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기 미술과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조선 후기 고동서화(古董書畵) 수집 및 감상 현상과 관련하여

        장진성 진단학회 2009 진단학보 Vol.- No.108

        서유구(徐有榘, 1764-1845)의『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는 전체가 16지(志)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13권 54책으로 이루어진 농업, 수리, 의학, 음식, 예술 등 인간 생활에 기초적인 일상, 문화, 여가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거질(巨帙)의 총서 혹은 유서(類書)이다.『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중 조선 후기 미술과 관련하여 중요한 자료는「유예지(遊藝志)」권 3 <서벌(書筏)> 및 권 4, 5 <화전(畵筌)>과「이운지(怡雲志)」권 5, 6 <예완감상(藝翫鑑賞)>이다. <화전(畵筌)>과 <예완감상(藝翫鑑賞)>은『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실려 있는 고동서화(古董書畵) 관련 자료로써 서유구의 서화 및 골동품 감상학(鑑賞學)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화전>에 실려 있는 회화 관련 자료의 편집 및 구성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어떤 특정한 서적을 기본 모델로 하여 기타의 서적을 참조한 후 편집한 것이 아니라 서유구 자신이 해당 항목별로 필요한 자료를 발췌하여 채록하고 있는 점이다. 둘째 <화전>에는 인용한 자료에 대한 문헌 비평이나 편집 방식에 대한 서유구 자신의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 저자의 논평이 배제된 체 편집자의 ‘선편(選編)’ 형식으로 세부 항목을 설정하고 다양한 서적에서 필요한 자료를 발췌, 인용하고 있는『임원경제지』의 ‘엮음’ 방식은 미술관련 자료 전체를 관통하는 특징이다. 이것은 『임원경제지』가 농업, 천문, 건축, 의학, 미술, 음악 등 다양한 분야의 학문 영역을 분야별로 나누어 해당 학문 분야의 지식과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수록한 참고용 서적인 유서(類書)라는 사실에 기인한 것이다. 즉『임원경제지』는 창의적인 저술이라기보다는 지식과 정보의 실제적인 활용을 위하여 여러 문헌에서 필요한 내용을 수합, 재편집하고 자신의 의견을 수록한 유서로서 서유구는 저자가 아닌 편집자로서 지식과 정보를 회취(會聚)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던 것이다. <화전>과 <서벌>의 경우 이러한 『임원경제지』의 구성 방식 및 성격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이운지(怡雲志)」 권 5, 6의 <예완감상(藝翫鑑賞)>은 고동기(古銅器), 고옥기(古玉器), 고요기(古窯器), 법서(法書), 명화(名畵), 도서(圖書) 등 고동(古董)의 다양한 종류, 형식, 감상 및 수장 방법, 감식, 관리, 수리법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예완감상>에서 주목되는 몇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동(古董)의 감상과 수장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발췌, 수록하고 있는데 조희곡(趙希鵠, 1180-1240년 경 활약)의『동천청록집(洞天淸祿集)』, 미불(米芾, 1050/51-1107)의『화사(畵史)』, 고렴(高濂, 1573년 경 활약)의『준생팔전(遵生八牋)』을핵심 문헌으로 이용하였다. 서유구는 특히『준생팔전』의 <연한청상전(燕閒淸賞牋)>에 수록되어 있는 대부분의 내용을 「이운지(怡雲志)」 전체에 걸쳐 필요한 항목별로 분류, 배치하고 있을 정도로 『준생팔전』에서 많은 내용을 발췌하였다. 둘째 <화전>과 마찬가지로 <예완감상>은 서유구 자신의 저술 내용이 없이 다양한 문헌자료를 ‘엮음’의 형식을 통해 항목별로 분류, 편집해놓고 있다. 그런데 <화전>과 달리 <예완감상>에는 주석(註釋)인 ‘안(案)’을 사용하여 기록상 상이(相異)한 점이 발견될 경우 부가 설명을 가하거나 또는 자신의 의견을 표시하기도 하였다. 서유구 자신의 감평(鑑評) 결과인 ‘평(評),’ 고증 사실을... Sŏ Yu-gu’s Imwŏn kyŏngjeji (Treatises on Forestry and Economy) is an encyclopedic collection of treatises on such fields of knowledge as agriculture, horticulture, fishing, architecture, medicine, astronomy, art, and leisure. Imwŏn kyŏngjeji is one of the major works of the practical learning (sirhak) school, exploring the full spectrum of life from agriculture and daily activities to the yangban class’s intellectual, cultural, and recreational pursuits. It is a vast and comprehensive assemblage of data in the whole range of scholarly endeavor. Such treatises as the Hwajŏn (Painting Basket) part of the Yuyeji (Seeking Delight in the Arts) chapter and Yewan kamsang (Appreciation of Artworks) section of the Iunji (Enjoyment and Clouds) chapter include numerous sources of information for members of the ruling yangban class to collect and appreciate antiques. Sŏ Yu gu systematically compiled texts on how to collect and use antiques and added his critical comments on some sources of information. Although Sŏ Yu-gu left his comments and thoughts, Imwŏn kyŏngjeji is basically an encyclopedic assemblage of texts that he collected and edited. In the strictest sense, Sŏ Yu-gu was not the author of all the treatises in the Imwŏn kyŏngjeji. He was the editor and compiler of the treatises. Most of the texts in the Iunji and Yuyeji chapters are derived from Chinese textual sources on the collecting and appreciation of antique objects. Despite mistakes in citing Chinese sources, Sŏ Yu-gu’s editorial skills are remarkable in the systematic organiz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the appreciation of paintings, calligraphy, bronze vessels, brushes, and ink stones. Major Chinese texts on antiques such as Zhao Xigu’s (active 1180 1240) Dongtian qinglu ji (Treatise on the Pure Appreciation of Antiques), Mi Fu’s (1050/51 1107) Huashi (History of Painting), and Gao Lian’s Zunsheng bajian (Eight Discourses on the Art of Living, preface 1591) constituted major components of the treatises on the collecting and appreciation of antique objects in the Imwŏn kyŏngjeji, offering practical information on connoisseurship, preservation, and conservation of antiques. The primary purpose of the Imwŏn kyŏngjeji is to provide practice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how to purchase antique objects of the highest quality and how to use them in daily life. In this respect, the Imwŏn kyŏngjeji is a “how-to-do-it” book, serving as a handbook for the cultural life of a scholar. It must be noted that the publication of the Imwŏn kyŏngjeji is inseparable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hat took place in the late Chosŏn period. The late Chosŏn period was a time of prosperity in which the collecting of luxury goods and antiques became a distinctive component of the culture of consumption. Chosŏn society entered the age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leisure in which the pursuit of pleasure and pastime activities played a central role in shaping the cultural landscape of the period. The antique market in Unchong’ga (present day Chongro), the largest commercial district of old Seoul, rapidly expanded to the point where all the streets were filled with various kinds of Chinese collectibles. The nation wide frenzy about collecting antiques created a large number of aficionados whose excessive spending on Chinese objects became a social problem. This phenomenon indicates that the late Chosŏn period ushered in an era of leisure consumption. The commercialization of leisure is clearly found in the new attitude of the yangban class pursuing the pleasures of collecting luxury goods and antiques and traveling to famous scenic sites. The Imwŏn kyŏngjeji is one of the “how to do it” books for the yangban class to seek delight and enjoyment in elegant and refined leisure activities. The treatises in the Imwŏn kyŏngjeji, dealing with the collecting of antiques, served as a basic handbook for scholar connoisseurs to disce...

      • KCI등재

        『유예지』와 『구일집』으로 보는 18세기 조선 산학의 변화

        최종성 역사실학회 2020 역사와실학 Vol.7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changes in Chosun mathematics in the 18th century by comparing the 18th century representative 『Guiljip』 written by a mathematician with the <sanbeob> in Volume 2 of 『Yuyeji』 written by the sadaebu. For this, first, the authors’ academic background, growth and characteristics of each book are analyzed. Based on this,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nges in Chosun mathematics in the 18th century from the following three perspectives. First, wh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exist in the composition and description of each mathematics book, second,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 calculation methods developed in each mathematics book, and finally, what changes are there in the demand group of mathematics books. 중인 산학자에 의해 저술된 18세기 대표적인 산학서인 『구일집』과 경화세족 사대부의 산학서인 『유예지』 권2의 <산법>을 비교하여 18세기 조선 산학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산학에 관한 저자들의 학문적 배경, 성장과 각 저서들의 특징들을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18세기 조선 산학에서의 변화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첫째 각 산학서들의 구성과 서술방식에서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둘째 각 산학서에서 전개하는 계산 방식에서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마지막으로 산학서의 수요층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 KCI등재

        영산회상 상영산 4장 후반3각 선율형성 고찰

        임미선 한국국악학회 2019 한국음악연구 Vol.66 No.-

        For this study, efforts were made to understand how the melody for the later three gaks (measures) of Yeongsanghoesang Sangyeongsan was formulated. In addition, efforts were made to newly understand how the melody of the later three gaks - that has been passed down to the present after the era of 『Eoeunbo』- was formed in relation to Jungyeongsan and to comprehend its nature. The contents reviewed and investigated by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elody for the later three gaks of Sangyeongsan first appeared in 『Eoeunbo』. After analyzing the properties of the melody for the later three gak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two methods for playing Yeongsanghoesang in the era of 『Eoeunbo』. One was to repeatedly play Sangyeongsan and the other was to play Sangyeongsan and Jungyeongsan successively. There was a difference in melodies for the later three gaks while playing Yeongsanghoesang separately and for playing ‘Yeongsanghoesang’ and ‘Yeongsanghoesanggaptan’ successively. Let’s divide the melodies into A1 and A2 for convenience. A1 was a melody with the function of ‘doljang’ linked in order to give a feeling different from the original melody while repeatedly playing Sangyeongsan on the basis of Juiboksi. In comparison, A2 was a melody with the function of ‘doljang’ needed in order to connect Sangyeongsan and then Jungyeongsan. Such a difference did exist. Melodies A1 and A2 separately existed due to differences in performance practices in the era of 『Eoeunbo』. A2 was discontinued and A1 was changed for 『Yuyeji』 and became established as the present melody for the later three gaks. 본고에서는 영산회상 상영산 후반3각(4장 4~6각) 선율의 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어은보』 이후 현행에 이르는 후반3각 선율의 형성 과정을 중영산과 관련하여 새롭게 조망하고, 그 성격을 밝혔다. 본고에서 다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상영산 후반3각 선율은 『어은보』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그 후반3각 선율의 속성을 분석한 결과, 『어은보』 시절 영산회상 연주법에는 두 가지가 존재했음을 알게 되었다. 그 하나는 상영산을 계속 반복 연주하는 것, 다른 하나는 상영산과 중영산 두 곡을 접속 연주하는 것이었다. 영산회상(현 상영산) 만을 따로 반복해서 연주할 때와 ‘영산회상’과 ‘영산회상갑탄(현 중영산)’을 연이어 연주할 때의 연주법에는 차이가 있었다. 『어은보』 4장 후반에 있는 선율을 주이복시를 기준으로 앞 부분을 A1, 뒷 부분을 A2로 구분하여 보면, A1은 주이복시 방법으로 상영산을 반복해서 연주할 때에 맨 처음의 선율과 다른 변화를 주기 위해 연결되는 돌장 기능이 있는 선율이었고, A2는 상영산 다음에 중영산을 연결할 때 필요한 돌장의 기능이 있는 선율이었다. 이처럼 A1과 A2의 선율은 『어은보』 당시 영산회상의 연주관행 차이로 인해 각각 별개로 존재한 것인데, A2는 단절되어 전하지 않고 A1은 『유예지』에서 새로운 선율로 대체되어 현행 후반3각 선율로 정착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