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 후기 조선 초 화엄종계와 고승

        황인규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7 No.-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the Huayan School lineage and its high priests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Goryeo military regime, the Huayan school was oppressed by the ruling authorities, however a few sects of the Huayan school received protection. Some sects of the Huayan school including Sujeongsa-gyeolsa of the Yuga order (the Beopsang order) at Mt. Jiri and Banryongsa-gyeolsa, were supported by a priest named Yoil who was from the first order of the Huayan school during the early period of Goryeo military regime. It was during this time that Hwaeomyul Gangseup-gyeolsa and Goseong Suamsa-gyeolsa were developed. The remarkable fact is that during the time of the Goryeo military regime, the leadership of the Huayan school trend was changed from Yoil at Heungwang-sa temple and Gakhun at Yeongtong-sa temple, to a direct dharma descendant of the Uicheon (1055~1101); ineage, Sugi and Cheongi at Gaetae-sa temple of the Gyunyeo (923~973). During the Yuan intervention period, the Cheontai school of the Baekryeon lineage and Gaji Mountain Seon School became prominent institutions in the Buddhist world. Heungwang-sa temple and other provincial temples of the Huayan school also received some ministration. Especially, in the late period of the Yuan intervention period, Chewon and his disciples developed the faith of saving sentient beings, which occurred around Haein-sa temple where they were leading the Huayan school. Shindon and Cheonhee were influenced by these teachings and emerged from their practice to serve in society. Cheonhee was selected to become a 316 한국불교학 77 distinguished national teacher and served as the leading dharma teacher of Gongbuseon that Seon master Naong Hyegeun emphasiz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Huayan school. Uun received an appointment from the King as Jesaenggun and became the abbot of Beopwang-sa temple at Gaegyeong and Buin-sa temple in Daegu where Cheonhee resided. Gyeongnam, a disciple of Cheonhee, participated in the general assembly that established Daejanggak of Shinreuk-sa temple in which representatives of the Buddhist world were present, and later became the abbot of Haein-sa temple followed by Chewon, Ikseung, Shinchong. Gyeongnam would work around the regions of Haein-sa temple.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Uichim, a disciple of Uun, Doseungtong Seol’o and Doseungtong Un’o led the Huayan school. Especially, Uichim would become a representative of the Huayan school in the early period and also a representative of the two leading Buddhist schools, the Jogye Order and Huayan school of the Buddhist world with the priest Cheonbong Manwoo of the Jogye order. 본고는 고려 후기 조선 초 화엄종계 및 고승들의 흐름과 그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화엄종은 무신정권 초에도 무신정권의 탄압을 받았지만 일부의 화엄종은 보호를 받았다. 일부의 선각적인 화엄종은 유가종(법상종)의지리산 수정사 결사시 후원하였으며, 무신집권 초 화엄종 최초의 결사 승통寥一에 의한 반룡사 결사와, 이어 화엄률 강습 결사와 고성 수암사 결사가 전개되었다. 무신집권기에 이르러 의천 직계의 법손인 흥왕사 寥ー과 영통사 覺 訓 등에서 균여의 계통인 개태사의 守其와 天其 등으로 주도권이 바뀌었다. 원 간섭기 불교계는 백련사계 천태종과 선종계 가지산문이 주도하는 가운데 화엄종계의 개경 흥왕사와 지방 사찰도 부각되었다. 특히 원 간섭기 후반體元과 그의 문도가 해인사 일대에서 현세구원 신앙을 전개하였으며, 이러한영향을 받은 신돈과 천희 등이 부상하였다. 특히 천희는 국사로 책봉되었으며, 나옹 혜근이 주맹하였던 공부선에 증명법사로 참여하였다. 우운은 濟生君 이라는 책봉호를 받으며, 천희가 주석하였던 대구 부인사와 개경 법왕사 주지로 재임하였다. 천희의 문도인 경남은 신륵사에서 개최된 전국 불교대표 모임에 참여하였다. 조선 초에 이르러 우운의 문도 의침과 도승통 설오, 도승통 운오가 화엄종을 주도하였다. 설오는 조계종의 무학 자초와 더불어 이성계와 친밀했으며, 석왕사와 흥덕사의 주지직에 재임하였다. 의침은 도승통으로서 영통사와 법왕사에 주석하였으며, 화엄종을 대표하면서 조계종승 천봉 만우와 더불어 불교계를 대표하였다. 결국 조선 초 의침이 화엄종계의 국사와 같은 존재였다면설오는 왕사와 같은 지위에 있었던 듯하다.

      • KCI등재

        고령의 반룡사와 體元의 화엄사상

        채상식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고령에 소재한 반룡사는 어떤 역사적, 사상·신앙적 특징이 있는지를 살펴본 글이다. 우선 반룡사에 관한 자료를 검토한 결과 반룡사는 신라 애장왕 3년(802)에 해인사와 같은 시기에 건립하였다고 전한다. 현전하는 반룡사 다층석탑의 조성시기는 문헌자료와 연결하면 고려중기일 가능성이 높다. 반룡사에 관한 문헌자료로서 원 세조가 내린 榜文이 있다. 이 방문을 내린 사찰은 현 반룡사가 아닌 것 같다. 당시 몽고군이 주둔한 창원의 남쪽에 있는 ‘반룡산’이 주목된다. 한편 「送盤龍如大師序」를 검토한 결과 반룡사를 실제 개창한 인물은 승통 寥一이다. 그는 李仁老(1152~1220)의 大叔으로 화엄종 사찰인 개경의 흥왕사 승통이었으며, 최충헌을 모해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은 적이 있다. 요일이 개경에서 벗어나 반룡사에 정착한 것은 아마 중앙의 정치권력으로부터 멀어진 화엄종단의 부흥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곧 반룡사를 터전으로 삼아 인접한 해인사, 법수사 등과 나아가 경상도 지역에서 화엄종의 연대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활동한 것은 아닌가 한다. 한편 충숙왕대에 이르러 반룡사에는 體元이 새로운 주법으로 부임한다. 그는 경주이씨로서 이제현의 家兄이며, 해인사 사간판에 수종의 자료를 남기고, 『화엄경』을 寫經한 바 있다. 그가 남긴 저술을 검토한 결과 관음신앙을 강조하고 또 이를 통해 공덕과 영험까지도 표방하고 심지어 민간신앙과 결합된 성격을 띤 사상적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곧 체원이 중심이 된 14세기의 화엄종은 신앙적인 측면이 두드러진 불교관을 표방함으로써 한 단계 진전된 화엄사상을 표방하지는 못한 셈이다. 여기서 중심되는 것은 관음신앙이었는데, 당시 불교계의 공통된 사상·신앙적 경향이었다. 대몽항전, 삼별초 항쟁, 동정군의 전란과 이에 계속된 이민족의 지배라는 참담한 현실 속에서 현세구원적인 활로를 찾기 위한 노력으로 나타난 산물이었다. 본래 관음신앙은 義湘 이래 낙산관음 설화와 결합하면서 전통적으로 일반 민들과 함께 호흡한 소박한 신앙이었다. 이 시기에 오면 관음신앙은 공덕과 영험을 중시하는 신비적인 요소와도 결합하여 사치한 귀족적인 불교로 성행하게 되었다. 곧 이중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으며, 그러한 산물이 佛畵와 사경, 대규모 불사 등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체원은 의상-균여-수기로 이어지는 화엄종의 실천적이면서 대중적인 경향을 계승한 인물이라고 하겠으나, 그가 관여한 사경 등을 보면 귀족적인 경향과 멀었다고는 볼 수 없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features of the thoughts and faith which Banryong Temple at Goryoung had displayed in Koryŏ Dynasty. To begin with, the interrogations of written sources on Banryong Temple shows that it had been built up at the same time when Haein Temple had been set up in the year three of King Aejang of Silla(A.D. 802). It is more likely that the multi story-stone pagoda handed down up to now at Banryong Temple had been elected at the middle of Koryŏ. Of the written sources, there is a public notice(榜文) which Sejo of Yüan had granted. It seems that it had granted not to Banryong Temple but to Mt. Banryong south of Changwon where the Mongolians had stayed at that time. According to Songbanryongyeodaesaseo(送盤龍如大師序), it was the master successor Yoil(寥一) who had really established Banryong Temple. He, an older uncle of Lee In-Ro(1152~1220), was the master successor of Heungwang Temple and had been suspected of conspiring to do harm to Choi Choong-Heon. Probably, he intended to rehabilitate Hwaŏmjong order estranged from central power going out from Gaekeong into Banryong Temple. He may have directed toward the consolidation of solidarity between temples of Hwaŏmjong at Kyeongsang region having Banryong Temple as a stronghold. Meanwhile, Chewon held newly the Joobeop(主法) position under the reign of King Choongsook. As the Lees of Gyeongjoo, he was an older brother of Lee Jehyeon, remained several sources to Saganpan of Haein Temple, and had copied Hwaŏm Sutra. The interrogation of his writings shows that he had stressed the faith of Avalokitêsvara(觀音) and claimed for his virtues and miracles by this faith. He even displayed the trend of thought combined with a folk belief. Thus, Chewon's Hwaŏm of the fourteen century had failed to present the thought taken a step forward by exhibiting their vision of Buddhism inclined to a faith. The central to this thought was the faith of Avalokitêsvara, which was a common trend of the Buddhist milieu at that time. This was an output of making every effort to search the actual salvation from the terrible real of successive wars and the control by other peoples. Initially, the faith of Avalokitêsvara was conventionally a naive faith closed with folk after it had mixed with the tale of Naksan Avalokitêsvara from the age of Ŭisang(義湘) on. By that time, it combined with the mystic factors focused on the virtues and miracles and became to be prosperous as an expensive faith of the aristocracy. It can be said that this dual character of it had been reflected on the Buddhist paintings, the copies of the Sutras, and the large scale Buddhist services. The copies of the Sutras related by Chewon demonstrates that he did not keep away from the aristocratic trends, though he had succeed to the practical and popular trends of Hwaŏm.

      • 기획논문 : 고령지역 사상(思想)의 특징과 사적(史的) 전개(展開) ; 고령의 반룡사와 체원(體元)의 화엄사상

        채상식 ( Sang Sik Chae )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08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3 No.-

        고령에 소재한 반룡사는 어떤 역사적, 사상·신앙적 특징이 있는지를 살펴본 글이다. 우선 반룡사에 관한 자료를 검토한 결과 반룡사는 신라 애장왕 3년(802)에 해인사와 같은 시기에 건립하였다고 전한다. 현전하는 반룡사 다층석탑의 조성시기는 문헌자료와 연결하면 고려중기일 가능성이 높다. 반룡사에 관한 문헌자료로서 원 세조가 내린 榜文이 있다. 이 방문을 내린 사찰은현 반룡사가 아닌 것 같다. 당시 몽고군이 주둔한 창원의 남쪽에 있는 `반룡산`이 주목된다. 한편 「送盤龍如大師序」를 검토한 결과 반룡사를 실제 개창한 인물은 승통 寥一이다. 그는 李仁老(1152~1220)의 大叔으로 화엄종 사찰인 개경의 흥왕사 승통이었으며, 최충헌을 모해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은 적이 있다. 요일이 개경에서 벗어나 반룡사에 정착한 것은 아마 중앙의 정치권력으로부터 멀어진 화엄종단의 부흥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곧 반룡사를 터전으로 삼아 인접한 해인사, 법수사 등과 나아가 경상도 지역에서 화엄종의 연대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활동한 것은 아닌가 한다. 한편 충숙왕대에 이르러 반룡사에는 體元이 새로운 주법으로 부임한다. 그는 경주 이씨로서 이제현의 家兄이며, 해인사 사간판에 수종의 자료를 남기고, 『화엄경』을 寫經한 바 있다. 그가 남긴 저술을 검토한 결과 관음신앙을 강조하고 또 이를 통해 공덕과 영험까지도 표방하고 심지어 민간신앙과 결합된 성격을 띤 사상적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곧 체원이 중심이 된 14세기의 화엄종은 신앙적인 측면이 두드러진 불교관을 표방함으로써 한 단계 진전된 화엄사상을 표방하지는 못한 셈이다. 여기서 중심되는 것은 관음신앙이었는데, 당시 불교계의 공통된 사상·신앙적 경향이었다. 대몽항전, 삼별초 항쟁, 동정군의 전란과 이에 계속된 이민족의 지배라는 참담한 현실 속에서 현세구원적인 활로를 찾기 위한 노력으로 나타난 산물이었다. 본래 관음신앙은 義湘 이래 낙산관음 설화와 결합하면서 전통적으로 일반 민들과 함께 호흡한 소박한 신앙이었다. 이 시기에 오면 관음신앙은 공덕과 영험을 중시하는 신비적인 요소와도 결합하여 사치한 귀족적인 불교로 성행하게 되었다. 곧 이중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으며, 그러한 산물이 佛畵와 사경, 대규모 불사 등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체원은 의상-균여-수기로 이어지는 화엄종의 실천적이면서 대중적인 경향을 계승한 인물이라고 하겠으나, 그가 관여한 사경 등을 보면 귀족적인 경향과 멀었다고는 볼 수 없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features of the thoughts and faith which Banryong Temple at Goryoung had displayed in Koryo Dynasty. To begin with, the interrogations of written sources on Banryong Temple shows that it had been built up at the same time when Haein Temple had been set up in the year three of King Aejang of Silla(A.D. 802). It is more likely that the multi story-stone pagoda handed down up to now at Banryong Temple had been elected at the middle of Koryo. Of the written sources, there is a public notice(榜文) which Sejo of Yuan had granted. It seems that it had granted not to Banryong Temple but to Mt. Banryong south of Changwon where the Mongolians had stayed at that time. According to Songbanryongyeodaesaseo(送盤龍如大師序), it was the master successor Yoil(寥一) who had really established Banryong Temple. He, anolder uncle of Lee In-Ro(1152~1220), was the master successor of Heungwang Temple and had been suspected of conspiring to do harm to Choi Choong-Heon. Probably, he intended to rehabilitate Hwaomjong order estranged from central power going out from Gaekeong into Banryong Temple. He may have directed toward the consolidation of solidarity between temples of Hwaomjong at Kyeongsang region having Banryong Temple as a stronghold. Meanwhile, Chewon held newly the Joobeop(主法) position under the reign of King Choongsook. As the Lees of Gyeongjoo, he was an older brother of Lee Jehyeon, remained several sources to Saganpan of Haein Temple, and had copied Hwaom Sutra. The interrogation of his writings shows that he had stressed the faith of Avalokitesvara(觀音) and claimed for his virtues and miracles by this faith. He even displayed the trend of thought combined with a folk belief. Thus, Chewon`s Hwaom of the fourteen century had failed to present the thought taken a step forward by exhibiting their vision of Buddhism inclined to a faith. The central to this thought was the faith of Avalokitesvara, which was a common trend of the Buddhist milieu at that time. This was an output of making every effort to search the actual salvation from the terrible real of successive wars and the control by other peoples. Initially, the faith of Avalokitesvara was conventionally a naive faith closed with folk after it had mixed with the tale of Naksan Avalokitesvara from the age of Uisang(義湘) on. By that time, it combined with the mystic factors focused on the virtues and miracles and became to be prosperous as an expensive faith of the aristocracy. It can be said that this dual character of it had been reflected on the Buddhist paintings, the copies of the Sutras, and the large scale Buddhist services. The copies of the Sutras related by Chewon demonstrates that he did not keep away from the aristocratic trends, though he had succeed to the practical and popular trends of Hwa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