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심상담자들의 상담전공 입문 전 자기 치유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김경희,김영미,이진희,이윤주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4 No.2

        This study is aimed a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how inexperienced counselors who recently began their training acquired self-healing experiences, which are essential in the process of growth of counselor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highlighted the wound and healing experiences of the 3 novice counselors before entering the counseling course and examined how such experiences are reflected in the midst of their activities as counselors. Narrative study method of Clandinin & Connelly was applied to describe the meaning of the wound, the process of healing experience, the factors of wound healing, the meaning of wound healing, and effects on the life as a counselor in narrative format, and it was integrated and redescribed For this purpose, 3 novice counselors, researchers and research participants, wrote autobiographies looking back their experiences by referring to their records including diaries, review of group counselling experience, notebooks, and verbatim records of personal counseling. Moreover, they assessed the meaning of experiences through the process of in-depth interviews of each other. As the result of the study, 3 themes such as; ‘wound: frustration of mind to be loved’, ‘healing: confrontation with disregarded self’, ‘becoming a counselor: healing the wound’ as the starting point’ were derived. More specifically,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wound signified the experience of frustration of their desire to be loved by the primary care-giver during their early childhood. The research participants chose to adopt the survival strategy of aligning themselves to the expectations of the primary care-giver by disregarding their emotions in order to overcome such frustration. When these survival strategies could no longer be maintained, healing experiences were experienced in the format of sudden appearance from unexpected places. The research participants finally recognized their wounds through healing experiences, and it was possible for them to enable the continuous self-healing experiences as they began to equip themselves to look after the wounded inner child. In addition, such experiences of healing were the strongest motivation for majoring in counseling and strength for understanding and sympathizing with the wounds of their cli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성장과정에 꼭 필요한 자기 치유 경험이 이제 막 수련을 시작한 초심 상담자들에게 어떻게 경험되었는지 그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세 명의 초심 상담자들이 상담학 입문 전 경험했던 상처와 상처치유 경험을 조명하고 이 경험이 상담자로서의 활동 속에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 Clandinin과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적용하여 상처의 의미, 치유 경험의 과정, 상처 치유의 요인, 상처 치유의 의미, 상담자로서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내러티브로 기술하고, 그것을 통합하여 재기술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이자 연구 참여자인 세 명의 초심 상담자들은 일기, 집단상담 경험 소감문, 수첩, 개인상담 축어록 등의 기록물을 참고하여 자신의 경험을 되돌아보며 자전적 글쓰기를 하였으며, 서로가 서로를 심도 있게 인터뷰하는 과정을 통해 경험의 의미를 파악했다. 그리고 연구결과 ‘상처 : 사랑받고 싶은 마음의 좌절’, ‘치유 : 내가 외면했던 나와의 만남’, ‘상담자가 되다 : 출발선이 된 상처치유’라는 세 개의 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에게 상처란 어린 시절 주 양육자로부터 사랑받고 싶은 마음이 좌절되었던 경험을 의미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 좌절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외면하면서 주 양육자가 기대하는 방식으로 자신을 맞추는 생존전략을 선택했다. 그리고 이 생존전략들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을 때 치유 경험은 예상치 못한 곳에서 갑자기 나타나는 방식으로 경험되어졌다. 상처 치유 경험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비로소 자신의 상처를 인식하게 되었으며, 자기 내면에 있는 상처 받은 어린아이를 보살피려는 의지를 갖게 되면서 지속적인 자기 치유 경험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치유 경험은 상담학에 입문하게 된 가장 강력한 동기이자 내담자의 상처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힘으로 작용했다.

      • KCI등재

        상처의 연대-추상미의 <폴란드로 간 아이들>-

        최정무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2 사이 Vol.33 No.-

        This essay is a translation of the second part of the final chapter of my book titled, Healing Historical Trauma in South Korean Film and Literature (2021) and the title of the chapter is “Bio-nationalism and the Solidarity of the Wounded.” The departure point of the main thesis of the book is the realization that the legal approach of the notion of transitional justice to which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responded since the 1980s and which have provided the ground for the formation of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 has fundamental limitation in healing historical trauma. As an alternative, the book approaches the question of healing trauma from the affective ethical position. This essay attempts to suggest possible methodologies for overcoming Korea’s national division and unification of Korea-in the context in which division has been in place over 70 years and multiculturalism is settling in Korean society as a formidable reality-approaching not from the ground of biologically based ethno-nationalism but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notion of hospitality and healing trauma. This essay consists of two parts. The opening part traces the history of the North Korean war orphans who were sent to socialist countries in Eastern Europe, especially Poland against the backdrop of the traumatic history of Poland during WWII that ended merely five years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is is because during WWII, Polish people from the massive Holocaust―while participating in it― but also as Germany and the Soviet Union divided and occupied Polish territory, the people of Poland were subjected to massacres and massive deportation to Siberia, which led to further diaspora. In the second part, while I analyze Chu Sang-mi’s documentary film, The Children Sent to Poland (2018) which relates North Korean war orphans with the contemporary North Korean refugee orphans residing in South Korea. However, the focus is not on the analysis of the film itself. Instead it illuminates the question of hospitality and the possibility of healing that the solidarity of the wounded that the film emphasizes may imply in the light of some of the theories that modern philosophy has suggested for the healing of historical trauma. The essay considers three theoretical frameworks. First, the theory of community: Roberto Esposito deconstructs the Latin word communitas and alerts us of the official burden that members of the community must carry for each other. This is underpinned by Paul’s notion of koinonia calling for sharing, which would ensure mutual inter-dependence and achieve an equalizing effect within and among the communities. Second is the ethical relationship among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oward the wounded Other. Hannah Arendt distinguishes between moralistic pity and compassion of suffering together with accompanying action. Levinas suggests the active notion of hospitality of emptying out the subject to lower oneself and eventually to substitute the suffering “face.” Finally, Paul Ricoeur and Henry Nouwen pays attention to the power of healing through embracing and forming solidarity of the wounded that may lead to restoring broken communities. By critically reflecting on the history of solidarity between the North Korean war orphans and the Polish caregivers and the history of repatriation of North Korean war orphans for labor and ideological brainwashing in the name of post-war nation building, this essay suggests affective ethics such as solidarity of the wounded be considered along with transitional justice for the healing of historical trauma. 이 글은 Healing Historical Trauma in South Korean Film and Literature (2021)의 마지막 챕터인 “Bio-Nationalism and the Solidarity of the Wounded”의 후반부를 번역한 것이다. 이 책의 기본 명제는 1980년대 이후 전세계적인 호응을 받아 각국에서 제도화하고 있는 “진실과 화해 위원회”의 근거가 되는 전환기 정의라는 법적인 접근이 근본적으로 역사적 치유에는 그 유효성 면에서 절대적 한계를 갖고 있다는 인지에서 출발한다. 그 대안으로 이 책에서는 치유의 문제를 윤리적 정동의 입장에서 접근하는 것이다. 본 논문을 발췌한 챕터는 한국의 분단과 통일의 문제를 ―70년 이상 이어져온 분단 상황과 글로벌시대 한국사회에 움직일 수 없는 현실로 자리잡기 시작한 다문화주의적 상황에서― 바이오 내셔널리즘이라는 혈연에 근거한 종족주의가 아닌 환대와 상처치유라는 접근에서 분단의 상처를 극복하는 방법론적 가능성을 제시해보는 시도의 일환이다. 이 글은 2부로 나뉘어져있다. 도입부에는 한국전쟁중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로 보내져 양육받았던 북한전쟁 고아들, 특히 폴란드로 보내졌던 아이들에 관한 역사를 한국전쟁 발발 불과 5년 전에 종식된 제2차 세계 대전 중 폴란드가 겪었던 역사적 트라우마의 맥락과 함께 추적한다. 폴란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대규모 홀로코스트뿐 아니라-한편 홀로코스트의 가해자이기도 하면서-독일과 구소련의 분할점령으로 폴란드 민간인들을 향한 무참한 인종학살과 시베리아 추방에 이어 대단위 디아스포라를 겪었기 때문이다. 이 글 후반부에서는 북한의 전쟁고아들이 폴란드에서 양육받은 과거와 이 시대 남한에 거주하는 탈북 난민 고아들의 모습을 연계시켜 소개하는 추상미의 다큐멘터리 <폴란드로 보내진 아이들>(2018)을 소개한다. 그러나 포커스는 영화 자체의 분석에 있지 않고 이 다큐멘터리에서 강조되는 환대의 문제와 상처받은 자들 간의 연민과 연대가 함의하는 치유의 가능성을 역사적 상처의 치유를 위해 현대 철학이 제시해온 몇 가지 제안에 비추어 조명한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이론적 틀은 세 가지이다. 첫째. 로베르토 에스포지토는 공동체(communitas)라는 라틴어 어휘를 해체해서 이 어휘가 함의하고 있는 공동체 구성원간의 공공 윤리적 의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이를 뒷받침해서 바울은 공동체간의 나눔을 통한 상호의존성과 그 결과인 균등성이 실천되는 코이노니아 (친교)의 개념을 강조한다. 둘째는 상처받은 타자들을 향한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윤리적 관계의 문제이다. 이에 대해 한나 아렌트는 도덕적 동정과 고통을 함께 나누는 실천적 의미의 연민을 구분할 것을 제의하고, 에마뉘엘 레비나스는 적극적 의미의 환대, 즉 “얼굴”이라 칭하는 상처받은 타자를 향한 자아 비우기와 나아가서 타자의 위치로 자아를 낮춰 동일시되는 실천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폴 리쾨르와 헨리 나우웬은 상처받은 자들이 소외된 타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품는 연대를 통해 무너진 공동체를 회복시키는 능력에 주목한다. 북한 전쟁고아들과 상처받은 폴란드인 양육자간들의 연대의 역사와 전후 조국건설의 이름으로 이데올로기적 세뇌를 위해 귀환 고아들이 노동현장에 투입된 역사를 돌아보며 전환기 정의와 함께 공동체의 역사적 상처 치유와 회복을 위해 상처의 연대와 같은 윤리적 정동이 고려될 것을 기대해본다.

      • ‘상처입은 치유자’로서의 상담자 발달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미정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2015 가족과 상담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상처치유경험이 상담자 발달에 가지는 본질적 의미를 심층적으 로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상담자의 상처치유경험이 상담자 발달경험에 어떻게 드러 나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심도있게 조명하고, 상처입은 치유자로서의 상담자의 역전이 경험 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9명 의 참여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한 진술로부터 5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제는 ‘상처 치유경험으로 타인의 치유에 대한 사명감을 느낌’, ‘상처치유경험으로 내담자에 대한 이해와 공감 능력이 증진됨’, ‘상처치유경험으로 치유에 대한 확신이 생김’, ‘역전이를 인식함’, ‘역전 이 관리능력이 발달해감’이다. 연구결과 상처입은 치유자로서의 상담자 발달경험과 그 의미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처치유경험은 상담의 자원이 되어 내담자에 대한 이해와 공감 능력 을 확장시켰고 내담자의 치유에 대한 사명감과 확신을 주었다. 둘째, 상담자의 상처경험이 역 전이를 일으킬 수 있으며 상담자가 발달해감에 따라 역전이 인식과 역전이를 치료적으로 다 룰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어갔다. 결론적으로 상처입은 치유자로서의 상담자는 자신의 상처 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상담자로서 성장을 경험하였다.

      • SCOPUSSCIEKCI등재

        토끼 태자에 형성시킨 구순열상의 치유과정에서 세포외기질 분포에 관한 연구

        양원식,백승학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1

        태아와 성체의 상처치유과정에서 다른 점으로는 태아 상처가 염증반응과 반흔조직의 생성이 없이 신속히 치유됨을 들수 있다. 태자상처의 비반흔성 치유와 세포외기질의 역할을 연관지어 해석하려는 노력이 진행중에 있으나, 각 실험 동물종간의 차이 및 세포외기질 구성요소의 다양성 등 많은 변수가 아직 미결의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토끼 태자의 상처 치유과정에서 반흔조직의 형성과 관련이 있는 세포외 기질의 주요성분인 교원질 Ⅰ,Ⅲ,Ⅳ,Ⅴ형, fibronectin, laminin의 시기적 출현 및 분포양상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뉴질랜드산 흰 토끼를 임신 3기의 중반인 24일 째에 자궁절개술을 시행하고 태자에 인위적으로 구순열상을 만든 후, 봉합한 군(봉합군)과 봉합하지 않은 군(비봉합군), 정상대조군(sham operation group)으로 나누고 이들을 각각 수술 후 1,2,3,5,7일째에 희생시켜 상처치유에 대한 육안관찰 소견과 H&F염색소견 및 교원질Ⅰ,Ⅲ,Ⅳ,Ⅴ형, fibronectin, laminin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소견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전기간동안 염증반응은 없었다. 2. 비봉합군의 재상피화가 봉합군에 비해 다소 느렸다. 3. 교원질 Ⅰ,Ⅲ,Ⅴ형은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2일군까지는 발견되지 않았고 3일군 이후 존재하였으나 염색정도가 인접정상조직이나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지 않았다. 4. 상피 기저막에서 교원질 Ⅳ형의 염색소견은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3일군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그후 감소하여 인접정상조직이나 정상조직이나 정상대조군과 차이가 없었고, laminin의 염색소견은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5일군이후 발견되었고 염색정도의 증감없이 7일군까지 유지되었고 인접정상조직이나 정상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5. 혈관내피세포 기저막에서 laminin과 교원질 Ⅳ형의 염색소견은 인접정상조직이나 정상대조군에 비해서 증가하지 않았다. 6. Fibronectin은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fibrin clot과 창상 기저부 및 창상연을 따라 3일군까지 염색소견이 증가하였다가 그후 감소하여 인접정상조직이나 정상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Adult wound healing is accompanied with inflammation and eventual scar formation, whereas fetal wounds heal rapidly by mesenchymal prpliferation without significant inflammatory cell participation and with minimal or no scar formation. The cell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se differing forms of wound healing are unknown but the extracellular matrix, through its effects on cell function, may play a key ro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atial and temporal deposition of several component of extracellular matrix, which are known to be involved with scar formation, in the artificially created cleft lip wound healing of fetuses. The author had undergone hysterotomy and created cleft lip-like defects on fetuses of New Zealand White Rabbit in mid-third trimester(24 days). Fetuses were divided into the repaired group, the unrepaired group and the sham-operated control group. At 1,2,3,5,7 days after procedure, fetuses were obtained by Caeserean section. After documenting the viability of fetuses, they were photographed to compare size and facial morphology and sectioned for histological examination by H&E stain and spatial and temporal deposition of collagen typeⅠ,Ⅲ,Ⅳ,Ⅴand fibronectin, laminin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ere lack of inflammation in the repaired and the unrepaired group during experimental periods. 2. The reepithelialization of the unrepaired group was slower than that of the repaired group. 3. Collagen Ⅰ,Ⅲ,Ⅴ were found from post-op. third day. There were no difference of distribution in the control, the repaired and the unrepaired group. Collagen typesⅠ,Ⅲ,Ⅴ were present in all groups with restoration of the normal collagen pattern in the fetus. This implies that lack of scarring in fetal wounds is due to the difference of collagen organization pattern within wound and not simply lack of collagen formation. 4. Collagen Ⅳ was slightly increased at post-op. third day and decreased after post-op. fifth day. Eventually there were no difference in control, the repaired and the unrepaired group. Laminin was found at post-op. fifth day and maintained staining density until post-op. seventh da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ntrol, the repaired and the unrepaired group. According to staining of laminin and collagen typeⅣ in epithelial basement membrane, formation of epithelial basement membrane was not completed until reepithelialization was finished. 5. According to staining of laminin and collagen typeⅣ, there were no increase of neovascularity in the repaired and the unrepaired group. 6. Fibronectin was increased until post-op. third day at fibrin clot, wound base and margin and decreased after post-op. fifth day. Eventuall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ntrol, the repaired and the unrepaired group. So it implies fibronectin plays a role as provisional matrix for fetal wound healing.

      • KCI등재

        제주 「시왕맞이」에 담긴 죽음과 치유 -굿의 의례와 본풀이, 심층심리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김희선(Heesun Kim) 한국무속학회 2024 한국무속학 Vol.- No.48

        이 논문은 현지 조사를 토대로 제주 시왕맞이를 죽음과 치유의 주제로 심층심리학적 분석을 한 것이다. 제주의 시왕맞이가 원만한 죽음을 맞이하지 못한 조상들의 넋을 위로하고 살아있는 자손들의 고통을 보듬는다는 점에 주목하여 심리 치유 관점에서 시왕맞이를 다루었다. 무속은 종교와 의학의 접점에서 핵심적 치유기능을 수행해 왔으나 이러한 전통이 급속도로 사라진 상태이다. 현대 의학의 발달로 이러한 굿의 전통이 일상적인 치병의 구심점에서 멀어졌음에도 치유를 논의하는 이유는 무속적 치유가 병을 통해 드러나는 불행을 다룬다는 점에서 과학이나 의학이 다루지 못하는 부분을 아직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현장에서 본주로써 참여 관찰한 시왕맞이를 가지고 제차를 정리하고 의례구조를 살펴보았으며, 시왕맞이에서 구송되는 세 가지 본풀이-인간 죽음의 연유와 망자가 저승으로 가는 과정을 설명한 차사본풀이, 인과 관계로 설명될 수 없는 죽음의 현실적 모순을 다룬 지장본풀이, 그리고 조상을 맞이하여 능동적으로 죽음에 대처한 사만이 본풀이-를 통해 죽음에 대한 제주인들의 탄력적인 사고와 확장된 조상신 개념을 짚어 보았다. 또한 시왕맞이를 구성하는 여러 주체의 다자간 관계를 심방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심방은 영개울림, 산받아 분부사룀 등으로 망자의 말을 전하고, 굿을 의뢰한 본주의 사연을 연유닦음을 통해 반복하며, 멩두를 가지고 신의 점사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조상의 말을 전하는 영매이자 산자의 대변인이며 신의 뜻을 알리는 전령임을 고찰하고 치유자의 관점에서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의식과 무의식을 넘나들면서 언어와 비언어의 경계를 허물고, 한풀이와 신명풀이를 동시에 함으로써 치유에 접근하는 굿의 독자적인 면모를 조망하고 심층 심리상담과 제주 무속을 상처받은 치유자의 원형, 치유자와 내담자와의 관계, 치유의 공간, 집단 애도, 의미 있는 우연성 (동시성), 굿덕의 개념을 가지고 비교하였다. 이 연구는 비극적 역사와 삶 속에서 면면히 이어온 제주 시왕맞이를 불행과 죽음, 상실과 애도의 측면에서 서양의 트라우마 치유와 연계할 가능성에 대해 타진하고 있다. This ethnographic research examines the ritual for the dead, siwangmaji, and its systemic healing process with an orientation toward depth psychology. The siwangmaji is a Jeju Island shamanic ritual (gut) in South Korea that centers on dead souls. Shamanism has played a vital role in healing, acting as an interface between religion and medicine throughout the centuries in Korea. Although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ine has moved this traditional practice away from the focus on treating illnesses, shamanic healing still presides where science and medicine cannot in terms of treating the state of misfortunes manifested through illness. Based on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the ritual for the dead in Jeju, this study reviews the structure of the ritual and three death-related mythologies (bonpuri) sung in the siwangmaji. The Chasa bonpuri explains the reason for human death and the process of going to the afterlife, Jijang bonpuri deals with the realistic contradictions of death and the bonpuri of Samani, who actively encounters death with the aid of his ancestor. This analysis examines Jeju people’s flexible viewpoint of death and their expanded concept of ancestral gods, which enables them to actively accept death while bringing a closer connection to the ancestor’s spirits. In addition, the multilateral relationships of the various entities in siwangmaji are analyzed with a focus on the shamans. Jeju shamans (simbang) represent the archetype of a wounded healer who empathizes with the suffering of the dead and living, by playing three roles during the gut: delivering the messages of the dead, conveying the gods’ will through divination with shaman tools, and representing the living by explaining the reason for the ritual. Lastly, depth psychological psychotherapy and Jeju shamanism are compared with the concept of the healing space through collective mou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er and the healed, meaningful coincidence (synchronicity), gutdeok (blessings after the ritual), wounded healer and collective mourning. It also illustrates the unique aspect of gut, which approaches healing by not only resolving sorrow and resentment (hanpuri) but also expressing joy and excitement (shinmyeongpuri) dedicated to the ancestors by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between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nd crossing the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bridging the Jeju siwangmaji with contemporary bereavement modalities and Western psychotherapy practices related to healing trauma, death, loss, and mourning.

      • KCI등재

        ‘치유를 지향하는 환대’의 선교학을 위한 시론: 이야기식 접근을 중심으로

        박보경 한국선교신학회 2021 선교신학 Vol.61 No.-

        코로나19 팬데믹의 상황으로 인해 온 세상이 아픔으로 가득 차있다. 이 글은 오늘날처럼 상처가 만연한 시대에 적합한 교회의 선교로서 ‘치유를 지향하는 환대’의 사역을 제안한다. 이 글은 이야기적 접근이 선교신학에 어떤 가치가 있는지를 먼저 살핀 후, 본인이 직접 경험한 두 개의 이야기를 제시한다. 이 이야기들은 어떻게 상처입음의 경험이 환대를 통해서 치유적 경험으로 변화되었는지, 그리고 이 ‘치유를 지향하는 환대’의 경험이 또 다른 아픔을 감싸는 환대의 선교적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이 글은 ‘치유를 지향하는 환대’를 오늘날 선교적 소명으로 실천하기 위해서 먼저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고, 이어서 다음의 3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교회는 오늘날의 극심한 깨어짐의 고통을 호소하는 자들에게 환대의 공간을 제공해야 하며, 둘째, 환대의 사역이 치유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신학의 역할을 통한 공동체적 성경해석의 과정이 필요하며, 셋째로, ‘치유를 지향하는 환대’가 새로운 타인과 공동체를 향해 이어지기 위해서는 환대의 선교적 차원을 인식해야 한다. When the brokenness prevails, the church’s mission should include the ministry of hospitality which directs healing. The study presents two narratives that convey the experience of the brokenness. Based on the argument of significance of narratives in missiological studie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experience of brokenness can lead to the healing through the practice of hospitality. The study also concludes that genuine hospitality brings the power to transform wounded others. For this, there are three roles to highlight; 1) the role of church to provide the room to share their broken stories 2) the role of theology to reflect their experience of brokenness, and 3) the role of mission to emulate missional hospitality toward other wounded community.

      • KCI등재

        자기인식과 치유

        최신한(Shin Hann Choi) 철학연구회 2015 哲學硏究 Vol.0 No.108

        Wounds of the heart require healing. Wounds come from awareness of inner harm and distorted relationships with others. Wounds can be healed by reflecting on them and through the awareness of these distorted relationships. The relationship of relationships or the awareness of awareness is the starting point of healing. Harm in heart is an awareness of wounds. To be aware the awareness of wound in the meta level conceives the hypocenter of wounds and exposes the horizon of it’s overcoming. While wounds are phenomena of harm, healing is learning through harm and the self-choice of new life. Self-relation, self-awareness, and the moving of self-choice are conditions of healing and overcoming harm. This paper seeks first to show the hypocenter of wounds in lust and the process of reification, and affirms the power of healing through the self-relation of inwardness and the dialectics of self-awareness in Hegel’s conception. Furthermore it maintains modern variation of self-awareness in Kierkegaard’s concept of self-choice. All of these parts focus on the illumination of the famous sentence “the awareness heals the wound.”

      • KCI등재

        기독인 여성들의 치유적 대화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조지혜 기독교학문연구회 2019 신앙과 학문 Vol.24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qualitatively understand the lived-experiences in dialogues with three married women in the fellowship of christian faith from 2013 to 2018. The study considers the phenomenological meanings of ‘dialogue’, and analyzes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it. In the process of reflecting and restoring the encounter with three women in my personal life, I have understood the uniqu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alogues toward inner healing. By restoring the dialogues in the past through the researcher’s retrospective diary record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each participant, I could find the position and meaning of the dialogues in the context of their life stories. Then, I have studied the meaning of ‘dialogue’ which finds an origin of deep wounds, by applying the concepts of phenomenology.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I provisionally conceptualized a series of dialogues as ‘healing dialogue’. Healing dialogu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was realized in the depth of ‘personal relationality’. The process of ‘healing dialogue’ was built upon the interest toward the face of the other in pain. Interest to the other led to attention and awareness of the inner pain shaping the emotions and atmosphere of her. Respecting the ‘temporality’ of waiting and hesitation, and through deep dialogues, the other could open her wounded existence. The listener tried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by responding to her who confessed the wounds. Through such a dialogue of confession and response, the other could acquire the ‘hermeneutic abilit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her life totally. In essence, based on the personal relationalit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healing dialogue’ was realized by the interrelated characteristics—interiority, deepness, narrativity, sympathy, and ethicality.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신앙의 교제를 함께 나눈 세 기혼여성들과의 대화 체험을 질적으로 이해하고 대화 체험에 담긴 현상학적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자의 개인적인 삶 속에서 이뤄진 세 여성들과의 만남을 연구의 맥락에서 다시 복원하고 성찰하는 과정에서, 내면의 치유를 향한 대화가 갖는 고유한 과정과 성격을 탐구하였다. 연구자의 회상일지를 통해 세 여성들과 나눈 과거의 대화 체험을 복원하고 개별적인 면담을 수행함으로써, 참여자들의 고유한 생애의 맥락 안에서 대화 체험의 위치와 의미를 찾아갈 수 있었다. 이후 현상학의 개념을 활용하여 참여자들과 나눈 대화의 과정과 성격을 분석하면서, 상처의 근원을 찾아가는 대화가 어떠한 특징과 의미를 갖는지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인격적 관계성을 토대로 내면의 심층에 자리한 상처의 근원을 찾아가고 이해하는 총체적인 대화의 과정을 ‘치유적 대화’로 개념화하였다. 치유적 대화는 고통 속에 있는 타인의 얼굴을 향한 관심을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타인을 향한 관심은 내면의 상처에 대한 깊은 관심으로 연결되면서, 막연하게 다가오는 타인의 정서와 분위기가 상처 입은 존재와 연결되어 있음을 자각하게 하였다. 치유적 대화는 타인이 자신의 존재를 열어 보이기까지 그 머뭇거림을 존중하는 기다림 속에서, 자신의 상처 입은 존재를 온전히 열어 보이는 고백과 수용의 대화를 통해 무르익었다. 상처를 고백하는 이에게 존재를 기울여 경청하고 응답하는 대화의 과정에서, 타인은 자신의 깨어진 존재와 삶의 의미를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되었다. 이처럼 치유적 대화는 주체와 타자의 인격적 관계성을 토대로, 내면성, 심층성, 내러티브성, 공감성, 윤리성의 다섯 가지 속성이 상호 관련을 맺으면서 치유적 대화의 성격을 구현하고 있었다.

      • KCI등재

        탈북자의 상처와 치유

        김재영(Kim, Chae-you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6 No.-

        본 논문은 탈북자들이 겪는 상처들을 살펴보고 그들을 치유할 수 있는 방안들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쓰여졌다. 먼저 탈북을 양산하는 북한의 실정을 검토하고 북한 주민이 탈북을 감행할수밖에 없는 이유들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북한의 탈주민이 탈북을 하는 과정과 탈북 후에정착하는 과정에서 겪는 아픔과 상처들을 검토했다. 탈북민은 탈출에서 정착까지, 그리고 정착 후에도 환경의 변화와 내외의 시련 속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비롯하여 많은 상처들을 입는다. 이들을 치유하는 것은 통일 후에 겪게 될 남북한 주민들이 겪는 혼란을 미리 경험해 본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고에서는 탈북민의 상처를 치유하는 과정에 남과 북의 기독교와 불교가 나름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 통일은 비단 정치 경제의 영역에서만 다룰 일이 아니다. 정치의 대상이자 주체이고 경제의 대상이자 주체인 사람에 대한 정책과 배려가 있어야 한다. 통일의 과정에서 상처를 입는 남북 구성원에 대한 치유와 돌봄이야말로 통일의 정책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wounds suffered by North Korean refugees and to prepare measures to heal them. First, we examined the reality of mass produc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examined why North Koreans are forced to defect. Next, I examined the pain and hurts that North Korean residents suffered during the process of defecting and the process of settlement after defecting. The refugees wear many wounds, from the escape to the settling and after, including identity confusion due to the change of environment and the trials inside and outside. It is meaningful to have experience of healing prior to confusion which will happen to the North and South Koreans after unification. This article suggests that Christianity and Buddhism in South and North Korea can play their own roles in the process of healing the wounds of the refugees. Unification is not something to be covered only as a political and economic issue. There must be a policy and consideration for the people affected by politics and the economy. Healing and caring for members of the South and the North who are wounded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are most important elements in unification policy.

      • KCI등재

        치유적 관점에서 본 <한중록>

        이금희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1 No.-

        본고에서는 혜경궁이 10년간에 걸쳐 집필했던 네 편의 <한중록>을 혜경궁의 삶의 주기에 맞추어 세 시기로 구분하고, 정조 재위시(1편), 정조가 승하한 후(2편, 3편), 정순왕후가 승하 한 후(4편)로 나누어 고찰했는데, 이 <한중록>들은 결과적으로 혜경궁의 상처를 치유하는 데 도움이 되었던 약품이라고 보았다. 왜냐하면 혜경궁이 과거 자신의 상처를 <한중록>을 통해 고백함으로써, 상처 치유에 도움이 되는 ‘글쓰기’와 ‘고백’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졌고, 또 그러 한 과정을 통해서 혜경궁의 상처는 치유되었거나 완화되었기 때문이다. 정조가 재위할 때 쓴 <한중록>(1편)에서는 글쓰기와 고백을 통해 혜경궁이 죄의식에서 해 방되었고, 또 혜경궁이 ‘자기서사를 작품서사’로 드러냄으로써 혜경궁의 자아가 ‘건강한 자아’ 로 통합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정조가 승하한 후에 쓴 <한중록>(2편)에서는, 친정의 참화가 부당함을 호소했는데, 그 글 을 쓰는 동안 혜경궁의 분노는 차츰 완화되어 갔다. 그 후 혜경궁은 좌절과 실의를 극복하기 위해 다시 <한중록>(3편)을 집필하여 정조의 효성을 크게 부각시켰는데, 이는 순조의 효성을 자극하고 혜경궁의 불안감을 줄여주는데 도움이 되었고, 또 ‘임오화변’의 진상을 모르는 순조 로 하여금 정조의 뜻을 좇아 친정 일문이 무죄함을 밝혀 주도록 유도하는데 유효했다. 정순왕후 승하 후에 쓴 <한중록>(4편)에서는, 궁중의 큰 어른으로서 혜경궁 나름대로 ‘임 오화변’을 재진단하고, 그에 따른 맞춤 처방까지도 제시했다. 따라서 혜경궁이 ‘자기서사를 작품서사화’한 <한중록>들은 혜경궁이 자신의 병을 치유하 고 상처를 완화시킨 약품이기도 했으며, 또 자신의 고질병을 완치하기 위해서 특별히 개발한 맞춤 처방전이기도 했다. The works of Hanjungrok which Hyekyunggung Hong wrote can be thought as medicines to heal her wounds and traumas. Writing and confessions which are all helpful to heal wounds have been made naturally when she wrote Hanjungrok. The work of Hanjungrok which was written in Jungjo's time shows that she was liberated from sense of guilt and her ego was integrated through writing and confessions. In the another work of Hanjungrok which was written after the demise of Jungjo she appealed that the terrible disaster of her parents' home had been unjust. As long as she wrote it, it seems that her anger was getting alleviated. After that, in the another work of Hanjungrok, she induced Soonjo to follow Jungjo's intention to demonstrate the innocence of her own parents' home. In the final work of Hanjungrok which was written after Queen Jungsoon's demise, as one of the highest in the court, she re-diagnosed the disaster of Imohwabyun and she showed the prescriptions about it. As was stated above, the works of Hanjungrok are not only medicines that Hyekyunggung alleviated and healed her own wounds but also custom-made prescriptions that she developed in order to heal her own disease comple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