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감영도시 대구와 낙동강 중류지역의 역사공간적 특징

        김정운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1 한국학논집 Vol.- No.85

        This paper is a study of Daegu in the 18th century. Daegu was the center of Gyeongsang-do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can be seen in two aspects, one is the institutional aspect of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and the other is the cultural aspect. Daegu has been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where observers reside since the establishment of Gyeongsang-do Gamyeong in 1601. Because of this, people and goods gathered. Daegu was the largest city in Gyeongsang-do in the late Joseon Dynasty. Cities are places where people and goods gather, and an open and inclusive culture is created. The other is the cultural aspect. Nakdonggang River is joined by several streams of water in Yeongnam and gathers into one to penetrate the center of Yeongnam. The Nakdonggang River is a symbol of Yeongnam and penetrates the whole, forming a cultural area called Yeongnam Culture. This Yeongnam Culture created a variety of cultures by forming several cultural areas again. Daegu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akdonggang River and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two regions meet between the left and right cultures. Daegu was a place where both academ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Yeongnam converged.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confirmed the urban aspects of Daegu in the 18th century in the daily lives of its members. The daily life of Cho Jae-ho (1702-1762), who lived in Daegu as an observer of Gyeongsang-do in the 18th century, brings together various and comprehensive aspects of Daegu, an administrative city. The daily life of Choi Heung-won (1705-1786), the nobleman who lived in Daegu at the same time, showed the life and ideas of the nobleman in the city. In this way, Daegu in the 18th century, seen from the daily lives of the noblemen, was an open city where various cultures were fused. 본 논문은 18세기 대구의 역사공간적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조선후기에 대구는 경상도의 중심이었다. 두 측면에서 그렇다. 하나는 행정의 중심이라는 제도적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문화적인 측면이다. 대구는 1601년 경상도 감영이 자리한 이후 관찰사가 거주하는 행정의 중심이었다. 이 때문에 경상도 전지역에서 사람과 물산이 대구로 모였다. 대구는 사람과 물산이 모이는 곳이고,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문화가 만들어졌다. 다른 하나는 문화적 측면이다. 낙동강은 여러 물줄기가 합해서 영남의 중앙을 관통한다. 낙동강은 영남의 상징이며, ‘영남문화’로 일컬어지는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하였다. 이 ‘영남문화’는 다시 몇몇의 문화권역을 형성하면서 다채로운 문화를 포함하였다. 대구는 낙동강의 중류에 위치하면서 경상도 전역의 문화가 만나는 지점에 있다. 조선후기 대구는 영남의 학문적·문화적 특징이 모두 수렴되는 곳이었다. 이런 배경에서 본고는 18세기 대구의 모습을 구성원의 일상에서 확인하였다. 경상도 관찰사로 대구에서 지냈던 조재호(趙載浩, 1702~1762)의 일상은 행정도시 대구의 다양하고 포괄적인 모습을 모여 준다. 같은 시기에 대구에서 거주하였던 사대부 최흥원(崔興遠, 1705~1786)의 일상은 대구 사대부의 생활과 관념을 보여주었다. 이렇게 사대부의 일상에서 본 18세기 대구는 개방적이고 다양한 문화가 융합되는 도시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