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 · 정조시대 부안 현감 이운해의 《부풍향차보》연구

        정서경(Jeong Seo-gyeong) 비교민속학회 2017 비교민속학 Vol.0 No.63

        본고는 부안의 차문화 기록으로 현존 유일한《부풍향차보》1)를 고찰한 글이다. 기록을 통한 향차의 전승과《부풍향차보》연구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현대로 이어지는 가향차(Flavory tea)나 블렌딩차(Blending tea)의 전망을 유추해 볼 수 있다.《부풍향차보》는 필선 이운해 (李運海, 1710~?)가 부안 현감으로 부임한 翌年 1755년에 남긴 차에 대한 기록이다. 당시 무장의 선운사 일대 찻잎을 채취하여 차를 만들고 지명을 부쳐《부풍보》라 제하고 묶은 책이다. 원본은 남아 있지 않고 황윤석(頤齋 黃胤錫, 1729~1791)의《頤齋亂藁》에 필사한 기록이 전부다. 제다법과 마시는 방법, 차의 명칭과 도구까지 상세히 계량하여 기술하였다. 찻자리에서 쓰이는 다도구를 그림과 함께 설명하고 있다. 길지 않은 전문에 차의 생산 환경에서부터 가공 · 제다 · 장다 · 음다의 방법과 찻자리의 찻그릇까지 실측하여 그려냈다. 본고에서는 원전분석을 통하여 부풍향차의 원형을 밝히고자 한다.《부풍향차보》에서 만든 차는 기호음료가 아니라 증상에 따라 주치의 약재 성분이 더해진 이른바 약용의 향차다. 제법은 차 여섯 량에 차명에서 말한 재료 각 한 돈이라고 했다. 일상에서 발병하기 쉬운 한 가지 증상에 차와 두 가지 약재를 각각(各) 넣어 상음할 수 있는 향차로 만들었다. 부풍향차는 향을 가미한 약용차다. 향약재를 휘저어 섞어 흡수되도록 하여 만들었기 때문이다. 제다 공정을 비교적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拌은 拌茶라는 차명이 아니라 차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차에 향약재가 흡수되도록 섞는다는 제다 공정의 방법론이다.《부풍향차보》는 차명과 제법을 달리하여 기술하였다. 완성된 차는 7종의 향차다. 국향차(菊香茶), 계향차(桂皮茶), 매향차(烏梅茶), 연향차(黃連茶), 유향차(香薷茶), 귤향차(橘皮茶), 사향차(山査肉茶)라 하였다. 그림까지 첨부한 찻그릇의 조명은 통시적 차문화의 변용을 고구할 수 있는 구체적 자료라는 점이다. 당시에는 물식힘사발을 사용하지 않았고, 차는 上投하여 뜨겁게, 一湯法으로 마셨음을 알 수 있다. 炉 · 罐 · 缶 · 鍾 · 盞 · 盤(화덕, 탕관, 다관, 찻종, 찻잔, 다반) 6종의 찻그릇 그림을 통하여 영 · 정조 시대 지역 차문화의 실상을 면밀히 전달하고 있다. The study investigated《Bupoonghyangchabo, 扶風鄕茶譜》which is extant until now alone as record for tea culture in Buan. The study investigated history of local tea and compared transmission of local tea through record and Bupoonghyangcha. Based on this, prospect of flavory tea or Blending tea today can be analogized.《Bupoonghyangchabo, 扶風鄕茶譜》is a record about tea written by Lee Woon-hae(李運海, 1710~?) in 1755, the following year when he started his career as the officer of Buan. Then, he collected tea leaves around Seonwoonsa temple in Moojang, produced tea. Based on the experiences, the book named as《Bupoonghyangchabo, 扶風鄕茶譜》was published. The original version is not extant. Record transcribed by Yi Je Hwang Yoon-seok (頤齋 黃胤錫, 1729~1791) is extant in《Yijenango, 頤齋亂藁》. He described preparing method, drinking method, name of tea, tea things in detail. The record explains tea things used in tea ceremony with a picture. The full text which is not long shows production environment of tea, its processing, tea manufacture․preservation of tea, drinking method of tea, and tea cup- even size of tea cup was shown. The study analogized prototype of Bupoonghyangcha through analysis of old classics. Tea shown on 《Bupoonghyangchabo, 扶風鄕茶譜》is flavory tea with efficacy of medicine where medicines ingredient is added according to symptoms, not favorite food. The record says tea 6 Ryang, one Don each material said in name of tea. He prepared flavory tea which can be drunk daily to cure a symptom easily occurred in daily lives. Two kinds of medicines were added to prepare such flavory tea. Bupoonghyangcha is the fermented tea with incense. This is because raw leaves are not steamed and mixed with aromatic medicinal materials. For methodology, manufacturing process that aromatic medicinal materials are mixed with tea for easier absorption was explained in detail. Ban(拌) is not name of tea called Ban tea(拌茶) but is explanation of process to prepare tea. This is a methodology of process to manufacture tea that mixes so that aromatic medicinal materials can be absorbed to tea. Name and manufacturing method was differently described in Bupoonghyangchabo. The teas were 7 kinds of flavor teas–mum flavor tea(菊香茶), cinnamon flavor tea(桂皮茶), apricot flavor tea(烏梅茶), lotus flavor tea(黃連茶), Hyangyoo tea(香薷茶), orange flavor tea(橘皮茶), Sansayook flavor tea(山査肉茶). Shedding light on tea cup described with picture is very specific in diachronic communication of situation. Then times, cup to cool water was not used. It can be known that Yiltangsangtoobeop(一湯上投法) was used–a method to pour water and then, to put tea leaves on it. The record closely figured out tea culture in region in the periods of Yeongjo and Jeongjo through pictures of 6 kinds of tea cups such as stove, pipkin, tea kettle, tea bowl, tea cup, tea tray(爐 · 罐 · 缶 · 鍾 · 盞 · 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