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n Assessment of Enforcement of the Witness Protection Act B.E. 2546

        Srisombat Chokprajakchat,Dol Bunnag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순천향 사회과학연구 Vol.16 No.2

        The research project entitled “An Assessment of Enforcement of the Witness Protection Act, B.E. 2546 (2003)” has the following objectives (1) to identify problems or constraints encountered in the course of implementing the witness protection program under the Witness Protection Act, B.E. 2546 (2003) and relevant rules and regulations; (2) to study the procedures of law enforce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witness protection; and (3) to develop the role, mandate and structure of the Witness Protection Office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 of the legislation. The research employed a mix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t gathered information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28 executives and relevant officials; arranging two focus group discussions, the first of which involved 20 executives from relevant witness protection authorities, and the second involved 13 operational officials from the core agency, i.e. the Witness Protection Office. The research also organized a workshop and conducted a survey of the sample group of 214 persons drawn from witnesses who participated in the witness protection program funded by the Witness Protection Office during 2005 – 2007. The Research found legal problems in relation to the Witness Protection Act. These are (1) the definition of witness is not clear; (2) the criteria and working standards for giving protection of relevant authorities are not consistent; (3) there is no clear practice for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among the witness protection authorities. The Witness Protection Office should thus be given more explicit power and mandate. In terms of structure, the Witness Protection Office should be empowered as an autonomous agency and acts as the key agency in supporting other agencies in overseeing witness protection. The Office should take the role of the facilitator and regulator responsible for overall witness protection system, outlining guidelines for inter-agency cooperation, formulating the criteria for admission of witness, drawing up witness protection administration system that can be applied uniformly. The witness protection authorities’ witness protection procedures need to be standardized. If the Witness Protection Office is required to be responsible for a covert witness protection program, its role should be limited to the protection under special measures only.

      • KCI등재

        소설 『최후의 증인』의 영화화 양상과 한국 추리 서사에 재현된 법(法)의 문제- 영화 <최후의 증인>(1980)의 검열 양상과 관련하여 -

        강용훈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8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3 No.-

        『The Last Witness』 was published in 1974 and was evaluated as a work which opened a new horizon in the Korean mystery narrative. The Last Witness(1980) was cinematized in 1980, and the work was released with a great deal removed, and the original version of the work was screened at the 2003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lso, another adaptation of the novel called Last Witness(2001) was released in 2001. In this sense, 『The Last Witness』 needs to be interpreted beyond the viewpoint of the existing study that depicted the work as a mystery narrative of the Yushin System. If keeping in mind the condition of the cinematization that lasted until the 2000s and the screening period of the original version of The Last Witness, 『The Last Witness』 can be considered as the work that plays a mediating role of the mystery narrative of the Yushin System. and the mystery narratives after the early 2000s. This paper focused on the way that 『The Last Witness』 narrates the historical situation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this paper studied how the North Korean partisans and the wartime collaborators are being represented in 『The Last Witness』. In addition, this paper compares the script of the 1980 film The Last Witnes(1980)s with the original screenplay, and analyzed the types of scenes censored during the 1980 screening. Based on this, this paper identified the significance of the restored film, The Last Witness, in comparison with the novel 『The Last Witness』 and another adaptive film Last Witness(2001). The restored film, The Last Witness, has its significance in terms of portraying the distance from the anti-communist narrative and the instability of the law. 『최후의 증인』은 1974년 발표되어 한국 추리서사에 새로운 지평을 연 작품으로 평가되었다. 『최후의 증인』은 1980년 영화화되었지만 작품의 상당 부분이 삭제된 채 개봉되었고 오리지널 판본의 상영은 2002년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최후의 증인』의 또 다른 각색 영화 <흑수선>은 영화 <최후의 증인>의 오리지널 판본이 상영된 것과 비슷한 시기인 2001년에 개봉되었다. 그렇기에 『최후의 증인』은 ‘유신체제의 추리서사’라는 기존 연구의 관점을 넘어서 해석될 필요가 있다. 2000년대까지 지속된 영화화 양상, 그리고 오리지널판 <최후의 증인>의 상영 시기를 염두에 둔다면 『최후의 증인』 및 이를 각색한 영화들은 유신시대의 추리서사와 2000년대 이후의 ‘추리서사’의 매개 역할을 담당하는 작품들로 볼 수 있다. 소설 『최후의 증인』은 추리 서사의 형식을 기본 구조로 삼고 있지만, 그 구조는 작품 속 서사의 또 다른 한 축을 이루는 증언의 서사와 긴장을 맺고 있다. 『최후의 증인』은 자수한 빨치산, 빨치산 지도자의 딸, 부역자 등 법의 경계에 놓인 자들의 자리에서 한국전쟁 직후의 사법 절차에 대한 불신을 증언하고 있는 것이다. 이 소설에서 나타나고 있는 검사의 모습, 그리고 법의 양상은 어디까지나 ‘추리서사’의 세계에서 재구성된 형상들이다. 그러나 『최후의 증인』을 각색한 영화 <최후의 증인>이 1980년에 검열된 양상들을 면밀하게 살펴보면, ‘추리서사’ 속에 형상화된 법의 세계는 현실 질서 속 사법 권력의 모습들과 겹쳐지게 된다. 영화 <최후의 증인>의 제작사는 1980년 9월 공식적 검열을 통과한 지 2개월 후인 80년 11월 재검열을 신청하며 여러 장면들을 자진 삭제하려 했다. 검열 관련 서류에는 재검열을 신청하기 직전인 1980년 10월에 대검찰청에서 영화 <최후의 증인>의 화면 실사를 비공식적으로 요청하며 특정 장면을 삭제하려 한 점이 기록되어 있다. 그 장면들은 대부분 이 작품 속 김중엽 검사가 자신의 권력을 행사해 법의 경계에 놓인 자들에게 폭력을 행사한 부분들이다. ‘김중엽’이라는 인물은 법들(laws)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일어난 문제 사례 중 하나를 가상의 형태로 보여준 것이지만, 사법 권력은 이 사례가 재현되는 것 자체를 반복적으로 문제 삼았다. 법들이 수행되는 양상의 한계를 재현하는 작업은 ‘법’(the law) 자체에 대한 근본적 문제제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했다. 사법 권력은 그 가능성을 봉쇄하려 한 것이다. 영화 <최후의 증인>은 소설 『최후의 증인』보다 ‘법’의 일반적 작동 방식을 더 문제 삼으며 ‘법의 공평성’에 대한 당대 대중들의 정서적 믿음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영화 <최후의 증인>은 반공주의적 대립 논리에 기반을 둔 간첩 서사를 작품 결말에 배치하며 서사를 무리하게 봉합하려 한 원작 소설의 결말과도 거리를 두고 있다. 이는 소설 <최후의 증인>을 각색했던 2000년대 이후의 영화 <흑수선>이 반공주의적 대립 구도에 기반을 둔 채 사랑의 서사를 부각시킨 것과도 대조된다. 그 결과 영화 <최후의 증인>은 한국의 법적 질서가 지니는 불안정성을 선명하게 부각시킬 수 있었다.

      • 증인신문 절차 및 기법에 관한 연 구

        김주석 ( Kim Joo-seok ),김정환 사법정책연구원 2016 연구보고서 Vol.2016 No.12

        A court shall determine, by its free conviction, whether or not an allegation of facts is true, taking account of the whole purport of pleadings and the results of examination of evidence, on the basis of the ideology of social justice and equity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logic and experience(Article 202 of the Civil Procedure Code). Accordingly, whether to take the evidence presented in a lawsuit in order to find the truth is left to trial judges, and it cannot be said that there is any probative superiority depending on the type of evidence, be it documentary evidence or witness examination. Nevertheless, practically, it is undeniable that testimony has been considered as inferior evidence compared to documentary evidence in Korea. In addition, the propriety of the administration of proceedings and sua sponte examination have been deemed as playing subsidiary role at best under the adversarial cross examination system. Recently, a more cautious approach is being taken towards witness examination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mandatory recording of court hearings. From the perspective of a judge as a fact-finder, however, witness examination is an important means for forming conviction on the substance of the case when objective evidence such as documentary evidence is insufficient. It can also be the means to verify the conviction already formed at the final stage of evidence examination. There are plenty of cases where the outcome of the litigation depends on the credibility of testimonies. Witness examination can be a useful tool for truth-finding. It can also enhance the level of public confidence in trials just by its smooth execution. The recent implementation of mandatory recording could give us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 value of witness examination. Generally, there are two methods of witness examination: the Continental method that allows judges to lead the witness examination ex officio and the Anglo-American method that gives parties the power to lead it. In general, the Anglo-American approach may carry the risk of misleading witnesses or making them give biased testimony, but it can elicit more detailed testimony by letting the parties or attorneys who are already familiar with the case lead the examination and thereby allow fact-finders such as the jury or the bench to assess the testimony from a relatively objective stance. In contrast, the Continental approa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risk of false testimony by making the witness recognize himself as ‘a witness of the court’ rather than ‘a witness of the party’, but it has the disadvantage of making a cool-headed evaluation of the testimony more difficult. Korea is generally classified as a Continental law country. In terms of witness examination, however, we adopted the principle of cross-examination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Anglo-American tradition. Yet, on the other hand, our system also adds some ex officio features such as allowing judges to intervene at any time during the parties’ interrogation. Therefore, the law and practice of other countries on witness examination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e witness examination methods provided for in our legisl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respecti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cross-examination and the ex officio judicial examination, both methods need to be used flexibl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ase and witnesses. Judges who preside over witness examination and evaluate the testimony of witnesses can also refer to psychology and social science research. Research studies on human memory and behavior suggest that a witness’s statement can be vulnerable to many external influences such as interrogation methods, cognitive errors and biases. Also various interrogation techniques are devised for reducing the distortion of such statements caused by external influences. It is certain that these research studies will be helpful in improving our witness examination practices.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providing information to judges so as to help them prepare and preside over witness examination effectively in civil actions. For this purpose, I first summarize the existing laws and practices, and introduce the discussions in major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S., Germany, France, and Japan surrounding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ir laws, and the relevant social science research studies in terms of witness examination. Afterwards, using these discussions as reference along with the various kinds of know-how traditionally mentioned in practice, I seek to gather and organize the ideas which may benefit judges in presiding over and directly carrying out witness examination under the mandatory recording system. Hopefully this research will help promote further discussions about assess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witness examination procedure and interrogation methods in Korea and seeking reasonable measures of their improvement.

      • KCI등재

        제1회 공판기일 전 증인신문제도에 대한 실무적 고찰 - 특히 증거보전제도와 비교하여 -

        김정한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법학논고 Vol.0 No.47

        Article 221-2 in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Code has prescribed examinationof the witness before first trial court. Examination of the witness was imposed in1973. In 1996.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delivered a decision that examinationof the witness for concern of change of the witness and restriction of the presenceright of suspect. In 2007. according to the decision, Criminal Procedure Code wasreformed partly, and remains the case in today. Although the constitutional decisionand reforming, there still remains some problems, for example, the concern ofstatement change could not be a cause of the examination of witness or preservationof evidence. In this article, I explained the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examination ofthe witness and reservation of evidence, and the concern of statement change an ethe cause of preservation of evidence, although it can not be the cause ofexamination of the witness, and the restriction of the presence right of suspect isreasonable. Furthermore, this article handled some issues such as coercive summonof witness. I think, we should cast away a prejudice that the witness examination reinforcethe power of the public prosecutor only and the power is used as a tool toinfringement of the suspect’s human rights. Also, we must know that through thecollection of accurate investigative informations from the serious crime's witness, we certainly punish criminals. and these practices make a safer and more righteoussociety. At the same time we have to find a way to minimize the side effects ofexamination of the witness as the positive viewers warn against. 우리 형사소 송법 제221조의2는 제1회 공판기 일 전 증인신문 제도를 규정하 고 있다. 이 는1973년에 처 음으로 형사소 송법에 도입되 었으나 1996년 헌법 재판소는 진술 번복 우려를 사 유로 하는 증인신문 청구 와 참여권 제한 규정에 대하여 위헌 결정하였 고 2007년 그와 같은취지로 위 규 정이 개정 되어 오늘 에 이르고 있다. 위 위헌 결정과 법 개정 에도 불구 하고 진술번복 우려 는 증인신문 청구의 사유 가 될 수 없는 가, 혹 증거보전의 사유 는 될 수 없는 가,증인신 문 절차에 피의자 등의 참 여권이 절 대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는가 등의 문제 는 여전히남아있 다. 이 글을 통해 필자는 본질이 수사절차인 증인신문제도는 본질이 재판절차인 증거보전제도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제도이고, 이러한 본질론에 비추어 볼 때 진술번복 우려는 증인신문청구의 사유는 될 수 없지만 증거보전 청구의 사유는 될 수 있으며, 증인신문절차에 피의자의 참여권이 반드시 절대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검토한 다음, 더 나아가 증인신문 청구는 현행 형사소송법 규정과 같이 제1회 공판기일 전까지 허용할 것이 아니라 기소 전까지만 허용하는 것이 적절하고, 증인신문제도 대신 최근 자주 논의되는 참고인구인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아직까지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에 대하여도 함께 다루었다. 증인신문제 도가 검사 의 수사권 만 강화하 여 피의자 등의 인권을 침 해하는 도 구로 악용 된다는 편향된 시 각에서 벗어나, 중 대범죄의 중요참고 인으로부터 정확 한 수사정보와 증거 자료를 확보하여 실체적 진실을 밝히 고 범죄 인을 처벌함으로써 우리 사회를 좀더 안전하 고 정의롭게 만들 수 있다는 점를 인식함과 동시에, 앞에서 말 한 여러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 색하는 긍정적인 시 각으로 접근할 필요 가 있다는 것이 필자의 소 견이다.

      • 증인신문 절차 및 기법에 관한 연구

        김주석(Kim, Joo-Seok),김정환 사법정책연구원 2016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Vol.2016 No.-

        A court shall determine, by its free conviction, whether or not an allegation of facts is true, taking account of the whole purport of pleadings and the results of examination of evidence, on the basis of the ideology of social justice and equity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logic and experience(Article 202 of the Civil Procedure Code). Accordingly, whether to take the evidence presented in a lawsuit in order to find the truth is left to trial judges, and it cannot be said that there is any probative superiority depending on the type of evidence, be it documentary evidence or witness examination. Nevertheless, practically, it is undeniable that testimony has been considered as inferior evidence compared to documentary evidence in Korea. In addition, the propriety of the administration of proceedings and sua sponte examination have been deemed as playing subsidiary role at best under the adversarial cross examination system. Recently, a more cautious approach is being taken towards witness examination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mandatory recording of court hearings. From the perspective of a judge as a fact-finder, however, witness examination is an important means for forming conviction on the substance of the case when objective evidence such as documentary evidence is insufficient. It can also be the means to verify the conviction already formed at the final stage of evidence examination. There are plenty of cases where the outcome of the litigation depends on the credibility of testimonies. Witness examination can be a useful tool for truth-finding. It can also enhance the level of public confidence in trials just by its smooth execution. The recent implementation of mandatory recording could give us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 value of witness examination. Generally, there are two methods of witness examination: the Continental method that allows judges to lead the witness examination ex officio and the Anglo-American method that gives parties the power to lead it. In general, the Anglo-American approach may carry the risk of misleading witnesses or making them give biased testimony, but it can elicit more detailed testimony by letting the parties or attorneys who are already familiar with the case lead the examination and thereby allow fact-finders such as the jury or the bench to assess the testimony from a relatively objective stance. In contrast, the Continental approa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risk of false testimony by making the witness recognize himself as ‘a witness of the court’ rather than ‘a witness of the party’, but it has the disadvanta e of making a cool-headed evaluation of the testimony more difficult. Korea is generally classified as a Continental law country. In terms of witness examination, however, we adopted the principle of cross-examination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Anglo-American tradition. Yet, on the other hand, our system also adds some ex officio features such as allowing judges to intervene at any time during the parties’ interrogation. Therefore, the law and practice of other countries on witness examination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e witness examination methods provided for in our legisl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respecti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cross-examination and the ex officio judicial examination, both methods need to be used flexibl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ase and witnesses. Judges who preside over witness examination and evaluate the testimony of witnesses can also refer to psychology and social science research. Research studies on human memory and behavior suggest that a witness’s statement can be vulnerable to many external influences such as interrogation methods, cognitive errors and biases. Also various interrogation techniques are devised for reducing the distortion of such statements caused by external influences. 민사소송에서 법원은 변론 전체의 취지와 증거조사의 결과를 참작하여 자유로운 심증으로 사회 정의와 형평의 이념에 입각하여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따라 사실주장이 진실 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민사소송법 제202조). 이에 따라 사실인정을 할 때 소송에 현출 된 증거자료 중 어느 것을 취할 것인지는 사실심 판사에게 일임되어 있고, 서증, 인증 등 증거의 종류에 따라 그 증명력에 우열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증인은 서증에 비해 열등한 증거방법으로 여겨져 왔음은 부인할 수 없다. 또한 교호 신문제도 아래에서 법관의 적절한 소송지휘나 직권신문은 부차적이라는 인식도 적지 않았다. 최근 법정녹음의 시행으로 증인신문에 소극적인 경향도 일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사실발견자인 법관의 입장에서 증인신문은 서증 등 객관적 증거가 부족한 상황에서는 사건의 실체에 관한 심증을 형성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되고, 증거조사의 최종 단계에서 이미 형성한 심증을 확인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증언의 신빙성 판단에 따라 소송의 승패가 좌우되는 경우도 얼마든지 있다. 증인신문은 활용하기에 따라 실체 진실규명을 위한 유용한 수단이 되고, 원활하게 진행되는 증인신문의 모습 자체만으로도 재판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다. 최근 법정녹음의 시행은 증인신문의 활용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증인신문의 방식은 법관이 직권으로 증인신문을 주도하는 대륙법계 방식과 신청한 당사자가 증인신문을 주도하는 영미법계 방식으로 크게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영미법계 방식은 당사자가 증인으로 하여금 오도되거나 편향된 증언을 하게 할 위험성이 있지만, 사건의 내용을 가장 잘 아는 당사자나 그 대리인이 증인신문을 주도함으로써 상세한 부분까지 증언을 이끌어 낼 수 있고, 배심원단, 법관 등 사실발견자는 객관적 입장에서 증언 내용을 평가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거론된다. 이에 대하여 대륙법계 방식은 증인으로 하여금 당사자의 증인이 아닌 법원의 증인이라는 인식을 가지게 하여 허위 증언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법원이 증인신문을 주도함으로써 증언의 냉정한 평가가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우리나라는 일반적으로 대륙법계 국가로 분류되나, 증인신문의 방식에서는 교호신문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법관이 언제든지 직권으로 개입하여 신문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직권주의의 요소도 가미되어 있다. 각국의 증인신문에 관한 입법례 및 실무례는 우리 법령에서 정한 여러 증인신문 방식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에 참고가 될 수 있다. 교호신문과 직권신문의 각 장 점, 단점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건과 증인의 특성에 따라 유연하게 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증인과 진술에 관한 심리학 등 사회과학적 연구도 증인신문을 진행하고 증언의 증거가치와 증명력을 평가해야 하는 법관에게 많은 참고가 될 수 있다. 인간의 기억, 행동에 대한 연구 결과는 증인의 진술이 신문 방법 등 여러 외부적 영향, 인지적 오류 및 편향 등에 의해 취약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외부적 영향 등에 의한 진술의 왜곡을 줄이고자 하는 다양한 신문 기법이 고안되기도 한다. 이러한 연구 성과들이 우리의 증인신문 실무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임은 물론이다. 본 연구는 주로 민사재판을 진행하는 법관의 입장에서 증인신문을 효과적으로 준비, 진행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현행법상의 증인신문에 관한 규정과 실무례 등을 요약하여 정리하고,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주요국의 증인신문 관련 법령과 그 해석, 적용을 둘러싼 논의를 소개하였으며, 관련된 사회과학적 연구 성과를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내용과 함께 실무적으로 언급되는 증인신문의 다양한 노하우를 참고하여 법정녹음 환경하에서 법관이 증인신문을 진행하고 직접 신문을 하는 데에 유익하다고 생각되는 내용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우리나라의 증인신문 절차와 기법에 관한 실무 현황을 점검하고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논의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The Rhetorical Function of the Witness Motif in Isaiah 43:8-13

        석진성 한국기독교학회 2019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3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hetorical function of the witness motif in Isaiah 43:8-13 within the context of Isaiah 40-55. Isaiah 43:8-13 is well known for “a trial speech” in which God summons the blind and deaf Israel as witness against gods. However, it seems that their blindness and deafness are contradictory to the condition of legal witness for God’s uniqueness. One may ask whether they are qualified for being the witness of Yahweh concerning who Yahweh is and what He had done. In regard of this, among scholarship, several views have been suggested, yet the concept of the witness has been not clearly identified so far. This study thus examines the witness motif through the lens of the canonical reading of the thematic patterns in Isaiah 40-55. It is my contention that the witness motif functions not only to convince Israel of God’s promise for their restoration, but also to urge them to abide by the laws in order that they are able to serve actively as a witness who plays a leadership role in salvation of the nations.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semantic fields of the term עד ‘witness’ in the Old Testament briefly and suggests that the formula אתם עדי “you are my witnesses” in Isaiah 43:10 and 12 is to impart knowledge: “Return to me, for I have redeemed you” (Isaiah 44:22; cf. 55:7). Second, it investigates the immediate context, namely, Isaiah 42:14-44:23 in order to illustrate how the witness motif plays a crucial role in the course of Israel’s restoration. Next, it explores the main text, Isaiah 43:8-13 which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concept of witness is used in a passive sense that the servant Israel is experiencing God’s great power and uniqueness. Lastly, it presents the thematic progression of the witness motif within Isaiah 40-55 where the concept of the passive witness as a material evidence of God’s uniqueness is developed into the active one who has a leadership role to mediate between Yahweh and the nations, and argues that his mediatory role is accomplished through a Torah abiding life.

      • KCI우수등재

        민사소송에서 공동소송인의 증인적격

        姜侖希 ( Kang Younhee ) 법조협회 2024 法曹 Vol.73 No.3

        공동소송인이 자신의 청구와 관련된 내용에 관하여 다른 공동소송인에 대하여 증인으로 신문받는 경우는 실무에서 드물지 않다. 그동안 소송당사자의 증인신문 문제는 형사절차에서 공범인 공동피고인의 증인적격에 관하여 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민사 재판에서는 특별한 숙고 없이 공동소송인의 변론을 분리하여 분리된 공동소송인에 대하여 증인신문을 실시하기도 한다. 그러나 서로 관련 있는 공동소송인을 증인으로 신문하기 위하여 변론분리를 하는 것은 법원의 변론분리의 재량의 범위에 속한다고 단정할 수 없다. 물론 공동소송인이 스스로 증인신문기일에 출석하여 진술하였고 증거신청의 상대방이 이에 대하여 이의하지 않았다면, 민사소송법 제151조에 따라 이의권이 상실되어, 그 증인신문결과의 증거능력이 인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문제와 공동소송인이 증인으로서의 의무를 위반하였음을 이유로 위증죄나 과태료로 제재를 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다. 변론분리가 법원의 재량이더라도 오로지 증인신문만을 위하여 변론분리를 하여 공동소송인을 증인으로 채택한 후 증인의무를 위반하였다는 이유로 제재하는 것은, 변론분리의 필요성이나 증거확보의 필요성이 모두 없어 정당하다고 보기 어렵다. 변론분리 없이 공동소송인을 당사자로 신문할 수도 있고, 이러한 당사자신문이 오히려 민사소송법 제369조로 인하여 증거를 신청한 당사자에게 더 유리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 증인의무와 당사자의무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 변론분리의 한계에 대한 외국의 논의를 소개함으로써, 법원의 실무가 개선되기를 기대한다. It is not uncommon in practice for a co-plaintiff or co-defendent to be examined as a witness regarding the content related to their own claim. So far, issues concerning witness examination of a party have mainly been discussed in criminal proceedings, particularly regarding the admissibility of a co-defendant as a witness. Consequently, in civil trials, without special consideration, the arguments of co-plaintiffs or co-defendents may be separated, and witness examinations may be conducted separately. However, it cannot be readily acknowledged that separating arguments to examine related co-plaintiffs or co-defendents as witnesses falls within the discretion of the court's argument separation. Of course, if a co-plaintiff or co-defendent attends the witness examination voluntarily and testifies, and if the opposing party does not object to it, according to Article 151 of the Civil Procedure Act, the right to object is forfeited, and the evidentiary value of the witness examination results may be recognized. However, the issue of sanctioning for perjury or fines due to the violation of the obligation as a witness by a co-plaintiff or co-defendent is a separate matter. Even if argument separation is within the court's discretion, it is difficult to justify sanctions solely on the grounds that the co-plaintiff or co-defendent violated the duty as a witness after separating arguments solely for witness examination and adopting the co-plaintiff or co-defendent as a witness, as there is no necessity for argument separation or evidence gathering. Instead of examining a co-plaintiff or co-defendant as a witness, there is another type of evidence to consider in examining a co-party, which may offer even greater advantages to the party seeking evidence under Article 369 of the Civil Procedure Act. Practical improvements in the court's proceedings are expected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uties of a witness and those of a party as outlined in this text,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foreign discussions on the limits of argument separation.

      • KCI등재후보

        국민참여재판에서 증인사전면담의 도입가능성에 관한 고찰 - 영국의 증인사전면담제도를 중심으로 -

        이승현(Lee, Seung-hyun) 대검찰청 2012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37

        국민참여재판에서는 공판중심주의적 심리절차와 집중심리가 이루어지고, 배심원은 법정에서 증인의 증언만으로 당사자의 주장과 입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국민참여재판은 검사와 피고인이 법관뿐만 아니라 비전문가인 배심원까지 설득해야 하는 부담을 지게 되고, 대체로 1일 재판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단시간 내에 배심원을 설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국민참여재판에서는 증인의 증언을 명료하게 하는 절차를 거침으로써 사건의 실체적 진실을 발견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된다. 증인의 올바른 증언을 위해 검사가 증언 전에 사전면담을 할 필요성이 있다. 검사는 증인이 자연스럽게 증언할 수 있도록 질문사항을 미리 알려주고, 증인의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 관련서류를 보여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증인의 진술 중 모순되는 내용을 명확하게 한다. 이것이 바로 증인사전면담이다. 증인사전면담은 크게 증인친화와 증인검사로 구분된다. 현행 수사실무에서 증인친화는 어느 정도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증인검사를 인정할지 여부를 두고 견해가 나뉜다. 증인사전면담은 검사가 공판준비를 철저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증인이 배심원에게 설득력 있는 증언을 하게 하여 형사사건의 실체적 진실 발견에 기여한다. 반면에, 증인사전면담을 통해 검사가 증인과 접촉할 경우 검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증언하도록하여 증언이 변질될 위험성이 크다는 비판이 있다. 영국은 예비조사와 몇 년간의 실무상 검토과정을 거쳐 2008년 2월부터 잉글랜드와 웨일즈를 중심으로 증인사전면담을 실시하였다. 영국은 증인사전면담에 대한 실행지침 (Pre-Trial Witness Interviews: Code of Practice) 뿐만 아니라 검사 가이드라인(Guidance for Prosecutors)을 마련해 두고 있다. 당초 증언 왜곡의 가능성 등에 대한 문제는 검사에 대한 사전교육 및 절차과정의 투명화 및 체계화를 통해 어느 정도 해소된 것으로 평가된다. 한국에서도 국민참여재판에서 증인의 효과적인 증언을 위해서는 증인사전면담이 필요하다. 다만 증인사전면담이 증언의 내용을 왜곡하거나 증언을 코치하게 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증언의 왜곡가능성을 막기 위해 증인사전면담은 증언 내용을 구체화하고, 증인의 기억에 있어서 차이가 나거나 빠진 부분을 보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증언 변질이나 왜곡을 막기 위해 검사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증인에게 기억에 반하는 내용을 증언하도록 해서는 안 되고, 이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증인사전면담제도가 도입되기 위해서는 형사소송법에 증인사전면담 허용에 대한 근거 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증인사전면담을 위해서 검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야 한다.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증인의 증언 전 면담 참여 여부는 자발적이어야 하고 강제해서는 안 된다. 둘째, 판사와 상대방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만 증인에 대한 면담이 가능하다. 셋째, 증인의 범위는 피해자 등 특정한 범위의 증인으로 한정되어야 한다. 넷째 면담절차는 반드시 음성녹음, 영상녹화 등으로 기록되어야 한다. 다섯째, 증인사전면담을 통해 얻은 정보는 반드시 피고인에게 알려야 하고, 면담기록은 피고인에게 송달되어야 한다. 여섯째, 검사는 증인에게 면담 목적을 정확하게 설명하고, 증인이 면담과 관련하여 하는 질문에 대하여 성실히 답해야 한다. 일곱째, 증인이 요청한다면 증인지원자와 동석할 수 있도록 한다. 여덟째, 검사는 면담 과정 중에 항상 객관적이고 공정함을 잃지 않아야 한다. 이외에도 증인사전면담이 올바르게 정착하기 위해서는 증인사전면담 방식에 대하여 검사를 대상으로 한 연수 및 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검사가 사전면담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근무시간을 보장하고, 행정적인 지원도 필요하다. Prosecutors need to interview witness before trial for the desirable testimony of the witness. During pre-trial witness interview(PTWI), prosecutors let the witness know about questions to make them testimony in natural way, and show them relative case files(documents) to bring back their memories. These pre-trial witness interview makes testimony of witness clear. PTWI consists of 'Witness Proofing' and 'Witness Familiarization'. Witness Familiarization has been used in recent criminal investigation. However, there is controversy over whether to admit Witness Proofing or not. PTWI contribute to discover the truth of the criminal cases in that it makes witness's testimony more convincing to the jury. On the other hand, PTWI has huge risk making the testimony distorted. UK(England and Whales) implemented PTWI on February, 2008 after going through pilot study and preliminary test in a real investigation for few years. UK prepared 『Pre-Trial Witness Interview: Code of Practice』 and 『Guidance for Prosecutors』. Controversy over the possibility of distortion of the witness testimony are settled in some extent by educating the practicing prosecutors and by making the process of PTWI transparent. In this respect, Korea needs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Pre-Trial Witness Interview for effective testimony in Civil Participation in Criminal Trial. However, PTWI should not distort or coach the testimony. To prevent distortion, PTWI has to be implemented by crystallizing the contents of testimony and supplementing missing parts. Moreover, prosecutors should not make the witness testify something against their memories, and clear guidelines are also needed. To introduce Pre-Trial Witness Interview, related provisions for PTWI needs to be provided in Criminal Procedural Law. In addition, guidelines for PTWI practice should be prepared, and it should include; 1) the decision of witness about whether to participate in PTWI or not should be voluntary. 2) PTWI is available only when judge and opposite party agree to the proposal. 3) Witness should be limited to victims or others having specific relation to the case. 4) The procedures of PTWI should be recorded in audio or video tape, or etc. 5) The supporters of witness should be together if witness asks. 6) Prosecutors should always maintain fair and disinterested attitude during PTWI. 7) Disciplinary training and education for prosecutors are needed.

      • KCI등재

        ‘증인-모티프’로 본 요한계시록 설교를 위한 제언: 기독론과 교회론을 중심으로

        이우제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4 복음과 실천신학 Vol.72 No.-

        안타깝게도 그동안 한국교회에서 요한계시록은 적지 않은 오해가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 대표적인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요한계시록을 지구호의 미래에 대한 일정표를 알려주는 종말론으로 취급한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요한계시록은 두려움과 공포의 책으로나, 그렇지 않으면 설교의 식단에 올리기를 기피하는 책으로 여겨진 것이사실이다. 요한계시록에 대한 올바른 설교는 요한계시록이 제시하고 있는 핵심주제에 대한 바른 이해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요한계시록에 대한올바른 읽기와 해석이 선행되지 않은 채 성경적인 설교를 한다는 것은어불성설이다.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요한계시록은 어떤 책인가? 요한계시록을 관통하는 핵심주제는 과연 무엇인가? 최근의 많은 학자들이 동의하는 것처럼, 요한계시록은 신앙공동체인 교회를 하나님 나라의 증인 사역으로 초대하는 책이라고 답 할 수있을 것이다. 한마디로 요한계시록의 핵심 주제에 증인 내지는 증인 모티프가 자리를 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교회의 증인 사역의 기초는 신실한 증인 되신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참된 증인이신 예수님을 따르는 제자도의 실천으로 교회가 증인의 사역을 펼쳐가는 것이기에, 예수님의 증인 사역(기독론)의 토대 위에서 교회의 증인 사역(교회론)이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증인 모티프에서도 역시 기독론과 교회론은밀접한 인과 관계를 갖게 된다. 이렇게 요한계시록을 지배하는 매우 중요한 핵심 주제라고 할 수 있는 증인 모티프에 대하여, 그동안 한국교회의 설교에서는 거의 논의를하지 않았다. 논의를 한다고 해도 고작 파편적이고 부분적으로 다룰 뿐이었다. 하여 본 논문의 목적은 기존의 요한계시록 설교의 한계를 넘어서는 대안으로 기독론과 교회론의 관점에서 증인 모티프로 통한 요한계시록의 바른 이해와 그에 따른 설교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Unfortunately, it is true that the Book of Revelation has been a considerable misunderstanding in Korean churche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is the treatment of the Book of Revelation as an eschatology that informs the future of the Earth. Given this situation, it is true that the Book of Revelations was regarded as a book of fear and panic, or a book that avoids putting it on the diet of sermons. A correct sermon on the Book of Revelation must begin with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ore themes presented by the Book of Revelation. It is absurd to preach in the Bible without proper rea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Revelation. If so, we must ask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kind of book is the Book of Revelation?? What is the core theme through the Book of Revelation? As many recent scholars agree, the Book of Revelation can be answered as a book that invites the church, a community of faith, to serve as a witness in the kingdom of God. In a word, it can be said that the witness or ‘witness motif’ is in place on the core theme of the Book of Revelations. The basis of the church’s witness ministry is Jesus Christ, who has become a faithful witness. Since the church conducts the witness ministry through the practice of the disciples who follow Jesus, the true witness, the church’s witness ministry (Ecclesiology)unfolds on the basis of Jesus’ witness ministry (Christology). In this way, even in the witness motif, Christology and Ecclesiology also have a close causal relationship. In the meantime, Korean churches have rarely discussed the witness motif, which can be said to be a very important key topic governing the Book of Revelation. Even if the discussion was made, it was only partially and fragmen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Book of Revelation through the witness motif and the preaching direction accordingly as an alternative that goes beyond the limits of the existing sermons of Book of Revelation.

      • KCI등재

        중요참고인 출석의무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참고인진술 확보방안의 제

        이희경 ( Hee Kyung Lee ) 한국형사정책학회 2014 刑事政策 Vol.26 No.2

        The testimony of a material witness in criminal investig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facts of a crime, proving guilt, and securing objective evidence. However, witness investigation depends on voluntary cooperation, leaving an investigative agency with no means to compel a witness`s presence and statement if a witness refused to cooperate. The Korean Department of Justice, in a 2010 pre-announcement of legislation, attempted to provide for this ability to compel the attendance of material witnesses. However, this bill never became law due to opposition stating that the bill violated the principle of voluntary cooperation and violated the rights of witnesses. However, the adoption of material witness compulsion remains an issue that may be reignited at any time for the cause of discovering substantive truth and processing cases in a timely manner. This paper therefore critically considers the arrest of material witness provisions in the Justice Department`s amendment bill. No doubt the Justice Department`s attempts to adopt legal means to compel the attendance of material witnesses is due to its usefulness for the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in addition to preexisting means to secure witness testimony such as evidence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to examine witnesses. However, the solution contemplated by the Justice Department violates the principle of voluntary cooperation, and also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pertaining to the suspect`s or defendant`s right to defense. Some call for adopting this compulsion of witnesses based on laws adopted by foreign jurisdictions, but these countries differ from Korea in their investigative environments, judicial systems, and the stature and authority of investigative agencies. The better alternative, therefore, is to raise the effectiveness of evidence preservation and applications to examine witnesses. In order to efficiently secure witness statements, the witness`s personal security must be guaranteed, measures must be taken so witnesses may be summoned and enter appearances conveniently, cost recompense made realistic through means such as day wages, and public consciousness raised through publicity and education so that witnesses will voluntarily cooperate with investig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