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華嚴十地說의 修行觀 고찰

        박정윤(Park, Jung-Yoon)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2011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논문집 Vol.14 No.-

        Huáyán’s Ten Stages(華嚴十地) are a series of process and methods for sattva to reach the stage of Budda. It is known that Huáyán’s Ten Stages originally were scriptures in book form called Ten Stages Sutra(『十地經』) and were edited as a part of Hu áy án-Sutra(『華嚴經』) later. However, Ten Stages of Ten Stages Sutra were not established autonomously. They had been completed as Ten Stages of Ten Stages Sutra through Ten Stages of D àsh ì- B ěnsh ēngsh íd ì (『大事』 「本生十地」), D àp ǐnb ānru ò-Sutra(『大品般若經』), and P ús àb ěny è-Sutra(『菩薩本業經』), and the completion was included in Hu áy án-Sutra later. In Hu áy án-Sutra, there are thirty steps of asceticism that include Ten zhù (十住), Ten xín(十行) and Ten huíxiàng(十廻向) as well as Ten dì. In the book, it is written as if you should go through the stages one-by-one in the order of Ten zhù, Ten xíng, Ten huí xiàng and Ten dì to reach the stage of Budda. On this point, there are three different views in the existing academic world. In the first view, púsàdào of Hu áy án-Sutra is completed in Ten dì as a high-dimensional step of asceticism after relatively low-dimensional steps like Ten zhù, Ten xíng, and Ten huíxiàng. In the second view, although Huáyán’s Ten Stages are very high-dimensional steps of asceticism,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you should go through steps one-by-one in the order of Ten zhù, Ten xíng, Ten huí xiàng and Ten dì to attain Buddhahood. Rather, Huáyán’s Ten Stages are the steps of asceticism for the people who already attained Buddhahood. In the third view, Ten dì is the last step of asceticism to reach the stage of Budda for a bodhisattva who hasn’t become a Budda yet, but understands or realizes the true meaning of Four Noble Truths(四諦) and Twelve Nidānas(十二因緣). About the three different views in the academic world, the writer of this article has shedded new light on the meaning of Ten dì through reviewing on what relationship Ten dì has with the other stages of Hu áy án-Sutra(Ten zhù, Ten xíng, Ten huí xiàng) and what it means in Hu áy án-Sutra.

      • KCI등재

        佛典 常用詞의 詞義 분석

        안재철(An, Jae-cheol)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7 No.-

        어떤 漢字도 처음 만들어질 때부터 지금까지 변화되지 않고 사용되는 글자는 없다. 즉 字形은 물론이고, 字音과 字義조차도 많은 변화를 겪으면서 오늘날에 이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문을 해석하는 사람들은, 오늘날 사용되는 뜻만이 수록된 옥편을 참고하여 해석하기 때문에 많은 곳에서 오역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見(/jiàn/, /xiàn/)과 象(/xiàng/) 像(/xiàng/) 相(/xiāng/, /xiàng/) 등이 佛典에서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살펴, 바르게 번역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흔히 ‘見’을 단순히 ‘보다’라고만 해석하려고 하는데, 많은 경우 결코 그렇게 해석할 수 없다. 즉 ‘見’은 본래 ‘보다’라는 뜻이었던 것 이 引伸되어 ‘解得하다’나 ‘드러나다’라는 動詞로 사용되거나, ‘見解’라는 뜻의 名詞로 사용되기도 하고, 나아가서 動詞의 앞에 쓰여 被動을 표시하기도 하며 , 受事者를 指示하여 人稱代詞가 될 수도 있으며, 때로는 結果補語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見’과 ‘相’은 그 本義가 모두 보는 것과 관련되는데, ‘見’이 사람의 발 위에 그 사람의 눈을 그려 主觀을 나타내는 반면, ‘相’은 나무라는 대상을 사람이 눈으로 보고 있는 모습을 그려 客觀을 나타내었다고 할 수 있다. 흔히 객관의 대상이 되는 것이 사람의 認識 밖에 존재하는 事物 자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사실은 外境에 존재하는 사물 자체가 인식의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고, 그것이 마음속에 받아들여져 마음속에 맺혀진 ‘相’이 인식대상이 되는 것이다. 本考에서는 外境에 존재하는 것과 인식대상이 되는 것을 각각 ‘象’, ‘像’, ‘相’으로 분리하여 그것 이 지시하는 것을 정리하였다. Every Chinese character has undergone many changes since its creation, in form, sound and meaning. In spite of this, people who translate Classical Chinese Buddhist texts today often commit errors by referring to dictionaries which contain only the contemporary meanings. My thesis aims at examining such Chinese characters that appear in Buddhist scriptures as 見,(/jiàn/, /xiàn/), 象(/xiàng/), 像(/xiàng/), 相(/xiāng/, /xiàng/), etc., and how to properly translate these words. For example, people often translate 見 into 'to see' only, but in many cases, it cannot be interpreted as above. There are many other meanings: 'to understand', 'to disclose,' 'point of view,' as an indicator of passive voice when situated before the verb, etc. Both 見, and 相 have the same meaning of 'to see'; the former implies a subjective meaning, depicting a person's eyes on top of their feet, whereas the latter symbolizes an objective meaning, depicting someone who looks at the shape of a tree. It is easy for people to think of the subject as a thing. In fact, it is not external objects 外境 that are the object of cognition, but rather its 相 that has been accepted and focused in the inner mind. Therefore, I consolidate my treatise like this: 象 is an external object, 像 is the copy of 象, and 相 is an image carried in the mind.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 서체의 微加減法에 관한 고찰

        정복동(Jeong, Bokdong) 한국서예학회 2015 서예학연구 Vol.27 No.-

        본고는 조선시대 한글서체가 생성․변천한 원인을 규명하는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하는 연구이다. 한글서체가 생성․발전․변화해온 근저에는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인 ‘倣’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정인지는 ‘훈민정음해례’ 후서에서 “세종대왕께서 창제한 ‘훈민정음’ 28 자는 ‘象形而字倣古篆’이라”고 밝혔다. 이는 문자의 기능과 예술적 감각 그리고 백성 의 편의성을 고려한 과학적이며 독창적인 자형이 상형성과 고전모방설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층적으로는 철학적인 태극, 음양오행, 사계절이 循環無斷하는 원리 가 제자원리에 적용되었음을 밝힌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문자의 제자가 象形性, 古篆模倣性, 자연과 철학적 이치 등이 복합적으로 제시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서체의 조형적 근거를 ‘因文成象圖’에 제시된 ‘한자 의 전서를 만드는 방법 중에서 加와 微加減法이 훈민정음 제자와 관련된다’는 새로운 학설이 발표되었다. 서체의 임모와 창작에서 자형이 만들어진 원리와 변화된 이치는 한글 서예 미학의 중요한 준칙이 된다. 이에 자음의 기본자에 가획을 하여 만든 ‘ㄹ ㅂ ㅍ ㅊ ㅎ’의 자형이 세로획 미가법을 적용한 것을 근거 자료로 선별하여, 조선시대 한글 서체인 판본류와 필사류의 자형에 ‘미가감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반영되었는지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였다. 연구방법은 조선시대 한글 문헌인 판본류 28종과 필사류 38종을 시기별로 선별하여 훈민정음 자형과 비교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미가법이 적용된 것은 ‘미’, 미가 법에 가까운 것은 근취의 ‘근’, 미가법에서 먼 것은 원취의 ‘원’으로 규정하여, 초성 의 좌측과 상측, 종성을 각각 분석하였다. 아울러 자형이 변화된 것은 ‘변’으로 규정하여 한글 변천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이에 시기별로 구분하고 이를 백분율로 통계한 결과 한글 자형의 변천을 통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15세기 중엽 훈민정음 창제 이후 한글 자형의 모습은 판본 류와 필사류에 따라 변별성이 있으며, 정자, 흘림, 진흘림으로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판본 문헌은 가독성과 시각적 명확성에 충실하여 필사류의 표준 자형의 기능이 있다. 필사류는 필사의 효율성에 따라 실용성에서 점차 예술적 미감이 더해져 하나의 통일된 양식의 궁체가 생성되었다. 따라서 궁체의 생성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것이 아니라 선인들이 15세기부터 판본 문헌의 정형적 자형을 토대로 삼아, 16세기 이후 필사자의 개인별 미적경험에 따라 점선면의 분간포백에 대한 변화 혹은 통일에 의한 결과이다. 흘림 자형은 각각 독립적으로 나타난 변화의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기보다는 음절 구조를 풀어쓰면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한글자 내에서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필 획의 연결성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미적 발전을 도모한 결과이다. 이는 당시 필사자들이 단순히 내용을 기록하기 위한 한글 사용에서 탈피하여 자소․점획의 형태와 크기․위치 등을 다양하게 변형시키면서 새로운 자형과 서체를 개발하기 위해 끊임없 이 노력한 것을 알 수 있다. 만물이 각각 그 마땅한 곳에서 자신만의 색채를 띠는 것과 같이 한글 편지의 자 형은 각각 成於自然을 본받은 듯하다. 특히 궁체 형성의 토대를 훈민정음 창제 당시 의 ‘미가법’에 의한 공간 변화로써 응용한 것은 마치 사계절이 끊임없이 순환하는 [物極必反] 이치와 같은 원리를 담으려는 노력이 배어있다. 본 연구의 활용성은 조선시대 5백여 년간 서예사적으로 변천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것이므로 한글 서체의 조형적 근거와 ‘變’과 ‘化’의 규칙을 파악하여 예술성을 높일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한글 서예 창작의 영감을 얻을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그리고 ‘미가법’의 변화를 파악하여 한글 서예가 취상한 자연의 법칙을 관찰하는 것은 훈민정음 자형이나 한글 서체를 시각․조형적인 면에서 실용화하 는 중요한 방안일 뿐 아니라 한글의 예술화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나아가 한글서예의 우수성과 아름다운 조형을 제시함으로써 교과서의 참고 자료와 미술대학, 서예대학의 임모자료 및 대학원생의 미학 연구의 대상 자료로 활 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undamentally investigated the cause how Hangul chirography in Joseon was created and has been changed. The foundation that Hangul chirography was created, developed and changed is closely related to the creating principle of Hunminjeongeum. Jeong, Inji specified that 28 letters of Hunminjeongeum, King Sejong created, were ‘ 象形而字倣古篆 (It assumed the form, and the letters emulated the old seal script.)’ in the second epistle of ‘Hunminjeongeum Haerye’. It shows that the scientific and creative shape of characters, which considers the function of characters, the artistic sense and the public convenience, is based on the pictogram and the theory of emulation of the old seal script. On the other hand, it was recorded in the creating principle that the constant circulating principle of the Great Ultimate as a philosophical principl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and four seasons was applied in Hunminjeongeum. As above, the creation of letters is based on the pictogram, the theory of emulation of the old seal script, the nature and the philosophical principle. Therefore, a new theory has been released that the creating principle of Hunminjeongeum was related to and based on Ga( 加 , adding) and Miga·gam method(method with slightly adding or subtracting), one of the creating method of the seal script in Chinese characters, which was suggested in ‘Yīnwénchéngxiàngtú( 因文成象圖 , a figure which shows that an image is completed by a pattern)’. The basis that the shape of characters was created and the principle that it has been changed in the process of imitating and creating chirography were very important regulations in Hangul chirography aesthetics. Thus, this study concentrated on ‘ ㄹ ㅂ ㅍ ㅊ ㅎ ’ which have been changed in shape and aimed to understand how the Miga·gam method of vertical stokes concretely applied the handwritings for block-printing and manuscripts, which are Hangul chirography in Joseon. This study compared the shape of characters of ‘ ㄹ ㅂ ㅍ ㅊ ㅎ ’ sorted according to the times from 28 kinds of block-printed book and 38 kinds of manuscripts, Hangul literature in Joseon, with that of characters in Hunminjeongeum. It analyzed each left and upper part of an initial consonant and a final consonant by defining that Miga method was applied as ‘Mi( 微 , slight)’, close to Miga method as ‘Geun( 近 , close)’ and far from Miga method as ‘Won( 遠 , far)’. In addition, it investigated the features that Hangul has been changed by defining that the shape of characters has been changed as ‘Byeon( 變 , change)’. The block-printed literature is substantial in readability and visual clarity, so it could function as a standard shape of characters of handwritings in manuscripts. Handwritings in manuscripts have been developed to Gungche(the court style of Hangul), which had one unified style, by adding an artistic sense of beauty according to the efficiency of handwritings. Therefore, Gungche was not created in a day. The foregoers have achieved it by changing or unifying the structure and the arrangement of dots, lines and face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aesthetic experiences based on the standardized shape of characters in manuscript literature since 15th century. It could be discovered that the shape of characters in cursive style has not been independently changed, but aesthetically developed by efficiently using the connectivity of strokes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letter because the writing speed was too slow when writing the structure of syllables separately. The writers have broken away from using Hangul for simply recording contents, and they have constantly tried to develop a new shape of characters and a new handwriting style by variously changing the shape, size and position of consonants, dots and strok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