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문화철학과 자신학화(self-theologizing)

        주광순 대동철학회 2021 大同哲學 Vol.94 No.-

        이 글은 자신학화(self-theologizing)를 상호문화철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한국의 보수적 선교학계에서 서구 신학의 전통을 벗어나서 스스로 신학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것이 자신학화이다. 한국 교회가 급속히 성장 하기는 했지만 그 신학은 서구 신학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신학적 식민주의이 다. 이런 처지를 벗어나기 위해서 히버트는 자신학화를 요청한다. 이것은 상호문화철학의 노력과 많이 유사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한편에서 서구 중심주의를 비판하고 자신의 상황 하에서 주체적으로 신학하려는 노력임과 동시에 다른 한편 극단적인 문화상대주의도 비판 하여 기독교를 사회적 유용성에 의해서만 평가하지 않고 그 정체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하 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자신학화가 신학을 상황화하지만 종교다원주의나 문화상대주의 는 반대한다. 상호문화철학적으로 볼 때 자신학화는 강자의 중심주의인 서구 중심주의 비판이면서도 약자의 중심주의인 민족주의 비판이기도 하다. 또한 그것은 식민 제국주의의 단일문화주 의에 반대하면서도 민족주의의 단일문화주의도 비판한다. 자신학화가 한쪽 극단인 경직된 절대주의인 비상황화(non-contextualization)와 다른 극단인 상대주의인 무비판적 상황 화를 모두 피하는 비판적 상황화이다. 이것도 역시 상호문화철학과 같은 생각이다. 비판적 상황화는 결국 초문화 신학을 목표로 한다. 초문화 신학은 개별 신학들이 자기 문화의 상 황 속에서 신학하는 것은 허용하면서도 문화적 다양성과 특수성을 초월해서 신학하려는 노력이다. 이것은 상호문화철학이 온건한 상대주의는 긍정하지만 보편을 지향하는 것과 일치한다. 다만 보편적인 초문화 신학의 실현 가능성은 의심스럽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ritically examine self-theologizing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philosophy. In the conservative missionary world in Korea, the need to study theology on its own outside the tradition of Western theology is emerging. It is self-theologizing. Although the Korean church has grown rapidly, its theology has not separated from Western theology. This is theological colonialism. In order to escape from this situation, Hebert asks for self-theologizing. This is very similar to the efforts of intercultural philosophy. This is because, on the one hand, it is an effort to criticize Western-centrism and theologize subjectively under one s own circumstances, and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hand, an effort to criticize extreme cultural relativism, trying to maintain its identity without evaluating Christianity only by its social usefulness. In other words, selftheologizing contextualizes theology, but opposes religious pluralism or cultural relativism. In terms of intercultural philosophy, self-theologizing means a criticism of Western-centrism, which is the centrism of the strong, and nationalism, which is the centrism of the weak. It also opposes the monoculturalism of colonial imperialism and criticizes the monoculturalism of nationalism. Selftheologizing is a critical contextualization that avoids both non-contextualization, which is rigid absolutism, which is one extreme, and uncritical contextualization, which is relativism, which is the other. This is also the same idea as intercultural philosophy. Critical contextualization ultimately aims at transcultural theology. Transcultural theology is an effort to transcend cultural diversity and specificity while allowing individual theology to theologize in the context of their own culture. This is consistent with intercultural philosophy affirming moderate relativism but aiming for universality. However,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universal transcultural theology is doubtful.

      • KCI등재

        어거스틴(St. Augustine)의 H삼위일체론(De Trinitate)H에서 Substantia에서 Essentia로 변화에 대한 연구: 보편교회 신앙의 틀 안에서

        김용준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2 성경과신학 Vol.104 No.-

        St. Augustinus had settled New Trinitarian formula by using essentia instead of substantia which was used in Latin Theology traditionally. However, several misunderstandings about Augustin’s settlement occurs. On the basis of it, some indicate a negative inclination about Augustin’s usage of essentia and substantia. However, Augustine’s purpose of using of essentia does not establish his own theological programm, but settle the uninversal and biblical faith in latin[western] church. Firstly, in regarding substantia and essentia, the western Church tends to use better substantia than essentia. not only because are there several con- fusion in the greek term ‘ousia’ in usage of Philosophy, but also Bible uses greek ward hypostasis directly.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a pref- erence of using hypostasis in the eastern church avoids a danger of Aristotelian usage of two ‘ousiai’. Secondly, Augustine’s usage of both sub- stantia and essentia meets with two problems. First of all, Augustinus is not good at eastern church fathers’ theology and Greek language. Therefore(second), He does not understand Latin terms ‘essentia’ and ‘substantia.’ However, it is not reasonable[acceptable]. This derives just the misconception about Augustine. Thirdly, Augustine’s use of latin term ‘essentia’ shows a shift to the formula of the universal Church. He argued that the substantia used in Latin theology should be replaced with essentia from the greek word ‘ousia’ established by Eastern theology. According to the Council’s decision, the Western Church should also use the ‘essentia,’ which has been from ‘ousia’. He does not deny that essentia and substantia mean the same thing, but rather that confusion of terms should be avoided according to the decision of the universal Church. In conclusion, the meaning of essetntia used by Augustine is not an attempt to establish a new theology, but an attempt to harmonize Western and Eastern theology on the basis of the decisions of the universal Church. Therefore, Augustine’s doctrine of the Trinity was a work for the unity of Eastern and Western Theology. 어거스틴은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용어인 substantia 대신에 essentia를 사용함 으로써 라틴 신학의 삼위일체 신학의 새로운 공식을 정립하였다. 그러나 이 러한 어거스틴의 이해에는 몇가지 오해가 발생했고, 이 오해로 인해서 어거 스틴의 essentia 사용에 부정적인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어거스틴은 자신 의 신학적 정립이 아니라, 공교회의 보편적 신앙과 성경적 신앙으로 확립과 교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substantia와 essentia라는 용어에 있어서 서방 교회는 철학적인 문제로 인해 essentia보다는 substantia를 선호하였다. 이는 우시아가 가지고 있었던 철학적 혼돈 때문이었을 뿐만 아니라, 성경이 ‘휘포스타시스’라는 용어를 직 접적으로 사용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동방교회에서 ‘휘포스타시스’사용에 대한 선호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사용한 ‘두 우시아’들에 대한 위험에 기초한 다. 둘째, 어거스틴에게 나타나는 substantia와 essentia의 사용은 두 가지 문제 에 직면한다. 우선적으로 어거스틴이 동방 교부들과 헬라어에 익숙하지 못 했다는 것이며, 따라서(두번째) essentia와 substantia를 잘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어거스틴에 대한 오해로부터 기인한 것일 뿐이다. 셋째, 어거스틴의 essentia의 사용은 공교회의 공식으로 전환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는 라틴 신학이 사용하는 substantia는 동방 신학이 정립한 ‘우시아’에서 온 essentia로 대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공의회의 결정을 따라, 서방교회도 ‘우 시아’로부터 온 essentia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essentia와 substantia 가 동일한 의미라는 것에 대해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공교회의 결정에 따라 용어들의 혼동을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어거스틴이 사용한 essetntia의 의미는 새로운 신학을 세우려는 시도가 아니라, 공교회의 결정으로부터 동방과 서방 신학의 일치를 위한 시 도이다. 그러므로 어거스틴의 삼위일체론은 동방과 서방 신학의 일치를 위 한 작업이었다.

      • KCI등재

        한국 교회에서의 교회사 교육과 연구: 1900-1960년대까지

        이상규 ( Sang Gyoo Lee ) 한국개혁신학회 2015 한국개혁신학 Vol.45 No.-

        이 논문은 한국에서의 교회사, 특히 서양교회사 연구사 혹은 교회사학사에 대한 최초의 시도로써, 190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서양교회사 교육과 연구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를 장로교회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한국에서는 두 가지 통로, 곧 선교사들을 통한 기독교적 환경과 식민지 교육의 일환으로 전개된 일본 학계의 영향으로 서양사를 인식하기 시작했다. 교음으로 교수되기 시작하여 1940년대까지 왕길지(G. Engel), 부두일(William Foot), 업아력(Alexander Robb) 등 선교사들이 교회사 교수와 연구를 주도하였다. 비록 1920년대 이후 한국에서 서양교회사에 대한 관심이 일기 시작하고, 영문 혹은 일문 서적들이 역간되었지만서양교회사 인식에는 카시와이 앤(柏井園) 등 일본인 학자들의 영향이 컸다. 이것은 일반 사학계도 마찬가지였다. 이 시기 역사학을 가르친 이들 대부분이 일본에서 수학한 이들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회사의 여러 용어들도 일본의 번역을 따랐다. 해방 후에도 선교사들이 교회사 교육을 주도하였고, 1950년대까지 한국 교회는 교회사학자를 배출하지 못했다. 이때까지 교회사는 성경신학 혹은 교의학의 보조 학문 정도에 불과했다. 1960년대에 비로서 교회사 전공학자가 배출되었고, 이 시기에 와서 한태동, 이장식 등에 의해 교회사가 학문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여 1970년대 이후 교회사학 연구의 기초를 정립하게 된다. 1960년대는 한국에서 교회사 연구의 정초기였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 점을 사료와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다. As the first written article on the history of the study of church history or historiography in Korea, this paper examined the history of Western church studies in Korea from 1900``s to 1960``s, especially regarding Presbyterian circles. Koreans`` awareness of Western church history comes from two channels, that is, by early missionaries who engaged in Christian education, and by Japanese imperialism as a tool of colonial education. Church history was taught for the first time at the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in Pyungyang from its establishment in 1902, and missionary professors such as Gelson Engel, William Foot, and Alexander Robb were the main figures who led research and education of church history until 1945 when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ese occupation. Although there was some interest to study church history among Korean Christians from 1920``s, church history was not studied scientifically. It was considered an auxiliary course or subject to other disciplines of theology. Under the Japanese rule, Japanese books such as Kasiwai Enn(柏 井員)``s A History of Christian Church (基督敎會史) were the main textbook for Korean seminarians. Consequentially in understanding of church history, Japanese inf luence especially in 1920``s to 1930``s were dominant and shaped Korean terminology such as ``Reformation``(종교개혁), ``indulgence``(면죄부). Until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e, Korean church failed to produce degree awarded church historians. As a result, foreign missionaries still led teaching and writings of church history until 1950``s. In 1960``s church history in Korea gained its rightful place in theological institutions. The first two scholars Dr. Tae Dong Han and Jang Sik Lee, who earned doctorate in the field of Western church history, were invited to teach at the theological institutions and thus laid the foundation of church history studies and teaching in Korea. Therefore, 1960``s were formative period in the process of church history studies.

      • KCI등재

        현대 신학 담론에 대한 ‘트리컨티넨탈리즘’ 의 도전

        방연상(Pang Samuel Y.)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3 신학사상 Vol.0 No.163

        이 글은 기독교 선교의 결과로 비서구 지역을 중심으로 새롭게 형성되고 있는 세계 기독교에 대한 논의 및 이해를 포스트 식민담론(postcolonial discourse)을 통해 모색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나아갈 기독교 선교의 담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남반구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새로운 기독교의 등장은 기독교 신학의 지형의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을 뿐 아니라 새로운 정체성에 대한 담론을 제시한다. 기독교의 새로운 중심으로 등장하는 포스트 식민주의 주체에 대한 논의와 이를 통하여 기독교의 서구 중심성을 비판하는 한편, 새로운 신학적 지도를 작성하고 위치를 재설정하여, 다름(difference)과 타자들이 함께 공존하는 공간을 형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포스트 식민주의 담론을 해석의 도구로 사용하여 새로운 인식체계와 구조를 제안하고, 존재론과 본질론에 내재되는 폭력성을 지적하면서, 포스트 식민주의 담론을 통한 ‘혼종적 혹은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정치’ 를 제안한다. 이는 정체성을 투쟁과 저항의 도구로써, 한편으로는 조합과 대화, 그리고 연대의 도구로 사용하여 이를 윤리적인 주체의 원동력으로 제시할 뿐 아니라 신자유주의 시대에 대한 저항과 대안의 담론으로 트리컨티넨탈 신학을 제안한다. This is to articulate about the emerging World Christianity in the non-Western world, as a result of modern missionary movement, and to reflect the future Christian missions through Tricontinetal (Africa • Asis • Latin America) postcolonial discourse. And it is to indicate that the emergence of Christianity in non-Western world has brought a radical shift in the theological terrain, suggesting a new discourse on Christian identity.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articulate the postcolonial subjects as new subjects, in critically evaluating the euro-centric ideology within Christianity, and to suggest a new map for theological imagination creating a space for 'others and differences.' For this, it attempts to facilitate the postcolonial discourse as a hermeneutical tool to expose the innate structural violence within the essentialism and ontology,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way of doing theology. Therefore, in this sense, by articulating 'the politics based on hybrid or diasporaic identity' as the mean of resistance as well as of dialogue and mutual cooperation in solidarity, new tricontinental subject is constructed to resist the dominant ideology of "nee-liberal globalization" and to provide an alternative discourse for theology today.

      • KCI등재

        ‘천주’ (天主)와 ‘상제’ (上帝): 다산 정약용에서의 천주교와 유교 그리고 정치적 사유

        김석근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4 No.-

        Tianzhu[天主] was a translated word and a new term. It is a Chinese translation of the Latin word 'Deus', which means God. When Matteo Ricci’s 『天主實義』 was published in China, it became a Chinese character.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intellectuals, ‘Tian’[天] was enough. This article focuses on how ‘Catholicism’ and ‘Confucianism’ are connected in Dasan Jeong Yak-yong, and how ‘Political thinking’ works in his life and thoughts. In the Confucian Joseon society, Jeong Yak-yong declared a break from ‘Western Studies’[西學], Catholicism. He couldn't use the term 'Tianzhu'. But through his experience in Western Studies, he accepted the attributes of a personal God, that is, omnipotence, and ubiquitous being. Jeong Yak- yong's perception is meant to be a criticism of the real world he encounters every day. He realized that the traditional moral system, in other words, Neo Confucianism[朱子學] based on Li[理] and Taegeuk[太極], was not able to control the World no longer. It can be said to be a ‘Confucian theology’ that reconstructed Confucianism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a personal God. 이 글은 다산 정약용에서 ‘천주교’와 ‘유교’가 어떻게 이어지고 있으며, 또 그속에서 ‘정치적인 사유’는 어떻게 작동했는가 하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는 천주교를 통해서 무엇을 알게 되었으며 어떤 지적인 자극을 받았는가, 그리고 그와 관련해서 정치적 사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것이다. 하나의 실마리로 ‘天主’와 ‘上帝’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天主’는 번역어로서 새로운 조어(造語, coinage)였다. 라틴어 'Deus'를 중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天主實義』를 통해서 한자어로 자리잡았다. ‘天主’는 곧 ‘上帝’라는 식으로 설명했다. 상제는 중국 고전에 나오는 단어였다. 다산은 현실 속에서 천주교, 서학과의 단절을 선언했다. 그는 ‘천주’라는 용어를 쓸 수 없었다. 하지만새로운 인식의 지평을 얻을 수 있었다. 그는 마테오 리치의 ‘천주’(혹은 ‘상제’)관을 참조하면서도, 인격적인 상제, 전지, 전능, 편재한 상제의 속성만을 받아들였다. 그는 삼라만상을 주재하고, 안양하며, 실질적으로 감독하는 상제를 상정했다. 그 같은 인식은 유교라는 큰 틀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주재자, 인격신 상제[제3의 인격신]를 도입한 유교적 신학체계라 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것은 현실에 대한 ‘비판’임과 동시에 다산의 거시적인 정치적 사유의 일단을 보여주는것이기도 했다.

      • KCI등재

        Rethinking the Jesuit Missionary Paradigm in China and Its Influence on Korean Confucian Scholars

        조현범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9 다산학 Vol.- No.34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paradigm from which the activities of Jesuit missionaries in China such as Ricci originated. Ricci’s paradigm existed within the framework of medieval scholastic theology. It was based on Aquinas’ natural theology, according to which not only the church and the Bible but also nature, or the world of creatures, bore traces of divine revelation and, through rational pursuit of the latter, knowledge of God could be obtained. Consequently, in Jesuit missionaries’ consciousness, there was no logic distinguishing between religious knowledge and scientific knowledge.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records on their theological positions, contents of their education, and their missionary activities in China. Also the present study has reviewed the Korean Confucians and “Western Learning.” They can’t be explained through a distinction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Most existing discussions have presented the interpretation that Korean Confucians accepted contents related to science from “Western Learning” books but denounced contents reflecting religious teachings. Consequently, the present study has suggested a need to interpret the situation by using the language of Korean Confucian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emselves. This language consists of the terms “study of names, referents, degrees, and numbers” and “learning for oneself.”

      • KCI등재

        한국 개신교 초기 선교사들의 비정치화신학의 문제

        황재범(Hwang, Jae-Buhm) 한국종교학회 2010 宗敎硏究 Vol.59 No.-

        The problem of depoliticization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by Western missionaries to Korea has been an important theological issue for many Korean theologians. Yet there has been no in-depth study of how a Western missionary in Korea did his or her theology of depoliticization. This study examines how Rev. James S. Gale, one of the leading Western missionaries to Korea, did his theology of depoliticization around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Having worked 10 years in Korea since 1888, Gale had quite a negative attitude toward Koreans in general. He believed that Korean Christianity led by Western missionaries might make a good contribution for social change in Korea, and he was not yet insisting on a clear-cut separation of the state and the church. By 1903, however, Gale had experienced political turmoils in Korea, and eventually he also spoke of the danger of a Korean Christians participation in the political matter. He did not yet clearly talked about theology of depoliticization. And it was in his seminal book Korea in Transition published in 1909 that he clearly and emphatically spoke of his theology of depoliticization for the Korean churches. Rev. Gale emphasized two outstanding concepts for his theology of depoliticization: that Koreas political demise is an opportunity for Korean Christianity, and that instead of the dethroned Korean king (Kojong) has Jesus Christ been given as King for Koreans. These concepts obviously have some implications for depoliticization. First, they subject Korean Christianity to a political condition of Korea. Second, they foster Korean Christians’ political apathy, for they believe that they have nothing to do with such a political matter as Korea’s political demise, which is believed to be done by God. Third, they make Korean Christians mystify and spiritualize their political entities. Fourth, they make Korean Christians focus on spiritual and other-worldly matters.

      • KCI등재후보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안목으로 바라 본 실제적인 설교 작성법 계발 - 한국교회를 위한 탁구대 설교 작성법 -

        전태경 ( Jun Tae Kyung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8 생명과 말씀 Vol.21 No.-

        본 논문의 목적은‘오직 성경’(Sola Scriptura) 중심인 개혁주의생명신학적 설교를 향한 실제적인 설교 작성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한국교회 강단에 적합한 표준적인 설교 작성법이 세워지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설교자들이 개혁주의생명신학적 설교로 진일보할 수 있도록 한국교회를 위한 탁구대 설교 작성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이를 논증하기 위해, 필자는 우선, 서구적 관점의 설교 작성법과 한국형 설교 작성법의 두 가지 측면을 비교 분석하며 논문을 전개할 것이다. 첫째로는, 서구적 관점의 설교 작성법인 그레이다누스의 10단계 설교 작성법, 로빈슨의 강해설교 작성법, 또한 리차드의 7단계 설교 작성법, 알렌의 설교 패턴과 퀵의 설교 전방위 설교 과정, 맥딜의 강해설교를 위한 12가지 필수 과정, 윌슨의‘네 페이지 설교’의 설교 작성법 등을 제시 및 분석할 것이다. 이와 같은 대표적인 설교 작성법들은 이미 한국교회 뿐 아니라 전 세계 설교의 표준이 될 정도로 검증된 훌륭한 설교 작성법들이다. 필자의 한국교회를 위한 탁구대 설교 작성법도 이들의 설교학적 연구를 따랐으며 깊은 영향을 받았음을 밝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모두의 공통점은 서구적 관점과 서구권 설교 문화의 영역으로부터 시작된 설교학적 연구에서 비롯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많은 한국교회 설교자들이 이와 같은 서구적 관점의 설교 작성법들을 연구한 후, 자신의 설교 현장에 직접 적용하며 접목시키는데 어려움을 느끼거나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마치 멋진 이론과 실제가 다른 것처럼 말이다. 이로 인해 여전히 한국교회 설교자들은 어떤 정해진 표준적인 설교 작성법을 따르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여기저기에서 설교 작성의 좋은 장점만을 끌어다가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이유들로 인해, 설교의 순발력과 기술은 늘지 모르지만, 지속적인 설교의 발전과 설교의 깊이와 영향력은 점점 바닥을 드러내며 고갈된다. 그 결과, 교회 강단에서 설교자의 주장과 의견이 많아지게 되며, 오직 성장만을 위한 인기 위주의 소비중심적-인간중심적인 설교 또는 도덕주의적 설교로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한국교회의 특수성과 차이를 감안하여 실천 가능한 개혁주의생명신학적 설교 작성법(탁구대 설교 작성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또한 서구적 관점의 설교 작성법을 수용하고 조금 더 발전시킨 설교 작성법이다. 그럼에도 필자는 이 설교 작성법을 통해 한국교회 강단에 생명의 복음이 회복되기를 소망한다. 마치 탁구 선수가 모든 힘을 다해 스매싱하여 작은 탁구공이 힘차게 왼쪽, 오른쪽으로 생명력 있게 날아오르듯, 차가워 져버린 개혁주의 신학이, 영적인 생명력을 회복하고, 설교자와 청중의 삶에서 생명력 있는 삶을 실천할 수 있는‘개혁주의생명신학적 설교’로 자라나기를 소망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lies in suggesting a practical method of sermon towards a Reformed Life-theological sermon which is centered on the ‘Sola Scriptura. ’I wish that this article woul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n adequate and standard homiletic method in the pulpits of Korean churches. In this article, I will suggest a concrete way of drafting a Ping-pong Table Sermon Method for Korean churches. In doing this, my purpose lies in helping the preachers to enhance their sermons into a Reformed Life-theological ones. In order to establish the method, firstly I will compare and analyse the ways of sermon-making in the Western perspective and Korean one. First of all, I will explain and analyse various Western approaches of sermon-making, such as Greidanus’s ten-step approach and Robinson’s expository sermon making, Richard’s seven-step approach, Allen’s sermon pattern and Quick’s 360 degree sermon process, McDeal’s twelve essential processes for expository preaching, and Wilson’s ‘four page sermon method.’ Such representative sermon-making methods have already been proven to be a world-standard for preaching and also in Korean churches. I also followed and have been deeply influenced by their homiletic insights in constructing the Ping-pong Table sermon-making method. Nevertheless, it cannot be denied that all of their approaches originated from the Western point of view and from the Western culture of homiletics. In other words, many Korean preachers experience difficulties or limitations when they try to apply such Western approaches into their own fields after studying these methods. It is like there is a gap between a fine theory and the real situations. Due to this problem, a lot of Korean preachers still tend to choose some good points here and there depending upon their situations, rather than following some standard ways of making sermons. For these reasons, while they might be able to increase homiletic techniques and agility, they fail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ir sermons. The depth and influence of their sermons gradually become exhausted. As a result, the preachers’ own arguments and opinions gradually occupy more time at the pulpit, and their sermons become degraded into a consumer-focused and human-centered ones, which aim only at church growth and popularity, or a moralistic ones. Therefore, considering these peculiar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n churches, I want to suggest a practicable method of Reformed Life-theological sermon-making (Ping-pong Table sermon method). This method is also one which adopts and develops the western perspective of sermon-making, but I hope that the Korean pulpits could restore the Gospel of Life by virtue of this method. When a ping-pong player smashes a small ball with all his might, it vigorously storms upward right and left. In a similar way, while the Reformed theology is growing cold and inanimate in the present situation, I hope that it might restore spiritual energy by virtue of this method; I wish that the preachers could deliver ‘the Reformed Life-theological sermons’ which might encourage a living faith in the lives of the preachers themselves and their audiences.

      • KCI등재후보

        데리다의 해체주의에 대한 기독교철학적 비판

        신경수 ( Shin Kyung-soo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8 기독교철학 Vol.25 No.-

        본 논문은 도여베르트의 기독교철학을 통해 데리다의 해체주의와 비현전의 형이상학으로서 부정신학 논의를 비판할 것이다. 데리다는 서양형이상학에 대해 직접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포스트모더니즘에 본질적 당위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다른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자들에 비해 그 중요성이 두드러진다. 도여베르트는 개혁주의 사상가로서 신칼빈주의 사상을 철학적으로 발전시키고, 창조·타락·구속의 구조를 우주법 이론으로 체계화했다. 특히 도여베르트의 기독교철학은 서양 철학 일반에 대해 신학적 접근이 아닌 철학적으로 비판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서양 철학에 대해 신학적 접근을 통한 외재적 비판에 그치지 않고 철학적 접근을 통해 서양 철학이 내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전제의 문제를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데리다의 해체주의는 도여베르트의 기독교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수용 가능한 부분과 비판해야 할 부분이 혼재되어 있다. 해체주의의 수용 가능한 부분은 해체주의가 서양 형이상학이 누렸던 과도한 지위를 비판하고 무력화 시킨다는 점과 대표적인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자인 데리다가 자신의 이론을 설명하면서 암묵적으로 신을 상정한다는 점이다. 반면 기독교철학의 관점에서 볼 때 해체주의의 한계는 데리다가 해체주의를 통해 의미의 비결정성을 전제하고 서양 형이상학 전체에 적용함으로써 선험적 독단의 형태를 드러낸다는 점과 비현전의 특성상 데리다가 전개하는 형이상학의 모습은 항상 애매한 모습으로 남아있게 된다는 점, 그리고 데리다가 부정신학적 논의에서 ‘흔적’ 같은 개념을 쓰면서 신적인 존재에 대해 암시하지만 신적 진리를 추구하기보다는 애써 형이상학의 허구성을 드러내는 데 그치고 만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기독교와 포스트모더니즘은 공존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며 기독교철학이 포스트모더니즘의 한계를 드러내면서도 그 통찰력은 포섭하는 방향으로 검토되고 논의되어야 한다. This thesis will criticize Jacque Derrida(1930-2004)'s Deconstructivism and non-contemporary metaphysics through the Doctrine of Christian philosophy. Derrida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postmodern philosophers because it provides an essential justification for postmodernism by attempting to directly analyze Western metaphysics. Herman Dooyeweerd(1894-1977), as a reformist thinker, philosophically developed the ideas of neo-Calvinism and systemized the structure of creation, degeneration, and redemption in the theory of universal law. In particular, Dooyeweerd's Christian philosophy is meaningful in that he criticizes philosophy rather than the theological approach to Western philosophy in general. Most importantly, it criticizes the problem of the premise which Western philosophy inherently possesses through the philosophical approach, rather than the external criticism through the theological approach to the Western philosophy, and suggests an alternative. Derrida's Deconstructivism is a combination of acceptable and criticized aspects from the Christian philosophical point of view of. An acceptable part of Deconstructivism is that Deconstructivism criticizes and neutralizes the excessive status enjoyed by Western metaphysics, and that a typical postmodern philosopher, Derrida, implicitly declares God as he explains his theory. On the other hand, the limit of Deconstructivism from the viewpoint of Christian philosophy is that Derrida reveals the form of a priori consciousness by presupposing the indeterminism of meaning through Deconstructivism and applying it to the western metaphysics as a whole and the metaphysical theory developed by Derrida and the fact that Derrida suggests a divine being while using concepts such as "traces" in his psychoanalytic discourse, but rather than revealing the fictitious nature of metaphysics rather than seeking divine truth to be.

      • KCI등재

        A Study of Theological Development of Eucharistic Change in Early Christian Church

        김형락 ( Hyeong-rak Kim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6 대학과 선교 Vol.32 No.-

        성찬예전은 기독교 역사상 예배안에서 신학적 주제로나 실제 예배의 상황 안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겨져 왔는데 그 이유는 성찬에서 떡과 포도주의 변화가 기독교인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임재에 관한 믿음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기독교 성찬예전 안에서 기독교인들은 떡과 포도주가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인식되어지는 신비로운 경험에 참여하게 된다. 많은 신학자들과 목회자들은 이 신비한 예식을 이단과 핍박 그리고 철학적인 입장들의 환경 안에서 설명해왔다. 이 연구에서 필자는 초기 기독교 예배 안에서 떡과 포도주의 변화에 관한 교리의 신학적 발전에 관한 짧은 역사를 기술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초기 기독교 역사를 통해 성찬의 변화에 관한 중요한 학자들의 주장이나 성찬기도문들을 연구하였다. 예를 들면 안디옥의 이그나티우스, 순교자 유스티누스, 리용의 이레니우스, 요한 크리스소토무스의 성찬 기도문, 예루살렘의 키릴루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밀라노의 암브로시우스, 그리고 아우구스티누스 같은 학자들이다. 그리고 필자는 이 연구의 정리와 함께 연구를 통한 초기 기독교의 성찬 변화의 발전에 관한 결론을 제시하였다. Eucharist has been regarded as a very crucial element in both theological theme and the actual worship services in Christian history because eucharistic change offers the belief of the presence of Christ for Christians. Within Christian eucharistic service, Christians have believed that they could participate in the mystic experience of transformation from the bread and wine to the flesh and blood of Christ. Many theologians and Christian ministers have tried to explain this mystic ritual in the environment of heresies, persecutions, and philosophical positions. In this essay, I deal with a brief history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theological implications focused on eucharistic change in early Christianity, describing the most distinctive theologians` perspectives of eucharistic change or particular eucharistic prayer, which describe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eucharistic change throughout the early Christian history. Those theologians are Ignatius of Antioch, Justin Martyr, Irenaeus of Lyon, the Anaphora of John Chrysostom, Cyril of Jerusalem, Clement of Alexandria, Ambrose of Milan, and Augustine of Hippo. Then, finally, I summarize this research and conclude my discussion about the development of eucharistic change in early Christian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