하는 조세이다. 하지만 취득세의 가장 근본적인 해석기준이 되는 「취득」 개념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논의한 연구 실적이 많이 축적되어 있지 못하고 지방세법상의 개념규정도 명확하지 아니하여 실무에서는 일본의 선행연구를 참조하는 예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등기주의를 취하는 우리나라의 민법과 의사주의를 취하는 일본 민법 간의 차이점 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아니한 채 단순하게 일본의 이론을 우리나라 지방세법의 해석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고 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바탕으로 하여 현행 우리나라 지방세법상의 취득세에 관한 「취득개념」과 「과세물건」의 본질을 깊이 있게 연구함으로써 이들 개념의 정립을 보다 명확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기존문헌과 독일·일본·한국의 지방세 관련법령을 비교법적으로 연구하였다. 기존문헌에 의하여 조세체계-취득세의 성격-취득개념과 과세물건을 정리하였다. 조세체계·유통세 의의·유통세 종류·취득개념·과세물건에 대하여는 일본과 우리나라의 문헌에 의존하였고 독일문헌은 독일 부동산취득세법에 관한 문헌을 참고하였다. 기존의 연구사례에서는 일본의 형식적 소유권 취득설과 실질적 소유권 취득설을 형식설과 실질설로 받아들이면서, 실질설은 실질과세원칙과 결부시키고 있다. 일본의 실질적 소유권 취득설은 사법상의 취득개념을 차용하여 사법적·경제적으로 완전하게 소유권을 취득하는 것을 말하는데 등기주의를 취하는 우리나라 법체계에는 맞지 않고, 또한 유통세인 취득세에 실질과세원칙을 결부시키는 것도 무리가 있다 하겠다. 따라서 우리나라 취득세 법체계에 적합한 취득개념을 정립하기 위하여 등기·등록이라는 절차행위는 물론이며 등기·등록행위와 결부되지 않는 잔금지급사실이나 법률행위 또는 준법률행위 등의 법적 거래사실이 있으면 취득이 이루어진다고 보는 논리를 「형식적 취득설」로 정의하고, 법적 거래사실만이 아니라 「경제적 실질의 이전사실」도 갖추어져야만 취득이 이루어진다고 보는 논리를 「실질적 취득설」로 정의하였다. 취득세는 재산권이나 재산가치의 이전 및 가치변동이 발생할 경우 그 사실에 대하여 과세하는 유통세로 분류되고 있다. 이 경우 과세물건에 해당하는 사실은 ‘유통사실’이라 할 수 있는데, 취득세와 직결되는 유통사실은 곧 「취득행위사실」을 말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취득사실인 과세물건의 태양은 지방세법 시행령 제73조의 취득시기에서 유추할 수 있는데, 잔금지급사실(유상), 법률행위(무상), 등기·등록사실, 사용승인 등이 이에 해당되며, 경제적 이익의 귀속여부를 과세물건으로 하지 않고 있다. 현재 재산권 취득행위와 관련하여 등기주의를 취하고 있는 민법과 “사실상 취득”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지방세법상의 취득에 관한 정의규정이 서로 충돌하면서 납세의무자와 과세당국 사이에서는 빈번한 다툼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분쟁의 해결에 본 논문에서 정리한 ‘취득의 개념과 과세물건에 관한 이론’이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획일적으로 예외 없이 모든 취득행위에 대하여 과세할 경우에 조세부담능 ...

      • KCI등재

        취득세 과세표준 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정지선 한국세법학회 2023 조세법연구 Vol.29 No.3

        취득세의 과세표준에 관한 종전 규정은 취득 주체에 따른 조세형평성의 침해 등 여러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2021년 12월에지방세법을 개정하여 취득세 과세표준을 일원화하였다. 다만, 신고납부시기와 시가자료에 관한 시스템의 구축을 고려하여 적용시기를 1년간 유예하여 2023년부터 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취득세 과세표준에 관한 지방세법 규정을 개정하여, 종전의 여러 문제점을개선하였다. 그러나, 현재의 지방세법상 취득세 과세표준에 관한 규정 또한 여전히 문제점을 안고 있는데,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차량과 기계장비는 종전과 같이 신고가액과 시가표준액 중 큰 금액으로 하도록하고 있는데, 이는 과세대상에 따른 차별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차량이나 기계장비의 경우에도 사실상 취득가격이 밝혀지는 경우에는 사실상 취득가격을 취득세 과세표준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방세법 시행령 제18조는 취득가액에 포함되는 것과 포함되지 않는 것을 열거하고 있는데, 그 근거가 명확하지 않아서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지방세법 시행령 제18조 제1항에서는 사실상의 취득가액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규정을 신설하여 취득가액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할 것이다. 셋째, 할부이자와 연체료 및 중개보수의 경우 취득세 과세표준 포함 여부에 대하여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인데, 할부이자와 중개보수는 취득세 과세표준에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고, 연체료의 경우에는 취득세 과세표준에서 제외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부가가치세의 경우에는 부가가치세법상 과세사업자의 경우에는 취득가격에서 제외하고, 면세사업자이거나 개인의 경우에는 취득가격에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넷째, 2019년 12월 31일 지방세법 시행령 제18조 제1항 제8호와 제9호를 신설하여, 붙박이 가구․가전제품 등 건축물에 부착되거나 일체를 이루면서 건축물의 효용을 유지또는 증대시키기 위한 설비․시설 등의 설치비용과 정원 또는 부속시설물 등을 조성․ 설치하는 비용을 취득세 과세표준에 포함하도록 규정하였다. 그러나, 동 규정의 타당성에 있어서는 여전히 의문이라고 할 것이다. 다섯째, 교환으로 인한 취득의 경우에는 교환으로 인하여 이전하는 자산과 이전받은자산의 가액 중에서 높은 가액을 취득세 과세표준으로 하도록 지방세법을 개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개정은 그 타당성이 없기 때문에 교환으로 인하여 이전받은 자산의 가액을 취득세 과세표준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지방세법 제10조의3 제2항과 제3항에서는 유상승계취득에 대한 취득세 과세표준 산정에 있어서의 부당행위계산부인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동 규정은 그타당성을 인정할 수 없기 때문에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무상취득에 대한 취득세 과세표준 산정에 있어서 시가인정액과 관련하여여러 문제점이 있는데, 합리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The previous regulations on tax base of acquisition tax have continuously caused various issues such as infringement of tax fairness depending on acquisition entities and, in order to improve these issues, Local Tax Act was revised in December 2021 to unify the acquisition tax base. However, in consideration of establishment of a system for reporting and payment timing and market price data, the application period has been postponed for one year and is being applied from 2023. As described above, regulations of local tax law on acquisition tax base were revised to improve various previous issues. Nevertheless, the regulations on acquisition tax base under current local tax law still have problems and the issues and improvement measures are summarized as shown below. First, vehicles and mechanical equipment are required to be valued based on reported value or standard market value, whichever is higher, and this method is very likely to cause discrimination issues depending on taxable items. Therefore, even in case of vehicles or mechanical equipment, if actual acquisition price is identified, actual acquisition price should be used as the acquisition tax base. Second, Article 18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Local Tax Act lists what is and is not included in the acquisition price but still causes disputes due to unclear basi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add a provision on inclusion in actual acquisition price in Article 18.1 of Enforcement Decree of the Local Tax Act in order to make such inclusion clear. Third, there is ongoing arguments whether installment interest, late fees, and brokerage fees are included in the acquisition tax base but it is appropriate to include installment interest and brokerage fees in the acquisition tax base to exclude late fees from acquisition tax base. In addition, it is appropriate that value-added tax is excluded from acquisition price in the case of a taxable business under Value-Added Tax Act and is included in acquisition price in case of a tax-exempt business or individuals. Fourth, on December 31, 2019, Article 18.1.8 and Article 18.1.9 were established so that the installation costs of equipment and facilities, etc. such as built-in furniture and home appliances to be attached at or to form the part of buildings for improvement of efficiency of them and the costs to form or install gardens or auxiliary facilities are included in acquisition tax base. However, the validity of this regulation is still questionable. Fifth, in the case of acquisition through exchange, the price of assets to be transferred due to exchange or the price of transferred assets, whichever is higher, is included an acquisition tax base. However, as this revision has no validity, the value of the assets transferred through exchange should be used as the acquisition tax base. Sixth, Article 10-3.2 and Article 10-3.3 of Local Tax Act prescribe denial of unfair calculation when calculating acquisition tax base for derivative acquisition for value. However, as the validity of these provisions cannot be recognized, it would be desirable to delete them. Finally, there are several issues related to market values when calculating acquisition tax base for free acquisition and reasonable improvements are required.

      • KCI등재

        부동산 명의신탁에 따른 취득세 납세의무자

        김병주 사법발전재단 2020 사법 Vol.1 No.54

        Acquisition tax is one of the important tax items that has a significant part in the tax revenue of the amount of local taxes collected; it also forms the foundation of the local tax system. As the rate of taxations (e.g., acquisition tax, property tax,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real estate holding tax, etc.) has risen sharply due to the government’s recent real estate measures, real estate title trust is expected to further increase since it is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real estate tax avoidance system. When it comes to a title trust, it is correct for a person liable for acquisition tax to properly grasp the concepts of acquisition under the local tax law in accordance with the literary interpretation and systematic interpretation, within the limits of the principles of no taxation without law and principles of substantial taxation based on the basic judicial concept and effect of the law. Therefore, if the registration of a real estate trust is deemed invali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it is difficult to admit the actual acquisition act or transfer of goods for certain real estate that is a valid subject for acquisition taxation and in principle, the obligation to pay acquisition tax cannot be established. Since the concept of acquisition is not clear in this regard, the local tax laws need to be amended to a definition that presupposes “assets to be effectively attributed regardless of its registration state.” In the two-party title trust, three-party title trust, and contractual title trust with a seller having an ill will, the title trustee’s obligation to pay the acquisition tax is not established unless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of each title trustee is nullified due to registration cancellation. Since the registration of a title trustee is valid in the contractual title trust with a seller having a good will, the title trust becomes a payer responsible for acquisition tax. And in the three-party registration title trust, the title trustee will bear the obligation to pay the acquisition tax due to the actual acquisition on the due date of the balance payment. However, the acquisition tax needs to be collected at least once from all types of title trusts, because real estate title trusts not only contradict the establishment requirements of the Korean Civil Act but also need to be eradicated due to the possibility of it being abused or misused as a means of real estate speculation, tax evasion, and various illegal acts along with intermediate omission registration. Claims for rectification, i.e. when a title trustee files a claim for return of the acquisition tax in a registration title trust between two-party, may result in a tax gap in accordance with precedents. Moreover, in a contractual title trust with a seller having an ill will, refusing a title trustee’s claim for rectification for a refund of acquisition tax is aligned with the principles of good faith, tax justice, taxation equity, and self-responsibility. Therefore, when it comes to the issues of justification concerning determination and exercise of the right of the person liable for the acquisition tax in relation to the title trust of real estate, it is necessary to impose certain restrictions to taxpayers by proactively applying the principle of good faith. From the perspective of legislation theor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introduction of the obligatory provisions of the second or real taxpayers in the tax law corresponding to the responsibility resulting from establishment of the title trustee status. In the 2019 Supreme Court en banc ruling on whether the title trust constitutes benefits from illegal performance, four justices stood in opposition. If the registration of a real estate trust is deemed to be benefits from illegal performance, the registration of the title trustee becomes valid, leading to support the payment of acquisitio... 취득세는 지방세 제도의 근간을 이루면서 지방세 징수액 세수에 있어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요한 세목이다. 최근 정부의 부동산대책으로 취득세,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등 세율이 대폭 인상됨에 따라 대표적인 부동산 조세회피 제도인 부동산 명의신탁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명의신탁에 있어 취득세 납세의무자는 사법상 개념과 효력을 기본적인 바탕으로 조세법률주의와 실질과세원칙의 한계 내에서 지방세법상 취득 개념의 문언해석과 체계적 해석에 부합하게 파악하는 것이 옳다. 따라서 부동산실명법 시행 후 부동산 명의신탁에 기한 등기가 무효로 판단될 경우, 여기에 취득세 과세대상으로 유효한 사실상 취득행위 내지 재화의 이전을 인정하기 어렵고 원칙적으로 취득세 납세의무도 성립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지방세법은 취득의 개념과 정의 규정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등기 또는 등록에 관계없이 자산이 유효하게 귀속되는 것’을 전제로 하는 정의 규정으로 개정될 필요가 있다. 2자 간 등기명의신탁, 3자 간 등기명의신탁, 매도인이 악의인 계약명의신탁에서 각 명의수탁자의 등기는 모두 원인무효인 이상, 명의수탁자의 취득세 납세의무는 성립하지 않고, 유일하게 매도인이 선의인 계약명의신탁에서 명의수탁자의 등기는 유효하므로, 명의수탁자는 취득세 납세의무자가 된다. 그리고 3자 간 등기명의신탁에서 명의신탁자는 잔금지급일에 사실상 취득에 기한 취득세 납세의무를 부담하게 된다. 다만 부동산 명의신탁은 우리 민법의 성립요건주의와 상충될 뿐만 아니라, 중간생략등기와 함께 부동산 투기나 탈세, 각종 탈법행위의 수단으로 악용·남용되어 근절될 필요가 있으므로, 적어도 모든 유형의 명의신탁에서 취득세는 적어도 한 번씩 징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판례에 의할 때 과세공백이 생길 수 있는 2자 간 등기명의신탁과 매도인이 악의인 계약명의신탁에서 명의수탁자가 취득세 환급을 구하는 경정청구를 할 경우에는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이를 거부하는 것이 조세정의와 과세형평의 원칙 및 자기책임의 원칙에 부합하는바, 부동산 명의신탁과 관련한 취득세 납세의무자의 확정 및 그 권리행사에 관한 정당성 문제에 있어서는 납세자에 대한 적극적인 신의칙 적용으로 일정한 제한을 가할 필요가 있다. 입법론으로, 명의수탁자의 외관 형성에 대한 책임에 상응하는 조세법상 의무 규정, 즉 제2차 납세의무자나 물적 납세의무자 규정 도입 등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명의신탁이 불법원인급여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한 2019년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4인의 반대의견과 같이, 만일 부동산 명의신탁등기가 불법원인급여에 해당한다고 볼 경우에는 명의수탁자의 등기가 반사적으로 유효하게 되어 명의수탁자의 취득세 납세의무를 긍정할 수 있는 결과에 이른다. 이는 실질과세원칙과 충돌하지 않는 범위에서 취득세 납세의무자 확정의 문제도 간명하게 해결되는 장점이 있는바, 향후 이에 대한 판례변경을 기대해 본다.

      • KCI등재

        과점주주 간주취득세 과세 상 지분비율 변동 및 특수관계인 범위 개선에 관한 연구

        박영모 한국지방세학회 2022 지방세논집 Vol.9 No.2

        The system of deemed acquisition tax on oligopolistic stockholders has been introduced to prevent indirect acquisition of stocks of a corporation and avoid the corresponding tax levied on the acquisition of real estate owned by this corporation. Although the legislative purpose is legitimately recognized as this system realizes fair taxation through substantial taxation, it continues to be criticized for issues, such as double taxation and damage to the corporate system under commercial law. Therefore, this study notes that the rationality and clarity of taxation requirements are urgently required for deemed acquisition tax rather than for general acquisition tax. Nevertheless, disputes, such as litigations related to deemed acquisition tax on oligopolistic stockholders, continue to increase due to systemic deficiencies. Such issues are serious with the frequent occurrence of litigation cases ranging from tens of billions to hundreds of billions of KRW in scal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major issues in the current system and seek solution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litigations related to the deemed acquisition tax on oligopolistic stockholders. The issues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ratio of shares of oligopolistic stockholders are caused because the current local tax law does not clearly stipulate the taxation scope and timing to complete the tax obligation for deemed acquisition tax on the change in the ratio of shares. Therefore, in this study, improvement measures to solve the issues of the current system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even in cases where there is no increase beyond the previous highest ratio of shares acquired by an oligopolistic stockholder, if the ratio of shares for each ble object actually increases, it should be included among objects of taxation. Second, if the first oligopolistic stockholder owned the stocks of the relevant corporation before becoming an oligopolistic stockholder,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ratio of stocks owned previously need to be deducted from the object of taxation of the initial deemed acquisition tax. Third, deemed acquisition tax can be reasonably imposed even if the corporation acquires and retires treasury stocks, becoming oligopolistic stockholders or increasing the ratio of shares of oligopolistic stockholders. Fourth, for those who have become oligopolistic stockholders during rehabilitation and workout amongst others, the system must be supplemented so that deemed acquisition tax can be paid when such procedures are completed and share certificates are restored. Fifth, when an oligopolistic stockholder reacquires real estate owned by the corporation that paid the deemed acquisition tax, the acquisition tax on the old registration tax is also an object of taxation. The issues related to the scope of related parties are due to invoking their secondary tax liability, for which legislative purposes are different from deemed acquisition tax on oligopolistic stockholders. Therefore, in this study, improvement measures to solve the issues of the current system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poses to stipulate separately the scope of related parties for the imposition of deemed acquisition tax in the Local Tax Act and the scope of related parties under the Framework Act on Local Taxes and change its name from “deemed acquisition tax on oligopolistic stockholders” to “deemed acquisition tax on controlling stockholders.” Second, those in an economic relationship where it is unclear whether there is a substantial special relationship among related parties are excluded for the taxation of deemed acquisition tax on oligopolistic stockholders. Third, the term “through” should be deleted from the criteria determining management control relationships, and a management control relationship is present if the sum of the stock ratios of parties in special relationships is 50% or more. Fourth, the current regulation that considers c... 과점주주 간주취득세 제도는 법인 소유 부동산 등의 취득에 따른 취득세를 회피하기 위해 우회적으로 해당 법인의 주식을 취득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동 제도는 실질과세를 통한 공평과세의 구현이라는 점에서 입법목적의 정당성이 인정되고 있음에도 이중과세, 상법상 법인 제도의 훼손 등의 문제로 계속 비판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취득세보다 과세요건의 합리성과 명확성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도적인 미비점으로 인해 과점주주 간주취득세와 관련된 소송 등 다툼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송 규모도 수백억 원에서 수천억 원에 달하는 사건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간 과점주주 간주취득세와 관련된 소송들의 내용을 분석하면서 현행 제도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과점주주 지분비율 변동과 관련된 문제는 현행 지방세법에서 지분비율 변동에 따른 간주취득세의 과세범위, 납세의무의 성립시기 등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지 않아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행 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 보았다. 첫째, 과점주주이었던 자가 주식 취득으로 종전 최고 지분비율 보다 증가하지 않은 경우라도 각 과세물건 별로 사실상 지분비율이 증가된 경우에는 과세대상에 포함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최초로 과점주주가 된 자가 과점주주가 되기 전에 해당 법인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었던 경우에는 종전 주식소유 비율에 해당하는 만큼 최초 간주취득세 과세대상에서 공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해당 법인이 자기주식을 취득한 후 소각함에 따라 과점주주가 되거나 과점주주의 지분비율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간주취득세를 과세하는 것이 타당하다. 넷째, 회생, 워크아웃 등이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 과점주주가 된 자의 경우 그 절차가 종결되고 주권을 회복한 시점에서 간주취득세를 납부할 수 있도록 제도보완이 필요하다. 다섯째, 과점주주가 간주취득세를 납부한 해당 법인 소유의 부동산 등을 재취득할 경우 구등록세분 취득세는 과세대상임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특수관계인의 범위와 관련된 문제는 과점주주 간주취득세와 입법목적이 상이한 제2차 납세의무의 특수관계인의 범위를 그대로 원용한데서 비롯된 것이라 본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행 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 보았다. 첫째, 「지방세기본법」상의 특수관계인의 범위와 별개로 「지방세법」에 간주취득세를 과세하기 위한 특수관계인의 범위를 별도 규정하고, 간주취득세 명칭도 “과점주주 간주취득세”에서 “지배주주 간주취득세”로 변경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특수관계인 중 실질적인 특수관계가 있는지 불분명한 경제적 연관관계에 있는 자는 과점주주 간주취득세 과세를 위한 특수관계인의 범위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경영지배관계의 판단 기준 중 “〜통하여”라는 문구를 삭제하고 특수관계에 있는 자들의 주식비율의 합계가 50% 이상인 경우에는 경영지배관계가 있는 것으로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주식소유 비율과 관계없이 임원의 임명권의 행사, 사업방침의 결정 등 법인의 경영에 사실상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우에도 법인의 경영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 KCI등재후보

        3자간 등기명의신탁의 경우 취득세 납세의무자: 대법원 2018. 3. 22. 선고 2014두43110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임재혁 한국지방세학회 2019 지방세논집 Vol.6 No.1

        대법원 2018. 3. 22. 선고 2014두43110 전원합의체 판결(대상판결)은 3자간 등기명의신탁에서 취득세 납세의무자가 명의신탁자인지 명의수탁자인지에 관하여 다수의견과 반대의견이 치열하게 대립하였다. 대법원 다수의견은 사법관계와 세법관계의 통일적인 해석을 중시하는 입장에서 3자간 등기명의신탁에서는 명의신탁자(매수인)가 취득세 납세의무자라고 판단하였던 반면, 반대의견은 취득세의 유통세, 거래세적인 성격을 강조하고 지방세법의 개정경위 및 등기 실무를 고려할 때 명의수탁자를 납세의무자로 보는 것이 납세자의 의식에도부합한다고 주장하였다. 취득세의 본질, 지방세법상 사실상 취득의 개념, 취득세 납세의무의성립시기 등 취득세의 중요 쟁점들에 대하여 대상판결의 다수의견과 반대의견은 상호 풍부한 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대상판결의 결론은 종전 대법원 판례와도 조화를 이루고, 동일한 담세력에 대한 이중, 삼중의 과세를 방지한다는 차원에서도 타당하다고평가된다. 이 글에서는 부동산 명의신탁과 취득세 납세의무와 관련된 종전 대법원 판례들에서 3가지원칙을 추출하여 보았다. ① 첫째, 판례는 대외관계에서 유효하게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는자는 내부적 법률관계를 불구하고 취득세 납세의무를 부담한다고 본다. ② 둘째, 판례는 사법상 법률관계(원인관계)가 무효 또는 취소인 경우 그 원인무효인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었더라도 등기명의자에게 취득세 납세의무가 발생하지 아니한다고 본다. 다만, 판례는 계약해제의 경우에는 이를 후발적 사유에 불과하다고 보아 취득세 납세의무에 영향이 없다고 본다는 데에 주의를 요한다. ③ 셋째, 외견상으로는 두 단계의 취득이 이루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취득행위에 불과한 경우에는 취득세는 실질귀속자에게 한 차례만부과된다. 대상판결의 결론은 위와 같은 기존 판례 법리의 3가지 명제와도 부합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최근 선고된 판례들(대법원 2018. 4. 24. 선고 2013두3078 판결, 대법원 2018. 11. 9. 선고 2015두41630 판결 등)도 대상판결의 결론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세법은 사법과는 독자적인 목적을 갖는 법제로서 그 해석, 적용에 있어서 반드시 사법상의 이론을 따를 필요는 없다(독립설). 그러나 조세법의 이념을 해치지 아니하는 한도 내에서는 사법상의 법률관계가 존중되는 것이 법적 안정성 및 법체계의 일관성 제고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그러한점에서도 대상판결은 공평, 타당한 결론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2014du43110 rendered on March 22nd 2018) strongly argued whether, in case of a three-party title trust, the taxpayer of acquisition tax was a truster or a trustee. The majority opinion ruled that a truster is a taxpayer in order to emphasize a unified interpretation of civil and taw law. On the other hand, the dissenting opinion argued that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acquisition tax as a transaction or a circulation tax, the reason of the revision of the local tax law, and actual practice of registry of real estates, it was consistent with taxpayers’ recognition to regard the trustee as a taxpayer. It is meaningful that the majority and the dissenting opinion have presented a rich rationale for important issues of the acquisition tax such as the concept of acquisition under the local tax law and the timing of establishment of acquisition tax liability. The en banc decision also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how legal relationship under civil law should be recognized in scope of taxation system. The conclusion by the en banc decision is also considered reasonable in terms of preventing double or triple taxation on the same taxable event and in line with the previous Supreme Court decisions on taxpayers’ liability to acquisition tax. In this article, three principles were extracted and viewed from previous Supreme Court cases involving name trust(dummy registration) of real estate and acquisition tax payment obligations. ① First of all, the precedent cases ruled that those who are able to acquire effective ownership in relation between a party and third person are liable for the obligation to pay the acquisition taw despite the internal relationship between truster and trustee. ② Secondly, the precedent cases also concluded that if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two parties(for example, seller and buyer) is invalid or canceled, the person who are registered with the same title does not have an obligation to pay the acquisition tax.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in the case of termination, the established obligation to pay the acquisition tax is not vanished. ③ Thirdly, even if the acquainting transaction seems to the two phrases in a formative view but just one in a substantive view, only one taxable event is recognized when it comes to acquisition tax. The conclusion of the en banc decision is also evalua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above three propositions(①, ②, ③) of the Supreme Court cases. In particular, the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s in case of name trust(2013du3078 rendered on April 24th 2018, 2015du41630 rendered on November 9th 2018) are also in line with the en banc decision. Tax laws have their own inherent purposes, so it is not necessarily recommend to follow civil law’s theories when interpreting and appling tax laws.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infringe the ideology of tax law, howver, it is desirable to respect and concern substantive legal relations under civil law. In that respect, the en banc decision seems to have come to an impartial and reasonable conclusion.

      • KCI등재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어 취득세 과세 여부: 대법원 2021. 11. 11. 선고 2017두57769 판결

        김다애,서순성 한국지방세학회 2023 지방세논집 Vol.10 No.1

        Since the interpretation of tax law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judicial relations, the biggest controversial topic with regards to the relations between tax law and judicial law is the legality and validity of judicial transactions and the possibility of relevant taxation. Under the Local Tax Act, acquisition tax does not directly borrow the concept of ownership under the Civil Act, but redefines the act subject to taxation with the term "acquisition". Therefore, there arises a question as to whether there exists a restriction imposed by the legal interpretation of judicial relations in the interpretation of ownership, which is the object of acquisition tax. In this regard, we reviewed Supreme Court Decision (2017du57769) decided on November 11th, 2021; the ruling deals with the acquisition of ownership and the decision of payer of acquisition tax among owners of a single building. We first reviewed the significance of the sectional ownership as an exception to the principle of one-thing-to-one-right, which was the main issue of the case ruling. Then we reviewed whether public announcement is necessary in relation to the sectional action that the precedent sees as a require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sectional ownership. Afterwards, in order to review the meaning of acquisition in acquisition tax, the issue of judicial interpreta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borrowing and tax law was reviewed, specifically, whether acquisition tax could be levied on ownership which is invalid under the law. We concluded that public announcement is not necessary in acknowledging the sectional action, and we determined that judicial interpretation could be used in the interpretation of acquisition under the acquisition tax. Furthermore, it should be that the concept of actual acquisition should be understood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judicial law takes priority over others when interpreting tax law. The actual acquisition is stipulated to determine the taxpayer when the subjects of actual ownership and legal ownership are disparate, and it is not intended to expand the scope of concept of acquisition that is not recognized by law. The Supreme Court Decision judged on the sectional ownership with regards to civil law, and the Court determined whether the disposition of acquisition tax was legal; the disposition of acquisition tax itself was neither judged nor explained. The absence of stipulation seems to be derived from its usage of the concept of acquisition, which is subject to acquisition tax, directly from judicial relations. And it judg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borrowing, which is derived from the interpretation of tax law and judicial relations. Even if the concept of practical acquisition had become an issue in the ruling,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acknowledge the claim in that the judicial law overrides the interpretation of the tax law. 세법의 해석은 사법관계와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기 때문에 세법과 사법간의 관계에서 가장 많이 문제되는 것이 사법상 거래행위의 적법・유효성과 이에 따른 과세 가능성에 대한 쟁점이다. 지방세법상 취득세는 민법상의 소유권 개념을 그대로 차용하지 않고 ‘취득’이라는 용어로 과세 대상 행위를 다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취득세의 대상인 소유권의 해석에 있어 사법관계의 법해석이 부여하는 제약이 있는지 문제되며, 이와 관련하여 일반건축물인 1개의 건물에 대하여 공유자들 간 소유권 취득 및 이에 따른 취득세 납세의무자가 문제가 된 대법원 2021. 11. 11. 선고 2017두57769 판결을 검토한다. 본 논문은 먼저 대상 판결의 주된 쟁점이 된 구분소유권의 개념에 대하여 일물일권주의의 예외로서 구분소유권의 의의를 검토한 후, 판례가 구분소유권의 성립요건으로 보고 있는 구분행위와 관련하여, 공시가 필요한지를 검토하였다. 이후, 취득세에서의 취득의 의미에 대하여 검토하기 위하여 차용개념, 세법의 해석에 있어 사법의 해석 문제를 검토하였고, 구체적으로 사법상 무효인 소유권 취득을 대상으로 취득세가 부과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필자는 결론적으로, 구분행위 인정에 있어 공시가 필요하지 않으며, 취득세법상 취득의 해석에 있어 사법상의 해석이 그대로 차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더 나아가, 사실상의 취득 개념은 어디까지나 사법이 세법 해석에 있어 우위를 점한다는 입장에서 파악되어야 하고, 실질적 소유권과 형식적 소유권이 분리되는 경우에 한하여 취득세 납세의무를 가리려는 입장에서 규정된 것일 뿐, 사법상 인정되지 않는 소유권의 형식이나 물권의 성립까지 취득의 범위를 넓히려는 것은 아니라고 보아야 한다. 대상 판결은 민사법 관계에서의 구분소유권에 대하여 판시한 후, 곧바로 취득세 부과처분이 적법한지 판단하였고, 취득세 부과처분 그 자체에 대하여는 설시하지 않았다. 이는 취득세의 과세 대상인 소유권을 사법관계에서 바로 차용하였고, 세법과 사법관계의 해석론에서 도출되는 차용개념에 따라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설령 해당 판결에서 사실상의 취득 개념이 쟁점화 되었다 하더라도, 세법의 해석에 있어 사법이 우위를 점한다는 입장에서 고려하여 보면 해당 주장을 인정하기 힘들 것이다.

      • KCI등재

        연부취득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지방세법 제13조의2 제1항과 관련하여-

        박성욱,김성범,김서현 한국세무학회 2022 세무학 연구 Vol.39 No.1

        Local Tax Act Article 13-2 was specified after the regulation of the heavy taxation was established for corporations and multihouse owners in the second half of 2020. According to subsection (1) of Article 13-2, the acquisition of housing is the acquisition by succession for value under the Local Tax Act, and either factual or formal acquisition must be satisfied in order to realize the obligation to pay tax. Most houses are acquired in a short time after the payment is made, so it is possible to choose the earlier date on which the final balance of the acquisition is paid or the registration of ownership transfer is applied. However, in case of Annual Acquisitions paid in installments over the long term, the standards for heavy taxation are not specific.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it does not fit the nature of acquisition to judge Annual Acquisitions based on every Annual Acquisition Payment Date because it does not meet the concept of acquisition in the Local Tax Act. As a result of referring to many cases in an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it is a reasonable to set a standard based on the final Annual Acquisition Payment Date. And when applying it, it is necessary to insert supplements related to Additional Tax and the Tax Imposition Exclusion Period. This is because it would incur Additional Tax by underreporting income and on deficiencies for delay, depend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avy tax rate and the basic tax rate of the Annual Acquisition Payment. In addition, there are no specific provisions in legislation for the Tax Imposition Exclusion Period of Annual Acquisition, and it is currently being operated on many cases of an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us, this study presents three reasonable proposal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heavy taxation in accordance with subsection (1) of the Local Tax Act Article 13-2. First, in order to judge the date of acquisition of housing under the current Local Tax Act, it would be appropriate to legislate clearly to determine the earlier date between the final Annual Acquisition Payment Date and the Registration Date. This is because when paying the final Annual Acquisition Payment, it would meet the standard of the acquisition by succession for value in the meaning of the nature of the acquisition. In addition, it would be reasonable to legislate the exemption of Additional Tax in Article 20 of Local Tax Act to accept the normal tax returns and payments when filing them within 60 days from the final Annual Acquisition Payment Date. For this, it would also be necessary to stipulate the Tax Imposition Exclusion Period based on the final Annual Acquisition Payment Date in the Local Tax Act. 2020년 하반기에 법인 및 다주택자에 대해 취득세 중과규정이 신설된 이후 지방세법 제13조의2 규정이 뒤이어 명시되었다. 특히 본 규정 제1항에 따르면 주택 취득은 지방세법상 유상승계 취득이고 이에 대한 납세의무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사실 또는 형식상의 취득 중 하나라도 충족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주택 거래는 단기간 내에 대금을 지급한 후 취득이 이루어지므로 최종 잔금을 지급하거나 소유권이전등기를 접수한 날 중에서 빠른 날을 기준으로 선택하면 된다. 반면, 거래대금을 장기간에 걸쳐서 분할로 납부하는 연부취득의 경우에는 어떤 시점을 기준으로 중과판정을 할 것인지 여부가 논쟁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매 연부금 지급일을 기준으로 중과판정 하는 것은 지방세법상 취득의 개념에 충족되지 않기 때문에 취득의 본질에 맞지 않다고 판단한다. 그러므로 연부취득의 중과판정과 관련된 행정안전부 유권해석사례를 분석한 결과 최종 연부금 지급일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렇게 최종 연부금 지급일로 적용할 경우 가산세 및 부과제척기간과 관련된 내용을 추가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왜냐하면 연부금 지급 상당액에 대한 중과세율과 기본세율의 차액에 따라 과소신고 및 납부지연 가산세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연부취득에 대한 부과제척기간도 별도의 입법규정이 없이 행정안전부 유권해석사례를 통하여 운영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이러한 지방세법 제13조의2 제1항에 따른 중과세 판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현행 지방세법상 연부취득과 관련된 주택의 취득일 판정은 최종 연부금 지급일과 등기접수일 중 빠른 날로 판정하도록 명확하게 입법하는 것이 타당하다. 왜냐하면 취득의 본질적인 의미에서 최종 연부금을 지급했을 때 유상승계취득이 완벽히 성립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종 연부금 지급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신고ㆍ납부한 경우 정상적인 신고 및 납부로 갈음하도록 지방세법 제20조에 가산세 면제를 위한 별도의 규정을 입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가산세 면제에 대한 입법을 위해 부과제척기간도 최종 잔금일 기준으로 지방세기본법에 추가로 명시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 KCI등재후보

        명의신탁관련 취득세제 개선방안 연구

        김태호 한국지방세학회 2020 지방세논집 Vol.7 No.3

        From July 1995, the effect of the name trust contract and the change of ownership of real estate became invalid as the 「Act requiring registration in the name of the real right holder of real estate」(ARNHORE) came into force. Name trust has been recognized by the court since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rule. Even after the enactment of the "ARNHORE", acquisition tax was imposed if the trustee transferred ownership by the name trust method. However, at the end of 2017,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there was no obligation to pay acquisition tax because the change of ownership of real estate by name trust was invalidated by ARNHORE. 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the Local Tax Law, anyone who pays the price or registers a transfer is obligated to pay the acquisition tax. However,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there is no obligation to pay the acquisition tax even if ownership is transferred to the name trustee, resulting in inefficiencies in the tax administration, and tax inequality by exempting the acquisition tax from illegal name trust activities. In other words, by deciding that there is no obligation to pay the acquisition tax for name trusts, tax inequality, tax reductions for name trusts, exemption from registration tax imposed in the past, violation of the reason for the creation of ARNHORE, refund of taxes already paid, and name trustees Problems such as tax collection occur.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the name trust system, the contents of the name trust, and the concept of acquisition.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 of non-taxation of acquisition tax on name trusts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As an improvement plan to solve the problem of name trust, a plan to establish a new regulation that the name trust is obligated to pay acquisition tax and a plan to be tax-free if the name trust is confirmed within 5 years was proposed. Acquisition tax is a transfer tax, which is levied on acquisitions, so all acquisitions should be included in the taxable item. In addition, if the contract is terminated or canceled after acquisition, a legal amendment is required that extends the period more than the current 60 days to exempt acquisition tax. 1995년 7월부터 「부동산 실권리자 명의등기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명의신탁약정과그에 따른 부동산의 물권변동의 효력을 무효로 하고 있다. 명의신탁은 일제강점기 때부터 사법부에 의하여 인정되었고, 부동산실명법이 시행된 후에도 명의신탁에 대하여 취득세를 부과해 왔으나, 2017년말에 대법원에서 명의신탁에 의한 부동산의 물권변동은 부동산실명법에의하여 무효가 되므로 취득세의 납세의무도 없다고 판결을 하였다. 지방세법상 취득세는 잔금지급이나 등기를 하게 되면 납세의무가 있는 것으로 규정되어있는데, 명의수탁자의 소유권 이전등기에 대하여 취득세의 납세의무가 없는 것으로 판결함으로써 세무행정의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불법적으로 명의신탁을 하는 행위에 대하여 취득세를 면제함으로써 조세불형평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명의신탁제도의 연혁과 내용, 취득세의 취득개념을 살펴보고, 명의신탁에 대한 취득세 미부과의 문제점 분석과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있다. 명의신탁에 대한 취득세 납세의무를 부정함으로써 조세불형평, 명의신탁에 대한 세제혜택, 종전에 부과된 등록세부분 면제, 부동산실명법 제정취지 위반, 기납부세액의 환급 및추징에 따른 세무행정 복잡성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명의신탁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명의신탁에 대하여 취득세 납세의무가 있음을 명시하는 방안, 명의신탁에 대하여 5년 이내에 확인되는 경우에 한하여 비과세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1안은 납세의무자 규정에서 명의신탁약정을 맺고 명의수탁자에게로 소유권을 이전하는 경우와 명의신탁자에게 다시 이전하는 경우에 각각 과세하도록 하는 방안이며, 제2안은 명의신탁에 대하여 취득세를 부과하되, 명의수탁자가 이전등기를 한후 5년 이내에 명의신탁약정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비과세하도록 하는 방안이다. 취득세는 유통세로서 취득행위에 대하여 과세하는 것이므로 모든 취득행위를 과세물건에포함시키되, 취득행위 이후에 계약해제나 취소 등으로 취득행위가 없어지는 경우에는 현행60일보다 더 기간을 늘려서 취득세를 부과하지 아니하는 입법적 개선이 있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