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기발생액모형의 이익관리 탐지능력과 분기발생액의 특성

        김확열,이진수,도경분 한국회계정책학회 2012 회계와 정책연구 Vol.17 No.3

        This paper studies the specification and power of accrual prediction models. We use the specification of cross-sectional models of unexpected accruals. Also, we analyze quarterly data. This paper presents standard Jones model (1991), Jones-ROA model (2005), Jones-CF model, Jones-CF-Reversal model, and accounting process (AP) model. And then we compare the five models. The firm-periods for which we estimate abnormal accruals were selected from 16,308 firm-quarters between 2000 and 2007.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ive models are well specified for randomly selected firms. Second, the Jones model and Jones-ROA model yield systematically positive (or negative) abnormal accruals for firms with low (high) cash flows levels. Third, we show that the CFO model, Jones-CF-Rev model and AP model are more powerful than the Jones model and Jones-ROA in detecting earnings management. Among the three models, Jones-CF-Rev model performs the best. Fourth, using the mean squared prediction errors, we examine differences in the earnings management/noise across audited and unaudited quarters with respect to the power of accrual models. The squared prediction errors in the fourth quarter are greater than those in interim quarters, consistent with an argument that managers exhibit the greatest evidence of earnings management in the last quarter. 2000년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분기재무제표를 공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2006년 이후에는 공시대상 기업의 범위를 확대하여 자산규모 5천억원 이상인 상장 및 등록 기업은 분기재무제표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분기자료를 사용하여 발생액 예측모형을 추정하고 각 모형의 성과를 비교하며 Jones모형, Jones-ROA모형, Jones-CF모형, Jones-CF-Rev모형, 회계과정(AP)모형을 대상으로 한다. 2000년부터 2007년까지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종 오류 분석에서 5가지 모형이 모두 모형표기 타당성(specification)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금흐름을 기업의 성과로 가정할 경우 극단적인 성과기업은 Jones모형과 Jones-ROA모형에 의한 재량적 발생액 추정치가 현금흐름과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나타내어 모형표기 문제점이 존재하지만, Jones-CF모형, Jones-CF-Rev모형 및 AP모형은 현금흐름 수준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셋째, 이익관리탐지능력에 대한 분석 결과, Jones-CF모형, Jones-CF-Rev모형 및 AP모형의 검증력(power of test)은 Jones모형과 Jones-ROA모형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Jones-CF모형, Jones-CF-Rev모형, AP모형 간에는 이익관리대상(수익 혹은 비용)에 따라 검증력의 순위가 부분적으로는 달라지지만 대체로 Jones-CF-Rev모형이 AP모형과 Jones-CF모형보다 검증력이 높다. 넷째, 감사를 받는 4분기와 그렇지 않은 중간분기(1분기, 2분기, 3분기) 간에 재량적 발생액의 평균자승예측오차를 조사한 결과, 4분기의 평균자승예측오차가 중간분기보다 크게 나타나 4분기 재량적 발생액 추정치에 특정 사건과 무관한 잡음(noise)이 보다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사실은 4분기자료에 근거한 재량적 발생액의 추정치는 특정 사건과 관련된 이익관리연구에서 검증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 분기자료를 이용한 발생액 예측모형의 비교연구

        김확열(Kim, Hwak Yeol),이진수(Lee, Jin Soo) 한국회계정보학회 2012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2 No.1

        2000년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분기재무제표를 공시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2006년 이후에는 공시대상 기업의 범위를 확대하여 자산규모 5천억원 이상인 상장 및 등록 기업은 분기재무제표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분기자료를 사용하여 발생액 예측모형을 추정하고 각 모형의 성과를 비교한다. 예측모형의 추정을 위해 횡단면추정법을 적용하고, 평가대상모형으로는 Jones모형, Jones-ROA모형, Jones-CF모형, Jones-CF-Rev모형, 회계과정(AP)모형을 사용한다. 모형을 평가하기위해 이익관리가 없다는 귀무가설에 대한 제1종 오류 분석과 인위적 이익조정 방법을 이용한 제2종 오류 분석을 수행한다.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상장기업의 분기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종 오류 분석에서 5가지 모형이 모두 모형표기 타당성(specification)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극단적인 현금흐름 기업표본에 대한 제1종 오류 분석에서 Jones모형과 Jones-ROA모형의 경우 재량적 발생액 추정치가 영업현금흐름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가짐으로써 누락변수문제에 의한 모형표기오류가 존재하지만, Jones-CF모형, Jones-CF-Rev모형 및 AP모형은 현금흐름 수준에 영향을 받지 않아 모형표기 타당성이 유지되었다. 셋째, 제2종 오류 분석 결과 Jones-CF모형, Jones-CF-Rev모형 및 AP모형의 검증력(power of test)은 Jones 모형과 Jones-ROA모형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Jones-CF모형, Jones-CF-Rev모형, AP모형 간에는 이익관리대상(수익 혹은 비용)에 따라 검증력의 순위가 부분적으로는 달라지지만 대체로 Jones-CF-Rev모형이 AP모형과 Jones-CF모형보다 검증력이 높다. 넷째, 감사를 받는 4분기와 그렇지 않은 중간분기(1분기, 2분기, 3분기) 간에 재량적 발생액의 평균자승예측오차를 조사한 결과, 4분기의 평균자승예측오차가 중간분기보다 크게 나타나 4분기 재량적 발생액 추정치에 특정 사건과 무관한 잡음(noise)이 보다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사실은 4분기자료에 근거한 재량적 발생액의 추정치는 특정 사건과 관련된 이익관리연구에서 검증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specification and power of accrual prediction models. Unlike prior studies that rely generally on time-series models, we use the specification of cross-sectional models of unexpected accruals. Also, We analyze quarterly data. This paper presents standard Jones model(1991), Jones-ROA model(2005), Jones-CF model, Jones-CF-Reversal model, and accounting process(AP) model and compares five models with respect to the Type Ⅰerror and Type Ⅱ error. The firm-periods for which we estimate abnormal accruals are selected from 16,308 firm-quarters between 2000 and 2007 for analyses using quarterly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sing a simulation analysis technique, we find that all of the five models are well specified for randomly selected firms. Second, the Jones model and Jones-ROA model yield systematically positive (negative) estimates of abnormal accruals for firms with low(high) cash flows levels. Third, we show that the CFO model, Jones-CF-Rev model and AP model are more powerful than the Jones model and Jones-ROA in detecting earnings management. Among the three models, Jones-CF-Rev model performs the best. Fourth, using the mean squared prediction errors, we examine differences in the earnings management/noise across audited and unaudited quarters with respect to the power of current accrual models in detecting earnings management.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squared prediction errors in the fourth quarter are greater than those in interim quarters, consistent with an argument that managers exhibit the greatest evidence of earnings management in the last quarter.

      • KCI등재

        대체적 발생액 예측모형의 모형표기 타당성과 검증력 평가

        김정교,이진수,라기례 한국산업경영학회 2010 경영연구 Vol.25 No.1

        We analyze some methodological aspects that are related with estimating abnormal accruals for the detection of earnings management. Unlike prior studies that rely generally on time-series models, we use the specification of cross-sectional models of unexpected accruals. This paper presents standard Jones model(1991), Jones-ROA model, Jones-CF model, Jones-CF-Reversal model, Piecewise model(2006) and Accounting Process(AP) model and compares six models with respect to the TypeⅠerror and TypeⅡ error. The firm-periods for which we estimate abnormal accruals are selected from 10,508 firm-years between 1988 and 2007 for analyses using annual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sing a simulation analysis technique similar to that performed by Brown and Warner (1985), we find that all of the six models are well specified for randomly selected firms. Second, the Jones model and Jones-ROA model yield systematically positive (negative) estimates of abnormal accruals for firms with low(high) cash flows levels. Third, we show that the CFO model, Jones-CF-Rev model, Piecewise model(2006) and AP model are more powerful than the Jones model and Jones-ROA in detecting earnings management. Among the four models, Piecewise model(2006), Jones-CF-Rev model performs better ,and Piecewise model(2006) performs best of all. Fourth, given the conservatism (asymmetric recognition of gains and losses), Piecewise model(2006) has implications for our understanding of accrual accounting and estimating discretionary accruals. 본 연구는 이익관리연구 등에서 사용하는 발생액 예측모형의 모형표기 타당성과 검증력을 비교⋅평가한다. 예측모형의 추정을 위해 횡단면추정법을 사용하였다. 발생액 예측모형으로는 표준 Jones모형, Jones-ROA모형, Jones-CF모형, Jones-CF-Rev모형, Piecewise모형, 회계과정(AP)모형을 사용한다. 모형의 평가방법으로는 이익관리가 없다는 귀무가설의 검증에 대한 제1종 오류 분석을 통해 모형표기 타당성을 조사하고, 인위적으로 이익을 조작한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제2종 오류 분석을 통해 모형의 검증력을 비교한다.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1988년부터 2007년까지 연간자료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임의추출표본에 대한 제1종 오류 분석에서 표준 Jones모형, Jones-ROA모형, Jones-CF모형, Jones-CF-Rev모형, Piecewise모형, AP모형이 모두 모형표기 타당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극단적인 현금흐름성과를 보인 기업표본에 대한 제1종 오류 분석에서 표준 Jones모형과 Jones-ROA모형의 경우 재량적 발생액 추정치가 영업현금흐름과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가짐으로써 누락변수문제에 의한 모형표기오류가 발생했으나, Jones-CF모형, Jones-CF-Rev모형, Piecewise모형 및 AP모형은 현금흐름 수준에 영향을 받지 않아 모형표기 타당성이 존재한다. 셋째, 제2종 오류 분석 결과 낮은 수준(1%)의 이익조작에서는 발생액과 현금흐름 간의 상관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영업현금흐름을 설명변수로 추가한 네 가지 모형, 즉 Jones-CF모형, Jones-CF-Rev모형, Piecewise모형 및 AP모형의 검증력이 표준 Jones모형과 Jones-ROA모형에 비해 큰 차이를 보임으로써 높은 검증력을 가지고 있다. 선형성을 가정한 Jones-CF모형, Jones-CF-Rev모형 및 AP모형 3가지 중에서는 Jones-CF-Rev모형이 Jones-CF모형이나 AP모형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전기발생액의 반전현상을 발생액 예측모형 반영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한편, Piecewise모형이 Jones-CF-Rev모형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이는데, 이는 이득과 손실에 대한 비대칭적 인식(보수주의)에 의한 발생액의 비선형성을 발생액 예측모형에 반영한 것에 기인한 것이다. 이러한 Piecewise모형의 우수성으로 인해 향후 이익관리와 관련된 연구에서 Ball and Shivakumar(2006)가 제시한 보수주의를 통제한 발생액 예측모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 이익관리검증방법의 평가 및 개발

        장석오,노현섭,김정찬 한국전산회계학회 2003 電算會計硏究 Vol.2 No.1

        이익관리에 대한 분석은 일반적으로 경영자가 재량적 발생조정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재량적 발생조정은 직접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 연구들은 총발생조정을 재량적 발생조정과 비재량적 발생조정ㅇ로 분리해 주는 모형(발생조정모형)을 필요로 한다. 다라서 재량적 발생조정을 사용하여 이익관리를 탐지하려는 연구들의 능력은 발생조정모형의 타당성에 좌우된다. 선행연구에서 다양한 발생조정모형들이 개발되고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 대체적인 모형의 타당성에 대한 체계적인 증거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선행에서 사용되어 온 발생조정모형의 통계적인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가능한 대체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교대상이 되는 발생조정모형은 DeAngelo모형, Jones모형, 수정된 Jones모형, Kasznik모형과 수정 KS모형이다. DeAngelo모형, Jones모형, 수정된 Jones모형과 Kasznik모형은 기존의 이익관리연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수정 KS모형은 기존의 모형들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도출한 모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