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편의 지혜시와 제왕시의 원근법과 통전성에 대한 연구: 시편 1-2권을 중심으로

        김희석 ( Kim Hee Suk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0 성경과신학 Vol.94 No.-

        본 논문의 목적은 시편 1권과 2권에 나타나는 제왕시와 지혜시의 배열의 상관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시편의 구성적 방법론 분야에서 제왕시와 지혜시의 연결관계는 주로 시편 각 권들의 이음새에 위치한 시편들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필자는 이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이음새가 아닌 각 권의 중간 부분들에 제왕시와 지혜시가 함께 배열된 경우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편 1권과 2권의 경우들 즉 시편 18편과 19편의 관계 및 48-51편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시편의 해석학적 서론인 시 1-2편은 ‘지혜시-제왕시’의 순서로 나타나며 전형적인 장르로서의 지혜시와 제왕시의 모습을 보이는데, 18-19편은 그 순서를 역순으로 뒤집어 ‘제왕시-지혜시’의 새로운 패턴을 구성해 낸다. 특별히 18편과 19편은 율법이라는 주제를 공통적으로 활용하게 되는데, 18편에서 소주제였던 율법이 19편에서는 중심주제로 나타나게 되어 19편은 18편이 보여주는 다윗언약적 요소에 대하여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결국 18-19편은 1-2편보다 훨씬 더 상호밀접한 관계적 양상을 드러낸다. 이러한 ‘제왕시-지혜시’ 순서의 패턴은 18-19편에서 기본적으로 확립되고, 42-48편과 49-51편의 연결관계에서 보다 포괄적으로 확장된다. 46편과 48편은 비록 전형적인 제왕시는 아니지만 시온시로서 다윗언약적인 요소를 다분히 지니고 있는데, 지혜시인 49편은 이러한 다윗언약적 관심을 전환시켜서 인생의 의미를 해설하고, 그 후 지혜적 요소가 강한 50편이 등장하여 율법의 실천을 강조한다. 시편 1권에서 시작된‘지혜시-제왕시’의 병렬적 배열은 1-2편의 전형적 패턴에서 시작하여 18-19편에서 ‘제왕시-지혜시’의 패턴으로 전환되면서 제왕시적인 요소와 지혜시적인 요소의 밀접성이 깊어진 것이며, 48-51편의 경우에서는 좀 더 확장된‘언약-지혜’의 패턴으로 발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편에 나타나는 제왕시-지혜시의 연결관계는 기계적이지 않으며, 시편의 거시적 흐름을 따라 다양하게 발전해 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편의 제왕시와 지혜시의 상호관계는 원근법적으로 멀고 가까움을 다양하게 표현하는 가운데 시편 각 권의 신학적 메시지를 구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This article purports to investigate the pairs of a royal psalm and a wisdom psalm in the contexts of books 1 and 2 of the Psalter. From the so-called compositional approach of the Psalter, scholars have understood that the pairs mainly occur at the seams of the books of the Psalter. I argue that the pairs also occur within the books of the Psalter, to which this study is devoted. Two cases are examined: Psalms 18-19 and Psalms 48-51. Psalms 1-2, which are considered a hermeneutical introduction to the Psalter, appear in the order of wisdom-royal and their genre classification is quite clear-cut. Then, Psalms 18-19 reverse the order into a ‘royal-wisdom pattern.’ More importantly, the theme of torah appears in the middle of Psalm 18 and then develops into the main theme of Psalm 19, with an theological implication that a wisdom psalm creates an interpretive context for an understanding of Davidic covenant in a royal psalm. Psalms 18 and 19 are juxtaposed with a closer relationship than the pairs of Psalms 1-2. This ‘royal-wisdom’ pattern is established in Psalms 18-19 and develops into a more expanded pattern in Psalms 48-51. Psalm 48, though it is not a typical royal psalm, brings up many aspects of Davidic covenant. Psalm 49, a wisdom psalm, turns the covenantal interest to a wisdom aspect regard- ing human identity before God. Then Psalm 50 comes with a strong interpretive interest in the theme of torah. The pattern of paring ‘wisdom-royal’ observed in Psalms 1-2 develops into a ‘royal-wisdom’ pattern with a closer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n once more develops into a expanded pattern: ‘covenantal-royal.’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of royal palms and wisdom psalms in the context of the Psalter makes diverse patterns, as the textual flows moves from Book 1 onward. The two elements, wisdom and royal, make development in terms of both distance and integration between the two, which functions to contribute to the theological message of the respective books of the Psalter.

      • KCI등재후보

        시편의 지혜시와 제왕시의 원근법과 통전성에 대한 연구: 시편 제3-5권을 중심으로

        김희석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0 구약논집 Vol.16 No.-

        This study purports to examine the progress and development of the pairs of wisdom psalms and royal psalms in books 3-5 of the Psalter. First, the pairs located at the seams of the books, Psalms 72-73, 89-90, and 106-107, which have been much studied from the compositional approach to the Psalter, are examined in a brief manner. Then, the pairs located within the books of the Psalter, which have rarely been noted, are investigated. Psalms 108-110 provide a specific way of fulfilling the Davidic covenant through the One who sits on the right hand of YHWH, and Psalms 111-112 state that YHWH's kingship is established by those who fear YHWH practicing His covenantal faithfulness. These two psalms show a case of expanding and developing the typical pattern of pairing wisdom psalm and royal psalm. Psalms 118 further develops the model of those who fear YHWH in Psalms 111-112 by utilizing the theme of the one who comes with the name of YHWH, then Psalm 119 explores on the themes of torah, covenantal faithfulness, and righteousness, to further develops the themes explained Psalms 111-112. Psalms 118-119 also expand and develop the pattern of pairing wisdom psalm and royal psalm. Psalms 144-145 are to be well noted. Psalm 144 begins as a royal psalms, incorporates the theme of wisdom, and then finalizes itself as a communal thanksgiving psalm. It also transforms individual covenantal element into a communal covenantal element with an emphasis on YHWH's kingship. Simply put, it incorporates wisdom element into royal element. Psalms 145 begins with declaration of YHWH's kingship, introduces hasidim who receive and practice YHWH's covenantal faithfulness. It provides a case of integration of royal element and wisdom element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YHWH and His faithful commun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attern of pairing wisdom psalm and royal psalm appears not only at the seams of the books of the Psalter, but also within the books of the Psalter. The pattern of pairing wisdom-royal order (Psalms 1-2) changes to royal-wisdom order, then moves in much diverse ways of relating royal psalm and wisdom psalm. At the seams of books 2-3, 3-4, and 4-5, the pairs provides introductions and conclusions of the books. Within book 5, the pattern is much more diversly developed and expanded. At last, Psalms 144-145 put together the wisdom element and royal element into one thematic entity, finalizing the process of integration in the flows of the Psalter. This integrated pattern once more appears in Psalm 149, and then the Psalter ends with an eschatological praise, Psalm 150. The pattern of pairing royal psalm and wisdom psalm is not working mechanically, yet continues to develop along the flow of the five books of the Psalter. The two difference genres provide progressiveness of distance and integration in terms of editing order, etymological connections, and thematic relations, as they move towards the end of the Psalter. 본 연구의 목적은 시편 3-5권에 나타난 제왕시와 지혜시의 병렬 패턴이 어떻게 변화, 발전해 나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편의 구성적 접근 연구로 인해 이미 잘 알려진 72-73편, 89-90편, 106-107편 등 각 권의 이음새 부분에 위치한 제왕시-지혜시 병렬 패턴을 간단히 살펴본 후, 학계에서 그간 잘 살펴보지 않았던 각 권의 내부에 존재하는 제왕시-지혜시의 병렬 패턴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108-110편은 여호와 왕권이 ‘보좌 우편의 주님’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다윗언약의 특별한 성취방식을 제시하며, 111-112편은 여호와의 왕권이 여호와의 인자하심을 닮은 여호와 경외자를 통해 이루어짐을 말함으로써, 기존의 제왕시-지혜시의 범주를 확장하고 변형하는 병렬 형태를 보여준다. 118편은 ‘여호와의 이름으로 오는 이’가 죽음 같은 고난을 이겨낸다는 주제를 사용함으로써 111-112편의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의 흐름을 이어받고, 119편은 율법의 중요성 및 언약적 성실성, 여호와의 의로우심 등의 주제를 다루어 111-112편을 확장시켰다. 118-119편 역시 제왕시-지혜시 병렬 패턴의 변형과 확장으로 이해된다. 144-145편은 제왕시-지혜시 병렬 패턴에서 있어서 특별하다. 144편은 제왕시로 시작하여 지혜시의 요소를 병합하며 공동체 감사시로 마쳐지고 언약의 요소들을 개인 다윗의 존재를 넘어서서 언약공동체의 중요성으로 확장하며, 여호와 왕권을 그 핵심주제로 자리매김시킴으로써 제왕시적 요소와 지혜시적인 요소를 통합시킨다. 145편은 여호와의 왕권을 선포하면서 시작하고, 여호와의 인자하심을 얻어 그 인자하심을 삶의 특성으로 품게 된 ‘하시딤’을 소개하며, 온 피조세계 가운데 하나님께서 다스리고 계심을 선언하여, 제왕시적 요소와 지혜시적 요소들을 여호와와 하시딤의 관계 안에서 통합한다. 그러므로 시편 전체에서 제왕시-지혜시의 병렬 패턴은 단순히 각 권의 이음새에서뿐 아니라, 각 권 내에서도 존재함이 분명하다. 지혜시-제왕시의 패턴으로 1-2편에서 등장한 이 병렬 관계는 이후에는 ‘제왕시-지혜시’ 순서의 패턴으로 전환되며, 서로 가까워지고 멀어지며 다양한 원근법적 방식으로 전개된다. 2-3권, 3-4권, 4-5권의 이음새에서 각 권의 결론과 서론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5권 내부에서는 이전보다 더 주제적으로 혹은 형식적으로 확장, 변형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그런 후 144-145편에서는 제왕시적 요소와 지혜시적 요소가 통합되고, 149편에서 그 통합적 요소를 다시 한 번 드러낸 후 150편에서 찬양시와 더불어 시편 전체를 마무리한다. 시편에서 제왕시-지혜시의 병렬 패턴은 기계적인 형태가 아니며, 시편 의 거시적 흐름을 따라 유기적으로 다양하게 발전하는데, 두 장르의 순서, 주제 및 어휘의 범주 및 연결 관계에서 다양한 형태가 드러나고,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원근의 다양성을 통해 5권의 결말부에서의 통합을 향해 나아간다.

      • 시편의 지혜시와 제왕시의 원근법과 통전성에 대한 연구 : 시편 3-5권을 중심으로

        김희석 한국성경신학회 2024 교회와 문화 Vol.5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시편 3-5권에 나타난 제왕시와 지혜시의 병렬 패턴이 어떻게 변화, 발전해 나가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편의 구 성적 접근 연구로 인해 이미 잘 알려진 72-73편, 89-90편, 106-107편 등 각 권의 이음새 부분에 위치한 제왕시-지혜시 병렬 패턴을 간단히 살펴본 후, 학계에서 그간 잘 살펴보지 않았던 각 권의 내부에 존재하는 제 왕시-지혜시의 병렬 패턴을 5권의 경우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108-110 편은 여호와 왕권이 ‘보좌 우편의 주님’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다윗언 약의 특별한 성취방식을 제시하며, 111-112편은 여호와의 왕권이 여호 와의 인자하심을 닮은 여호와 경외자를 통해 이루어짐을 말함으로써, 기존의 제왕시-지혜시의 범주를 확장하고 변형하는 병렬 형태를 보여준 다. 118편은 ‘여호와의 이름으로 오는 이’가 죽음 같은 고난을 이겨낸 다는 주제를 사용함으로써 111-112편의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의 흐름 을 이어받고, 119편은 율법의 중요성 및 언약적 성실성, 여호와의 의로 우심 등의 주제를 다루어 111-112편을 확장시켰다. 118-119편 역시 제왕 시-지혜시 병렬 패턴의 변형과 확장으로 이해된다. 144-145편은 제왕시- 지혜시 병렬 패턴에서 있어서 특별하다. 144편은 제왕시로 시작하여 지 혜시의 요소를 병합하며 공동체 감사시로 마쳐지고 언약의 요소들을 개인 다윗의 존재를 넘어서서 언약공동체의 중요성으로 확장하며, 여호 와 왕권을 그 핵심주제로 자리매김시킴으로써 제왕시적 요소와 지혜시 적인 요소를 통합시킨다. 145편은 여호와의 왕권을 선포하면서 시작하 고, 여호와의 인자하심을 얻어 그 인자하심을 삶의 특성으로 품게 된 ‘하시딤’을 소개하며, 온 피조세계 가운데 하나님께서 다스리고 계심을 선언하여, 제왕시적 요소와 지혜시적 요소들을 여호와와 하시딤의 관계 안에서 통합한다. 그러므로 시편 전체에서 제왕시-지혜시의 병렬 패턴은 단순히 각 권의 이음새에서뿐 아니라, 각 권 내에서도 존재함이 분명하다. 지혜시- 제왕시의 패턴으로 1-2편에서 등장한 이 병렬 관계는 이후에는 ‘제왕시- 지혜시’ 순서의 패턴으로 전환되며, 서로 가까워지고 멀어지며 다양한 원근법적 방식으로 전개된다. 2-3권, 3-4권, 4-5권의 이음새에서 각 권의 결론과 서론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5권 내부에서는 이전보다 더 주제적으로 혹은 형식적으로 확장, 변형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그 런 후 144-145편에서는 제왕시적 요소와 지혜시적 요소가 통합되고, 149편에서 그 통합적 요소를 다시 한 번 드러낸 후 150편에서 찬양시와 더불어 시편 전체를 마무리한다. 시편에서 제왕시-지혜시의 병렬 패턴 은 기계적인 형태가 아니며, 시편 의 거시적 흐름을 따라 유기적으로 다양하게 발전하는데, 두 장르의 순서, 주제 및 어휘의 범주 및 연결 관 계에서 다양한 형태가 드러나고,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원근의 다양성을 통해 5권의 결말부에서의 통합을 향해 나아간다. This study purports to examine the progress and development of the pairs of wisdom psalms and royal psalms in books 3-5 of the Psalter. First, the pairs located at the seams of the books, Psalms 72-73, 89-90, and 106-107, which have been much studied from the compositional approach to the Psalter, are examined in a brief manner. Then, the pairs located within the books of the Psalter, book 5 in particular, which have rarely been noted, are investigated. Psalms 108-110 provide a specific way of fulfilling the Davidic covenant through the One who sits on the right hand of YHWH, and Psalms 111-112 state that YHWH's kingship is established by those who fear YHWH practicing His covenantal faithfulness. These two psalms show a case of expanding and developing the typical pattern of pairing wisdom psalm and royal psalm. Psalm 118 further develops the model of those who fear YHWH in Psalms 111-112 by utilizing the theme of the one who comes with the name of YHWH, then Psalm 119 explores on the themes of torah, covenantal faithfulness, and righteousness, to further develop the themes explained Psalms 111-112. Psalms 118-119 also expand and develop the pattern of pairing wisdom psalm and royal psalm. Psalms 144-145 are to be well noted. Psalm 144 begins as a royal psalms, incorporates the theme of wisdom, and then finalizes itself as a communal thanksgiving psalm. It also transforms individual covenantal element into a communal covenantal element with an emphasis on YHWH's kingship. Simply put, it incorporates wisdom element into royal element. Psalm 145 begins with declaration of YHWH's kingship, introduces hasidim who receive and practice YHWH's covenantal faithfulness. It provides a case of integration of royal element and wisdom element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YHWH and His faithful commun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attern of pairing wisdom psalm and royal psalm appears not only at the seams of the books of the Psalter, but also within the books of the Psalter. The pattern of pairing wisdom-royal order (Psalms 1-2) changes to royal-wisdom order, then moves in much diverse ways of relating royal psalm and wisdom psalm. At the seams of books 2-3, 3-4, and 4-5, the pairs provides introductions and conclusions of the books. Within book 5, the pattern is much more diversly developed and expanded. At last, Psalms 144-145 put together the wisdom element and royal element into one thematic entity, finalizing the process of integration in the flows of the Psalter. This integrated pattern once more appears in Psalm 149, and then the Psalter ends with an eschatological praise, Psalm 150. The pattern of pairing royal psalm and wisdom psalm is not working mechanically, yet continues to develop along the flow of the five books of the Psalter. The two different genres provide progressiveness of distance and integration in terms of editing order, etymological connections, and thematic relations, as they move towards the end of the Psalter.

      • KCI등재

        지혜시와 제왕시의 짝으로 본 시편의 구성 연구 -제 1권(1-41편)을 중심으로-

        김정우,김진현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20 Canon&Culture Vol.14 No.2

        Based on our observation that the torah psalms and the royal psalms appear at the strategic seams of the Psalter as a psalm pair (twin psalms; Pss. 1-2, 18-19, 72-73, 89-90, 110-112, 118-119, 132-133 and 144-145), we have researched the probability of the Psalter having been edited in its final shaping with a central theme of the royal messiah as a devotee to the Torah. Due to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we have concentrated our research on the first book of the Psalter, specifically on Psalms 1-2, 18-19 and 40-41. When J. Wilson first proposed the final shape of the Psalter, he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editorial role of Pss. 40-41, since they are not regarded as a pair of royal and wisdom psalms. However, our study of both psalms, in terms of the status of the psalmists, key words and themes, allows us to label them as a “semi-wisdom psalm” (Ps. 40) and a “semi-royal psalm” (Ps. 41). If so,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the first book of the Psalter was shaped by a dual frame of wisdom and royal psalms (Pss. 1-2) and semi-wisdom and semi-royal psalms (Pss. 40-41). In order to decide the pair psalms, we formulated the following criteria: (1) genre correspondence, (2) lexical semantic correspondence, (3) image correspondence, (4) thematic correspondence and (5) editorial significance. We conclude that there is a progression of thought in the flow of the first book of the Psalms, from the messiah as a devotee of torah in his inauguration ceremony (Pss. 1-2), to the militant messiah as the holistic disciple of the torah (Pss. 18-19) and finally, to the messiah as the performer of the torah in his daily service. We expect that this categorization of the wisdom psalm and the royal psalm as a pair psalm in the final shape of the Psalter would significantly contribute to New Testament christology. 우리는 시편 전체에서 지혜시와 제왕시가 많은 경우 짝으로 나올 뿐 아니라 각 권을 시작하고 마무리하는 전략적 자리에 등장하고 있는 현상들을 관찰하면서(1-2, 18-19, 72-73, 89-90, 110-112, 118-119, 132-133, 144-145편), 시편의 신학이 ‘지혜자인 메시아 왕’, ‘메시아 왕인 지혜자’라는 중심 사상으로 편집되었을 가능성을 찾아 보려고 한다. 우리는 이 논문의 제한 때문에, 이 주제를 제 1권 중에서 1-2, 18-19, 40-41편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제랄드 윌슨이 한 권의 책으로서 시편의 최종적 모습(final shape)을 처음 다루었을 때 그는 제왕시들인 제 2, 72, 89편이 시편의 구성적 뼈대를 이룬다고 보았으므로, 제 1권을 마무리하는 두 시편인 40, 41편의 구성적 역할을 주목하지 않았다. 제 40, 41편은 엄밀한 의미에서 지혜시나 제왕시의 범주에 들지도 않는다. 그렇지만, 이 두 시편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사회적 위치, 어휘, 주제 등을 볼 때 이 시들은 각각 준-지혜시와 준-제왕시로 볼 수 있었다. 그렇다면, 제 1권은 지혜시(1편), 제왕시(2편), 준-지혜시(40편), 준-제왕시(41편)로 이중 프레임으로 짜여 있다. 우리는 ‘짝시’(pair psalms)를 이루는 기준으로, (1) 장르의 조응, (2) 어휘 의미론적 조응, (3) 이미지의 조응, (4) 주제의 조응, 그리고 (5) 구성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 기준에 따라 우리는 제 1권이 ‘토라의 헌신자, 메시아 왕의 이상’으로 시작하여(시편 1-2편), ‘토라의 온전한 제자, 메시아 왕의 우주적 승리’를 거쳐(시편 18-19편), ‘토라의 실천자, 메시아 왕의 간구’(시편 40-41편)로 주제가 점점 발전해 가는 것을 보았다. 시편에서 지혜시와 제왕시가 짝을 이루며 융합되는 현상은 이후 신약신학의 기독론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시편의 최근 연구 동향

        유윤종 한국구약학회 2009 구약논단 Vol.15 No.2

        Up to 1980, form criticism has dominated Psalms study. Following Gunkel and Mowinckel, many scholars tried to categorize genre of Psalm and find Sitz im Leben of individual psalms. But unfortunately it is found that there were so much limitation in defining specific structure of each genre and Sitz im Leben. But basic concept raised by form criticism cannot be ignored. In 1985, Gerald Wilson opened macro-approach to Psalms study. He tried to find final redactor's theological intention behind order of Masoretic Psalms 150. A lot of scholars joined in this trend of Psalms study. Thus extent of Psalms study became broadened. Currently Psalm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very diverse areas. In this study, the author pursues to categorize current Psalms study into five different trends. First, there are descendants of form/historical criticism in which H. Gunkel and S. Mowinckel had contributed a lot. C. Westermann criticized H. Gunkel, developed his own idea on genre of psalms, and tried to group differently from what Gunkel did. Gerstenberger has interest in Psalms' liturgical function. He categorized regular ritual (like festivals) and irregular ritual (like victory of war), supposed that ritual could be revised by socio-political change. He connected even wisdom psalms with ritual. He recognized that there were a lot of pre-exilic psalms without ritual connection, but later the ritual significance increased. Goulder, in his four books, attempted to answer historical questions raised by historical criticism. He tried to find proper date of some Psalms. He argued that prayers of David (Psalms 51-72) were written during David period, Psalms 120-134 during Nehemiah period, and Psalms 135-150 during Ezra period. Second, it was G. Wilson who opened the issue of shape of the psalter. Wilson maintained that an editor of psalter arranged MT Psalms 150 not arbitrarily, but intentionally. He tried to find theological intention laid behind order of MT 150 Psalms. After comparing ancient Sumerian and Qumran texts, Wilson argued that there was explicit editorial activity in the order of Psalms. He noted Psalms could be divided into two by books 1-3 and books 4-5. He argued that Psalm 89 accused God of not keeping the covenant between God and David, asked God to keep the covenant faithfully (Ps 89:46-51). It intended for getting hope of recovering the fate of Judah. The last two books were added later. They function as an answer to the question raised in books 1-3. He pointed out that in books 4-5 only God appeared as a king. He also noted that wisdom Psalms 1, 73, 90, 107 were placed in the head of books 1, 3, 4, 5. These wisdom Psalms led readers to read the book of Psalms in the perspective of torah. After Wilson, there were a lot of disputes on division of the Psalms, function of Psalm 1, theological intention of Psalms 1-150, and so on. Third, theology of Psalms has been a traditional topic in Psalms study. Kraus pursued various theological themes in the book of Psalms. Brueggemann, borrowing from Paul Ricoeur, categorized psychological status of human experiences into three steps: orientation, disorientation, and reorientation. Creation psalms, torah psalms, wisdom psalms, retribution psalms were originated from orientation, individual and communal lament psalms from disorientation, and praise and thanksgiving psalms from reorientation. While McCann sets basic concept of Psalms into torah “instruction,“ Mays put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to 'YHWH reigns.' Fourth,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ancient Near Eastern texts and the book of Psalms has been a dominant topic. The most interesting psalm between Egyptian text and Psalms is psalm 104. Dahood and Craigie pointed out the differences of two psalms as well as similarities. Knigge tried to fill the gap of time between two psalms. In Mesopotamia, a lot of prayers appeared from 2500 BCE to 539 BCE. The contents of prayers consist of laments and praises. Longman II... 이 글은 현재 진행중인 시편 연구의 흐름을 1) 역사적 양식비평, 2) 전체로서의 시편연구, 3) 시편신학, 4) 고대근동과 시편, 5) 기타로 분류하여 소개한 후, 2000년 후 점차로 다양해지는 시편 연구는 분류가 불가능할 만큼 복잡하다고 주장한다.

      • An Intertextual Reading of Psalm 111 and Psalm 112

        김희석 Presbyterian General Assembly Theological Seminary 2022 CHONGSHIN THEOLOGICAL JOURNAL Vol.27 No.-

        This study reads Psalms 111-112 intertextually, checking on their literary connections in terms of words, phrases, structures, and theological teachings. The analysis of this study brings up a couple of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salm 111 and Psalm 112. First, they share a good number of literary features, such as genre, structure, words, phrases, and so forth. This literary closeness between them must not be ignored, as these two psalms are juxta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How a word, a phrase, or a structure would make a contribution to reading the two psalms together should be given as much careful attention as possible. Second, and more importantly, the reason for juxtaposing these two psalms needs to be considered. Psalm 111 mainly aims to picture who YHWH is. The covenantal character is the main topic of the poem. Then, the literary resemblance of the one who fears YHWH, namely, the righteous person, reaches a theological implication in Psalm 112: He just looks like YHWH who does the righteous things. The reason for this resemblance is quite simple: that is just because he is the person who “fears” YHWH, and YHWH therefore blesses him. The literary resemblance turns out to be theological resemblance, being interpreted through the lens of wisdom. These two points provide a lesson for the readers of the Psalter. Psalms 111 and 112 are acrostic psalms in terms of form, and wisdom psalms in terms of genre, being placed in juxtaposition. Therefore, the readers of the Psalter should pay full attention in order to understand who the wise are, and who the righteous are. The wise, namely, the righteous, is the one who resembles YHWH’s character and practice it in everyday life, not only as an individual but also as a community of wisdom. Looking at the character of YHWH will have to result in mirroring His character in our daily life.

      • KCI등재후보

        예레미야 17:5-8과 시편 1:1-3의 관련성에 관한 언어학적 및 수사학적 연구

        장성길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0 구약논집 Vol.17 No.-

        The book of Jeremiah is free to use poetry and prose style freely, regardless of form in style, and, if necessary, the style of wisdom psalm. This study begins with the fact that various poetic images and metaphors from Psalm 1:1-3 are found in Jeremiah 17:5-8. In this study, I want to see how the style of wisdom psalm was used and how it was developed one step further in Jeremianic wisdom poetry. Ultimately, the message of Psalm 1 states that the wicked move hurriedly and decide entirely according to the human thought, but the righteous are those who move to God's wisdom, memorizing the Torah of God. In the book of Jeremiah, however, the speaker's attention shifts from ‘the life of the happy’ mentioned in Psalm 1 to the person who will receive God's blessing. Jeremiah 17:5-6 speaks of the cursed, and then verses 7-8 speak of the life of the blessed. in this respect, the cohesive structure of Jeremiah 17:5-8 is well organized rather then the text of Psalm 1. From the point of view of meaning, Psalm 1:1-3 is the focu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cked and the righteous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the wicked and the righteous. In Jeremiah chapter 17, the distinction between those who are cursed and those who are blessed depends on what they believe and trust.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o be the action of the mind. So, if the description of the righteous in Psalm 1:3 focuses on describing the condition of the tree from the observer's perspective, Jeremiah diagnoses and judges the action of the mind. In Jeremiah 17, Torah is no longer acting as a criterion between those who are cursed and those who are blessed. The focus was only on trusting Yahweh or not.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see that why the linguistic devices and the metaphors of Psalm 1:1-3 were used with the words of prophetic oracles in Jeremiah 17:5-8. The purpose is to emphasize the meaning of trusting Yahweh in the remnant of Judah and the children of the next generation. 예레미야서는 문체에 있어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시와 산문체를 자유자재로 쓰고 있으며 지혜시의 양식도 발견된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지혜(토라)시라 알려져 있는 시편 1편에 나오는 다양한 시적 이미지들과 은유적 장치들(metaphors)이 예레미야 17:5-8에서 발견된다는 사실에서 출발한다. 신탁을 선포하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는 예레미야서에 이러한 지혜시의 양식이 어떻게 쓰였으며, 한걸음 더 나아가 어떻게 발전해 나갔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시편 1편의 메시지는 의인과 악인의 대비를 통하여, 악인들은 분주하게 움직이며, 전적으로 인간의 지혜를 믿고 판단하지만, 의인은 하나님의 토라를 읊조리며, 하나님의 지혜로 움직이는 자들이라고 진술한다. 예레미야서에서는 시편 1편에서 말하던 ‘행복한 자’의 삶으로부터 화자의 관심이 하나님의 복(בּרךְ,바라흐)을 받을 자에게로 전환해간다. 예레미야 17:5-6은 먼저 저주받을 자에 대해 진술하고 있으며, 7-8절은 복을 받을 자의 삶에 대해서 말한다. 따라서 담화 구조에 있어서 예레미야서 17장이 시편 1편보다 어휘결속이 더 잘 되어 있는 문장이라 말할 수 있다. 의미론적 관점에서 볼 때, 시편 1:1-3은 악인과 의인의 대비를 통해 의인은 특별히 토라와 연결시킨 것이 초점이었다면, 예레미야 17장에서 저주 받을 자와 복 받을 자의 구분은 무엇을 믿고 신뢰하느냐에 달린 것이다. 즉 마음의 작용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이 시편과 비교했을 때, 발전해나간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시편 1편에서는 인간이 움직이는 동선을 따라 죄인들의 삶의 방식을 규정했다면, 의인은 시냇가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나무에 비유한다. 그래서 시편 1:3에서 의인에 대한 묘사는 관찰자의 시각에서 나무의 상태를 묘사하는데 초점을 두었다면, 예레미야서는 마음의 작용에 대해서 진단하고 판단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예레미야 17:5은 저주받을 자로 묘사되고 있으며, 그는 전적으로 인간을 신뢰하는 자이다. 한편 예레미야 17:7에서는 복 받을 자를 여호와를 신뢰하는 자로 묘사한다. 토라는 더 이상 저주받을 자와 복 받을 자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작용하지 않고 있다. 담화의 초점은 여호와를 신뢰하느냐에 달렸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는 여호와의 신탁을 주로 기록하고 있는 예레미야서 본문 속에 예레미야 17장과 같이 지혜서의 장르와 문예적 장치들이 신탁의 말씀들과 함께 쓰인 이유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성전 파괴와 예루살렘의 멸망이 임박한 시점에 이르러 남은 유다 백성들과 다음 시대를 위해 심판을 통한 회복의 메시지를 남기기 위한 목적에서다. 무엇이 이러한 파괴와 멸망을 지초하게 했는가를 미래의 세대가 분석하고 되새기도록 하기 위해서 지혜서의 장르를 쓴 것이며, 특별히 예레미야 17장은 시편 1편의 시적 담화의 구성과 이미지들을 겹쳐 사용함으로써 본문의 이해를 돕고 있다.

      • KCI등재후보

        시편 49편의 편집사적 이해

        박영준(Young Joon Park)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1 Canon&Culture Vol.5 No.2

        시편은 다양한 양식(Gattung)을 갖고 있다. 특히 궁켈(H. Gunkel)과 모빙겔(S. Mowinckel)은 이러한 시편의 양식을 이스라엘의 삶과 연관지어 연구, 분류하여 시편 연구에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그러나 궁켈과 모빙켈의 양식사 연구를 바탕으로 한 지금까지의 시편 연구가 시편의 연구에 큰 발전을 가져다 준 것은 사실이지만, 각각의 시편이 하나의 양식만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님을 우리는 명심해야 한다. 각각의 시편은 하나의 순수한 양식이 아닌 여러 가지 양식을 동시에 갖고 있다. 특히 만프레드 외밍(M. Oeming)은 이러한 시편 이해의 바탕 위에 시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본 논문은 기존의 궁켈과 모빙켈의 양식 비평 연구를 넘어서 시편49편을 양식 혼합과 본문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여, 시편 49편의 각 발전 단계의 배경과 동기 그리고 저자를 밝히는 것을 첫 번째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시편 49편을 본문 비평, 언어 비평, 자료 비평 그리고 편집 비평의 방법으로 분석하여 재구성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시편 49편이 세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두 번의 발전 단계를 거친다고 밝힌다. 이 시편의 원 형태는 탄원시이며(시 49:5-9, 16-19절), 그리고 후에 지혜 요소가 추가되고(시 49:1-4, 10-14절, 20절) 마지막으로 15절에 종말론적인 요소가 추가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시편 49편은 세 가지의 서로 다른 양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번의 편집사적 발전을 거친다. 첫번째 단계로써의 원 형태는 시편 49편 5-9절과 16-19절이며, 제의를 바탕으로 하는 성전 종사자에 의해 기원전 5-4세기에 형성되었다. 두 번째 단계는 기원전 3세기에 지혜 요소를 갖고 있는 1-4절과 10-14절, 20절이 지혜자에 의해 추가되었다. 세 번째 단계는 기원전 2-1세기에 종말론적 요소를 갖고 있는 15절이 추가되어 지금의 형태를 갖게 되었다. There is many form in psalm. especially, H. Gunkel and S. Mowinckel were study and classify it with life style of Israel. and it helps to promote psalm study. it is true that the study of H. Gunkel and S. Mowinckel bring progress to study psalm. but, we have to remember this-psalm’s form is not one type. each of the psalm has their own form. M. Oeming said-“psalm study is must to be based on these understanding of psalm.” This thesis over former criticism of Gunkel and Monwinckel’s one. and it approach to psalm chapter 49 in the sight of pattern mixture and progress of the text. and reveal these thing - background and motive of the progress, auther of the text. that is the first purpose. writer renew the psalm chapter 49 by analysis it in text criticism, language criticism, and redaction criticism. with these analysis, writer discover that the text is divided into three part. and there was two progress phase. this psalm’s basic form is about entreaty. (psalm 49:5-9 and verse 16-19). and then added some element of wisdom. last, in verse 15, added element of eschatology. Result of study is this-first, psalm 49 is performed in threepart. and there was two redactional progress. basic form of first phase is psalm 49:5-9. and about 5, 4 B. C, second phase is added. wisdom element by the wise. (verse 1-4, verse 10-14, 20) and third phase, in about 2, 1 B. C. added element of eschatology. and that’s the form of present psalm 49.

      • KCI등재

        시편의 경제 신학 및 경제 윤리에 관한 연구

        김태경(Tae Kyung Kim) 한국기독교학회 201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82 No.-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economic theology and economic ethic in the Psalm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several Psalms were investigated, in which the psalmist is identified himself as a poor and the issue of wealthy- poverty is discussed in the whole text. In particular, by analyzing each Text,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social-economic statue of the Psalmist, his enemy and his audience. In result, we discover that the economic theology and ethic in the Psalms is not one, but has various aspects. In particular, the economic theology has two dimensions, on the one hand the religious dimension, on the other hand the social-economic dimension. The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what follows. First, the theology of poverty on the religious dimension is divided itself into individual case and the collective case. Both of the cases is the poverty spiritually and morally idealized. And the poverty function, as the theological basis for the salvation of God. However, in the case of the individual poverty plays YHWH as a role of the emotional supporter. But in the case of collective poverty is YHWH a political king and judge for the whole World. Second, the Theology of poverty on the social-economic dimension has two different positions, whether the psalmist belongs to the lower-class or the rich-class. When the psalmist belongs to the lower-class, the psalmist appears to be deeply enraged against the rich-class. On the contrary, when the psalmist belongs to the rich- class, he requires to the lower-class not to be enraged against the rich-class. Furthermore, he requests to the rich-class the economic solidarity with the lower-class. In this point the psalmist offers not the concrete suggestions for the social-economic justice in the israelite society.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Psalms like other texts in the O.T. contributes for the discussion about the social-economic theology and ethic in the Israelite society.

      • 시편 1편과 잠언 2장으로 보는 이스라엘의 지혜

        이운령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지평 Vol.36 No.-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 이어늘 미련한 자는 지혜와 훈계를 멸시하느니라 (잠언 1장 7절) 우리는 신앙의 삶에서 하나님께 지혜를 구한다. 그리고 그 지혜를 이야기 할 때 잠언을 빼놓을 수 없다. 그러나 그 지혜는 잠언에서 뿐만 아니라 성경의 많은 부분에서 선한 사람의 복된 삶과 고난을 말하며 그 삶의 복과 고난의 맞물림 끝에 지혜를 말한다. 특히 시편은 많은 편수를 할애하여 지혜를 말하고 있으며 지혜시로 구분된 시편1편과 잠언 2장은 그 구조가 같은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포로 후기 고난 의 상황에서 공동체에게 하나님의 응답과 교훈을 주며 신앙을 고취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배치 되었된 시편은 그 시작인 1편에서 하나님을 경외할 것을 교 훈하며, 하나님 경외에서 나오는 자발적 율법의 실천으로 인애와 의를 계속해 서 행함으로 자신과 공동체를 세우는 자가 복있는 자이며 지혜로운 자임을 피 력한다. 잠언의 지혜 또한 여호와 경외를 우선하고 삶의 수평적 차원인 타인이나 자연세계와의 관계의 중요성을 말한다. 즉 지혜자는 여호와를 경외하고 교제 하며 여호와 경외를 통해 시작되는 경외와 거기서 파생되는 실천적 지혜인 신 중함을 가지고 공의와 의를 실천하는 모습으로 가정과 공동체를 세우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이 시편 1편과 잠언 2장의 주제와 목적은 한결같다. 즉 여호와를 경 외함으로 신앙과 가정과 공동체를 세우는 것이 이스라엘과 그 공동체들이 추 구해온 그들의 지혜이다. “The fear of the LORD is the foundation of knowledge; Fools despise wisdom and instruction.” (Proverbs 1:7). We ask God for wisdom in our life of faith. And when we talk about wisdom, we cannot leave out Proverbs. But that wisdom speaks not only in the book of Proverbs, but also in many places in the Bible, referring to the blessed life and suffering of a good man, and wisdom at the end of the interlocking of the blessings and sufferings of that life. In particular, the Psalms devote a large number of chapters to wisdom, and we can find that Psalm 1 and Proverbs 2, which are divided into wisdom poems, have the same structure. Strategically placed to inspire faith and to give God's answers, instruction, and faith to the community in the context of post-exile suffering, the Psalms begin in the first section with the instruction of the fear of God and declare that blessed are the ones who build themselves and the community by continuing to practice charity and righteousness through the voluntary practice of the law that comes out of the fear of God. The wisdom of Proverbs also speaks of the importance of prioritizing the fear of the Lord and the horizontal dimension of life, our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he natural world.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e wise is to fear and fellowship with the Lord, and to build families and communities in the form of practicing justice and righteousness with the fear of Jehovah and prudence, which is the practical wisdom derived from the fear of Jehovah. As shown above, the theme and purpose of Psalm 1 and Proverbs 2 are the same. In other words, building faith, families, and communities in the fear of the Lord is the wisdom that Israel and its communities have s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