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영광군수의 문서 행정과 업무

        노인환 호남사학회 2020 역사학연구 Vol.77 No.-

        Yeonggwang-gun during the Joseon Dynasty became Yeonggwang-gun or Yeonggwang-hyeon through the change of the local system, the morality incident, the birth and residence of a high-profile criminal, and the demotion and sign of multiplication of the township. When the three candidates were appointed from the authorities, the king was appointed and after his appointment the appointed governor offered his thanks and his resignation to the king. The governor of Yeonggwang reported to the Jeolla-do governor by Chupjung(牒呈), and the Jeolla-go governor ordered the governor of Yeonggwang by Gwan(關). Yeonggwang-gun governor also exchanged documents related to his duties by Gwan and Chupjung with the provincial governors. Yeonggwang-gun governor and his officials exchanged Hacheop(下帖) and Munbo(文報)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the complaints of the people. The administration of documents by Yeonggwang-gun governor and local officials wa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Yongmunjasik(用文字式) of the Gyeonggukdaejeon(經國大典) . Yeonggwang-gun governor's handling of civil complaints can be viewed through petitions, which was posted by the people of Yeonggwang County, as evidence of governor through constitution and prove, as well as the reward of filial piety and exemption of miscellaneous duties. 조선시대 영광군은 지방 제도의 변화, 綱常 사건, 대역죄인의 출생 및 거주지, 읍호의 강등과 陞號를 통해 영광군 또는 영광현이 되었다. 영광군수는 吏曹에서 세 명의 후보자를 올리면 국왕이 落點을 하여 임명하였고, 임명 후에 국왕에게 謝恩과 下直을 거행하였다. 영광군수는 전라도관찰사에게 牒呈으로 보고하였고, 전라도관찰사는 영광군수에게 關으로 지시하였다. 영광군수와 지방 수령 사이에도 關과 첩정으로 업무와 관련된 문서를 주고받았다. 영광군수와 소속 관원 사이에는 백성들의 민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下帖와 文報를 주고받았다. 이러한 영광군수와 지방 관원의 문서 행정은 경국대전 用文字式의 조항을 준용하여 이루어졌다. 영광군수의 민원 처리는 영광군 백성들이 영광군수에게 올린 所志를 통해 立案과 立旨를 통한 官의 증빙, 효행의 포상과 煙戶雜役의 면제에 대한 처리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영광의 전통소금 생산방식과 문화적 의미 연구

        한정훈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6

        Salt is essential for human-beings. Salt flavor is one of the basic tastes, an important preservative and a popular food seasoning. The history of extracting salt has been included among the history of the civilizations. In the past salt had carried out the functions of currency and it had been the symbol of the wealth. According to the records, there has been many regions in Jeonnam province to produce salt. Among other regions there is Yeonggwang where has output remarkably a lot much salt. Yeonggwang is considered to be established the fortress blessed with natural condition and the fishing environment. Salt had been a foundation stone through Goryeo to Joseon dynasty. In addition it had been used as a famine relief in a drought. And salt is indispensable goods to maintain the system of the government as well. Yeonggwang has yielded a quantity of salt and so has different values from the other regions. However we cannot find out the concrete production-method of salt even from the documents. Hence this article is going to considerate the production-method of salt previous to the period of introduction of natural salt and the cultural meanings of Yeonggwang-region involving salt. Salt such as Ryugryum or Hwaryum had produced in Yeonggwang in a traditional way until the middle of the 1950's. Yeonggwang had a similar production method to Buan but had its own way of designating working tools or mobilizing human/livestock power or supplying/demanding fuel or selling salt. Plus, we could make sure it has been quite important part of local culture. The rice, which is root of group life in agricultural production-region, would be an essential element to let the culture derive. The folk religion or game caused by the rice was an indirect expression of the effort to surviving of the cooperative fate-group. The salt in the salt-production-region of Yeonggwang had more important cultural value than the rice in agricultural production-region. Yeonggwang possessed self-local value, which other region can have, by the scarcity value titled salt-production-region. 소금은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식품이다. 소금의 채취사는 인간의 문명사와 함께 해왔다. 과거 소금은 화폐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였으며, 나아가 부와 권력의 상징이기도 하였다. 기록을 살펴보면, 과거부터 전남의 여러 지역에서 소금을 생산하였다. 그 중에서도 영광지역의 소금생산량은 다른 지역과 비교해서 단연 돋보였다. 영광지역은 천혜의 자연조건과 어업환경이 다량의 소금을 생산・소비할 수 있는 기반을 형성하게끔 하였다. 고려・조선시대에 소금은 국가재정의 근간이 되었다. 더불어 가뭄이나 흉년기에 구황물로 활용되었다. 국가체제를 유지함에 있어 소금은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물품이었다. 이러한 소금을 다량으로 생산해낸 영광지역은 다른 지역과 변별된 위상을 보존하고 있었다. 하지만 문헌을 통해서 소금의 구체적 생산방식을 알 수가 없다. 이에 본 논문은 영광지역에 천일염이 도입되기 이전의 소금생산방식을 지역 주민들의 구술을 통해서 재구해 보고, 소금과 관련된 영광지역의 문화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영광지역은 1950년대 중반까지 육렴, 화렴으로 불리는 소금이 전통적인 방식으로 생산되었다. 생산방식면에서 부안지역 등과 유사함을 보이기는 하지만 생산도구의 명칭이나 인력・축력의 동원 방식, 연료수급 경로, 소금 판매 경로 등에 있어서 영광 나름의 모습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소금은 지역문화의 구심적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업생산지역에서 인간 집단생활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쌀은 문화를 파생시키는 핵심적 요소가 되었다. 쌀을 매개로 한 민속신앙이나 민속놀이 등은 집단의 공동운명이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의 간접적 표현이었다. 영광의 소금생산지역에서 소금은 농업생산지역의 쌀보다도 중요한 문화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었다. 영광은 소금생산지역이라는 희소의 가치로 인해서 다른 지역에서 누릴 수 없는 나름의 공간적 가치를 점유하고 있었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영광의 전통소금 생산방식과 문화적 의미 연구

        한정훈 ( Jeong Hoon Ha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6

        소금은 인간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식품이다. 소금의 채취사는 인간의 문명사와 함께 해왔다. 과거 소금은 화폐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였으며, 나아가 부와 권력의 상징이기도 하였다. 기록을 살펴보면, 과거부터 전남의 여러 지역에서 소금을 생산하였다. 그 중에서도 영광지역의 소금생산량은 다른 지역과 비교해서 단연 돋보였다. 영광지역은 천혜의 자연조건과 어업환경이 다량의 소금을 생산ㆍ소비할 수 있는 기반을 형성하게끔 하였다. 고려ㆍ조선시대에 소금은 국가재정의 근간이 되었다. 더불어 가뭄이나 흉년기에 구황물로 활용되었다. 국가체제를 유지함에 있어 소금은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물품이었다. 이러한 소금을 다량으로 생산해낸 영광지역은 다른 지역과 변별된 위상을 보존하고 있었다. 하지만 문헌을 통해서 소금의 구체적 생산방식을 알 수가 없다. 이에 본 논문은 영광지역에 천일염이 도입되기 이전의 소금생산방식을 지역 주민들의 구술을 통해서 재구해 보고, 소금과 관련된 영광지역의 문화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영광지역은 1950년대 중반까지 육렴, 화렴으로 불리는 소금이 전통적인 방식으로 생산되었다. 생산방식면에서 부안지역 등과 유사함을 보이기는 하지만 생산도구의 명칭이나 인력ㆍ축력의 동원 방식, 연료수급 경로, 소금 판매 경로 등에 있어서 영광 나름의 모습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소금은 지역문화의 구심적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업생산지역에서 인간 집단생활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쌀은 문화를 파생시키는 핵심적 요소가 되었다. 쌀을 매개로 한 민속신앙이나 민속놀이 등은 집단의 공동운명이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의 간접적 표현이었다. 영광의 소금생산지역에서 소금은 농업생산지역의 쌀보다도 중요한 문화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었다. 영광은 소금생산지역이라는 희소의 가치로 인해서 다른 지역에서 누릴 수 없는 나름의 공간적 가치를 점유하고 있었다. Salt is essential for human-beings. Salt flavor is one of the basic tastes, an important preservative and a popular food seasoning. The history of extracting salt has been included among the history of the civilizations. In the past salt had carried out the functions of currency and it had been the symbol of the wealth. According to the records, there has been many regions in Jeonnam province to produce salt. Among other regions there is Yeonggwang where has output remarkably a lot much salt. Yeonggwang is considered to be established the fortress blessed with natural condition and the fishing environment. Salt had been a foundation stone through Goryeo to Joseon dynasty. In addition it had been used as a famine relief in a drought. And salt is indispensable goods to maintain the system of the government as well. Yeonggwang has yielded a quantity of salt and so has different values from the other regions. However we cannot find out the concrete production-method of salt even from the documents. Hence this article is going to considerate the production-method of salt previous to the period of introduction of natural salt and the cultural meanings of Yeonggwang-region involving salt. Salt such as Ryugryum or Hwaryum had produced in Yeonggwang in a traditional way until the middle of the 1950`s. Yeonggwang had a similar production method to Buan but had its own way of designating working tools or mobilizing human/livestock power or supplying/demanding fuel or selling salt. Plus, we could make sure it has been quite important part of local culture. The rice, which is root of group life in agricultural production-region, would be an essential element to let the culture derive. The folk religion or game caused by the rice was an indirect expression of the effort to surviving of the cooperative fate-group. The salt in the salt-production-region of Yeonggwang had more important cultural value than the rice in agricultural production-region. Yeonggwang possessed self-local value, which other region can have, by the scarcity value titled salt-production-region.

      • KCI등재

        조선 전기 靈光의 島嶼 파악과 그 특징

        김기둥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4 南道文化硏究 Vol.- No.51

        조선시대 지리지에 수록된 도서의 증가는 섬에 대한 관심과 비례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글은 앞선 왕조의 기록에서 가장 많은 섬들을 직·간접적으로 관할했던 영광 지역을통해 통설을 재검토했다. 지리지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유독 영광 지역에서만 조선 전기에 파악된 섬들이 조선 후기의 지리지에서 계승되는 경우가 낮은 현상이식별되었다. 고려사 지리지의 섬들 중 행정구역 재편에 따라 다른 군현으로 이속된옛 속현 섬들은 후대의 기록에서 영광 대신 해당 군현의 지리지에서 확인된다. 반면에기록상 확인되나 실제로 위치를 비정하기 어려운 섬들은 동국여지승람 에서 영광 소속으로 잔존했다. 이 섬들은 조선 후기의 지리지에서 빠졌다. 이 글은 동국여지승람 의불명확한 정보를 섬들에 대한 관심 부족의 결과가 아니라 역으로 적극적인 파악 노력에서 발생한 오류로 보았다. 영광은 일시적 ‘空島 조치’로 섬에 대한 실시간 파악에 제약을겪는 와중에 옛 관할 섬들의 소속 조정이 이뤄지자 과거의 지배 관계를 유지하고자 노력했다. 수많은 섬들 가운데 臨淄縣의 읍치가 있었던 臨淄島 및 결국 나주로 이속되는比尒島와 道沙島만을 세종실록 지리지의 海島 항목에 수록했던 것은 그 노력의 소산이다. 이러한 현상이 유독 영광에서 두드러졌던 이유는 애초 관할하는 섬들이 독보적으로 많았기 때문이다. 요컨대 영광에서 확인되는 지리지 내 도서 정보의 불명확성은 섬지역에 대한 유구한 지배에서 비롯했다.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island entries in the Geograph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is considered to be proportionate to the government's interest in islands. This paper reexamines this conventional view by examining the Yeonggwang region, which, according to records from the Goryeo dynasty, had the greatest number of islands under its jurisdiction. By investigating the geographies, a notable phenomenon emerges, particularly in the Yeonggwang region: islands identified early in the dynasty did not consistently appear in later publications. Among the islands recorded in the geographical records of Goryeosa, the islands whose jurisdiction had shifted to other counties and prefectures were cataloged under different entries in subsequent geographies, distinct from Yeonggwang. Conversely, islands mentioned in records but untraceable in the later geographies remained listed under Yeonggwang in Donggukyeojiseungram. These islands were omitted from the geographies published later in the dynasty. Rather than attributing this ‘inaccuracy’ to a lack of interest, this paper views it as an unintended consequence of active efforts to identify these islands. The administration of Yeonggwang tried to maintain its control over islands whose jurisdictions were adjusted amidst 40 남도문화연구 제51집(2024.4) the temporary Island Evacuation Policy, which caused limitations in identifying them. As a result, three islands were included in the Geography of Veritable Records of Sejong: Imchido, where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Imchi County was located, Biido and Dosado, whose jurisdiction moved to Naju. This phenomenon is clearer in Yeonggwang due to its unmatched number of islands under its jurisdiction. In summary, the uncertainty surrounding the information on islands in the Yeonggwang region, as identified in the geographies, stemmed from the administration’s control over insular regions.

      • KCI등재

        수은 강항의 생애와 저술활동

        김경옥(Kim Gyungok)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0 島嶼文化 Vol.0 No.35

        이 글은 인물 관련 문화자원을 발굴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수은 강항(1567~1618)은 전라도 영광 출신이다. 수은은 임진왜란 때 과거에 응시하여 관직에 진출하였고, 정유재란 때 조선의 관리 신분으로, 왜적의 포로가 되어 환란의 세월을 보냈다. 수은은 일본에서의 억류생활에서 풀려난 후, 고향 영광에서 은둔생활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은은 다양한 저술활동을 하였다. 첫째, 『巾車錄』은 16세기 말~17세기 초 일본에 대한 정보와 수은의 포로 체험기라는 점에서 일찍이 관심의 대상이었다. 특히 지방사연구와 관련하여 주목되는 것은 조선 宣祖代 변방의 방어체계, 해안지역 水軍鎭堡의 설치, 戰船 건조, 水軍 훈련, 戰功者에 대한 예우, 邊將에게 지급되는 食邑, 도서지역의 魚鹽과 土地 등이다. 둘째, 『雲堤錄』과 『睡隱集』은 수은의 생애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냈던 영광 금계리 유봉마을과 운제마을에서 작성되었다. 이 문집에서 검출된 지명, 인맥, 사건, 일화 등은 영광지방의 문화콘텐츠로 개발 가능하다. 셋째, 『靈光壬辰守城錄』은 수은의 생애사와 영광지방사 연구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전쟁 관련 자료이다. 실재 전쟁이라는 위급한 상황, 또 지방관의 부재라는 특수한 상황아래 16세기 말엽 영광 유림들은 邑城을 사수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지방조직을 결성하였다. 당시 참여했던 인물들, 그들의 활약상, 행정조직, 방어체계 등을 통해 임진왜란기 영광지방 향토방위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임란 의 병사를 재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This has been written to try to find how to search for and use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a person. Su-Eun, Gang Hang(姜沆) was from Yeonggwang(靈光) in Jeollado. He entered government service through the state examination during the limjin war, and experienced his hard time because of being captured by the Japanese military as a government official in Chosun Period during the jungyu war. Mter getting out of prison, he had been secluded living in his hometown, Yeonggwang when he died. In the meantime, he had written many books. First, 『Gun-Gu-Rok』 has became an object of attention because it has the information of Japan in the end of the 16th-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and Su-Euu's experiences of being captured. Especially, it is noted for the defensive system of Sunjo(宣祖) in Chosun Period. In other words, it includes establishment of the naval forces camp for the security, building ships, training the naval forces, honoring distinguished military service, the pay of the frontier-commanders, the land and salt and fish of the islands region and the like. Second, 『Un-Je-Rok』 and 『Su-Eun-Jib』 were written in Youbong(西峯) and Unje(雲堤) village in Keumkyeli(金鷄里) in Yeonggwang where Su-Eun spent most of his life. If the whole regional history of Yeonggwang is linked to place names, personal connections, cases, anecdotes, and the like be founded in them,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s will be possible. Third, 『Limjin-Susung-Rok』 is the matetial related to the war and should not be missed in the study of Su-Eun's lifetime history and the regional history of Yeonggwang. Confucian scholars in Yeonggwang region organized a regional group among themselves to defend their region in the emergency of a teal war and special situation of local officials' absence. It is evaluated that concrete examples of defending the rural area in Yeonggwang region in the limjin war can be suggested and the history of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at that time can be reconstructed by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in those days, their activities, it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ts defensive system, and the like.

      • KCI등재

        기초자치단체의 청년정책 개발연구: 전라남도 영광군을 중심으로

        이규봉,노상욱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3 기업경영리뷰 Vol.14 No.3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 the basis for a medium-term youth policy in Yeonggwang County, Jeollanam-do, reflecting the demands of youth policy and addressing the specific needs of the local youth. The goal is to prevent youth outmigration and attract young people to the region by implementing comprehensive and tailored support policies for the youth.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02 were collec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basic plan for the youth policy in Yeonggwang County was formulated. The vision for the youth policy in Yeonggwang County is to create an attractive living environment for young people in Yeonggwang. The objectives include promoting youth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youth capacity building and creating stable job opportunities, fostering a thriving youth cultural ecosystem, and enhancing welfare support for young people to improve the overall living environment. The core values of the policy are youth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job creation, youth culture, and the realization of youth welfare. The research findings and implications suggest several key points for implementing the youth policy in Yeonggwang County: First and foremost, to realize the youth policy in Yeonggwang County, it is crucial to have the strong will of the county government and secure sufficient budget resources for policy implementation. Strengthen cooperation among different departments to enhance the execution of the youth policy plan. Manage the roadmap and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youth policy plan.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영광군의 청년정책수요와 지역특색을 반영한 중장기 청년정책의 근거를 마련하고, 청년인구의 이탈방지 및 청년유입을 위한 지역청년 맞춤형 종합지원정책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설문지는 총 350부를 배포하였고, 302부를 회수하였다. 연구결과, 전라남도 영광군 청년정책기본계획 수립을 제안하였다. 영광군 청년정책기본계획의 비전은 청년이 살기에 매력적인 영광을 만드는 것이고, 목표는 청년참여와 소통 거버넌스 구축, 청년능력개발과 정주형 일자리창출, 영광스러운 청년문화 생태계 조성, 청년복지증진으로 정주환경 조성이다. 핵심가치는 첫째, 참여와 소통, 둘째, 일자리 창출, 셋째, 청년문화, 넷째, 청년복지 실현이다. 연구결과 및 시사점은 영광군 청년정책기본계획의 실현하기 위해서 첫째, 영광군의 청년정책 실현의지와 예산확보가 최우선해야 한다. 둘째, 청년정책관련 부서별 협력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셋째, 청년정책기본계획의 구체적 추진과제를 수립하고, 추진과제별 성과지표 등을 관리하여야 한다.

      • KCI등재

        한족(漢族)화가 孟永光에 대한 조선 후기 지식인의 기억들 -명청교체기 명나라 포로와 조선 지식인의 만남-

        김일환 ( Il Hwan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0 No.-

        이 논문은 한 외국인 화가의 삶이 조선 후기 지식인들에게 다양한 기억으로 남는 과정을 살폈다. 명청교체기 關外에서 활동하던 명나라[漢族] 화가 孟永光은 조선의 마지막 對明使行이된 金堉을 만나 초상화를 그려준다. 그후 명나라 장수가 청에 항복하면서 孟永光은 포로가 되어 瀋陽으로 끌려간다. 그는 그곳에서 인질로 끌려온 조선의 왕자들과 만나게 되고, 왕자를 보필하기 위해 파견된 관리들, 그리고 청나라에 적대적 행위를 했다는 이유로 끌려온 고위 관료출신의 지식인들과 교유하게 된다. 청나라가 명나라의 수도를 정복한 이후 조선의 왕자들은 귀국하게 된다. 孟永光은 이들을 따라 한양에 들어와 3년 6개월 동안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펼치다 청나라로 돌아가고, 이후 順治帝의 사랑을 받는 宮廷畵家가 된다. 孟永光은 한양 궁중에서 활동할 때 임금을 ‘나라를 망친 임금의 행위’로 이끄는 인물로 매도당했다. 청나라에게 당한 치욕을 씻어낼 일을 도모해야할 때에 임금과 지식인들이 그림이나즐기고 있다는 비판이었다. 하지만 그가 귀국하고 한 세대가 흐른 뒤에 그에 대한 평가가 완전히 바뀌었다. 그는 단순히 그림만 잘 그리는 화가가 아니라 멸망한 명나라를 잊지 못하는 藝人이면서, 같은 처지에 놓인 조선의 아픔에 공감한 지식인으로 평가받았다. 그가 金尙憲에게 그려준 <淵明採菊圖>는 宋時烈의 해석을 거치면서 ‘정의로움[義氣]’의 상징이 되었다. 국화의 꽃술을 붉게 그림으로써 김상헌의 충성심을 형상화시켰다는 것이다. 한편 봉림대군(뒷날의 효종)이 孟永光의 고향인 會稽를 그려달라고 한 것은 평범한 산수도를 의뢰한 것이 아니라 臥薪嘗膽의 의지를 보인 행위로 해석되기도 했다. 명나라 출신으로 ‘오랑캐’에 항복한 후, 청나라의 국가 운영에 적극적으로 활약한 인물들에 대해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비판은 매서웠다. 이들의 삶과 크게 다를 바가 없는 孟永光에 대한 후한 평가는 17세기 이후 復讐雪恥의 정신을 강조하던 조선 사회에서 배태된 독특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rocess that a foreign artist’s life took in part of history in the late Joseon Period. Maeng Yeonggwang was an artist duringthe Ming Period who lived near the border in the middle of the battle betwee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He met Kim Yuk, an envoy of the Joseon Dynasty, and drew his portrait. As the commander of the Ming Dynasty, Maeng Yeonggwang depended on surrendering to the Qing Dynasty and was taken to Shenyang as a prisoner. He met the princes from Joseon who came there as hostages. And he associated with the officers sent to take care of the princes and the intellectuals in a high-ranking post who were taken due to what they did against the Qing Dynasty.After the Qing Dynasty conquered the capital city of the Ming Dynasty, the princes of Joseon returned home. Maeng Yeonggwang went to Hanyang with them, actively producing artwork for three and a half years, and returned to the Qing Dynasty. After that, he became a court painter favored by the Shunzhi Emperor. Maeng Yeonggwang was denounced as a person leading the “behaviors of a king who ruined a country” while he was in the royal court in Hanyang. It was a critique that a king and intellectuals enjoyed painting at a time when they had to wipe away the disgrace from the Qing Dynasty. However, one generation after his return to the Qing Dynasty, opinions about him had completely changed. He was not only a great painter, but also the artist who didn’t forget the collapsed Ming Dynasty; an intellectual sympathized with the pain of Joseon in his same situation. His painting “Tao Yuanming Picking Chrysanthemum,” presented to Kim Sangheon, became the symbol of “righteousnes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by Song Siyeol. Song Siyeol explained that the red stamen of chrysanthemum symbolized the loyalty of Kim Sangheon. Prince Bongrim (later, King Hyojong) asked him to draw Kuaiji, the hometown of Maeng Yeonggwang. It was not a simple request as a landscape drawing, but described Prince Bongrim’s will of perseverance. The criticisms by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Period of those who were actively engaged in the management of the Qing Dynasty, even though they worked for the Ming Dynasty before, were very acidic. Good critiques of Maeng Yeonggwang, who wasn’t different from them, showed one side of Joseon society emphasizing the spirit of revenging and wiping off a disgrace since the 17th century.

      • KCI등재

        영광 불갑사 약전차(藥錢茶) 제다법 고찰

        이주현(Ju-hyeun Lee),김서현(Si-hyeun Kim) 국제차문화학회 2019 차문화ㆍ산업학 Vol.46 No.-

        In this paper, the author visited the tea habitat of Yeonggwang that had not been known as major tea-growing district in our tea world until now and studied the Yakjeoncha tea(藥錢茶) manufacture that had been passed down in Bulgapsa(佛甲寺). At the same time, this paper analyzed our Tteokcha tea manufacture based on historical literature and related data and proceeded 「Yakjeoncha」tea manufacture jointly with Bulgapsa Tea Ceremony Research Society and Mokpo Univ. International Culture and Industry Research Institute. Yeonggwang is an important foothold that connects our southwest coasts and flourished as it was rich in various local products. Historically, it was included in producer of tea tribute and even now, wild teas lie scattered and green tea and Jeoncha are being produced. Our tea world(茶界) needs to expand the scope and variety of tea by utilizing various tea manufacture methods. It’s because it is most important to develop various products for expanding consumption by having consumers see teas in a positive way. 「Yakjeoncha」of Bulgapsa Temple has not only deep-rooted history but also tea manufacture method tha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Tteokcha. Thus restoring this has a sufficient cultural meaning in discovering the archetype of our traditional tea and securing diversity. In this respect, it is realize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specialized industry of the local area that can match the future society and the cultural industry at the national level based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Yeonggwang. 본고는 지금까지 우리 차계(茶界)에서 주요 차산지로 주목받지 못한 영광지역 차군락지와 불갑사(佛甲寺)에서 전승되는 ‘약전차(藥錢茶)’의 제다법을 고찰하였다. 더불어 역사적 문헌과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떡차 제다법을 살펴보았다. ‘약전차’ 제다는 전통방식으로 불갑사 불교대학 다도연구회원과 목포대학교 국제문화·산업연구소가 공동으로 진행하였다. 영광지역은 우리나라 서남해안을 연결하는 중요한 거점으로 각종 물산이 풍부하여 매우 번성했던 곳이다. 역사적으로 차 토공(土貢)산지에 포함되었으며 현재에도 여러 지역에는 야생차가 산재하고 녹차와 전차를 생산한다. 불갑사 ‘약전차’는 뿌리 깊은 역사성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 떡차와 구별되는 제다법으로 이를 복원하는 일은 전통차의 원형을 발굴하고 제다법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의미가 충분하다. 이는 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인식으로 소비 확대를 위한 다양한 상품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은 영광지역 차의 역사와 차산지를 재조명할 수 있었으며, 사찰에서 오랫동안 자가용으로 음용한 불갑사의 약전차에 대해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영광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바탕으로, 미래사회에 부응할 수 있는 지방특화산업과 국가 차원의 차문화산업으로 발전이 수반되어야 하는 필요성에 이바지 하기를 바란다. 더 나아가 체계적인 과학적 연구를 통한 약전차 제다 조건(온도, 시간, 형태, 크기, 품평 등)의 연구 필요성을 제기해 본다.

      • KCI등재

        靈光 芝山祠 소장 고문헌의 현황과 특성

        조미은 한국서지학회 2021 서지학연구 Vol.88 No.-

        This article is a cas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documents of Yeonggwang Jisan Shrine, and examined the investigation and collection of the collection data,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 of each type of data, 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collection data. There are a total of 199 materials in the collection of Jisan Shrine, 117 ancient documents, 75 ancient books, and 7 artifacts. Data research and collection were conducted in 2018 and 2019, followed by data organization such as list preparation and photography, and was published as a reference book and released to academia and the public.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ancient literature of Jisan Shrine can be summarized into five categories: the history of Dongrae Jeong Clan, the distributed protection and conflict of Dongrae Jeong Clan, the financial management of the Dongrae Jeong Clan, and the study of Jeong Hong-yeon, a member of Yeonggwang.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it is meaningful as a historical source that proves the history of the Dongrae Jeong Clan, who settled in Baeksu Gaji Village in Yeonggwang and formed a faction. Furthermore, it can be said to be more important because you can get a glimpse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region contained in it. 이 글은 영광 지산사 소장 고문헌의 현황과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로 소장 자료의 조사 및 수집 경위, 자료의 유형별 현황과 내용, 소장 자료의 특성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산사 소장 자료는 총 199점으로 고문서 117점, 고서 75점, 유물 7점이다. 2018년과 2019년에 자료 조사와 수집이 이루어졌고 곧이어 목록 작성, 사진 촬영 등 자료 정리가 완료되었으며 영인본 자료집으로 출간되어 학계 및 일반에 공개되었다. 지산사 소장 고문헌의 특성과 의미는 동래정씨 문중의 역사, 동래정씨 문중의 분산 수호와 갈등, 지산사 운영 실태, 동래정씨 문중의 재정 운영, 영광 입향조 정홍연에 대한 인물 연구 등 다섯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영광 백수 가지마을에 정착하여 일파를 형성한 동래정씨 문중의 역사를 증명해 주는 사료로써 유의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그 속에 담겨 있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함께 엿볼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영광 하사리 해안 퇴적층 내의 연안 범람 증거

        신원정 ( Shin Won Jeong ),양동윤 ( Yang Dong Yoon ),김종연 ( Kim Jong Yeon ),최정헌 ( Choi Jeong-heon ) 한국지형학회 2017 한국지형학회지 Vol.24 No.3

        Sand deposit with shell units is exposed in Hasa-ri, Yeonggwang-gun, Jeonnam province.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sand sediment topography in the Yeonggwang coastal area to collect evidence of the paleo-environmental change. We performed analysis on particle characteristics, chemical composition, and the age of deposition of sediments. The deposit comprise moderately well sorted medium and fine sand (1.00~2.19φ). Various sedimentary structures can be observe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change by depth and the degree of variation with depth is small. The results obtained from OSL dating show that sand layers below shell units are deposited 0.32-0.43 ka. As the elevation of the shell unit far mean high water levels or highest high water level, the extensive shell layers could only have been deposited during storm surge conditions. Aeolian processes are discounted due to the size of clasts and the location at which they occur. Results of age dating of the surrounding deposits indicate shell deposits formed after around 300 years age. There is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sedimentary layers including dark brown-black layer. The sedimentary characters such as particle size and geochemistry show difference with depth. It is presumed that depositional environmental in Hasa-ri has changed several times b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inding an evidence about occurrence of storm sur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