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그리스도교련맹의 WCC 가입신청 문제

        김흥수(Kim Heung-So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5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2 No.-

        A lot of writing published in South Korea on the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n Christian Federation and World Council of Churches says that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 applied for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membership in 1974 and 1981 but it was rejected by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because of the lack of information J about North Korean Churches. This statement is based on the fact that delegation from the North Korean Mission to the UN in Geneva visited World Council of Churches office in 1974 and delivered two letters officially to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from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 So far the letters have known to the South Korean Churches as the official application form of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 for the WCC membership. This essay examines whether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 really applied for the WCC membership in 1974 and the two letters were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s application letters for the WCC membership.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essay, the letters stated on the harsh tyranny in South Korea and the resistance being offered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by the Christian churches, among others. The letters made no reference to the problem that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 wanted to join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But Mr. Park Il Bu from the North Korean Mission said so. To quote Park on this, “Though I myself am not a Christian, we wish to become members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In conclusion,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s letters to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ere general in content and made no statement to the fact which was mentioned by the official visitors that they or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 wanted to join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Even though the official visitors mentioned Korean Christian Federation’s wish to become the members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it was not the official application of the Korean Christian Federation for the WCC membership.

      • KCI등재

        선교적 교회와 에큐메니칼 역사선교적 교회와 에큐메니칼 역사

        김은수 한국선교신학회 2014 선교신학 Vol.36 No.-

        This paper is to examine a short history of how both the missionary work representing as IMC(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in 1961, New Delhi and the churches representing as WCC(World Council of Churches) were integrated into one organization, and a short history of discussion for the Missional Church since the integration of both organizations. The discussion for Missional Churches in ecumenical history have been raised ceaselessly. Specially, the missionary duty of churches has been a main issue for discussion since IMC was instituted in 1921. And it has materialized as bringing the issue for integration with IMC steadily after the conference was held by ‘Faith and Order’ and ‘Life and Work’ together in 1938, Utrecht. Although the ecumenical history was started concretely after WCC was instituted in 1948, Amsterdam, there were not any tangible results of integration with the churches and missionary work. Also, they still existed separately in two organizations because there were many different viewpoints between them. Even if IMC was closely connected with WCC, there were some problems to make it difficult and not to be solved for the integration before the Whitby’s general meeting in 1948, Canada. As a result, IMC could not formally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WCC in 1948. However, both WCC and IMC were integrated completely in 1956, Herrenalb. This integration was positively regarded as both the missionary work and churches symbolically became one, but there was a criticism of opponents insisting that the missionary work will be a secondary issue of churches. With regard to the integration of IMC and WCC, Lesslie Newbigin emphasized the necessity of new paradigm for missionary work and the combination of churches, saying “the whole Church, with one Gospel of reconciliation for the whole world.”The missionary structure of churches, which is based on missio Dei in the Bible, should be ‘the whole life of the Church’ as well as ‘the Life of the whole Church’ as a disciplinant of missio Dei. The ultimate contribution about ecumenical studies for Missional Churches is the missionary work as a structural principle, and it is from the ecclesiology by D. Bonhoeffer, who presented an important issue for theological discussion. That issue is ‘the church for others.’ D. Bonhoeffer tried to understand pro me(for me), which is a slogan of religious reformation into pro nobis(for us) and pro nobis into pro aliis(for others). His understanding for churches was taken as the meaning of Shalom in a biblical notion. J. C. Hoekendijk made its notion much clearer. Shalom to him was because of a social matter for human communities transcending the individual salvation. Consequently he insisted that the churches should not be separated from the world, which is with God, and should aim at ‘ecumenical,’ that is, oikoumene. So the focal point of God’s plan is found in the world, not in the church, for the church is defined as a part of the world. 에큐메니칼 역사에서 선교적 교회를 위한 토론은 계속되어 왔다. 국제선교협의회가 1921년 창립된 이래 교회의 선교적 의무가 주요 토론의제였고, 1948년 암스테르담에서 세계교회협의회가 창설되면서 이 두 기구의 통합을 위해서 더욱 구체화되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1961년 뉴델리에서 IMC로 대변되는 ‘선교’와 WCC로 대표되는 ‘교회’가 기구적 일치를 이루는 역사를 먼저 다루고, 선교적 구조를 위한 토론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선교적 교회의 신학적 근거와 그 핵심 내용을 밝혀서 오늘날 선교적 교회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WCC 중앙위원회는 두 기구의 일치에 대한 재평가를 실시하여 ‘선교와 일치를 위한 교회의 소명’이라는 ‘롤(Rolle)선언문’을 채택하고, 일치를 위한 초안을 1957년에 제안하였다. 이를 WCC 중앙위원회는 1957년, IMC는 1958년 가나 총회에서 각각 수용함으로써 두 기구의 일치가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교회의 선교적 구조’에 대한 에큐메니칼 토론은 각 대륙별로 진행되었다. 먼저 ‘서유럽연구그룹’은 1965년 1차 연구를 마무리하여 『구조원리로서의 선교』라는 보고서를 내었고, 이를 바탕으로 『선교적 교회구조를 위한 투쟁 안에 있는 타자를 위한 교회』(Die Kirche für andere im Ringen um Strukturen missionarischer Gemeinden)를, 북미에서는 『세계를 위한 교회』(Die Kirche für die Welt)를 출간하였다. 아시아 교회는 플레밍과 라이트가 각 지역에서 보내온 일부자료를 토대로 『선교적 교회를 위한 구조』를 1964년 공동집필하였다. 선교적 교회를 위한 에큐메니칼 토론의 신학적 기여는 『구조원리로서의 선교』이며, 교회론의 핵심인 ‘타자를 위한’ 명제는 본회퍼(D. Bonhoeffer)에서 비롯되었다. 『타자를 위한 교회』는 샬롬(Schalom)이라는 성서적 개념으로 집약되며 이것은 후켄다이크(J. C. Hoekendijk)에 의해 발전되어 전통적인 ‘하나님-교회-세계’의 구조가 ‘하나님-세계-교회’로 바뀌게 되었다.

      • KCI등재

        수도권특수지역선교위원회 선교자금사건

        손승호(Son Seung-H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4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0

        이 논문은 수도권특수지역선교위원회 선교자금사건의 진행과정을 다루고 있다. 이 사건은 유신체제하에서 벌어진 정부와 반정부 성향의 기독교단체간의 갈등이다. 정부는 독일의 선교단체인 Bread for the World가 보내온 선교 자금을 횡령 배임했다는 혐의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무 김관석, 수도권 특수지역선교회원회 위원장 박형규, 주무간사 권호경, 한국교회사회선교협의체 사무총장 조승혁을 구속하고 징역형을 선고하였다. 그러나 이 사건은 진보적 개신교계의 활동에 대한 정치적 보복의 성향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런 사건들 중에서도 음모적 성격이 더욱 강한 사건이었다. 이 사건은 유신정부가 진보적 개신교 세력을 다루는 방식이 매우 치밀했음을 보여준다. 흔히 유신체제하 정부와 교회간의 갈등에서 정부는 주로 유착관계에 있는 보수적 교계를 이용하여 진보적인 세력을 비난하고 고립시키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 사건에서 정부는 명확하게 진보적 세력 내부의 인사인 도시빈민활동가 정진영을 이용하고 있다. 이 사건의 진행과정을 살펴보면 이 사건을 둘러싼 갈등구조가 매우 복잡함을 알 수 있다. 당시의 진보적 개신교 세력은 정부, 그리고 친정부적 성향을 가진 보수적 개신교 세력과 갈등을 겪고 있었을 뿐 아니라 그들의 내부에서도 선교자금과 주도권 등을 놓고 갈등을 겪고 있었다. 그리고 정부는 이 틈을 이용하고 있었다. 이 사건에는 정부의 의지가 강하게 개입되어 있었다. 때문에 선교자금을 보내준 Bread for the World가 이들의 무죄를 증언하고 재판장 곽동헌이 판결에서 횡령과 배임의 혐의는 무죄임을 인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피고인들에게 실형이 선고되었다. 그런데 이 사건은 국내외 교회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 사건으로 인한 구속자들이 김관석, 박형규와 같은 한국의 진보적 개신교 진영의 핵심인물이었기 때문이다. 한국의 진보적 개신교계는 적극적으로 이 사건에 저항하였고 세계교회가 이를 지원하였다. 그 결과 유신정부는 세계여론의 악화라는 반작용을 감내해야 했다. 하지만 정부가 이 사건을 일으킨 숨은 의도는 인혁당 사건에 진보적 기독교계가 대응하지 못하도록 시선을 유도하는 것에 있었다. 따라서 이 사건은 인혁당 사건과 거의 동시에 진행되었다. 이 주도면밀한 타이밍 선정으로 인해 정부는 유신체제 아래에서 벌어진 인권탄압의 가장 상징적인 사건에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위원회가 침묵하게 만드는 성과를 올릴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gress of the mission fund incident of the Seoul Metropolitan Community Organization. The incident is a conflict between the government and anti-governmental Christianity organization under the Revitalizing Reforms system. The government subjected under court custody and sentenced to imprisonment Kwansuk Kim the general secretary of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Hyunggyu Park the chairman of the Seoul Metropolitan Community Organization, Hokyung Kwon the director, and Seunghyuk Cho the general secretary of the Korea Christian Action Organizations on the charge to the embezzlement and breach of trust concerning the mission fund sent by the Bread for the World, a missionary organization in Germany. This incident, however, was a political retaliation against progressive Protestant churches, and the conspiracy nature of this incident was especially outstanding amongst other similar cases. This also shows the way in which the Reformed Government had elaborately reacted to the progressive Protestant churches. Generally, in the conflict between the government and churches under the Revitalizing Reforms system, the government used a strategy that the criticism against and isolation of the progressive power by means of the conservative church society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It was evident, however, that the government utilized Jinyeong Jeong, an urban poor activist and inner-circle member of the progressive churches in this incident. The progress of this incident vividly reveals the complexity of power structure surrounding this case. In time, the progressive Protestant Churches were experiencing manifold conflicts not only with the government and the government-oriented power of conservative Protestants but also in itself over the mission fund and leadership. The government made use of such a division. Since the government’s will strongly affected the progress of this incident, the defendants were sentenced to imprisonment even though the Bread for the World that sent the mission fund testified in favor of them and Donghyun Kwak, the presiding judge, ruled the suspect not guilty of the embezzlement and breach of trust. This incident caught attention from churches, domestic and abroad since the defendants, especially Kwansuk Kim and Hyunggyu Park, were central persons in the progressive Protestants. The progressive churches actively resisted this incident while Churches in the world supported it. As a result, the Reformed Government had to endure the global public uproar against this issue. In fact, however, the hidden intent of the government regarding this incident was to divert the progressive Christians from the incident of the People’s Revolutionary Party. Hence, this incident progressed almost simultaneously with that of the People’s Revolutionary Party. Such a carefully selected timing of intervention of the government made the Human Rights Committee of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in Korea keep silent even before the most symbolic event of human right violation under the Revitalizing Reforms regime.

      • KCI등재

        20세기 초 교회론의 변화와 여성 에큐메니칼 선구자들의 공헌: 사라 차코, 캐슬린 블리스, 마들렌 바롯, 수잔 드 디트리히를 중심으로

        김은하 한국교회사학회 2019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3 No.-

        변혁기마다 여성들은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누구보다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가장 앞장서서 창조적인 사역의 길을 개척하고 여성공동체를 형성하여 교회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성장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교회가 안정화되면, 여성들만의 특수성을 가졌던 여성공동체는 전체공동체에 흡수 혹은 통합됨으로써 여성들이 다시 소외되는 역사를 반복하였다. 본 글은 여성공동체가 ‘창의적 사역 개척 – 여성공동체 형성 – 통합위원회로 변화 – 여성의 특수성 약화’라는 역사의 순환을 반복했기 때문에 교회 안에서 여성의 참여가 안정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이 현상은 오늘날 교회에서 여성, 청년, 장애인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세계교회협의회 역시 마찬가지였다. 20세기 초 교회론의 변화에 따라 여성의 입지가 약화 되는 상황에서, 여성 에큐메니칼 선구자들은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공동의 성찰과 에큐메니칼 대화를 통해 여성운동과 에큐메니칼 운동을 동시에 전개 하면서 세계교회협의회의 형성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 결과, 교회에서 여성의 활동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평신도 신학을 정립하여 20세 교회론의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 대표적인 지도자는 사라 차코, 캐슬린 블리스, 마들렌 바롯, 그리고 수잔 드 디트리히가 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평가는 미미하다. 그 이유는 이들 역시 여성위원회를 평신도분과로 변경하여 남성과 여성이 함께 하는 통합공동체를 기대했으나, 다시 부서가 남성 위주의 조직으로 변경되어 오히려 여성의 입지가 축소되고, 여성 사역의 토대마저 다시 잃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성의 권위가 신장된 공동체라고 하더라도 여성위원회의 존립은 매우 중요하다. 본 글은 세계교회협의회 임시위원회(1938)부터 에반스톤 중앙위원회 (1955)에 이르기까지 여성위원회의 활동에 대한 에큐메니컬 운동을 연대순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에는 세계교회협의회 집행위원회 또는 중앙위원회의 회의록, 세계교회협의회 문서보관소 및 세계 YWCA 문서보관소에 있는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글의 결론으로 교회에서 여성과 남성의 완전하고 동등한 참여를 위해서는, 여성공동체는 전체 공동체의 일치를 보호하고, 전체공동체는 여성 공동체의 특수성을 배려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교회에서 여성과 남성의 성숙한 관계 형성과 여성과 남성의 동등한 사역 참여는 진정한 교회 개혁의 가시적인 표현이며 다가오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새로운 기독교 문화를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roughout history, women have been more sensitive than anyone else in a rapidly changing era, pioneering creative ministry; and they formed a women's community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church. However, once the church has stabilized, the women's community, which had had its own peculiarities, came to repeat the history of re-alienating women by being absorbed or integrated into the whole community. This article argues that women's participation in the church has not been active because the women's community repeated the cycle of “pioneering creative ministry - forming a women's community-merging into a whole committee-weakening the peculiarity of women.” and the same pattern was found in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hich is known to emphasize the empower of women, youth and the disabled today. Nevertheless, Women ecumenical pioneers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through joint reflection and ecumenical dialogue based on trust. They were Sarah Chakko, Kathlee Bliss, Madeleine Barot and Suzanne de Dietrich etc. They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change of ecclesiology and missiology in the 20th century. This study chronologically reviewed the ministry of the women committee during the period from the Provisional Commission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1938) to the Central Committee of Evanston(1955). To do this, it surveyed the minutes of the Executive Committee or Central Committee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ith documentation and reports in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Archives and World YWCA Archives. The conclusion drawn from this study is that for the full and equal participation of men and women in the Churches, the women's community should protect the unity of the whole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the whole community should seek the ways to maintain the uniqueness of the women's community. The matur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en in the Churches and the equal participation of the work of the church will be a visible expression of the genuine church reformation and help to create a new Christian culture in the new era.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선교적 교회와 에큐메니칼 역사

        김은수 한국기독교학회 선교신학회 2014 선교신학 Vol.36 No.-

        에큐메니칼 역사에서 선교적 교회를 위한 토론은 계속되어 왔다. 국제선교협의회가 1921년 창립된 이래 교회의 선교적 의무가 주요 토론의제였고, 1948년 암스테르담에서 세계교회협의회가 창설되면서 이 두 기구의 통합을 위해서 더욱 구체화되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1961년 뉴델리에서 IMC로 대변되는 ‘선교’와 WCC로 대표되는 ‘교회’가 기구적 일치를 이루는 역사를 먼저 다루고, 선교적 구조를 위한 토론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선교적 교회의 신학적 근거와 그 핵심 내용을 밝혀서 오늘날 선교적 교회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WCC 중앙위원회는 두 기구의 일치에 대한 재평가를 실시하여 ‘선교와 일치를 위한 교회의 소명’이라는 ‘롤(Rolle)선언문’을 채택하고, 일치를 위한 초안을 1957년에 제안하였다. 이를 WCC 중앙위원회는 1957년, IMC는 1958년 가나 총회에서 각각 수용함으로써 두 기구의 일치가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교회의 선교적 구조’에 대한 에큐메니칼 토론은 각 대륙별로 진행되었다. 먼저 ‘서유럽연구그룹’은 1965년 1차 연구를 마무리하여『구조원리로서의 선교』라는 보고서를 내었고, 이를 바탕으로『선교적 교회구조를 위한 투쟁 안에 있는 타자를 위한 교회』(Die Kirche für andere im Ringen um Strukturen missionarischer Gemeinden)를, 북미에서는『세계를 위한 교회』(Die Kirche für die Welt)를 출간하였다. 아시아 교회는 플레밍과 라이트가 각 지역에서 보내온 일부자료를 토대로 『선교적 교회를 위한 구조』를 1964년 공동집필하였다.선교적 교회를 위한 에큐메니칼 토론의 신학적 기여는『구조원리로서의 선교』이며, 교회론의 핵심인 ‘타자를 위한’ 명제는 본회퍼(D. Bonhoeffer)에서 비롯되었다.『타자를 위한 교회』는 샬롬(Schalom)이라는 성서적 개념으로 집약되며 이것은 후켄다이크(J. C. Hoekendijk)에 의해 발전되어 전통적인 ‘하나님-교회-세계’의 구조가 ‘하나님-세계-교회’로 바뀌게 되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a short history of how both the missionary work representing as IMC(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in 1961, New Delhi and the churches representing as WCC(World Council of Churches) were integrated into one organization, and a short history of discussion for the Missional Church since the integration of both organizations. The discussion for Missional Churches in ecumenical history have been raised ceaselessly. Specially, the missionary duty of churches has been a main issue for discussion since IMC was instituted in 1921. And it has materialized as bringing the issue for integration with IMC steadily after the conference was held by ‘Faith and Order’ and ‘Life and Work’ together in 1938, Utrecht.Although the ecumenical history was started concretely after WCC was instituted in 1948, Amsterdam, there were not any tangible results of integration with the churches and missionary work. Also, they still existed separately in two organizations because there were many different viewpoints between them. Even if IMC was closely connected with WCC, there were some problems to make it difficult and not to be solved for the integration before the Whitby’s general meeting in 1948, Canada. As a result, IMC could not formally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WCC in 1948. However, both WCC and IMC were integrated completely in 1956, Herrenalb.This integration was positively regarded as both the missionary work and churches symbolically became one, but there was a criticism of opponents insisting that the missionary work will be a secondary issue of churches. With regard to the integration of IMC and WCC, Lesslie Newbigin emphasized the necessity of new paradigm for missionary work and the combination of churches, saying “the whole Church, with one Gospel of reconciliation for the whole world.”The missionary structure of churches, which is based on missio Dei in the Bible, should be ‘the whole life of the Church’ as well as ‘the Life of the whole Church’ as a disciplinant of missio Dei. The ultimate contribution about ecumenical studies for Missional Churches is the missionary work as a structural principle, and it is from the ecclesiology by D. Bonhoeffer, who presented an important issue for theological discussion. That issue is ‘the church for others.’ D. Bonhoeffer tried to understand pro me(for me), which is a slogan of religious reformation into pro nobis(for us) and pro nobis into pro aliis(for others). His understanding for churches was taken as the meaning of Shalom in a biblical notion. J. C. Hoekendijk made its notion much clearer. Shalom to him was because of a social matter for human communities transcending the individual salvation. Consequently he insisted that the churches should not be separated from the world, which is with God, and should aim at ‘ecumenical,’ that is, oikoumene. So the focal point of God’s plan is found in the world, not in the church, for the church is defined as a part of the world.

      • 세계복음주의연맹(WEA)의 역사와 활동

        김요섭(Yosep Kim) 신학지남사 2019 신학지남 Vol.86 No.2

        Beginning and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alliance movements of the evangelical churches in the rapid cultural and ideological changes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ha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they were the first pursuit of the allied movement of the international evangelical churches on the basis of the biblical truth. The World Evangelical Alliance(WEA) is one of the typical organizations of those international movements. On the one hand, WEA and its historical predecessors criticized the ecumenical movement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WCC) that has pursued the unity of the churches suitable to modern social values and political situations. On the other hand, WEA has also tried to overcome the extremely fundamental view that sharply separates the spiritual sphere from the secular sphere. Besides the serious financial difficulty, however, WEA still faces a more serious and fundamental problem how its structure and works represent the various religious understandings and the diverse theological positions of the evangelical churches in the worl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movements like WCC and Lausanne Movements is another important task for WEA with regard to its theological identity. Korean church needs to keep a close eye on the theological direction and the cooperation works of WEA concerning those issues before establishing the proper and profitable relationship with WEA in the future. For this need, this study reviews the historical origin of WEA in the first place. Then history and theological statements of the late nineteenth century British evangelical alliance movement and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merican evangelical alliance movement, which WEA claims as its historical predecessors, are reviewed and analyzed. And the beginning, developing and present situation of WEA are examined from the historical and the theological perspectives. In conclusion possibility and limit of the sound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conservative presbyterian churches and the WEA are briefly suggested.

      • KCI등재후보

        세계교회협의회가 한국교회 목회 현장에 미친 영향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측을 중심으로-

        구춘서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3 신학과 사회 Vol.27 No.2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World Council of Churches(W.C.C.) upon the Korean church in general and the Presyterian Church of Korea(P.C.K.) in particular. W.C.C.’s 10th meeting will be held in Busan this coming October. W.C.C.’s decision shows its full support for Korean church’s struggle for a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 W.C.C. has been influencing P.C.K and its denominational policy for a long time. Therefore, it is worthwhil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W.C.C. and P.C.K.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local ministry. Also, it is noticeable that W.C.C. has impacted on the division and conflict of P.C.K churches. It is needless to say that W.C.C. is an institution for the unity and reconciliation among world churches. Unfortunately, however, as mentioned above, W.C.C.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presbyterian churches’ division. The conflict has been worsened due to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Of course, it needs to be pointed out that the cold war and the wa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as fueled the conflict. The lack of knowledge of the new trends of theological movements in the West is also one of the reasons of the conflict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the progressive Korean church leaders. Next, W.C.C. has directly influenced the enhancement of the human right movements in Korea. Urban ministry, Students movement, Laborer movements, Justice and Peace movement are examples of W.C.C.'s influence in Korea. W.C.C. also has impacted on the life giving movement, ordination of Woman in P.C.K. 이 논문은 세계교회협의회가 한국교회 특히 예장 통합 측과 전라북도 지역교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세계교회협의회는 역사적인 제 10회 세계대회를 한국 부산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함으로 분단국의 아픔을 공유하고 통일을 향한 우리 국민의 열망에 지지를 보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세계교회협의회는 한국교회 특히 본 교단 소속교회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쳐 왔다. 또한 불행하게 우리 장로교 교단의 분열과 세계교회협의회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세계교회협의회는 일치와 화해를 위한 세계교회의 연합기구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우리나라의 분단 상황과 맞물려 우리나라 교회는 아직도 분열과 갈등에 휩싸여 있다. 이는 냉전과 한국전쟁의 비극이 낳은 결과지만 세계교회와 호흡하지 못하는 우리 교계의 신학적 후진성과도 관련이 있다. 그럼에도 세계교회협의회는 우리나라의 인권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산업선교, 학원선교, 정의와 평화 운동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또 우리 교단의 생명 살리기 운동과 여성목회자 안수 문제 등 많은 목회 영역에서 심대한 영향을 지속적으로 미쳐 왔다. 이 논문은 세계교회협의회가 한국교회에 미친 이러한 영향에 대해 특히 대한 예수교 장로회 통합 측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 KCI등재후보

        리마문서에 대한 신흥교회들의 응답 ―그 특징과 의미―

        Ahn Deok Weon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1 神學과 宣敎 Vol.38 No.-

        Among modern ecumenical texts,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hereafter cited as BEM or the Lima document)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nd controversial documents. The Lima document and the responses to it from various churches and denominations worldwide provide an illustration of the variety of theological perspectives on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among Christians First of all, even though many younger churches are member churches or associate councils of WCC, the contribution from the younger churches to the BEM seems minimal. Only twenty-six responses from the younger churches among a total of 141 responses can be found in the six volume series of Churches Respond to BEM. Secondly, regarding the issue of theological expression, many younger churche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Lima document and regard the document as a great educational resource for the church. Third, the younger churches have expressed their limitation in understanding the document since the churches have a shorter history. Fourth, the responses from the younger churches are strongly based on their context while the first world churches mainly discuss the text of the document itself. Fifth, first-world Christian communities demonstrate denominational and theological approaches toward the Lima document, while the younger churches advocate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analysis. According to my research on the responses from the younger churches to BEM, it is obvious that the younger churches were not fully ready to participate in the theological discussion on BEM. The lack of participation of the younger churches to the issues of the Lima document is quite obvious. It is clear that the Lima document is a positive challenging force for the younger churche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ir own theology and liturgy. The inculturation process needs to be widened and expanded among the younger churches. Through this process,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ore participation from younger churches in the future ecumenical movement with their distinctive theology and liturgy, both of which are based on their own contexts. 1982년 세계교회협의회에서 발표한 리마문서 (BEM 문서, Baptism, Euchrist, and Ministry)는 세계의 수많은 교회들로부터 지대한 관심을 받았다. 리마문서에 대한 교회들의 응답내용을 살펴보면 각 교회들의 신학적 관심이 잘 드러나 있고 교회가 처한 상황 또한 직 · 간접적으로 묘사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기성교회(제1세계 교회)와 비교해 볼 때 신흥교회들의 응답이 가지고 있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상당히 많은 신흥교회들이 세계교회협의회의 회원교회이면서도 응답에 참여한 교회의 숫자(26 교회)는 매우 제한적이라는 사실이다. 참여도뿐만 아니라 신흥교회들의 응답이 비교적 짧다는 것도 하나의 특징이다. 두 번째로, 신학적 표현에 있어서 신흥교회들이 교육적 자료로 여기며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신학, 교육, 예배에 기여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표명하고 있다. 세 번째로 신흥교회들은 그들의 교회역사가 짧다는 사실을 밝히면서 리마문서의 이해에 어려움이 있음을 드러낸다. 네 번째로 제1세계 교회들이 문서의 내용(text)에 치중하는 반면 신흥교회들은 응답은 그들이 처한 상황 (context)의 설명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경은 특히 성찬과 사역부분에서 두드러진다. 다섯 번째로 제1세계교회들의 응답에서는 각 교회가 속해 있는 교단이나 교파의 색깔이 드러나는 반면 신흥교회들의 응답에서는 교회가 자리하고 있는 사회에 대한 문화적, 정치적 분석이 드러난다. 신흥교회들에게 있어서 리마문서는 매우 이론적이며 조금은 불명확하다(ambiguous). 즉 신흥교회들은 리마문서를 교리적인 문서로 이해하고 있으며 그들의 상황에 부합되지 않는 면이 많다고 생각하고 있다. 리마문서는 세례, 성찬, 사역에 대한 분석의 심오함과 교회에 대한 공헌도에 있어서 탁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신흥교회들의 신학적 참여에는 많은 한계도 안고 있다. 앞으로 열린 마음으로, 상호존중의 틀 속에서 쇼터(Shorter)가 이야기하는 대로 복음(신앙)과 문화의 지속적인 대화를 해 나갈 수 있다면 좀 더 창조적이고 생산적인, 신흥교회들의 상황이 충분히 고려된 예전의 탄생을 목격할 수 있을 것이다.

      • 세계교회협의회(WCC)의 이웃종교관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평가와 과제

        송용민(Song Yongmi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2 누리와 말씀 Vol.- No.32

        오늘날 그리스도교가 당면하고 있는 중요한 문제는 '비그리스도교' 혹은 '타종교'를 배타적인 관점이 아니라, '이웃종교'로 인정하고 포용하며, 그들의 종교적 가치와 타자성을 그리스도교 신앙의 정체성과 어떻게 연결시키느냐는 점이다. 세계 개신교계를 이끌고 있는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와 로마 가톨릭교회는 20세기 중엽부터 인류 문명의 패러다임이 대화와 협력, 상생과 공존이라는 시대적 요청을 받아들여 이웃종교들과의 관계 개선은 물론, 그들과의 진지한 대화를 통하여 종교적 삶과 가치들을 공유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개신교 신학은 초기에 복음주의적 노선과 칼 바르트의 변증신학의 영향으로 이웃종교들과의 불연속성을 강조했지만, WCC의 창설(1948년)이후 에큐메니칼 운동은 제3차 뉴델리 총회(1961년)때 탈서구화를 통하여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살아있는 종교들을 만나며 하느님 구원의 보편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제4차 웁살라 총회(1968년)이후 WCC는 교회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깊은 통찰과 더불어 이웃종교들과 친교(koinonia)를 이루면서 그들과 적극적인 대화를 시도하였고, 하느님의 구원 능력의 보편성을 강조하는 '하느님의 선교(Missio Dei)'의 신학적 입장을 지지하였다. 이후 발표된 WCC의 종교간 대화 문서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확실성을 강조하면서도 하느님의 구원능력을 제도교회에 국한하지 않고, 창조질서와 이웃종교들 안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는 다원주의적 관점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가톨릭교회 역시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이후 교회가 처한 시대정신과 현대 세계의 적응을 위한 대화를 시작하였다. 동시에 이웃한 종교들이 하느님의 모상성을 토대로 종교적 자유를 누릴 수 있음을 선언하며, 익명의 그리스도인(칼 라너) 학설을 토대로 교회 밖에서의 구원 가능성을 언급하고, 이들 종교들과의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포용주의적 입장은 이웃종교들을 그리스도의 복음을 받아들이는 준비 단계로 이해하고, 하느님의 보편적 구원의지를 이웃종교들의 신앙 유산들 안에서 적극적으로 발견하려는 대화적 발견법을 통하여 견지되었다. 이웃종교들과의 대화와 협력은 WCC의 에큐메니칼 운동의 중요한 의제가 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논의되었고, 가톨릭교회는 공의회 이후 선언한 종교 간 대화의 원리와 원칙들을 토대로 WCC와 에큐메니칼 운동에 협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점은 종교 간 대화가 그리스도교의 정체성을 희석시키거나 혼란에 빠뜨리지 않으면서 오히려 자신들의 종교적 정체성을 더 풍부하게 만들 수 있다는 상호 간의 확신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WCC와 가톨릭교회의 이웃종교관이 그리스도교 중심주의를 벗어나지 못하고 이웃종교들의 타자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개신교계 안에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종교다원주의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절대성에 위기를 가져온다는 두 교회의 통찰은 다원성(Plurality)이 아닌 다양성(Multiplicity)을 토대로 신학의 방향을 정통교리(Orthodoxy)에서 다중교리(Polydoxy)로 전환하는 노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새로운 신학적 비전을 이끌었다. 개신교계는 이러한 '다양성의 신학'이 그리스도교 교의를 이해하는데 이웃종교들의 풍부한 종교적 유산과의 대화를 통해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가톨릭 신학은 '다양성의 신학'이 그리스도교 신앙 체험의 고유성보다 신학적 구상을 위해 전위되는 오류의 위험을 경고하며, 삼위일체 정식에서 강조하는 이웃종교들과의 대화가 해석학적 이해를 위한 중요한 연결점은 될 수 있지만, 이웃종교가 그리스도교의 절대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불가결하다는 입장에는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중요한 점은 그리스도교 신앙에 있어서 이웃종교들과의 관계가 포용주의에서 종교다원주의로 넘어가는 과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그리스도교 신앙 정체성의 위기를 공동으로 극복하려는 WCC와 가톨릭교회의 공동 노력이 교회 일치라는 대의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는 확신은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One of the important task of the Christian religion is facing nowadays is not acknowledging and embracing 'non-Christianity' or 'other religion' as an exclusive point of view, but how to connect their religion values to Christians' true colors. From mid 20th century, new paradigm of the world is dialogues, cooperation, win-win and coexistence. WCC(World Council of Churches) who leads world Protestant Church and Roman Catholic Church answered to its historic request and made effort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other religions and try to share with them the religious lives and values through serious dialogues. Protestant theology emphasized non-consecutiveness with neighbor religions in the beginning, which was influenced by evangelical route and Karl Bart's dialectic theology. After the foundation of WCC in 1948, this ecumenical movement met Asian and African live religions through 'escaping from the West' theme at the 3rd New Deli Assembly, since then they emphasized the universality of God's salvation. Since the 4th Upsala Assembly(1968), WCC has deeply understood church's responsibility on society, then tried 'koinonia' with neighbor religions, had active dialogues with them, then gave its support to theological standpoint of 'Missio Dei' which is accentuating the ability of God and his universality of salvation. WCC inter-religion dialogue documents published after these assemblies not only highlighted the certainty of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but also not limited God's salvation power to the church system, then revealed the order of creation, and pluralistic aspect which could be found in neighbor religions. Catholic Church also started dialogues, after the Vatican Council II, with periodic mind for adopting the modern world. Also Catholic Church proclaimed that neighbor religions could have religious freedom based on God's motherhood, mentioned the salvation possibility from exterior of church based on 'anonymous Christian' theory (Karl Rahner), and then begin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alogue between these religions. Such a tolerance standpoint is understood as to the step toward neighbor religions which is taking Christ's Gospels, which is to actively find God's universal salvation in the neighbor religions' assets. The dialogue and collaboration with neighbor religions became the main topics of WCC ecumenical movement, discussed in various ways. Catholic Church made a step to collaborate with WCC ecumenical movement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dialogue between religions which was proclaimed after the Vatican Council II. All these movements are developed that the inter-religion dialogues are made through the confidences, which does not lead to confusion or dilute Christianity, but rather make the religion's true character more abundantly. But there rose criticism in Protestant Church that WCC and Catholic Church could not overcome 'Christ centering' and could not passively accept neighbor religions as to 'the others'. These two Churches' discernments that religion pluralism bring the crisis to the absoluteness of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lead to new theological vision which the foundation of new theological vision that not Plurality but Multiplicity, could solve by changing the direction from Orthodoxy to Polydoxy. Protestant Church gave emphasis to such a 'Multiplicity theology' could be great helpful for understanding Christian doxology through dialogues between neighbor religions' abundant religious assets. But Catholic theology warned the danger of misleading of this 'Multiplicity theology' might transferred to theological concept rather than the essence of Christian faith experiences. Also the inter-religion dialogue placed emphasis on Trinity doxology can be an important connecting point for understanding the view, but point out that it might be a problem at the point of understanding that neighbor religion is inevitable to understand the absoluteness of Christianity. T

      • [논단 5] 세계교회협의회(WCC)의 이웃종교관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평가와 과제

        송용민 인천가톨릭대학교 2012 누리와 말씀 Vol.- No.32

        One of the important task of the Christian religion is facing nowadays is not acknowledging and embracing ‘non-Christianity’ or ‘other religion’ as an exclusive point of view, but how to connect their religion values to Christians’ true colors. From mid 20th century, new paradigm of the world is dialogues, cooperation, win-win and coexistence. WCC(World Council of Churches) who leads world Protestant Church and Roman Catholic Church answered to its historic request and made effort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other religions and try to share with them the religious lives and values through serious dialogues. Protestant theology emphasized non-consecutiveness with neighbor religions in the beginning, which was influenced by evangelical route and Karl Bart’s dialectic theology. After the foundation of WCC in 1948, this ecumenical movement met Asian and African live religions through ‘escaping from the West’ theme at the 3rd New Deli Assembly, since then they emphasized the universality of God’s salvation. Since the 4th Upsala Assembly(1968), WCC has deeply understood church’s responsibility on society, then tried ‘koinonia’ with neighbor religions ,had active dialogues with them, then gave its support to theological standpoint of ‘Missio Dei’ which is accentuating the ability of God and his universality of salvation. WCC inter-religion dialogue documents published after these assemblies not only highlighted the certainty of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but also not limited God’s salvation power to the church system, then revealed the order of creation, and pluralistic aspect which could be found in neighbor religions. Catholic Church also started dialogues, after the Vatican Council II, with periodic mind for adopting the modern world. Also Catholic Church proclaimed that neighbor religions could have religious freedom based on God’s motherhood, mentioned the salvation possibility from exterior of church based on ‘anonymous Christian’ theory (Karl Rahner), and then begin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alogue between these religions. Such a tolerance standpoint is understood as to the step toward neighbor religions which is taking Christ’s Gospels, which is to actively find God’s universal salvation in the neighbor religions’ assets. The dialogue and collaboration with neighbor religions became the main topics of WCC ecumenical movement, discussed in various ways. Catholic Church made a step to collaborate with WCC ecumenical movement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dialogue between religions which was proclaimed after the Vatican Council II. All these movements are developed that the inter-religion dialogues are made through the confidences, which does not lead to confusion or dilute Christianity, but rather make the religion’s true character more abundantly. But there rose criticism in Protestant Church that WCC and Catholic Church could not overcome ‘Christ centering’ and could not passively accept neighbor religions as to ‘the others’. These two Churches’ discernments that religion pluralism bring the crisis to the absoluteness of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lead to new theological vision which the foundation of new theological vision that not Plurality but Multiplicity, could solve by changing the direction from Orthodoxy to Polydoxy. Protestant Church gave emphasis to such a ‘Multiplicity theology’ could be great helpful for understanding Christian doxology through dialogues between neighbor religions’ abundant religious assets. But Catholic theology warned the danger of misleading of this ‘Multiplicity theology’ might transferred to theological concept rather than the essence of Christian faith experiences. Also the inter-religion dialogue placed emphasis on Trinity doxology can be an important connecting point for understanding the view, but point out that it might be a problem at the point of understanding that neighbor religion is inevitable to understand the absoluteness of Christianity. The important thing is that at the point of Christianity, it is quite sure that the joint efforts of WCC and Catholic Church will play important roles when WCC and Catholic Church cooperate for the general idea of ‘church conformity’, work together to overcome the crisis of true character of Christianity faith occurring while the relation with neighbor religion on the way from tolerance to religion pluralism. 오늘날 그리스도교가 당면하고 있는 중요한 문제는 ‘비그리스도교’ 혹은 ‘타종교’를 배타적인 관점이 아니라, ‘이웃종교’로 인정하고 포용하며, 그들의 종교적 가치와 타자성을 그리스도교 신앙의 정체성과 어떻게 연결시키느냐는 점이다. 세계 개신교계를 이끌고 있는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 of Churches)와 로마 가톨릭교회는 20세기 중엽부터 인류 문명의 패러다임이 대화와 협력, 상생과 공존이라는 시대적 요청을 받아들여 이웃종교들과의 관계 개선은 물론, 그들과의 진지한 대화를 통하여 종교적 삶과 가치들을 공유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개신교 신학은 초기에 복음주의적 노선과 칼 바르트의 변증신학의 영향으로 이웃종교들과의 불연속성을 강조했지만, WCC의 창설(1948년)이후 에큐메니칼 운동은 제3차 뉴델리 총회(1961년)때 탈서구화를 통하여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살아있는 종교들을 만나며 하느님 구원의 보편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제4차 웁살라 총회(1968년)이후 WCC는 교회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깊은 통찰과 더불어 이웃종교들과 친교(koinonia)를 이루면서 그들과 적극적인 대화를 시도하였고, 하느님의 구원 능력의 보편성을 강조하는 ‘하느님의 선교(Missio Dei)’의 신학적 입장을 지지하였다. 이후 발표된 WCC의 종교간 대화 문서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확실성을 강조하면서도 하느님의 구원능력을 제도교회에 국한하지 않고, 창조질서와 이웃종교들 안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는 다원주의적 관점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가톨릭교회 역시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이후 교회가 처한 시대정신과 현대 세계의 적응을 위한 대화를 시작하였다. 동시에 이웃한 종교들이 하느님의 모상성을 토대로 종교적 자유를 누릴 수 있음을 선언하며, 익명의 그리스도인(칼 라너) 학설을 토대로 교회 밖에서의 구원 가능성을 언급하고, 이들 종교들과의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포용주의적 입장은 이웃종교들을 그리스도의 복음을 받아들이는 준비 단계로 이해하고, 하느님의 보편적 구원의지를 이웃종교들의 신앙 유산들 안에서 적극적으로 발견하려는 대화적 발견법을 통하여 견지되었다. 이웃종교들과의 대화와 협력은 WCC의 에큐메니칼 운동의 중요한 의제가 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논의되었고, 가톨릭교회는 공의회 이후 선언한 종교 간 대화의 원리와 원칙들을 토대로 WCC와 에큐메니칼 운동에 협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점은 종교 간 대화가 그리스도교의 정체성을 희석시키거나 혼란에 빠뜨리지 않으면서 오히려 자신들의 종교적 정체성을 더 풍부하게 만들 수 있다는 상호 간의 확신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WCC와 가톨릭교회의 이웃종교관이 그리스도교 중심주의를 벗어나지 못하고 이웃종교들의 타자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개신교계 안에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종교다원주의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절대성에 위기를 가져온다는 두 교회의 통찰은 다원성(Plurality)이 아닌 다양성(Multiplicity)을 토대로 신학의 방향을 정통교리(Orthodoxy)에서 다중교리(Polydoxy)로 전환하는 노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새로운 신학적 비전을 이끌었다. 개신교계는 이러한 ‘다양성의 신학’이 그리스도교 교의를 이해하는데 이웃종교들의 풍부한 종교적 유산과의 대화를 통해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가톨릭 신학은 ‘다양성의 신학’이 그리스도교 신앙 체험의 고유성보다 신학적 구상을 위해 전위되는 오류의 위험을 경고하며, 삼위일체 정식에서 강조하는 이웃종교들과의 대화가 해석학적 이해를 위한 중요한 연결점은 될 수 있지만, 이웃종교가 그리스도교의 절대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불가결하다는 입장에는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중요한 점은 그리스도교 신앙에 있어서 이웃종교들과의 관계가 포용주의에서 종교다원주의로 넘어가는 과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그리스도교 신앙 정체성의 위기를 공동으로 극복하려는 WCC와 가톨릭교회의 공동 노력이 교회 일치라는 대의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는 확신은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